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224B1 -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224B1
KR100850224B1 KR20070069555A KR20070069555A KR100850224B1 KR 100850224 B1 KR100850224 B1 KR 100850224B1 KR 20070069555 A KR20070069555 A KR 20070069555A KR 20070069555 A KR20070069555 A KR 20070069555A KR 100850224 B1 KR100850224 B1 KR 10085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sphalt pavement
aggregate
sieve
drainage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6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득현
전준영
전순제
조신행
최정석
Original Assignee
유진기업 주식회사
남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기업 주식회사, 남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6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04B22/064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of the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를 위하여 17%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고점도 아스팔트; 셀룰로우스 파이버(cellulous fiber); 열가소성 고무; 소석회; 최대치수 5mm 이상의 굵은 골재가 75~90% 포함된 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적은 두께로 포설하더라도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
아스팔트, 포장, 체움재

Description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COMPOSITE FOR POROUS ASPHALT PAVEMENT}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종래에 비해 더욱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혼합물이 17% 이상의 공극을 확보하고 있어서, 포장면에 빗물이 떨어질 경우 신속히 하부층(기층)으로 흘러 내려가 노면의 물보라가 발생하지 않아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좋고, 노면 상의 빗물로 인해 발생하는 미끄럼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둘째, 직경 5mm 이상의 굵은 골재가 약 70~90% 정도 포함되기 때문에 차량 바퀴와의 노면 저항성이 우수하여, 차량 제동거리가 짧아지므로 교통사고 예방에 도움이 된다.
셋째, 굵은 골재 상호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고점도의 아스팔트를 사용 하는데, 이러한 고점도 아스팔트의 제조에는 일반적으로 고무계열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가 첨가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은 기본적으로 다공극 구조로서 그 강도 및 내구성이 취약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5c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포설하여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는바, 그 물성을 향상시켜 포설 두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적은 두께로 포설하더라도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수를 위하여 17%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고점도 아스팔트; 셀룰로우스 파이버(cellulous fiber); 열가소성 고무; 소석회; 최대치수 5mm 이상의 굵은 골재가 75~90% 포함된 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고점도 아스팔트는 4~8%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C6H10O5)n에 의한 중합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0.2~0.6%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폴리머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골재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저온 균열 방지용 아스팔트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골재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 균열 방지용 아스팔트는 아스팔텐(asphaltene)과 파라핀(paraffinic)의 함량이 조절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0.2~0.8%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의 용융온도는 170~1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석회(Ca(OH)2)는 3~7%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석회(Ca(OH)2)는 CaCO3의 소성에 의해 생성된 CaO가 H2O와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래그 시멘트가 더 첨가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래그 시멘트는 분말도가 1500~4000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13mm 체의 통과율이 6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10mm 체의 통과율이 2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5mm 체의 통과율이 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2.5mm 체의 통과율이 2.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0.08mm 체의 통과율이 1~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13mm 체의 통과율이 60~100%이고, 10mm 체의 통과율이 20~70%이고, 5mm 체의 통과율이 5~35%이고, 2.5mm 체의 통과율이 2.5~20%이고, 0.08mm 체의 통과율이 1~8%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모두 중량을 기준으로 한 백분율(중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배수를 위하여 17%(체적)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점도 아스팔트; 셀룰로우스 파이버(cellulous fiber); 열가소성 고무; 소석회; 최대치수 5mm 이상의 굵은 골재가 75~90% 포함된 골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점도 아스팔트란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에서 굵은 골재 상호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아스팔트로서, 고무계열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가 첨가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SBS(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계열의 고분자 고무 개질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SBS 재료는 탄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외부의 충격하중을 대부분 분산시키고 소량의 충격만을 흡수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실험결과, 이러한 고점도 아스팔트는 4~8%가 포함되는 경우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서울시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 시방서 기준(2006)에 따르면, 다음 표 1과 같은 물성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Figure 112007050483001-pat00001
셀룰로우스 파이버(cellulous fiber)는 인장력 증진과 저온 균열 저항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섬유 재질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우스 파이버(cellulous fiber)는 섬유소(纖維素)라고도 일컬어지며, D-글루코오스 β-|0|4 결합으로 다수 중합되어 곧은 사슬 구조를 이루고 있고, 화학식은 (C6H10O5)n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폴리머(polymer)와 혼합된 상태에서 골재에 코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셀룰로우스 파이버와 폴리머로 구성된 섬유가 아스팔트와 혼합된 상태로 골재에 코팅되면, 인접한 골재와의 인장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며, 차량하중에 의해 포장체에 발생하는 인장 에너지를 흡수하여 도로포장의 균열을 방지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실험결과, 이러한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0.2~0.6%가 포함되는 경우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위 폴리머에 더하여 저온 균열 방지용 아스팔트와 혼합된 상태에서 골재에 코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셀룰로우스 파이버에 분산되는 저온 균열 방지용 아스팔트는, 아스팔트를 구성하는 성분의 비율을 조정하여 만든 첨가재로서, 점성을 형성하는 아스팔텐(Asphaltene)과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Oil의 파라핀(paraffinic)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아스팔텐(Asphaltene)은 함량을 조절하는 경우, 점성의 약화에 의해 아스팔트가 저온에서 취성 파괴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Oil의 파라핀(paraffinic)의 함량을 조절하는 경우, 유동성의 증진에 의해 저온에서 아스팔트가 급속히 취성의 성질을 발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룰로우스 파이버에 분산된 저온 균열 방지용 아스팔트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고점도 아스팔트와 용융되어, 고온 및 상온에서 고점도 성질을 유지하면서도, 저온의 취성인자를 제어하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계절변동이 뚜렷한 기후조건은 포장체에 고온과 저온의 반복적인 온도편차를 통해 균열을 유발하는데, 저온 균열 방지용 아스팔트가 첨가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우, 특히 저온에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 위 열가소성 고무로는 천연 또는 합성고무, 가본 블랙 등의 물질에 의해 구성된 타이어 고무가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고무의 용융온도는 170~19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온도범위는 아스팔트의 제조 및 타설시 아스팔트가 갖는 온도와 유사하므로, 위 과정에서 혼합된 열가소성 고무가 아스팔트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분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고무는 응집해 있는 섬유의 분산을 돕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에 골고루 분산된 섬유는 혼합물의 인장력이 한 곳에 집중하지 않고 전 포장체에 균등하게 작용하도록 하므로, 포장체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하게 된다.
실험결과, 이러한 열가소성 고무는 0.2~0.8%가 포함된 경우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소석회(수산화 칼슘 : Ca(OH)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체움재로서 사용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포장 조성물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발휘하는데, 그 메커니즘은 아래와 같다.
소석회는 Ca(OH)2 의 화학구조를 갖는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혼합되는 소석회는 CaCO3의 소성에 의해 생성된 CaO가 H2O와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소석회는 산화칼슘에 물이 매우 극소량 혼합된 상태를 취하는데, 이러한 극소량의 물은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물과 산화칼슘과의 수화 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화반응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로포장 구조물에 분산된 소석회의 강도 증진을 야기하므로, 궁극적으로 포장체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소석회는 체움재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고점도 아스팔트에 골고루 분산되는 것이므로, 소석회와 물의 수화반응은 위 강도의 증진과 더불어 고점도 아스팔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실험결과, 이러한 소석회(Ca(OH)2)는 3~7%가 포함된 경우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체움재로서 슬래그 시멘트(슬래그와 시멘트가 혼합된 재료)가 더 첨가되는 경우, 더욱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과 같은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공극을 통해 물의 침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스팔트 포장체에 침투하는 물은 골재와 아스팔트의 부착강도를 약화시켜서 혼합물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를 갖는데, 위 체움재는 이와 같은 포장체와 물과의 접촉에도 불구하고 포장체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포장체에 슬래그 시멘트가 체움재로 첨가되는 경우, 슬래그 시멘트의 C3S, C2S, C3A, C4AF 성분과 슬래그 포졸란 물질이 상호 반응하여 치밀한 C-S-H층을 형성함으로써 포장체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배수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이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아스팔트와 골재의 접착력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종래에 비해 적은 두께로 포설하더라도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데, 본 실시예는 포장체의 탄성계수를 증가시켜 장기강도를 증진시킴으로써, 위 목적을 더욱 확실히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혼합과정 중 아스팔트에 분산된 슬래그 시멘트는 도로 포장체에 스며든 빗물(수분)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칼슘실리케이트(C-S-H gel)와 칼슘알루미네이트(C-A-H gel) 수화물을 생성함으로써, 혼합물의 공극을 치밀하게 체우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서서히 장기강도가 증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강도증진 효과는 포장체의 탄성계수를 증가시키므로, 궁극적으로 장기강도를 증진함에 따라, 얇은 두께로 포설되더라도 충분히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실험결과, 이러한 슬래그 시멘트는 분말도가 1500~4000cm2/g인 경우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성 도로포장 조성물에 포함되는 골재의 입도 분포는, 포장체의 두께, 강도, 내구성, 배수효과, 소음감소효과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직경이 작은 골재가 많이 포함되는 경우, 공극이 감소하는 반면 내구성이 강화되는 특징을 나타내고, 반대로 직경이 큰 골재가 많이 포함되는 경우, 공극이 많아져 배수효과 및 소음감소효과가 우수해지는 반면 강도와 내구성 측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첨가재, 체움재의 기능으로 인하여, 강도, 내구성 등의 물성이 종래에 비해 탁월하게 우수하므로, 비교적 직경이 큰 골재가 많이 포함되도록 하더라도, 강도, 내구성의 문제없이, 공극이 많아짐에 따라 우수한 배수효과 및 소음감소효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서 골재의 입도 분포는 기본적으로, 20mm 체의 통과율이 100%인 것이 좋으며, 10mm 체의 통과율이 20%를 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3mm 체의 통과율이 60~100%이고, 10mm 체의 통과율이 20~70%이며, 5mm 체의 통과율이 5~35%이고, 2.5mm 체의 통과율이 2.5~20%이며, 0.08mm 체의 통과율이 1~8%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포장체의 성능에 관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Figure 112007050483001-pat00002
Figure 112007050483001-pat00003
배수성 포장의 특징 중 하나는 높은 공극률을 갖는다는 것이다.
높은 공극률은 포장층으로 침투된 빗물을 신속히 배수시키는 기능과 차량바퀴에서 발생하는 타이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위에 제시한 표 2,3은 현재 일반적으로 포설되고 있는 종래의 배수성 도로포장 조성물과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성 도로포장 조성물의 공극률 및 연속 공극률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공극률은 양자 모두 약 20%로 동일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연속 공극률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우가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연속 공극률이란 혼합물 내부에서 공극과 공극이 상호 연결된 정도를 의미하므로, 동일한 공극률을 갖더라도 연속 공극률이 큰 경우 더욱 우수한 투수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Figure 112007050483001-pat00004
Figure 112007050483001-pat00005
표 4,5는 두 포장의 소음측정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소음이란 차량 타이어(특히, Tread 부분)가 노면과 접합, 파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운전자와 도로 이용자에게 심리적 불쾌감을 야기하며, 특히 주거지역에 인접한 도로의 소음은 주민의 기본 생활권에 심각한 불편을 초래한다.
소음의 측정 단위는 데시벨(dB)이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따른 포장체가 종래의 그것에 비해 약 13dB 저감된 소음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위 연속 공극률의 차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연속 공극률이 큰 포장체의 경우, 포장체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공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 바퀴의 Tread부분에서 발생하는 파열음이 연속공극을 따라 포장면 하부에 도달하여 흡수되는바, 전체적으로 파장의 Noise가 감소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게 된다.
종래와 연속 공극률이 작은 포장체의 경우, 연속공극이 작아서 공극으로 흡수된 소음이 일부의 연속공극과 대부분의 불연속 공극으로 흡수된다.
이때, 불연속 공극으로 흡수된 소음은 하면으로 흡수되지 않으므로, 소음이 공극의 막힌 부분에서 반사되어 노면의 공기 중으로 다시 분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따른 포장체는 종래에 비해, 연속 공극률이 우수함에 따라 소음저감효과도 우수하다는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Figure 112007050483001-pat00006
Figure 112007050483001-pat00007
위 표 6,7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과 종래의 그것의 칸타브로 손실률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아스팔트와 골재의 부착력 및 마모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L.A 마모시험기라고 하는 자체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의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제작된 공시체는 강철로 제작된 LA 마모시험기에서 300회 회전을 가하게 되는데, 공시체는 회전 중 강철면과의 충격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공시체의 아스팔트와 골재는 그 접착이 약화되어 상호 떨어지게 된다.
특히, 배수성 포장은 조골재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골재이탈에 더욱 불리한 조건을 갖는 것이다.
실험결과,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우가 종래의 그것에 비해 약 1.6배 강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첨가재 및 체움재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개질된 결과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적은 두께로 포설하더라도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19)

  1. 배수를 위하여 17%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고점도 아스팔트;
    셀룰로우스 파이버(cellulous fiber);
    용융온도가 170~190℃인 열가소성 고무;
    소석회;
    최대치수 5mm 이상의 굵은 골재가 75~90% 포함된 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아스팔트는 4~8%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C6H10O5)n에 의한 중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0.2~0.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폴리머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골재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저온 균열 방지용 아스팔트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골재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균열 방지용 아스팔트는
    아스팔텐(asphaltene)과 파라핀(paraffinic)의 함량이 조절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0.2~0.8%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석회(Ca(OH)2)는 3~7%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석회(Ca(OH)2)는
    CaCO3의 소성에 의해 생성된 CaO가 H2O와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슬래그 시멘트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시멘트는 분말도가 1500~4000c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13mm 체의 통과율이 6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10mm 체의 통과율이 2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5mm 체의 통과율이 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2.5mm 체의 통과율이 2.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0.08mm 체의 통과율이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13mm 체의 통과율이 60~100%이고, 10mm 체의 통과율이 20~70%이고, 5mm 체의 통과율이 5~35%이고, 2.5mm 체의 통과율이 2.5~20%이고, 0.08mm 체의 통과율이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KR20070069555A 2007-07-11 2007-07-11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KR10085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9555A KR100850224B1 (ko) 2007-07-11 2007-07-11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9555A KR100850224B1 (ko) 2007-07-11 2007-07-11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224B1 true KR100850224B1 (ko) 2008-08-04

Family

ID=3988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69555A KR100850224B1 (ko) 2007-07-11 2007-07-11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96B1 (ko) * 2008-09-23 2008-12-10 진산아스콘(주) 친환경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1033112B1 (ko) 2011-02-08 2011-05-11 (주)한동알앤씨 배수성이 원활한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92A (ko) * 1998-01-16 1998-04-30 김현준 아스팔트 혼합용액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KR20040006437A (ko) * 2002-07-12 2004-01-24 인성산업 주식회사 박층 포장용 아스팔트 혼합물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표층의 박층 포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92A (ko) * 1998-01-16 1998-04-30 김현준 아스팔트 혼합용액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KR20040006437A (ko) * 2002-07-12 2004-01-24 인성산업 주식회사 박층 포장용 아스팔트 혼합물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표층의 박층 포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96B1 (ko) * 2008-09-23 2008-12-10 진산아스콘(주) 친환경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1033112B1 (ko) 2011-02-08 2011-05-11 (주)한동알앤씨 배수성이 원활한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927B1 (ko) 고등급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18489B1 (ko) 보수성 기층을 갖는 배수성·저소음 합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Zhang et al. State-of-the-art of porous asphalt pavement: Experience and considerations of mixture design
KR100880908B1 (ko)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 포장공법
KR102100413B1 (ko)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CN1209315C (zh) 钢渣玛碲脂碎石沥青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0993030B1 (ko) 도로포장용 탄성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탄성재와 이를 사용하여 도로를 포장하는 방법
KR101954232B1 (ko)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포장식 다짐구스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61272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복층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46746B1 (ko) 아스팔트 개질제가 폐타이어칩이나 고무칩과 혼합된 저소음 복층 포장 조성물, 저소음 복층 포장공법
CN109650781B (zh) 一种中低温温拌高摩阻薄层罩面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KR102146982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결빙방지용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0708B1 (ko) 내유동 및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를 위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및 그 아스팔트 혼합물
CN113322743A (zh) 环氧改性水泥路面抗滑磨耗层及其施工方法
KR101033112B1 (ko) 배수성이 원활한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
KR100715623B1 (ko)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50224B1 (ko) 배수성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조성물
KR100847375B1 (ko) 초미립 시멘트를 이용한 흡수성 폴리머 개질 속경성 폴리머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DK1849916T3 (en) Composition for the upper layers of road surfaces with noise-canceling properties
CN111705583B (zh) 一种水泥混凝土复合路面结构的适用性判定方法
KR102119742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복층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54243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3164B1 (ko) 고 내구성을 지닌 투수아스팔트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32133B1 (ko)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아스팔트 혼합물 및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포장체
KR101124584B1 (ko) 배수성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