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641A -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641A
KR20190055641A KR1020170152578A KR20170152578A KR20190055641A KR 20190055641 A KR20190055641 A KR 20190055641A KR 1020170152578 A KR1020170152578 A KR 1020170152578A KR 20170152578 A KR20170152578 A KR 20170152578A KR 20190055641 A KR20190055641 A KR 2019005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via hole
ground power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625B1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6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05K1/0257Overvoltage protection
    • H05K1/0259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상기 외부 회로기판이 접속되는 패드부, 및 상기 각 부품과 상기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정전기유도부는 기판 상의 도전층을 덮는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비아홀, 및 상기 제 1 비아홀을 통해 상기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막 위로 돌출되며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유도패턴을 포함한다. 이로써, 패드부를 통해 외부 회로기판으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는 부품에 밀집되기보다, 패드부와 부품 사이에 배치된 정전기유도부에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현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TV, 휴대폰, 노트북 및 태블릿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된다. 이에 표시장치의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외곽인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표시패널은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한다.
구동부는 복수의 화소영역 중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평라인에 대응한 스캔신호를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게이트구동부, 복수의 화소영역 중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직라인에 대응한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게이트구동부와 데이터구동부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의 제조 시, 이송 시, 설치 시 및 구동 시에, 표시장치에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가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표시장치의 어느 일부에 임계 이상의 에너지 준위로 밀집(charging)되는 경우, 정전기가 밀집된 부분의 도전성 재료에 대한 전기적 대미지(damage)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실장 부품이 파손됨으로써, 표시장치의 오작동과 수명 저하, 및 화재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는 외부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상기 외부 회로기판이 접속되는 패드부, 및 상기 각 부품과 상기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정전기유도부는 기판 상의 도전층을 덮는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비아홀, 및 상기 제 1 비아홀을 통해 상기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막 위로 돌출되며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유도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외부 접지전원이 공급되는 접지패드, 상기 접지패드에 연결되고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접지저항, 및 상기 접지저항에 연결되는 접지전원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패턴에 접하는 도전층은 상기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중 적어도 일부의 부품 및 상기 패드부 중 적어도 일부의 패드는 상기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외부 접지전원이 공급되는 접지패드, 상기 접지패드에 연결되고 제 1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접지저항, 상기 접지패드에 연결되고 제 2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접지저항, 상기 제 1 접지저항에 연결되는 제 1 접지전원배선, 및 상기 제 2 접지저항에 연결되는 제 2 접지전원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패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유도패턴에 접하는 도전층은 상기 제 2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정전기유도부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도전층을 관통하는 제 2 비아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비아홀은 상기 제 2 비아홀 및 상기 제 2 비아홀의 주변에 대응하는 도전층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각 정전기유도부는 상기 제 2 비아홀에 의해 노출되는 기판 및 도전층을 커버하고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코팅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외부 회로기판이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과, 외부 회로기판이 접속되는 패드부와, 패드부와 각 부품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전기유도부는 도전층을 덮는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비아홀 및 제 1 비아홀을 통해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절연막 위로 돌출되는 유도패턴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전기유도부의 유도패턴은 절연막보다 위로 돌출되는 형태이므로 피뢰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로써, 패드부를 통해 외부 회로기판으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는 부품에 밀집되기보다, 패드부와 부품 사이에 배치된 정전기유도부에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다.
이로써, 정전기가 부품에 밀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에 의한 부품의 전기적 대미지가 방지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부품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표시장치의 경우, 정전기에 의한 오작동 및 수명 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장점과, 화재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정전기유도부의 단면에 대한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10),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20) 및 적어도 하나의 필름(2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0)에 연결되는 표시패널(10)을 포함한다.
표시패널(30)은 표시영역(AA) 및 표시영역(AA)의 외곽인 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패널(30)은 표시영역(AA)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영역(PXL), 복수의 화소영역(PXL) 중 제 1 방향(도 1의 좌우방향,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평라인에 대응한 스캔라인(31), 및 복수의 화소영역(PXL) 중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도 1의 상하방향,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직라인에 대응한 데이터라인(32)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화소영역(PXL)은 스캔라인(15)과 데이터라인(14)의 교차에 의해 정의됨으로써, 표시영역(AA)에 매트릭스 배열될 수 있다.
스캔라인(31)은 각 수평기간 동안 각 수평라인의 화소영역에 스캔신호(SCAN)를 공급한다.
데이터라인(32)은 각 수평기간 동안 각 화소영역에 데이터신호(VDATA)를 공급한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30)의 스캔라인(31)을 구동하는 게이트구동부, 표시패널(30)의 데이터라인(32)을 구동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게이트구동부와 데이터구동부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구동부는 표시패널(30)의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회로(33)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부는 표시패널(3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20)에 실장되는 데이터구동칩(21)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데이터구동칩(21)은 데이터라인(32)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20)을 통해 표시패널(30)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집적회로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인쇄회로기판(1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집적회로칩 외에도, 신호의 생성 및 안정화를 위한 각종 부품(11)이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각종 부품(11)은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30) 및 적어도 하나의 필름(20) 중 어느 하나에 유입된 정전기가 필름(2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0)으로 유입된 정전기가 인쇄회로기판(10) 중 비교적 낮은 저항값의 부품(11)에 임계 이상의 에너지 준위로 차징(charging)됨으로써, 부품(11)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은 표시패널(30) 및 적어도 하나의 필름(20) 중 어느 하나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가 부품(1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정전기유도부의 단면에 대한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은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11), 외부 회로기판(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20))이 접속되는 패드부(12) 및 각 부품(11)과 패드부(12)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13)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13) 각각은 인쇄회로기판(10)의 표면에 대응하는 절연막(103)을 관통하는 제 1 비아홀(111) 및 제 1 비아홀(111)을 통해 도전층(도 3의 102) 상에 배치되고 절연막(103) 위로 돌출되며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유도패턴(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정전기유도부(13)는 기판(도 3의 101) 및 도전층(도 3의 102)을 관통하는 제 2 비아홀(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비아홀(111)은 제 2 비아홀(112) 및 제 2 비아홀(112)의 주변에 대응하는 도전층을 노출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은 기판(101), 기판(101) 상에 배치되는 도전층(102) 및 도전층(102)을 덮는 절연막(10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인쇄회로기판(10)은 기판(101) 상에 배치되고 절연막에 의해 상호 절연되는 둘 이상의 도전층(10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기유도부(13)에 대응하는 도전층(102)은 소정의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되는 패턴일 수 있다.
정전기유도부(13)는 기판(101) 상의 도전층(102)을 덮는 절연막(103)을 관통하는 제 1 비아홀(111), 및 제 1 비아홀(111)을 통해 노출된 도전층(102) 상에 배치되는 유도패턴(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도패턴(120)은 절연막(103)보다 위로 돌출된 피크부를 포함하며, 도전재료로 이루어진다.
예시적으로, 유도패턴(120)은 주석 및 납 등을 포함하는 솔더(solder)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유도패턴(120)은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되고 점착성을 갖는 액체 상태와, 형상이 고정되는 고체 상태 간의 변형이 비교적 용이한 재료라면 어느 것으로든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패턴(120)은 절연막(103) 상으로 돌출된 피크를 포함하는 형태이므로, 인쇄회로기판(10)의 표면에서 전달되는 정전기를 유도할 수 있는 피뢰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로써, 인쇄회로기판(10)으로 유입된 정전기는 정전기유도부(13)로 유도될 수 있다.
특히, 정전기유도부(13)는 각 부품(11)과 패드부(1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정전기유도부(13)는 각 부품(11) 주위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도 1의 3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도 1의 20)에 유입되어 패드부(12)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으로 전달된 정전기에 대한 부품(11)의 방어막이 될 수 있다. 이로써, 정전기에 의한 부품(1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오작동, 수명 저하 및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정전기유도부(13)는 기판(101)과 도전층(102)을 관통하는 제 2 비아홀(112), 및 제 2 비아홀(112)에 의해 노출되는 기판(101)과 도전층(102)을 커버하는 코팅막(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막(103)을 관통하는 제 1 비아홀(111)은 제 2 비아홀(112) 및 그 주변의 도전층(102)을 노출한다.
이러한 제 1 비아홀(111)을 통해 노출된 제 2 비아홀(112) 주변의 도전층(102)은 유도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팅막(130)은 제 2 비아홀(112)을 통해 노출된 기판(101) 및 도전층(102)을 덮는 도전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코팅막(130)은 도전층(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로 인해 유도패턴(120)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코팅막(130)으로 인해, 유도패턴(120)에 밀집된 정전기가 도전층(102)이 배치된 기판(101)의 일면이 아니라, 도전층(102)에 반대되는 기판(101)의 다른 일면 측으로 제거되기에 용이해질 수 있다.
이로써, 정전기가 기판(101)의 일면 상에 실장된 부품(11)으로 유입되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에 의한 부품(11)의 파손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유도패턴(120)이 제 2 비아홀(112) 주변의 도전층(102) 상에만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유도패턴(120)은 제 2 비아홀(112)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패턴(120')은 도전층(102)에 대응하는 제 2 비아홀(112)의 일부를 메우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패턴(120")은 도전층(102) 및 기판(101)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 2 비아홀(112)의 일부를 메우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도패턴(120)과 코팅막(130) 간의 전기적 연결이 향상됨으로써, 정전기가 제 2 비아홀(112) 내에 배치된 유도패턴(120)을 통해 코팅막(130) 및 기판(101)의 다른 일면으로 전달되기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은 그 위에 실장된 각 부품(11)과 패드부(12)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13)를 포함하고, 각 정전기유도부(13)는 절연막(103) 위로 돌출되는 도전재료의 유도패턴(120)을 포함한다. 이때, 유도패턴(120)은 절연막(103)에 대한 피뢰침으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10)의 표면으로 유입되는 정전기는 각 부품(11)이 아닌 정전기유도부(13)로 밀집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정전기유도부(13)는 기판(101)을 관통하는 제 2 비아홀(112) 및 제 2 비아홀(112)을 커버하는 코팅막을 포함함으로써, 유도패턴(120)에 수집된 정전기가 부품(11)이 실장된 기판(101)의 일면이 아닌 기판(101)의 다른 일면으로 흩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정전기에 의한 부품(11)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용이한 정전기 배출을 위하여, 정전기유도부(13)는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은 각 정전기유도부(13')의 도전층(도 3, 도 4 및 도 5의 102)이 접지전원배선(16)에 연결되는 점을 제외하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은 외부 접지전원이 공급되는 접지패드(14), 접지패드(14)에 연결되고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접지저항(15) 및 접지저항(15)에 연결되는 접지전원배선(16)을 더 포함한다.
접지패드(14)는 시스템보드(미도시)의 커넥터 또는 상용전원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소켓일 수 있다. 또는 접지패드(14)는 표시패널(30) 및 인쇄회로기판(30)을 수납하는 바텀커버(미도시)에 접촉하는 도전성부재가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지저항(15)은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수동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저항(15)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에 대응한 기판접지전원이 외부 접지전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11) 중 적어도 일부, 패드부(12) 중 적어도 일부의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13')는 모두 접지전원배선(1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부품(11) 중 접지전원을 이용하는 적어도 일부는 접지전원배선(16)에 연결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패드부(12)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도 1의 20)에 접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패드는 접지전원배선(16)에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13')는 접지전원배선(16)에 연결된다. 이로써, 각 정전기유도부(13')에 수집된 정전기가 접지전원배선(16)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정전기유도부(13')에 차징된 정전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유도부(13')에 차징된 정전기로 인한 주변 배선 또는 부품의 손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정전기유도부(13')로부터 배출된 정전기에 의해 기판접지전원의 리플(ripple)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부품(11) 및 패드부(12)가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13')와 동일하게, 접지전원배선(16)을 통해 기판접지전원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기판접지전원의 리플(ripple)로 인해,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된 부품(11) 및 적어도 하나의 필름(20)에 실장된 구동칩(21) 중 어느 하나의 오작동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13')는 부품(11) 및 패드부(12)와 상이한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11) 중 일부 및 패드부(12) 중 일부는 제 1 접지전원배선(16a)에 연결되고, 각 정전기유도부(13")의 도전층(도 3, 도 4 및 도 5의 102)은 제 1 접지전원배선(16a)과 분리된 제 2 접지전원배선(16b)에 연결되는 점을 제외하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제 1 실시예 또는 도 6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은 접지패드(14), 접지패드(14)에 연결되고 제 1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접지저항(15a), 접지패드(14)에 연결되고 제 1 기판접지전원과 상이한 제 2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접지저항(15b), 제 1 접지저항(15a)에 연결되는 제 1 접지전원배선(16a), 제 2 접지저항(15b)에 연결되는 제 2 접지전원배선(16b)을 더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11) 중 적어도 일부 및 패드부(12) 중 적어도 일부의 패드는 제 1 접지전원배선(16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부품(11) 중 접지전원을 이용하는 적어도 일부는 제 1 접지전원배선(16a)에 연결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패드부(12)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도 1의 20)에 접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패드는 제 1 접지전원배선(16a)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13")는 제 2 접지전원배선(16b)에 연결된다. 이로써, 각 정전기유도부(13")에 수집된 정전기가 제 2 접지전원배선(16b)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정전기유도부(13')에 차징된 정전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면서도, 부품(11) 및 패드부(12)가 제 1 접지전원배선(16a)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기판접지전원의 리플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11: 부품
20: 필름 21: 데이터구동칩
30: 표시패널
AA: 표시영역 PXL: 화소영역
31: 스캔라인 32: 데이터라인
33: 게이트구동부
101: 기판 102: 도전층
103: 절연막 120: 유도패턴
130: 코팅막 14: 접지패드
15: 접지저항 16: 접지전원배선
15a, 15b: 제 1, 제 2 접지저항
16a, 16b: 제 1, 제 2 접지전원배선

Claims (10)

  1. 외부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상기 외부 회로기판이 접속되는 패드부; 및
    상기 각 부품과 상기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정전기유도부는
    기판 상의 도전층을 덮는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비아홀; 및
    상기 제 1 비아홀을 통해 상기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막 위로 돌출되며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유도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접지전원이 공급되는 접지패드;
    상기 접지패드에 연결되고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접지저항; 및
    상기 접지저항에 연결되는 접지전원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패턴에 접하는 도전층은 상기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중 적어도 일부의 부품 및 상기 패드부 중 적어도 일부의 패드는 상기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접지전원이 공급되는 접지패드;
    상기 접지패드에 연결되고 제 1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접지저항;
    상기 접지패드에 연결되고 제 2 기판접지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접지저항;
    상기 제 1 접지저항에 연결되는 제 1 접지전원배선; 및
    상기 제 2 접지저항에 연결되는 제 2 접지전원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패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유도패턴에 접하는 도전층은 상기 제 2 접지전원배선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전기유도부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도전층을 관통하는 제 2 비아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비아홀은 상기 제 2 비아홀 및 상기 제 2 비아홀의 주변에 대응하는 도전층을 노출하는 인쇄회로기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전기유도부는 상기 제 2 비아홀에 의해 노출되는 기판 및 도전층을 커버하고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패턴은 상기 제 2 비아홀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는 형태로 더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유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중 적어도 일부의 주변에 하나 이상 더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상기 외부 회로기판이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영역;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중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평라인에 대응한 스캔라인; 및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중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직라인에 대응한 데이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은 필름 상에 실장되고 상기 데이터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구동칩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70152578A 2017-11-15 2017-11-15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3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78A KR102530625B1 (ko) 2017-11-15 2017-11-15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78A KR102530625B1 (ko) 2017-11-15 2017-11-15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41A true KR20190055641A (ko) 2019-05-23
KR102530625B1 KR102530625B1 (ko) 2023-05-08

Family

ID=6668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578A KR102530625B1 (ko) 2017-11-15 2017-11-15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62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313A (ko) * 2000-07-29 2002-02-04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KR20050104801A (ko) * 2004-04-29 2005-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060002238A (ko) * 2004-07-01 2006-01-09 주식회사 팬택 정전기 방전 유도기능이 개선된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060260977A1 (en) * 2005-05-19 2006-11-23 Chia-Ming Lee Display module and flexible packaging unit thereof
US20070103827A1 (en) * 2005-11-10 2007-05-10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unit
KR20070085260A (ko) * 2004-09-17 2007-08-27 일렉트로닉 폴리머스, 인코포레이티드 정전기 방전 억제용 장치 및 시스템
KR20100109802A (ko) * 2009-04-01 2010-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10043954A1 (en) * 2009-08-21 2011-02-24 Kinpo Electronics,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85668A (ko) * 2014-01-16 2015-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4234A (ko) * 2015-03-23 2016-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313A (ko) * 2000-07-29 2002-02-04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KR20050104801A (ko) * 2004-04-29 2005-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060002238A (ko) * 2004-07-01 2006-01-09 주식회사 팬택 정전기 방전 유도기능이 개선된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85260A (ko) * 2004-09-17 2007-08-27 일렉트로닉 폴리머스, 인코포레이티드 정전기 방전 억제용 장치 및 시스템
US20090237855A1 (en) * 2004-09-17 2009-09-24 Electronic Polymers, Inc. Devices and System for Electrostatic Discharge Suppression
US20060260977A1 (en) * 2005-05-19 2006-11-23 Chia-Ming Lee Display module and flexible packaging unit thereof
US20070103827A1 (en) * 2005-11-10 2007-05-10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unit
KR20100109802A (ko) * 2009-04-01 2010-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10043954A1 (en) * 2009-08-21 2011-02-24 Kinpo Electronics,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85668A (ko) * 2014-01-16 2015-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4234A (ko) * 2015-03-23 2016-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625B1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1773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KR102205030B1 (ko) 표시장치
US20170047393A1 (en) Display tile structure and tiled display
CN107623018B (zh) 高分辨率显示装置
EP3742429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013857A1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evice, film, and module
KR200800177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연성부재
KR10108420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22729B1 (ko) 표시 장치
CN112711349A (zh) 触控显示屏、触控显示装置
KR20180058879A (ko) 전자파 차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699900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7243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2324422B (zh) 发光二极管模块与采用此发光二极管模块的显示器
KR20150015606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535209B1 (ko) 인쇄회로기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999466B2 (en) Display device with power generator on panel c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30625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04721B1 (ko)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KR102513388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CN105873342B (zh) 显示装置
KR1007339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135921B1 (ko)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090064945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