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133B1 -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 Google Patents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133B1
KR101032133B1 KR1020100103650A KR20100103650A KR101032133B1 KR 101032133 B1 KR101032133 B1 KR 101032133B1 KR 1020100103650 A KR1020100103650 A KR 1020100103650A KR 20100103650 A KR20100103650 A KR 20100103650A KR 101032133 B1 KR101032133 B1 KR 101032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aggregate
hybrid
asphalt mixture
pa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기
Original Assignee
(주)일우피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우피피씨 filed Critical (주)일우피피씨
Priority to KR102010010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2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except those according to E01C7/26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된 입도 범위를 갖는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공극율이 3.0~8.0%, 골재간극율이 11~28%, 포화도가 50~85%, 평균 조면조직깊이가 0.5mm이상 ,마샬안정도(N) 6,000이상이고 동적안정도(회/mm)가 3,000 이상으로 저소음기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Hybrid Asphalt Mixture and Hybrid Pavement}
본 발명은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아스팔트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입도를 조정을 통하여 저소음기능을 가지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다기능성을 가지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아스팔트 포장체에 관한이다.
도로의 포장은 그 위를 지나가는 주체에 따라 포장재질이 틀려지는데 일반적으로 차량의 이동을 위한 도로에는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콘크리트가 포장되고 사람이 이동하는 도로에는 보도블럭이 주로 이용되며, 휴양지나 산길로에는 돌이나 자갈 등으로 포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량의 이동을 위한 도로에 많이 포장되는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체는 아스팔트와 사용용도에 따른 입도를 조절한 골재를 혼합하여 포장되는 것으로 아스팔트는 석유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경질(輕質) 부분이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증발된 후 잔류하는 흑색 또는 흑갈색의 반고체 상태의 교상물질(膠狀物質)을 칭하는 것으로, 가열하게 되면 서서히 액상으로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아스팔트는 점착성이 뛰어나고 광물질 재료와의 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결합재료나 접착재료로 골재와 골재를 접작시키고, 물에 용해되지 않고 불투수성이므로 방수성이 우수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시공성 역시 우수하다.
최근에는 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저소음 배수성 포장이 개발되어 고속도로나 시가지 간선도로에서는 표준적인 공법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종래의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체는 배수기능 및 저소음기능의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인 내부공극 세정 등의 유지관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표면공극 및 내부공극율이 높아 골재비산의 우려가 있고, 교통하중에 의해 소성변형이 형성되기 쉽고, 물고임 현상이 생성될 수 있으며,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을 기존 도로 표면에 적층(Over Lay)한 경우에 있어서 골재를 결합시키고 있는 아스팔트가 자동차의 교통하중을 반복적으로 받고, 자동차의 타이어, 스파이크 타이어 또는 체인을 장착한 타이어의 마찰력에 의해 많은 양의 골재가 이탈되거나 파괴, 마모되어 지속적인 보수공사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유동성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SMA(Stone Mastic Asphalt) 포장은 아스팔트 포장의 내유동성, 내구성 향상을 증진하고자 아스팔트 결합재 보다는 골재의 입도 특성을 최적 맞물림 상태로 하는 것으로, 일반 아스팔트 포장 공법과 비교할 때 굵은 골재를 다량 사용하며, 골재와 골재 사이를 채울 수 있는 결합재로서 아스팔트, 부순모래, 충진재(Filler)와 셀룰로오스 섬유가 사용되며, 이들 결합재(매스틱)는 골재와 골재들을 결합시켜 주는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공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SMA(Stone Mastic Asphalt) 포장은 KS F 2575(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에 따라 선별된 2등급 골재(편장석 함유율이 20% 이하) 이상의 굵은골재를 70% 이상 사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골재 수급이 어렵고, 또한, 굵은 골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아스팔트의 함량도 또한 매우 높아 생산 및 운반 시에 아스팔트가 흘러내려 조기 파손의 위험성이 있어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섬유 및 기타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으나 셀룰로오스 섬유는 적당한 300mm 이상의 건조 저장소가 준비되어야 하고, 별도의 주입장치 또는 주입구를 마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유동성 아스팔트콘크리트는 2.5mm이하의 비율이 높아 소성변형에 취약하고, 배수성 아스팔트콘크리트은 2.5mm이하 특히, 0.15mm의 비율이 낮아 골재이탈저항성에 취약하며, SMA 포장은 목표공극율 2.0~4.0을 만족하기 위하여 0.6mm 이하 잔골재의 함유량이 높고 셀룰로우스 섬유를 첨가하여야만 하므로 내유동성, 내구성, 방수성은 만족할 수 있으나 소음저감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골재의 입도를 조절하여 표면은 배수성포장의 표면 공극율을 유지하여 저소음기능을 가지며, 포장체 내부는 셀룰로우스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도 SMA 포장과 동등한 수밀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서 배수성포장체와 동등한 미끄럼저항성, 내유동성, 저소음성 및 SMA와 동등한 내마모성, 내방수성, 소성변형저항성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운반이나 시공 중에 아스팔트 흐름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향상된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우천시 미끄럼저항성이 향상되고 야간 또는 우천시 시인성 향상된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표에 나타난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의 입도 범위의 골재 100중량부에 아스팔트 5.0~7.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공극율이 3.0~8.0%, 골재간극율이 11~28%, 포화도가 50~85%, 평균 조면조직깊이가 0.5mm이상 ,마샬안정도(N) 6,000이상이고 동적안정도(회/mm)가 3,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1014662195-pat00008

또한, 상기 아스팔트는 공용성등급(PG등급) 46-22, 52-22, 58-22, 64-22, 70-22, 76-22, 82-22 중 어느 하나인 개질아스팔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에 시안성 확보를 의해 무기질 안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형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에 중온 첨가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골재는 재생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형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포장체의 두께는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불법적으로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된 하이브리드 포장체의 이론적인 개념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된 하이브리드 포장체의 일실시예의 단면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된 하이브리드 포장체의 일실시예의 표면 사진이다.
본 발명은 배수성 포장의 표면공극율 유지하여 저소음기능을 가지며, 내부는 SMA 포장과 동등한 수밀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골재와 아스팔트로 제조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체는 종래의 포장체와 다른 입도의 골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골재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골재 입도 범위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13mm~2.5mm의 굵은골재가 포장체의 주골격을 형성하고 그 공극에 잔골재와 아스팔트 모르타르(아스팔트+미분말)가 충진되는 구조이다.
Figure 112011014662195-pat00009
즉, A의 골재입도는 20mm체에서 100% 통과, 13mm체에서 95~100% 통과, 10mm체에서 58~85% 통과, 5mm체에서 27~40% 통과, 2.5mm체에서 18~32% 통과, 0.6mm체에서 14~25% 통과, 0.3mm체에서 12~21% 통과 0.15mm체에서 9~14% 통과 0.08mm체에서 8~12%통과하는 입도 범위의 골재이며, B의 골재입도는 13mm체에서 100% 통과, 10mm체에서 92~100% 통과, 5mm체에서 27~42% 통과, 2.5mm체에서 17~32% 통과, 0.6mm체에서 13~22% 통과, 0.3mm체에서 12~18% 통과 0.15mm체에서 10~14% 통과 0.08mm체에서 9~12%통과하는 입도 범위의 골재이고, C의 골재입도는 10mm체에서 100% 통과, 5mm체에서 27~42% 통과, 2.5mm체에서 17~32% 통과, 0.6mm체에서 13~22% 통과, 0.3mm체에서 12~18% 통과 0.15mm체에서 10~14% 통과 0.08mm체에서 8~12%통과하는 입도 범위의 골재이며, D의 골재입도는 10mm체에서 100% 통과, 5mm체에서 90~100% 통과, 2.5mm체에서 27~65% 통과, 0.6mm체에서 13~21% 통과, 0.3mm체에서 13~20% 통과 0.15mm체에서 12~16% 통과 0.08mm체에서 10~13%통과하는 입도 범위의 골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은 상기의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의 입도 범위를 갖는 골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상기의 골재 입도를 살펴보면 큰 치수의 골재 보다는 13mm이하, 5mm이상의 중간 치수의 골재와 0.6mm이하의 작은 치수를 사용하면서 2.5mm체이하, 0.6mm이상의 골재를 사용하여 골재와 골재간의 맞물림 효과를 높게한다.
상기 표 1의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의 A 내지 D의 중 어느 하나의 입도 범위의 골재 100중량부에 아스팔트 5.0~7.5중량부를 혼합하여 공극율 3.0~8.0%, 포화도 50~85%이하, 골재간극율 12~28%, 평균 조면조직깊이 0.5mm이상인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극율, 포화도, 골재간극율, 평균조면조직깊이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다기능성이 기능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수밀성이 떨어져 안정도와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은 공극율 3.0~8.0%, 포화도가 50~85%이하, 골재간극율 11~28%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평균 조면조직깊이가 0.5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저소음성 기능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조면조직깊이가 0.5mm이상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안정도는 6,0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의 마샬안정도가 6,000미만인 경우에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적안정도(회/mm)는 3,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적안정도가 3,000회 미만인 경우에는 포장체의 소성변형 저항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골재는 아스팔트와 혼합되어 다짐공정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층 100과 내부층 200을 가지는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입도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의 표면층 100은 일정 깊이를 가진 배수성포장의 표면공극을 유지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 내부의 내부층 200은 수밀성 및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성포장의 표면공극을 유지하는 본 발명의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은 저소음 기능을 가지게 되고, 내부의 SMA(Stone Mastic Asphalt) 포장과 같은 내구성과 안정도 및 수밀성이 우수하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KS F 2389 공용성등급(PG등급)에 의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PG등급 46-22, 52-22, 58-22, 64-22, 70-22, 76-22, 82-22 중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 하다.
또한, 상기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에 시안성 확보를 의해 무기질 안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무기질 안료는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산화철적(Iron oxide red) 또는 산화철황(Iron oxide yellow), 산화크롬(Chromium oxide), 산화아연 (Zinc oxide)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안료의 첨가량은 아스팔트 중량의 1~3중량%를 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아스팔트콘크리트 제조시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중온 첨가제를 첨가하여 중온 아스팔트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골재는 자연자갈, 깬자갈, 쇄석, 모래, 슬래그골재, 석분 그리고 폐아스팔트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재생골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생골재는 자원 재활용이라는 대세적인 추세로 최근에 많은 방법이 개발되어 현재 골재의 상당량이 폐콘크리트 또는 폐아스팔트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재생골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재생골재는 폐아스팔트콘크리트를 입도에 맞게 분쇄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재생골재를 사용할 경우 재생골재의 사용량은 전체 골재 중량에 10~4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기능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포설 및 다짐하여 다기능 하이브리드 포장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포장체의 두께는 골재 간의 맞물림 효과는 소성변형 방지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어 포장체의 두께를 적어도 2cm까지 줄일 수 있으며, 10를 초과하면 두께에 따른 상승효과가 저감되므로 포장체의 두께는 2~1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체는 포장체 표면이 배수성포장과 동등한 표면 공극율을 유지하여 저소음기능을 가지며, 포장체 내부는 셀룰로우스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도 SMA 포장과 동등한 수밀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체를 제공하여 배수성포장체와 동등한 미끄럼저항성, 내유동성, 저소음성 및 SMA와 동등한 내마모성, 내방수성, 소성변형저항성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운반이나 시공 중에 아스팔트 흐름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천시 미끄럼저항성이 향상되고 야간 또는 우천시 시인성 향상되어 안전사고 감소 및 운전조작성 향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된 하이브리드 포장체의 이론적인 개념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된 하이브리드 포장체의 일실시예의 단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된 하이브리드 포장체의 일실시예의 표면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하이브리드 포장체를 포장하는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PG 76-22의 아스팔트 175℃, 골재가열온도 190℃, 혼합온도 185℃, 혼합시간 45초, 배출온도 170℃의 조건으로 생산하여 아스팔트 휘니셔로 포설(포설두께 5cm, 포설온도 145)한 다음 1차다짐(메케덤롤러, 다짐온도 140) 4회, 2차다짐(단뎀롤러, 다짐온도 120) 4회, 3차다짐(타이어롤러, 다짐온도 100) 3회의 방법으로 포설 및 다짐을 규격별로 실시하였다.
상기 골재는 표 2의 입도 범위의 골재를 사용하였다.
구분 체 통과 중량백분율(%)
20mm 13mm 10mm 5mm 2.5mm 0.6mm 0.3mm 0.15mm 0.08mm
실시 1 100 94.3 69.8 32.4 26.8 18.6 17.4 10.9 10.6
실시 2 100 98.4 33.7 22.4 16.8 14.3 11.5 10.4
실시 3 100 38.4 28.7 21.3 18.7 12.8 11.2
실시 4 100 97.3 38.4 18.4 15.7 13.2 10.7
비교예 1내지 5
실시예와 동일한 하게 실시하였으나 표 3의 입도 범위의 골재를 사용하였다.
구분
체 통과 중량백분율(%)
25mm 20mm 13mm 10mm 5mm 2.5mm 0.6mm 0.3mm 0.15mm 0.08mm
비교 1-1 100 100 81.3 65.7 43.5 33.7 25.4 17.4 11.9 8.7
비교 1-2 100 97 52.7 39.8 26.5 17.4 13.1 12.7 9.2 7.4
비교 2-1 100 100 85.4 47.3 34.5 26.4 21.7 14.3 12.1
비교 2-2 100 96.2 56.8 26.4 17.9 13.7 12.3 9.7 8.8
비교 3-1 - 100 100 44.7 36.4 25.7 19.1 15.2 10.4
비교 3-2 - 100 94.2 25.7 16.3 12.7 12.5 10.7 9.6
비교 4-1 - - 100 52.4 33.6 22.9 18.7 14.8 11.2
비교 4-2 - - 100 26.9 16.5 12.7 11.7 10.9 9.7
비교 5-1 - - 100 97.1 67.2 24.7 21.4 16.2 13.7
비교 5-2 - - 100 91.6 26.4 13.2 11.7 10.6 9.5
실시예와 비교예의 평가측정
● 평가방법
* 드레인다운시험 : 아스팔트 혼합물로부터 잔골재 중에 함유된 미립분이 포함된 아스팔트가 흘러내리는 양이 적합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
1) 1kg정도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160~165에서 혼합한 직후 유리비커(용적 100ml, 직경 100mm, 높이 130mm 이상)에 붓고 무게를 측정한다.
2)무게를 측정한 후 유리나 얇은 뚜껑을 덮고 170 오븐에 1시간분 동안 넣어둔다.
3)1시간 후 오븐에서 비커를 꺼낸 뒤 흔들림이나 진동이 가해지지 않게 하고 유리비커 내의 혼합물을 비운다. 다시 혼합물의 중량(g)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측정한 후 손실된 무게에 대한 비율(%)을 산정한다. 이때의 비율(%)이 드레인 다운 시험값이다.
* 공극율(Voids in Total Mix)
다져진 시료 내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의 체적으로 혼합물의 전체 체적에 대한 백분율로서 표시한다.
VTM = VV/VT * 100 = 100(1-Gmb/Gmm)
여기서, VV : 공극의 체적, VT : 다져진 공시체의 전체 체적
* 골재 간극율(Voids in the Mineral Aggregate)
다져진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내의 아스팔트와 공기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골재 간극율이라 부르며 VMA로 표시한다.
VMA = (VV+VEAC) / VT * 100
여기서, VEAC : 유효아스팔트의 체적, VV : 공극의 체적, VT : 다져진 공시체의 전체 체적
* 포화도(Voids Filled with Asphalt)
아스팔트로 채워진 공극을 포화도라 부르며 VFA로 표시한다.
VFA = 100(1 - Va / VMA)
여기서, Va : 공기의 체적
* 평균 조면조직 깊이(Mean Texture Depth : ASTM E 965, 1987)
노면 조면조직(macro texture)의 평균깊이를 측정하여 표면공극율을 얻기 위한 것이며 MTD로 표시한 것으로 아래의 그림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MTD = 4V / pD2
여기서, V : 모래의 체적(㎣) D : 넓힌 모래원의 평균 직경(mm)
Figure 112010068538285-pat00003
● 평가 결과
상기와 같이 특정된
구분 AP량 실측밀도 이론밀도 내부 골재 포화도 마샬
안정도
동적
안정도
MTD
공극율 간극율
실시1 5.6 2.328 2.477 6.02 18.6 66.7 9,050 3,850 1.4
실시2 5.8 2.324 2.469 5.87 18.88 68.9 8,435 3,793 1.35
실시3 6.1 2.343 2.482 5.6 19.4 71.1 8,968 3,654 1.01
실시4 6.5 2.345 2.479 5.41 20.12 73.1 9,215 3,574 0.92
상기 표 4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은 모두 평균 조면조직 깊이(MTD)가 0.5mm이상으로 저소음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마샬안정도는 8000이상, 동적안정도는 3000이상으로 SMA 포장과 동등한 수밀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AP량 실측밀도 이론밀도 내부
공극율
골재간극율 포화도 마샬안정도 동적안정도 MTD 평가
비교1-1 5.4 2.389 2.476 3.51 15.97 77.99 6,798 1,487 0.42 불합격
비교1-2 5.4 2.178 2.446 10.96 22.31 50.89 9,765 697 2.96 불합격
비교2-1 5.6 2.394 2.467 2.96 15.90 81.39 7,210 1,942 0.52 불합격
비교2-2 5.6 2.219 2.463 9.91 21.90 54.77 9,376 604 3.09 불합격
비교3-1 5.8 2.384 2.469 3.44 16.79 79.49 7,765 1,247 0.49 불합격
비교3-2 5.8 2.268 2.471 8.22 20.91 60.72 6,679 597 3.02 불합격
비교4-1 6.1 2.392 2.482 3.63 17.71 79.53 9,697 1,469 0.47 불합격
비교4-2 6.1 2.297 2.491 7.79 21.31 63.46 9,361 741 1.01 불합격
비교5-1 6.5 2.421 2.479 2.34 17.53 86.65 10,124 1,341 0.64 불합격
비교5-2 6.5 2.367 2.481 4.59 19.45 76.37 11,673 842 0.83 불합격
상기 표 5에 나타난 비교예들은 동적안정도는 대부분 3000이하로 수밀성 및 내구성이 낮고 평균 조면조직 깊이(MTD)가 0.5mm미만으로 저소음성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은 골재 입도범위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실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골재 입도 범위에서만 저소음성과 수밀성, 내구성이 만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표면층 200 : 내부층

Claims (7)

  1. 하기 표 에 나타난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의 입도 범위의 골재 100중량부에 아스팔트 5.0~7.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공극율이 3.0~8.0%, 골재간극율이 11~28%, 포화도가 50~85%, 평균 조면조직깊이가 0.5mm이상 ,마샬안정도(N) 6,000이상이고 동적안정도(회/mm)가 3,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Figure 112011014662195-pat000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는 공용성등급(PG등급) 46-22, 52-22, 58-22, 64-22, 70-22, 76-22, 82-22 중 어느 하나인 개질아스팔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에 시안성 확보를 의해 무기질 안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형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에 중온 첨가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형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재생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형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하나의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두께는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KR1020100103650A 2010-10-22 2010-10-22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KR101032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650A KR101032133B1 (ko) 2010-10-22 2010-10-22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650A KR101032133B1 (ko) 2010-10-22 2010-10-22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133B1 true KR101032133B1 (ko) 2011-05-02

Family

ID=4436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650A KR101032133B1 (ko) 2010-10-22 2010-10-22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1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860A (ko) * 2011-07-04 2013-01-14 콜라스 소음방지 포장도로의 상부층용 아스팔트 배합 조성물
KR102148631B1 (ko) * 2020-04-03 2020-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성능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2150963B1 (ko) * 2019-03-13 2020-09-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노면소음 저감을 위한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그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체
KR20220025526A (ko) * 2020-08-24 2022-03-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골재 노출시기 선정을 통한 고기능성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76A (ko) * 1998-12-31 1999-03-25 김남봉 보도용 아스팔트의 혼합물
KR100823352B1 (ko) * 2008-01-25 2008-04-17 (주)무량기술 중온화 아스팔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저소음 배수 및보수성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유색화아스팔트 포장재 시공 방법
KR20080063739A (ko) * 2008-06-17 2008-07-07 황익현 중온의 폐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한 가열 신재 혼합식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76A (ko) * 1998-12-31 1999-03-25 김남봉 보도용 아스팔트의 혼합물
KR100823352B1 (ko) * 2008-01-25 2008-04-17 (주)무량기술 중온화 아스팔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저소음 배수 및보수성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유색화아스팔트 포장재 시공 방법
KR20080063739A (ko) * 2008-06-17 2008-07-07 황익현 중온의 폐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한 가열 신재 혼합식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시방서-2009*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860A (ko) * 2011-07-04 2013-01-14 콜라스 소음방지 포장도로의 상부층용 아스팔트 배합 조성물
KR101634151B1 (ko) 2011-07-04 2016-06-28 콜라스 소음방지 포장도로의 상부층용 아스팔트 배합 조성물
KR102150963B1 (ko) * 2019-03-13 2020-09-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노면소음 저감을 위한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그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체
KR102148631B1 (ko) * 2020-04-03 2020-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성능 아스팔트 콘크리트
KR20220025526A (ko) * 2020-08-24 2022-03-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골재 노출시기 선정을 통한 고기능성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KR102454881B1 (ko) * 2020-08-24 2022-10-1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골재 노출시기 선정을 통한 고기능성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8747C (zh) 高等级公路双层微表处功能层及其施工方法
KR100872896B1 (ko) 친환경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CN108129073A (zh) 一种冷拌冷铺沥青混合料及冷拌冷铺沥青混合料磨耗层
CA2771209C (en) Crack resistant coating and method of applying crack resistant coating
KR101032133B1 (ko)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Chen et al.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 of porous asphalt concrete
Kandhal et al. Critical review of voids in mineral aggregate requirements in Superpave
WO2005124026A1 (ja) 舗装道路
CN203229873U (zh) 一种用于桥面铺装层的低噪声沥青路面结构
KR100887295B1 (ko) 컬러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1879546B1 (ko) 반강성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시공방법
KR101541045B1 (ko) 보강층을 이용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KR100432485B1 (ko) 배수성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KR102170361B1 (ko) 고탄소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213448074U (zh) 一种适用于钢桥面排水铺装的复合结构
JP3184497U (ja) ウィスカー鉱物配合アスファルト混合物舗装構造
KR100679928B1 (ko) 칼라 아스콘 및 그 제조방법
KR101041549B1 (ko) 대기온도 절감효과를 갖는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강성 도로 포장 및 보수 공법
KR100850224B1 (ko)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KR100432048B1 (ko) 아스팔트 도로 포장용 개질 역청 혼합물
WO1984002709A1 (en) Diatomite-modified pavement
CH716475B1 (it) Conglomerato per la realizzazione di manti stradali, metodo di produzione di un tale conglomerato e compound.
Xing et al. Research on influence of aggregate gradation on the performance of porous asphalt pavement
KR102459390B1 (ko) 세립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세립배수성 박마찰층 포장
CN216688873U (zh) 一种高密度嵌锁式新型沥青路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