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604B1 -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 Google Patents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604B1
KR102266604B1 KR1020200090204A KR20200090204A KR102266604B1 KR 102266604 B1 KR102266604 B1 KR 102266604B1 KR 1020200090204 A KR1020200090204 A KR 1020200090204A KR 20200090204 A KR20200090204 A KR 20200090204A KR 102266604 B1 KR102266604 B1 KR 10226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weight
parts
asphalt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창권
Original Assignee
(주)이노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로드 filed Critical (주)이노로드
Priority to KR102020009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12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erforated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04B20/0096Fillers with bimodal grain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에 사용되는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최대입도치수 13mm인 일반골재 93.3~94.3 중량부와, 아스팔트 5.6~6.2 중량부와, 식물성 섬유첨가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골재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65~80 중량부와,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 10~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골재의 배합비율을 조절하여 골재 간의 인터록킹이 최대화되도록 함에 따라 차륜 하중에 대한 소성변형 저항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일반골재의 배합비율을 조절하여 아스팔트의 유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아스팔트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균열 저항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아울러, 일반골재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며,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포장의 적용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이를 통해 쉽게 아스팔트 포장이 가능하므로 아스팔트 포장의 공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High Performance Asphalt Mixture}
본 발명은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일반골재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골재 간의 인터록킹이 최대화되도록 하면서 아스팔트의 유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은 공용 초기에 차륜 하중에 의한 혼합물 유동에 의해 패임현상(rutting)이 발생되기 쉬우며, 공용 후기에는 균열이 발생되어 그 수명을 다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패임현상은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차륜 하중에 의해 아스팔트 층 뿐만 아니라, 각 포장층에 영구 변형이 축적되어 노면 상에 움푹 패인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강우 시 이러한 홈에 고인 물은 주행차량에 의한 물보라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수막현상(Hydro planing) 또는 노면 결빙으로 인한 의한 미끄럼 저항 저하를 유발하여 원활한 차량 주행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아스팔트 포장방법의 일례를 살펴보면, 먼저 양질의 흙 또는 원토 기층으로 구성되는 두께 1m 전후의 노상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돌, 자갈, 모래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약 50cm 두께의 보조기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조기층 상부에 골재최대입도치수 25mm 인 일반골재와 아스팔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20cm 정도의 기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골재최대입도치수 20mm인 일반골재와 아스팔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5~8cm 정도 두께의 중간층을 형성한 다음, 최종적으로 그 위에 골재최대입도치수 13mm 인 일반골재와 아스팔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5~10cm 정도 두께의 표층을 형성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아스팔트 포장은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이 밀입도를 형성하도록 일반골재의 혼합비율이 조정됨에 따라 굵은골재 간의 간극 사이에 잔골재들이 과다하게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잔골재들이 볼 베어링 역할을 하여 굵은골재 간의 인터록킹을 약화시키므로 소성변형에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골재의 밀입도로 인해 골재 간의 간극이 최소화됨에 따라 혼합되는 아스팔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균열 발생에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stone mastic asphalt : SMA) 혼합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은 아스팔트 표층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골재를 인위적으로 가공하여 골재 간의 인터록킹이 이상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고 균열 발생의 지연을 유도하기 위해 아스팔트 함량을 증가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은 골재를 인위적으로 가공해야 하므로 골재 단가가 높고, 이러한 골재를 생산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운송료를 지불하고 이를 운반해야 되므로 현장 적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064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일반골재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골재 간의 인터록킹이 최대화되도록 하면서 아스팔트의 유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있어서,골재최대입도치수 13mm인 일반골재 93.3~94.3 중량부와, 아스팔트 5.6~6.2 중량부와, 식물성 섬유첨가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골재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65~80 중량부와,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 10~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있어서, 골재최대입도치수 20mm인 일반골재 93.7~94.7 중량부와, 아스팔트 5.2~5.8 중량부와, 식물성 섬유첨가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골재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70~85 중량부와,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 4~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있어서, 골재최대입도치수 25mm인 일반골재 94.3~95.3 중량부와, 아스팔트 4.6~5.2 중량부와, 식물성 섬유첨가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골재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65~87 중량부와,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 5~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일반골재는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5~1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섬유첨가제는 셀룰로오스 화이바를 압축하여 낱알 형태로 제조된 팰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골재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골재 간의 인터록킹이 최대화되도록 함에 따라 차륜 하중에 대한 소성변형 저항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일반골재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아스팔트의 유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아스팔트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균열 저항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아울러, 일반골재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며,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포장의 적용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이를 통해 쉽게 아스팔트 포장이 가능하므로 아스팔트 포장의 공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은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골재최대입도치수 13mm인 일반골재 93.3~94.3 중량부와, 아스팔트 5.6~6.2 중량부와, 식물성 섬유첨가제 0.1~0.5중량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골재 간의 인터록킹을 최대화하고 아스팔트의 유입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해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 골재 65~80 중량부와,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 10~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굵은골재는 아스팔트 혼합물 내에서 상호 인터 록킹되어 차륜 하중에 의한 소성변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호 간에 간극이 충분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아스팔트가 유입되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잔골재는 굵은골재 사이의 간극을 메워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너무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경우, 굵은골재 사이의 간극 뿐 아니라 굵은골재 사이에 개재되어 볼 베어링의 역할을 함으로써, 굵은골재 간의 인터록킹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은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한 굵은골재의 양으로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굵은골재의 양보다 현저하게 증가된 65~80 중량부가 사용되고, 너무 많은 양이 사용되는 경우 굵은골재 간의 인터록킹을 방해하는 잔골재의 양으로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잔골재의 양보다 감소된 10~14 중량부가 사용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일반골재에 사용되는 굵은골재의 혼합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의 혼합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굵은골재를 통한 골재 간의 인터록킹이 최대화되도록 하여 차륜 하중에 의한 소성변형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스팔트는 골재 사이의 간극에 채워져 본딩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일반골재의 혼합비율을 통해 아스팔트가 유입되는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아스팔트의 양으로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아스팔트의 양보다 증가된 5.6~6.2 중량부가 사용됨에 따라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균열저항성이 크게 향상된다.
여기서, 아스팔트는 침입도는 PG 64-(10, 16, 22, 28, 34), PG 70-(10, 16, 22, 28, 34), PG 76-(10, 16, 22, 28, 34), PG 82-(10, 16, 22, 28, 34) 등급을 가지고 KSM 2201 규격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섬유첨가제는 골재 사이의 간극에 채워서 아스팔트를 흡수함으로써, 아스팔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식물성 섬유첨가제는 셀룰로오스 화이바를 압축하여 낱알 형태로 제조된 팰릿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일반골재에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5~11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골재분말은 골재 사이의 간극에 채워져 식물성 섬유첨가제와 함께 아스팔트와 혼합되어 아스팔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골재분말의 양을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골재분말의 양보다 증가된 5~11 중량부가 사용됨에 따라 아스팔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은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의 중간층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골재최대입도치수 20mm로 변경됨에 따라 일반골재와 아스팔트의 혼합량이 조정되는 것일 뿐, 일반골재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소성변형 및 균열 저항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골재최대입도치수 20mm인 일반골재 93.7~94.7 중량부와, 아스팔트 5.2~5.8 중량부와, 식물성 섬유첨가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70~85 중량부와,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 4~8 중량부와,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5~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은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의 중간층 또는 기층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골재최대입도치수 25mm로 변경됨에 따라 일반골재와 아스팔트의 혼합량이 조정되는 것일 뿐, 일반골재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소성변형 및 균열 저항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골재최대입도치수 25mm인 일반골재 94.3~95.3 중량부와, 아스팔트 4.6~5.2 중량부와, 식물성 섬유첨가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65~87 중량부와,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 5~9 중량부와,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5~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실험을 위해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골재최대입도치수 13mm인 일반골재 95.1 중량부와,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 4.9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41 중량부와, 입도치수 0.25~5mm 인 잔골재 16 중량부와,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6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골재최대입도치수 20mm인 일반골재 95.6 중량부와,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 4.5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55 중량부와, 입도치수 0.25~5mm 인 잔골재 14.5 중량부와,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6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골재최대입도치수 25mm인 일반골재 95.6 중량부와,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 4.5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65 중량부와, 입도치수 0.25~5mm 인 잔골재 11 중량부와,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5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골재최대입도치수 13mm인 일반골재 20.5 중량부와, SMA(Stone Mastic Asphalt)골재 71.7 중량부와,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 6.4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및 SMA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77중량부와, 입도치수 0.25~5mm인 잔골재 5.5 중량부와,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9.5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골재최대입도치수 13mm인 일반골재 93.6 중량부와,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 6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화이바 0.4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67.5 중량부와, 입도치수 0.25~5mm인 잔골재 12 중량부와,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9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골재최대입도치수 20mm인 일반골재 93.7 중량부와,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 5.8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화이바 0.4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77.5 중량부와, 입도치수 0.25~5mm인 잔골재 5.5 중량부와,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8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골재최대입도치수 25mm인 일반골재 94.4 중량부와,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 5.2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화이바 0.4 중량부를 포함하되, 일반골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76 중량부와, 입도치수 0.25~5mm인 잔골재 7 중량부와,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7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비교예들 및 실시예들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별도의 몰드에 다져서 채운 후 실온에서 양생하여 높이 63.5mm, 직경 100mm의 공시체를 제작하고, 실측밀도(g/cm3), 공극률(%)을 측정한 후, 골재 간극률(%)과 포화도(%)을 계산해보았으며, 측정 및 계산한 결과는 아래 표1 및 표2와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 골재 간극률은 다짐된 아스팔트 혼합물에서 공극과 아스팔트가 차지하고 있는 체적을 아스팔트 혼합물 전체 체적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하기 계산식 1을 통해 계산하였다.
<계산식 1>
골재 간극률(%)=아스팔트함량(%)×실측밀도(g/cm3)/아스팔트 비중+공극률(%)
여기서, 아스팔트 비중 = 1.03
그리고, 포화도는 골재 간극 중에 아스팔트가 채워진 체적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하기 계산식 2를 통해 계산하였다.
<계산식 2>
포화도(%)=(골재 간극률(%)-공극률(%))/골재간극률(%)×100
<표 1>
Figure 112020075880879-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제작된 공시체의 골재 간극률이 17.4%, 포화도가 79.3%로 비교예 1로 제작된 공시체의 골재 간극률 15.1%, 포화도 75.5%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이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아스팔트가 채워지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과 아울러 골재 간의 간극 내에 채워지는 아스팔트의 량도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이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균열 저항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제작된 공시체의 골재 간극률 17.4%, 포화도 79.3%는 비교예 4로 제작된 공시체의 골재 간극률 17.9%, 포화도 81.6%와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일반골재만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이 SMA 골재를 사용하는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과 그 성능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2>
Figure 112020075880879-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로 제작된 공시체의 골재 간극률 및 포화도가 비교예 2 및 비교예 3으로 제작된 공시체의 골재 간극률 및 포화도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은 골재최대입도치수가 높은 경우에도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균열 저항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제조된 비교예들 및 실시예들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별도의 몰드에 다져서 채운 후 실온에서 양생하여 높이 50mm, 가로 세로 300mm의 공시체를 제작하고, 제작된 각각의 공시체를 60℃의 항온챔버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 후, 접지압 686N을 갖는 폭 5cm의 차륜을 공시체의 상부에 좌우로 이동시켜 1mm 침하하는 시점의 차륜 이동횟수인 동적안정도를 실험하였으며, 실험한 결과 아래 표3 및 표4와 같이 측정되었다.
<표 3>
Figure 112020075880879-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제작된 공시체의 동적안정도가 1,537(회/mm)로 비교예1로 제작된 공시체의 동적안정도 810(회/mm)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이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소성변형 저항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제작된 공시체의 동적안정도 1,537(회/mm)은 비교예 4로 제작된 공시체의 동적안정도 1,620(회/mm)와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측정되어 일반골재만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이 SMA골재를 사용하는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과 그 성능에서 큰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4>
Figure 112020075880879-pat00004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로 제작된 공시체의 동적안정도가 2,385(회/mm) 및 3,315(회/mm)로 비교예 2 및 비교예 3으로 제작된 공시체의 동적안정도 869(회/mm) 및 1,284(회/mm) 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최대입도치수가 클수록 기존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소성변형 저항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없음

Claims (5)

  1.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있어서,
    골재최대입도치수 13mm인 일반골재 93.3~94.3 중량부와, 아스팔트 5.6~6.2 중량부와, 식물성 섬유첨가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골재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입도치수 5mm 이상인 굵은골재 65~80 중량부와, 입도치수 2.5~5mm 인 잔골재 10~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골재는 입도치수 0.08mm 이하인 골재분말 5~1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첨가제는 셀룰로오스 화이바를 압축하여 낱알 형태로 제조된 팰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KR1020200090204A 2020-07-21 2020-07-21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KR10226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04A KR102266604B1 (ko) 2020-07-21 2020-07-21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04A KR102266604B1 (ko) 2020-07-21 2020-07-21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604B1 true KR102266604B1 (ko) 2021-06-18

Family

ID=7662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04A KR102266604B1 (ko) 2020-07-21 2020-07-21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6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444A (ko) * 1997-07-23 1999-02-18 이광호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포장공법
KR20040006437A (ko) 2002-07-12 2004-01-24 인성산업 주식회사 박층 포장용 아스팔트 혼합물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표층의 박층 포장
KR100715623B1 (ko) * 2007-01-10 2007-05-08 한국투수개발 주식회사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109753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도로공사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KR101292065B1 (ko) * 2013-02-15 2013-08-02 대로건설(주) 박층형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의 포장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444A (ko) * 1997-07-23 1999-02-18 이광호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포장공법
KR20040006437A (ko) 2002-07-12 2004-01-24 인성산업 주식회사 박층 포장용 아스팔트 혼합물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표층의 박층 포장
KR100715623B1 (ko) * 2007-01-10 2007-05-08 한국투수개발 주식회사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109753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도로공사 골재 입도를 개선한 저소음 포장 혼합물
KR101292065B1 (ko) * 2013-02-15 2013-08-02 대로건설(주) 박층형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의 포장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hamayleh et al. Mechanical properties evaluation of asphalt mixtures with variable contents of reclaimed asphalt pavement (RAP)
CN109610259A (zh) 一种路用超薄磨耗层及其制备方法
Ogundipe Strength and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bitumen-stabilized granular soil
KR100595869B1 (ko) 노면 포장용 비튜멘 또는 아스팔트, 및 노면 포장방법
Wagaw et al.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brick dust as a filler material for hot asphalt mix design: a case study in Jimma zone
KR102266604B1 (ko)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CN101962278B (zh) 人行道铺筑用木质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KR100780177B1 (ko) 고점도 고내구성 개질 아스팔트용 개질제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
CN117585941A (zh) 一种低碳型浇筑式沥青混合料设计方法
Lu et al. Comparison of the polishing resistances of concrete pavement surface textures prepared with different technologies using the Aachen polishing machine
GB2366567A (en) Asphalt composition
CN112960938B (zh) 一种耐磨沥青混凝土路面及其施工方法
KR20220166479A (ko) 사용수명이 향상된 고성능 아스팔트 혼합물
KR100248892B1 (ko)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포장공법
JP5898350B1 (ja) 舗装材
KR102170361B1 (ko) 고탄소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owalski et al. Reclaimed asphalt pavement limits to meet surface frictional requirements
Adanikin et al. LABORATORY STUDY OF THE USE OF ALTERNATIVE MATERIALS AS FILLERSIN ASPHALTIC CONCRETES
JP2598887B2 (ja) 熱伝導性舗装材料
JP5812770B2 (ja) ポーラスアスファルト混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施工方法
Viman et al. Evaluation of Slag as aggregates in Asphalt Mixtures
Widayanti et al.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sphalt Concrete Contain Reclaimed Asphalt Pavement from National Road in East Java Province Indonesia
JP4242305B2 (ja) 低μ路舗装構造
KR102459390B1 (ko) 세립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세립배수성 박마찰층 포장
JPH021010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