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753A -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 Google Patents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753A
KR20100109753A KR1020090028169A KR20090028169A KR20100109753A KR 20100109753 A KR20100109753 A KR 20100109753A KR 1020090028169 A KR1020090028169 A KR 1020090028169A KR 20090028169 A KR20090028169 A KR 20090028169A KR 20100109753 A KR20100109753 A KR 20100109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asphalt
sieve
nois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054B1 (ko
Inventor
옥창권
김진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09002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0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2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except those according to E01C7/26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5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apparatus; Aggregate screening, cleaning, drying or heating apparatus; Dust-collec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01C7/26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with fibrous material, e.g. asbestos; with animal or vegetal admixtures, e.g. leather,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에 있어서, 골재 편장석이 적고 종래의 가늘고 긴 입형의 골재가 아닌 입방체의 입형을 가진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를 사용하여 골재입도를 골재최대치수 20㎜, 13㎜, 10㎜, 8㎜와 같이 4종류로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골재 입도 개선을 통한 주행차량의 하중에 의한 저소음 포장 표면의 공극 막힘을 감소시키고, 본 공법의 적용을 통한 내구성 증대와 주행차량의 소음감소 효과를 증대시키는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을 개발하는 것으로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와 식물성 섬유첨가재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저소음포장의 소음 감소효과를 증대시켜 우천 시 포장체 배수에 기인한 수막현상 방지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며 주행차량의 하중에 의한 저소음 포장 표면의 공극 막힘을 최소화하고, 주행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스팔트 포장, 저소음 포장, 아스팔트 바인더, SMA, 식물성 섬유첨가재

Description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LOW NOISE PAVING MIXTURE TO IMPROVE THE AGGREGATE GRADATION}
본 발명은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내구성 향상과 주행차량의 소음 감소효과 증대를 위해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SMA)용 골재와 식물성 섬유 첨가재를 사용하여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포장과 콘크리트포장으로 대표되는 도로포장은 이를 이용하는 자동차에 안전하고 평탄한 노면을 제공하는 것이 본래의 기능이다. 옛날의 신작로를 생각해보면 맑은 날은 흙먼지, 비가 오는 날은 웅덩이에서 물이 튀고 평탄성이 나빠 속도를 내기가 어려웠던 것을 쉽게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로포장은 개발의 지표 또는 환경개선의 지표로 이용되기도 한다. 최근 교통량이 증가하고, 중량화되며 도시고속도로의 건설로 아스팔트 도로가 증가하면서 지역도로 대부분 역시 아스팔트 도로로 포장되는 실정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아스팔트 포장방법을 살펴보면, 흙이나 원토로 구성되는 노상층을 구성하고 그 위에 자갈이나 모래 등으로 구성되는 보조기층을 형 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기층 위로 골재 최대치수를 조절한 아스팔트, 모레, 쇄석 등으로 구성되는 기층들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아스팔트 포장방법은 빗물을 표면에서 배수하는 형태로 표층, 기층 모두 불투수층으로 구성되어 포장층 내부에 물이 침투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우천시 움푹 파인 구간에서 물 튀김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주행 시 수막현상 발생으로 운전자의 핸들이 조작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교통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또한, 야간 우천 시 노면 빛 반사나 차선이 안보일 정도로 시인성이 나빠 안전사고 증가의 원인이 되어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배수성 포장이 개발되어 사용되는데 기존의 배수성 포장은 우천 시 주행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배수성 포장의 배수와 미끄럼 저항성의 증진에 초점을 두고 시행하였다.
상기 기존의 배수성 포장은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를 사용하여 우수의 배수에 초점을 맞춘 골재의 입도로서 일본에서 사용 중인 입도를 도입하여 적용한 입도이다. 골재 최대치수로는 20㎜, 13㎜ 2종류의 입도를 적용하고 있다.
기존 배수성포장의 입도는 골재 최대입도가 20㎜일 때, 체 통과중량백분율 기준으로 20㎜체 통과율이 95~100%, 13㎜체 통과율이 53~78%, 10㎜체 통과율이 35~62%, 5㎜체 통과율이 10~31%, 2.5㎜체 통과율이 10~21%, 0.6㎜체 통과율이4~17%, 0.3㎜체 통과율이 3~12%, 0.15㎜체 통과율이 3~8%, 0.08㎜체 통과율이 2~7%이고, 골재 최대입도가 13㎜일 때, 체 통과중량백분율 기준으로 13㎜체 통과율92~100%, 10㎜체 통과율이 62~81%, 5㎜체 통과율이 10~31%, 2.5㎜체 통과율이 10~21%, 0.6㎜체 통과율이 4~17%, 0.3㎜체 통과율이 3~12%, 0.15㎜체 통과율이 3~8%, 0.08㎜체 통과율이 2~7%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배수성 포장방법은 상대적으로 굵은 골재의 함량은 낮고 잔골재의 함량이 높아서, 이러한 입도를 사용하여 포장을 시공하면 포장표면으로부터의 공극이 구불구불하게 형성되게 되어 공극 속으로 먼지 토사 등의 침투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3년 정도면 공극이 막히기 시작하여 5년 정도에 배수기능을 상실한다. 또한, 주행차량의 하중에 의해 배수성 포장 표면에 공극 무너짐 현상이 발생하여 투수성능과 소음감소 효과 및 미끄럼 저항성 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골재 편장석이 적고 종래의 가늘고 긴 입형의 골재가 아닌 입방체의 입형을 가진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를 사용하여 골재입도를 골재최대치수 20㎜, 13㎜, 10㎜, 8㎜ 4종류로 개선한 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골재 입도 개선을 통한 주행차량의 하중에 의한 저소음 포장 표면의 공극 막힘을 감소시키고, 본 공법의 적용을 통한 내구성 증대와 주행차량의 소음감소 효과를 증대시키는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골재 최대 입도가 20㎜이고, 체 통과 중량% 기준으로 20 ㎜체 통과율이 93~100%, 13㎜체 통과율이 45~65%, 10㎜체 통과율이 15~32%, 5㎜체 통과율이 4~14%, 2.5㎜체 통과율이 3~10%, 0.6㎜체 통과율이 2~8%, 0.3㎜체 통과율이 2~7%, 0.15㎜체 통과율이 1~6%, 0.08㎜체 통과율이 1~5%인 혼합골재와;
상기 골재 최대 입도가 13㎜일 때, 체 통과중량백분율 기준으로 13㎜체 통과율이 93~100%, 10㎜체 통과율이 45~60%, 5㎜체 통과율이 5~15%, 2.5㎜체 통과율이 4~12%, 0.6㎜체 통과율이 3~9%, 0.3㎜체 통과율이 2~8%, 0.15㎜체 통과율이 2~6%, 0.08㎜체 통과율이 2~5%인 혼합골재와;
상기 골재 최대 입도가 10㎜일 때, 체 통과중량백분율 기준으로 10㎜체 통과율이 90~100%, 5㎜체 통과율이 8~22%, 2.5㎜체 통과율이 6~17%, 0.6㎜체 통과율이 4~10%, 0.3㎜체 통과율이 3~9%, 0.15㎜체 통과율이 2~8%, 0.08㎜체 통과율이 2~6%인 혼합골재와;
상기 골재 최대 입도가 8㎜일 때, 체 통과중량백분율 기준으로 10 ㎜체 통과율이 100~100%, 5㎜체 통과율이 10~25%, 2.5㎜체 통과율이 8~20%, 0.6㎜체 통과율이 5~12%, 0.3㎜체 통과율이 4~10%, 0.15㎜체 통과율이 3~8%, 0.08㎜체 통과율이 3~7%인 혼합골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혼합물의 아스팔트 적용함량은 골재 최대 입도가 20㎜인 경우 4.3~6.3중량%이며, 13㎜인 경우 4.5~6.5중량%이며, 10㎜인 경우 4.8~6.8중량%이며, 8㎜인 경우 4.6~7.0중량%의 아스팔트 바인더와;
상기 혼합물의 접착력증대, 골재코팅 두께 향상, 탈리 방지 및 포장수명 향 상을 위해 식물성 섬유첨가재를 상기 혼합물의 0.1~0.7중량%의 합성 입도 구성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을 제공한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극률 범위는 15~30%이며, 아스팔트 바인더의 공용성 등급은 PG 64-(10, 16, 22, 28, 34), PG 70-(10, 16, 22, 28, 34), PG 76-(10, 16, 22, 28, 34), PG 82-(10, 16, 22, 28, 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골재 편장석이 적은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SMA)용 골재를 사용하여 골재입도를 골재최대치수 20㎜, 13㎜, 10㎜, 8㎜ 4종류로 개선한 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골재 입도 개선을 통한 주행차량의 하중에 의한 저소음 포장 표면의 공극 막힘을 감소시키고, 본 공법의 적용을 통한 내구성 증대와 주행차량의 소음감소 효과를 증대시키는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방음벽 설치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우천 시 신속한 포장체 배수에 기인한 수막현상 미발생으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며 미끄럼 저항성 증진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의 제 1실시예는 도 1에서와 같이 배수용 아스팔트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골재 최대 입도가 20㎜인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 92.8~ 95.6 중량%를 갖는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에 4.3~6.3 중량%가 혼합되는 아스팔트 바인더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에 0.1~0.7 중량%가 첨가되는 식물성 섬유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는 체통과 중량백분율을 기준으로 20㎜체 통과율이 93~100%, 13㎜체 통과율이 45~65%, 10㎜체 통과율이 15~32%, 5㎜체 통과율이 4~14%, 2.5㎜체 통과율이 3~10%, 0.6㎜체 통과율이 2~8%, 0.3㎜체 통과율이 2~7%, 0.15㎜체 통과율이 1~6%, 0.08㎜체 통과율이 1~5%인 혼합골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2와 같이 저소음 포장용 아스팔트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골재 최대 입도가 13㎜인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 92.8~ 95.6 중량%를 갖는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에 4.5~6.5 중량%가 혼합되는 아스팔트 바인더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에 0.1~0.7 중량%가 첨가되는 식물성 섬유첨가제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는, 체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으로 13㎜체 통과율이 93~100%, 10㎜체 통과율이 45~60%, 5㎜체 통과율이 5~15%, 2.5㎜체 통과율이 4~12%, 0.6㎜체 통과율이 3~9%, 0.3㎜체 통과율이 2~8%, 0.15㎜체 통과율이 2~6%, 0.08㎜체 통과율이 2~5%인 혼합골재를 사용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3과 같이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도로 에 사용되는 최대 골재 입도가 10㎜인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 92.5~95.1 중량%를 갖는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에 4.8~6.8 중량%가 혼합되는 아스팔트 바인더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에 0.1~0.7 중량%가 첨가되는 식물성 섬유첨가제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는 체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으로 10㎜체 통과율이 90~100%, 5㎜체 통과율이 8~22%, 2.5㎜체 통과율이 6~17%, 0.6㎜체 통과율이 4~10%, 0.3㎜체 통과율이 3~9%, 0.15㎜체 통과율이 2~8%, 0.08㎜체 통과율이 2~6%인 혼합골재를 사용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사용되는 최대 골재 입도가 8㎜인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 92.5~ 95.1 중량%를 갖는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에 4.6~7.0 중량%가 혼합되는 아스팔트 바인더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에 0.1~0.7 중량%가 첨가되는 식물성 섬유첨가제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는 체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으로 10㎜체 통과율이 100%, 5㎜체 통과율이 10~25%, 2.5㎜체 통과율이 8~20%, 0.6㎜체 통과율이 5~12%, 0.3㎜체 통과율이 4~10%, 0.15㎜체 통과율이 3~8%, 0.08㎜체 통과율이 3~7%인 혼합골재를 사용한다.
한편 아스팔트 혼합골재에서 큰 입도의 골재를 더 많이 포함시키고 최대골재 입도가 작을수록 아스팔트 바인더를 더 많이 함유시켜 배수성과 저소음성의 효과를 증대시켰고 공극률의 범위는 15~30%이며, 아스팔트 바인더의 공용성 등급은 PG 64-(10, 16, 22, 28, 34), PG 70-(10, 16, 22, 28, 34), PG 76-(10, 16, 22, 28, 34), PG 82-(10, 16, 22, 28, 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을 제공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포장 혼합물로 배수성과 저소음성을 향상시키면서 내구성을 증대시킨 개선된 골재 입도별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다음 <표1>은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저소음포장(20㎜, 13㎜, 10㎜, 8㎜)별로 저소음포장 차로와 일반 콘크리트 차로 각각에 대해 소음을 측정하였으며, 소음 측정용 차량을 이용하여 속도 50km, 80km, 100km, 120km에 대한 소음을 측정하였다.
<표1> 타이어-노면 소음측정 결과(LEQ) (단위 : dB)
구 분 저소음 포장 콘크리트 포장
8㎜ 10㎜ 13㎜ 20㎜ 1차로 2차로
50km/h 86.9 87.2 87.8 89.9 96.9 98.1
80km/h 92.5 92.1 94.0 95.6 106.0 106.6
100km/h 95.8 95.4 97.1 98.4 111.0 111.7
120km/h 97.8 98.7 99.4 101.2 112.8 114.1
도 5는 타이어와 포장노면 소음 측정시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 의한 소음발생을 제거하기 위하여 행선별 전면차단을 실시하여 소음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치한 마이크로 폰의 설치위치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험 결과 골재 입도별 소음의 크기는 20㎜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골재 최대 입도가 작아질수록 소음이 적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일반적인 고속도로 주행속도를 100km/h로 봤을 때 타이어-노면의 소음측정 결과 콘크리트포장은 111.7dB, 저소음 포장에서는 골재최대입도가 20㎜일 때 98.4dB, 13㎜일 때 97.1dB, 10㎜일 때 95.4dB, 8㎜일 때 95.8dB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상기 골재 입도 최대 치수에 따른 본 발명인 저소음 포장을 살펴보면 저소음 포장의 굵은 골재 최대치가 클수록 소음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고 저소음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의 소음차이를 비교해 보면 속도가 낮은 경우 약 11.2dB의 차이를 보이며, 속도가 높은 경우 약 16.3dB 정도의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도 6은 상기 소음측정으로 발생한 등가소음도(LEQ)를 주파수 분석을 사용하여 차량속도 100km/h에서 소음 특성을 살펴보았다.
저소음 포장의 경우 급격한 소음 크기의 변화가 없고 다만 최대 골재 입도가 작을수록 소음이 적은 결과가 나왔다.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약 600Hz 이하에서는 속도에 관계없이 저소음 포장보다 미소하게 높은 소음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600~700㎐ 이상 급격하게 소음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인간이 가장 예민하게 느끼는 소음도의 주파수 영역 1000~5000Hz에서 콘크리트 포장의 소음도가 저소음 포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포장을 사용하여 우천 시 포장 내부의 원활한 배수기능과 주행차량의 하중에 의한 저소음 포장 표면의 공극 막힘을 최소화하고 탁월한 소음감소 효과를 증대시켜 우천 시 차량사고다발지역과 주행차량의 소음에 의한 소음민원 발생지역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골재최대입도 수치가 20㎜인 혼합물의 중량%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골재최대입도 수치가 13㎜인 혼합물의 중량%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재최대입도 수치가 10㎜인 혼합물의 중량%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재최대입도 수치가 8㎜인 혼합물의 중량%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음실험에서 마이크로폰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소음실험에서 포장종류별 주파수 분설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14)

  1.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에 있어서,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를 갖는 92.8~ 95.6 중량%의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혼합되는 4.3~6.5 중량%의 아스팔트 바인더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에 첨가되는 0.1~0.7 중량%의 식물성 섬유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 포장 혼합물의 공극률 범위는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의 공용성 등급은 PG 64-(10, 16, 22, 28, 34), PG 70-(10, 16, 22, 28, 34), PG 76-(10, 16, 22, 28, 34), PG 82-(10, 16, 22, 28,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는, 그 골재최대입도가 20㎜일 때, 체통과 중량백분율을 기준으로, 20㎜체 통과율이 93~100%, 13㎜체 통과율이 45~65%, 10㎜체 통과율이 15~32%, 5㎜체 통과율이 4~14%, 2.5㎜체 통과율이 3~10%, 0.6㎜체 통과율이 2~8%, 0.3㎜체 통과율이 2~7%, 0.15㎜체 통과율이 1~6%, 0.08㎜ 체 통과율이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의 골재최대입도가 20㎜일 때,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혼합되는 4.3~6.3 중량%의 아스팔트 바인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는, 그 골재최대입도가 13㎜일 때, 체통과 중량백분율 기준으로, 13㎜체 통과율이 93~100%, 10㎜체 통과율이 45~60%, 5㎜체 통과율이 5~15%, 2.5㎜체 통과율이 4~12%, 0.6㎜체 통과율이 3~9%, 0.3㎜체 통과율이 2~8%, 0.15㎜체 통과율이 2~6%, 0.08㎜체 통과율이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의 골재최대입도가 13㎜일 때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혼합되는 4.5~6.5 중량%의 아스팔트 바인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8.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에 있어서,
    저소음용 아스팔트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를 갖는 92.5~95.1 중량%의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혼합되는 4.8~7.0 중량%의 아스팔트 바인더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에 첨가되는 0.1~0.7 중량%의 식물성 섬유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 포장 혼합물의 공극률 범위는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의 공용성 등급은 PG 64-(10, 16, 22, 28, 34), PG 70-(10, 16, 22, 28, 34), PG 76-(10, 16, 22, 28, 34), PG 82-(10, 16, 22, 28,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는, 그 골재최대입도가 10㎜일 때, 체통과 중량백분율을 기준으로, 10㎜체 통과율이 90~100%, 5㎜체 통과율이 8~22%, 2.5㎜체 통과율이 6~17%, 0.6㎜체 통과율이 4~10%, 0.3㎜체 통과율이 3~9%, 0.15㎜체 통과율이 2~8%, 0.08㎜체 통과율이 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의 골재최대입도가 10㎜일 때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혼합되는 4.8~6.8 중량%의 아스팔트 바인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는, 그 골재최대입도가 8㎜일 때, 체통과 중량백분율을 기준으로, 10㎜체 통과율이 100%, 5㎜체 통과율이 10~25%, 2.5㎜체 통과율이 8~20%, 0.6㎜체 통과율이 5~12%, 0.3㎜체 통과율이 4~10%, 0.15㎜체 통과율이 3~8%, 0.08㎜체 통과율이 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골재의 골재최대입도가 8㎜일 때, 아스팔트 혼합골재와 혼합되는 4.6~7.0 중량%의 아스팔트 바인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KR1020090028169A 2009-04-01 2009-04-01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KR10110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69A KR101104054B1 (ko) 2009-04-01 2009-04-01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69A KR101104054B1 (ko) 2009-04-01 2009-04-01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53A true KR20100109753A (ko) 2010-10-11
KR101104054B1 KR101104054B1 (ko) 2012-01-06

Family

ID=4313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169A KR101104054B1 (ko) 2009-04-01 2009-04-01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0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0130A (zh) * 2017-02-15 2017-06-09 上海浦东路桥建设股份有限公司 适用于高架静碾铺装用的sma沥青混合料
KR102245964B1 (ko) * 2020-11-16 2021-04-29 광덕아스콘 주식회사 입자 장단 비율의 선별적 배합을 통한 개질 아스팔트 포장 방법
KR102246443B1 (ko) * 2020-11-16 2021-04-30 광덕아스콘 주식회사 입자의 선별적 적층을 통한 흡음 레이어링 시스템
KR102266604B1 (ko) * 2020-07-21 2021-06-18 (주)이노로드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KR20210129311A (ko) * 2020-04-17 2021-10-28 안진하이테크(주) 고내구성 칼라포장용 친환경 유색골재와,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내구성 칼라포장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496B1 (ko) * 2013-11-08 2014-08-06 김갑부 지반 개량재,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골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8985494B (zh) * 2018-06-25 2021-05-28 长春黄金设计院有限公司 一种基于颗粒堆积密度的充填骨料级配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892B1 (ko) * 1997-07-23 2000-03-15 정숭렬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포장공법
JP3824988B2 (ja) * 2002-10-17 2006-09-20 株式会社Nippoコーポレーション 振動軽減型アスファルト舗装体
JP2008144556A (ja) * 2006-12-13 2008-06-26 Bridgestone Corp 砕石マスチックアスファルト舗装体
KR100840708B1 (ko) * 2007-12-14 2008-06-24 한국투수개발 주식회사 내유동 및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를 위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및 그 아스팔트 혼합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0130A (zh) * 2017-02-15 2017-06-09 上海浦东路桥建设股份有限公司 适用于高架静碾铺装用的sma沥青混合料
KR20210129311A (ko) * 2020-04-17 2021-10-28 안진하이테크(주) 고내구성 칼라포장용 친환경 유색골재와,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내구성 칼라포장 공법
KR102266604B1 (ko) * 2020-07-21 2021-06-18 (주)이노로드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KR102245964B1 (ko) * 2020-11-16 2021-04-29 광덕아스콘 주식회사 입자 장단 비율의 선별적 배합을 통한 개질 아스팔트 포장 방법
KR102246443B1 (ko) * 2020-11-16 2021-04-30 광덕아스콘 주식회사 입자의 선별적 적층을 통한 흡음 레이어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054B1 (ko) 201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054B1 (ko)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CN204982583U (zh) 一种适用于高寒地区的耐久型路面结构
KR100715623B1 (ko)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과 그 제조방법
KR101033112B1 (ko) 배수성이 원활한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
Khalid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Spanish and British porous asphalts
Sandberg et al. The Poroelastic Road Surface: Results of an Experiment in Stockholm
Wilson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recommendations for thin overlays in Texas.
CN205443837U (zh) 一种多功能自融雪排水沥青路面结构
KR101032133B1 (ko)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CN206204722U (zh) 一种抑制路面结冰的橡胶沥青路面结构
Sandberg Why do clogged porous asphalt pavements give better traffic noise reduction than a dense-graded asphalt pavement?
CN211772518U (zh) 一种透水型的车行道路结构
Descornet Low-noise road surface techniques and materials
JP4069194B2 (ja) 防水機能を備え高機能舗装と同様の表面構造を有する舗装体
KR19980066436A (ko) 고강도 투수 콘크리트
Shuler¹ Design and Construction of Chip Seals for High Traffic
Vaitkus et al. Surface texture and layer permeability of aquaplaning resistant asphalt pavements
KR100268067B1 (ko) 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과 이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시공방법
CN110838345A (zh) 排水式沥青路面磨耗层的设计方法
KR102459390B1 (ko) 세립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세립배수성 박마찰층 포장
CN217556597U (zh) 一种降噪排水路面结构
CN212316590U (zh) 一种旧水泥混凝土路面加铺排水铺面结构
Braga et al. Introduction to permeable friction course (PFC) Asphalt
JP4904991B2 (ja) 弾性舗装材
Shackel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concrete blocks as a pavement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