KR20100109802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802A
KR20100109802A KR1020090028264A KR20090028264A KR20100109802A KR 20100109802 A KR20100109802 A KR 20100109802A KR 1020090028264 A KR1020090028264 A KR 1020090028264A KR 20090028264 A KR20090028264 A KR 20090028264A KR 20100109802 A KR20100109802 A KR 2010010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round
static electricity
transparent conductive
condu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길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9802A/ko
Publication of KR2010010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4Arrangements to prevent high voltage or static electricity fail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표시장치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하는 접속부재; 상기 투명도전막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상기 제 2 기판 및 상기 접속부재를 통하여 흡수하는 제 1 그라운드;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 및 상기 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정전기 보호부를 포함한다.
정전기, 액정, 표시, 모듈, LCD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LCD, PDP 및 AMO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IC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 및 IC 칩 등은 외부의 물리적 및 전기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표시장치들이 모바일 기기 등에 사용되는 경우, 정전기와 같은 전기적인 충격에 노출되기 쉽다.
실시예는 전기적인 충격에 강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하는 접속부재; 상기 투명도전막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상기 제 2 기판 및 상기 접속부재를 통하여 흡수하는 제 1 그라운드;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 및 상기 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정전기 보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제 1 기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도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도전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전 부재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 2 그라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배선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제 2 기판에 연결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정전기 보호부는 상기 연결기판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전기 보호부는 140kΩ 내지 160kΩ의 저항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 부재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 사이의 저항은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 사이의 저항보다 더 작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샤시이고, 상기 제 2 그라운드는 상기 샤시의 외부에 배치되는 케이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그라운드는 상기 제 2 그라운드와 동일하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정전기 보호부를 포함한다. 외부로부터 상기 제 1 기판에 인가되는 정전기 등과 같은 전기적인 충격의 대부분은 상기 정전기 보호부에 의해서, 상기 제 2 기판을 통하여 상기 제 1 그라운드로 흐르지 않고, 상기 도전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 2 그라운드로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전기 보호부는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 사이의 저항이 상기 도전 부재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 사이의 저항보다 높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기판의 근처에 인가되는 정전기는 상기 투명도전막보다, 상기 도전 부재를 통하여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이 IPS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판의 상면에 투명도전막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의 정전기 등은 투명도전막을 통하여 용이하게 제 2 기판의 회로배선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정전기 등의 외부의 전기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 2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는 드라이버IC와 같은 구동 소자 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회로배선은 정전기 등에 의해서 대전되지 않도록 전하를 상기 제 1 그라운드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정전기 등의 일부는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에 인가될 때, 상기 제 1 그라운드로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도전막, 상기 회로배선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는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대전된 상태를 방지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면이 하얗게 되는 백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기판, 부재, 패널, 전극, 패턴 또는 층 등이 각 기판, 부재, 패널, 전극, 패턴 또는 층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액정패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0), 몰드프레임(400) 및 샤시(5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상기 몰드프레임(4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상부기판(110), 하부기판(120), 액정층(130) 및 접속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기판(110)은 상기 하부기판(120)에 대향한다. 상기 상부기판(110)은 상기 하부기판(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기판(110)은 투명도전막(111)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도전막(111)은 상기 상부기판(110)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도전막(111)은 투명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도전막(111)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IZO)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11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투명기판, 블랙매트릭스 패턴 및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투명기판은 투명하며, 절연체이다, 상기 제 1 투명기판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 일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 패턴은 상기 제 1 투명기판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블랙매트릭스 패턴은 광을 차단하며, 다수 개의 화소들을 정의하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필터는 통과하는 백색 광을 필터링하여 컬러를 가지는 광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블랙매트릭스 패턴의 개구들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는 예를 들어,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110)은 상기 블랙매트릭스 패턴 및 상기 컬러필터를 덮는, 절연체인 오버코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120)은 상기 상부기판(110)에 이격되며, 대향된다. 상기 하부기판(120)은 상기 상부기판(110) 아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기판(110)은 상기 하부기판(12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며, 상기 하부기판(120)을 덮을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120)은 화소전극(미도시) 및 회로배선(121)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배선(121)은 상기 하부기판(120)상에 형성된 화소전극(미도시)들과 연결되어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회로배선(121)은 상기 투명도전막(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회로배선(121)은 상기 접속부재(140)를 통하여 상기 투명도전막(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부기판(12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투명기판, 게이트 배선들, 데이터 배선들, 박막트랜지스터들 및 화소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투명기판은 투명하며, 절연체이다. 상기 제 2 투명기판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은 상기 제 2 투명기판 상에 배치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제 2 투명기판 상에 배치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데이터 배선들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들은 각각의 픽셀에 배치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들은 상기 데이터 배선들 및 상기 화소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들은 상기 게이트 배선들로부터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들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배선들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소전극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공통전극과 전계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전극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통전극은 공통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화소전극과 전계를 형성한다.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 2 투명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130)은 상기 상부기판(110) 및 상기 하부기판(1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액정층(130)은 상기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서 정렬한다. 상기 액정층(130)의 정렬에 의해서, 상기 액정패널(100)을 통과하는 광의 특성이 픽셀 단위로 달라지고,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패널(100)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층(130)은 상기 상부기판(110), 상기 하부기판(12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131)에 의해서 형성된 밀봉영역에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140)는 상기 투명도전막(111) 및 상기 회로배선(121)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투명도전막(111) 및 상기 회로배선(1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접속부재(140)는 예를 들어, Ag 도트 또는 솔더 페이스트 일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00) 상에 드라이버IC(200)가 실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드라이버IC(200)는 상기 액정패널(100) 상에 COG(chip on glass) 방식 등에 의해서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IC(200)는 상기 액정패널(100)을 구동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드라이버IC(200)는 상기 게이트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하여,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각각 인가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IC(200)는 상기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액정패널(10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300)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FPCB(300)는 상기 하부기판(120)에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ACF)(302)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FPCB(300)는 상기 회로배선(121)에 연결된다. 즉, 상기 FPCB(300)에 포함된 배선은 상기 회로배선(12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FPCB(300)는 상기 액정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이 내장된 메인 기판 등에 연결된다.
상기 FPCB(300)는 정전기 보호부(310) 및 그라운드 패턴(320)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보호부(310)는 높은 저항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전기 보호부(310)는 약 100kΩ 내지 약 200kΩ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정전기 보호부(310)는 약 140kΩ 내지 약 160kΩ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정전기 보호부(310)은 약 150kΩ의 저항일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보호부(310)는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 및 상기 회로배선(121)을 서로 연결시킨다. 즉, 상기 정전기 보호부(310)는 상기 FPCB(300)에 형성된 배선(301)을 통하여,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 및 상기 회로배선(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은 상기 FPCB(300) 내에 형성되며,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은 기준 전위를 가지며, 정전기 등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넓은 평면적을 가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패널(100)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액정패널(100)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100)을 향하여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몰드프레임(400)은 상기 액정패널(100)을 수용한다. 상기 몰드프레임(400)은 상기 액정패널(10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몰드프레임(4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프레임(400)은 상기 액정패널(100)을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몰드프레임(400)은 생략되고, 상기 액정패널(400)은 상기 샤시(500) 내측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시(500)는 상기 몰드프레임(400)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샤시(500)는 상기 몰드프레임(400) 및 상기 액정패널(100)을 수용한다. 상기 샤시(500)는 상기 액정패널(100)을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샤시(500)는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샤시(5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샤시(500)는 상기 액정패널(100)에 인가되는 정전기 등을 흡수할 수 있는 도전부재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액정패널(10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샤시(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부재가 상기 샤시(500) 또는 상기 몰드프레임(4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시(5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액정패널(10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샤시(500)의 일부는 상기 상부기판(11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샤시(500)는 상기 액정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벽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샤시(5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100) 및 상기 샤시(500)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는 금속 등과 같은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에 상기 샤시(5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은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샤시(500)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보다 훨씬 큰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는 그라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샤시(500) 및 상기 투명도전막(111)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와 같은 전기적인 충격을 흡수한다. 즉, 상기 케이스는 기준전위를 가지는 그라운드이다.
도 3과 다르게,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 및 상기 케이스는 전기적으로 연결 되지 않고,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이 그라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보호부(310)는 높은 저항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샤시(500) 및 상기 케이스 사이의 저항은 상기 투명도전막(111) 및 상기 케이스 사이의 저항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기판(110)에 정전기와 같은 전기적인 충격이 인가될 때, 정전기의 많은 부분은 상기 샤시(500)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에 흡수된다. 또한, 정전기의 일부는 상기 투명도전막(111), 상기 접속부재(140), 상기 회로배선(121), 상기 정전기 보호부(310)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320)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에 흡수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110)에 약한 정전기가 인가될 때, 거의 대부분의 정전기가 상기 샤시(500)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에 흡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의 대부분은 상기 하부기판(120)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로 흐르지 않는다. 상기 상부기판(110)의 근처에 인가되는 정전기는 상기 투명도전막(111)보다, 상기 샤시(500)를 통하여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정전기 등의 외부의 전기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하부기판(120) 및 상기 드라이버IC(200)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도전막(111) 및 상기 회로배선(121)은 정전기 등에 의해서 대전되지 않도록 전하를 상기 케이스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정전기 등의 일부는 상기 상부기판(110) 및 상기 하부기판(120)에 인가될 때, 상기 케이스로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투명도전 패턴, 상기 회로배선(121) 및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부기판(110) 및 상기 하부기판(120)의 대전된 상태를 방지하여,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이 하얗게 되는 백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액정패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제 2 기판을 연결하는 접속부재;
    상기 투명도전막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상기 제 2 기판 및 상기 접속부재를 통하여 흡수하는 제 1 그라운드;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 및 상기 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정전기 보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도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전 부재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 2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 연결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 보호부는 상기 연결기판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보호부는 140kΩ 내지 160kΩ의 저항을 가지는 표시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 사이의 저항은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 사이의 저항보다 더 작은 표시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샤시이고,
    상기 제 2 그라운드는 상기 샤시의 외부에 배치되는 케이스인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는 상기 제 2 그라운드와 동일한 표시장치.
KR1020090028264A 2009-04-01 2009-04-01 표시장치 KR20100109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264A KR20100109802A (ko) 2009-04-01 2009-04-01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264A KR20100109802A (ko) 2009-04-01 2009-04-01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802A true KR20100109802A (ko) 2010-10-11

Family

ID=4313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264A KR20100109802A (ko) 2009-04-01 2009-04-0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98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61A (ko) * 2015-09-08 2017-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과 그 정전기 방전 방법
KR20190055641A (ko) * 2017-11-15 2019-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20242251A1 (ko) * 2019-05-31 2020-1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그라운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엘이디 디스플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61A (ko) * 2015-09-08 2017-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과 그 정전기 방전 방법
KR20190055641A (ko) * 2017-11-15 2019-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20242251A1 (ko) * 2019-05-31 2020-1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그라운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엘이디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4063B (zh) 用于显示装置的驱动印刷电路板以及具有其的显示装置
US10324346B2 (en) Display device
CN107748457B (zh) 显示装置
CN109031800B (zh) 包括背光组件的显示装置
US2017021239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454872B2 (ja) 液晶装置、電子機器
US98978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4412315A (zh) 显示装置
KR102271367B1 (ko) 협 베젤 평판 표시장치
KR20190090102A (ko) 표시 장치
US20130240917A1 (en)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a conductive layer for electrostatic dischar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884301B2 (en) Display device
US9063385B2 (en) Display panel
KR20100109802A (ko) 표시장치
KR102024233B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424037B1 (ko) 액정표시장치
CN108508662B (zh) 液晶显示装置
JP201011325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667055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8130653A (ja) 電子部品、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JP3695265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00007612A (ko) 표시장치
JP200802653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130272A (ja) コネクタ、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