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586A -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586A
KR20100107586A KR1020090025722A KR20090025722A KR20100107586A KR 20100107586 A KR20100107586 A KR 20100107586A KR 1020090025722 A KR1020090025722 A KR 1020090025722A KR 20090025722 A KR20090025722 A KR 20090025722A KR 20100107586 A KR20100107586 A KR 2010010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organic
solar cell
type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833B1 (ko
Inventor
김태환
정재훈
유주형
이대욱
이세한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8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H10K30/35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comprising inorganic nanostructures, e.g. CdSe nanopartic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광손실에 의해 광발전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지 않는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과 광기전력층을 구비한다. 광기전력층은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물 구조물과, 반도체층 상에 무기물 구조물의 측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무기물의 밴드갭(bandgap)과 서로 다른 밴드갭을 갖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물 구조물을 구비한다. 그리고 반도체층을 이루는 반도체 물질은 n형(n-type)이고, 무기물과 유기물은 p형(p-type) 및 진성(intrinsic) 중 어느 하나이거나, 반도체층을 이루는 반도체 물질은 p형이고, 무기물과 유기물은 n형 및 진성 중 어느 하나이다.

Description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Solar cell utilizing organic-inorganic composit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효율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환경문제와 화석에너지의 고갈, 원자력발전의 폐기물처리 및 신규발전소 건설에 따른 위치선정 등의 문제로 인하여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무공해 에너지원인 태양광발전에 대한 연구개발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태양전지는 입사광으로부터 광 에너지를 입사받아 광기전력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학 소자로서, 크게 광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와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광발젼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장파장과 단파장의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턴뎀(tandem)형 태양전지가 널리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해, 기존의 실리콘 기반의 태양전지에서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가 널리 연구되고 있다.
넓은 파장 영역대의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턴뎀형 태양전지는 단일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태양전지의 광발전 효율 한계치를 극복할 수는 있으나, 적층된 다층 구조라는 소자 특성 상 태양광이 박막을 투과하면서 광발전 효율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 중 가장 큰 손실은 이종 접합된 박막 사이의 터널 접합 부분에서 발생하는 격자 부정합에 의한 결함과 박막 자체의 결정 결함에 의한 손실이다. 특히, 광전변환층이 태양전지 하부에 형성되면, 투과된 광 에너지의 양이 적어지므로 광발전 효율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광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결정성이 좋은 양질의 반도체 박막을 다층으로 적층시켜야 하므로, 공정 단가가 높고 공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에피택셜(epitaxial) 증착법을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넓은 파장 영역대의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제조 단가가 증가하며, 광발전 효율의 한계가 발생한다.
턴뎀형 태양전지의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턴뎀형 태양전지는 값싼 유기물 재료를 이용할 수는 있으나, 적층된 박막 사이에서 발생하는 광손실 뿐만 아니라, 유기물 박막 자체 결함과 유기물과 무기물 박막 사이의 결함 등에 의해 광발전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광손실에 의해 광발전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태양전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넓은 파장 영역대의 태양광을 광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광발전시킬 수 있는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수직형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정방법이 간단하고 공정단가가 작아 생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고효율 특성을 갖는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수직형 구조의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물 구조물과, 상기 반도체층 상에 상기 무기물 구조물의 측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기물의 밴드갭(bandgap)과 서로 다른 밴드갭을 갖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물 구조물을 구비하는 광기전력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층을 이루는 반도체 물질은 n형(n-type)이고, 상기 무기물과 유기물은 p형(p-type) 및 진성(intrinsic)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반도체층을 이루는 반도체 물질은 p형이고, 상기 무기물과 유기물은 n형 및 진성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구조물은 상기 반도체층의 상방으로 길게 뻗은 형상의 나노선(nanowire)일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다공성 나노 템플레이트(template)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 템플레이트의 공극 내에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물 나노선(nanowir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선 형성 후, 상기 나노 템플레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나노 템플레이트 제거 후,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무기물 나노선이 함께 덮이도록 상기 무기물의 밴드갭(bandgap)과 서로 다른 밴드갭을 갖는 유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기물 나노선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무기물 나노선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물을 제거하여, 무기물-유기물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광기전력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기전력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은 n형(n-type)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기물과 유기물은 p형(p-type) 및 진성(intrinsic)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거나, 상기 반도체 기판은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기물과 유기물은 n형 및 진성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노 템플레이트는 양극산화법에 의해 형성된 양극산화 알루미나(Anodic Aluminium oxide, AAO) 나노 템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는 저렴한 무기물-유기물 복합재료를 사용함에도, 단파장을 흡수하는 무기물 구조물과 장파장을 흡수하는 유기물 구조물을 기판과 수직 병렬구조로 형성시켜 반도체 기판과 p-n 접합시킴으로써, 넓은 파장 영역대의 태양광을 손실 없이 흡수하여 광발전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주로 유기물 구 조물을 통해 태양광을 입사 받으므로 별도의 텍스쳐링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양극산화법에 의해 형성된 양극산화 알루미나 나노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증착방법과 스핀코팅법과 같은 간단한 증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방법이 저렴하고 간단하여 소자 제작의 총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100)는 하부전극(110), 반도체층(120), 광기전력층(130) 및 상부전극(140)을 구비한다.
하부전극(110)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반도체층(120)은 하부전극(110) 상에 형성되며,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다. n형(n-type) 또는 p형(p-type) 반도체 물질이 반도체층(120)을 이룬다. 반도체 층(120)은 반도체 기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 반도체 기판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 기판을 이루는 무기물은 Si, Ge, GaAs, GaN, GaP, InAs, InP, InSb, CdSe, CdTe, ZnS, Al2O3, SiC, 유리(glass),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및 석영(quartz)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반도체 기판에 n형 도펀트(dopant) 또는 p형 도펀트가 하이 도핑(high doping)된 경우, 반도체 기판은 전극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전극(110)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광기전력층(130)은 반도체층(120) 상에 형성되며, 무기물 구조물(131)과 유기물 구조물(132)을 구비한다.
무기물 구조물은(131)은 반도체층(120) 상에 형성되며, 무기물로 이루어진다. 무기물 구조물(131)은 반도체층(120)의 상방으로 길게 뻗은 형상의 나노선(nanowire)일 수 있다. 무기물 구조물(131)을 이루는 무기물은 Si, Ge, GaAs, GaP, AlSb, InP, In2Se3, In2Te3, CdS, CdSe, CdTe, ZnSe, ZnTe, Bi2S3, Cu2S, MoSe2, WSe2, SiOx, TiO2, Cu2O, CuO, GaN 및 Zn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120)이 n형인 경우, 반도체층(120)과 무기물 구조물(131)이 p-n 접합을 이루기 위해, 무기물 구조물(131)을 이루는 무기물은 p형 또는 진성(intrinsic)인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반도체층(120)이 p형인 경우, 반도체층(120)과 무기물 구조물(131)이 p-n 접합을 이루기 위해, 무기물 구조물(131)을 이루는 무기물은 n형 또는 진성인 것인 것이 이용된다.
유기물 구조물(132)은 반도체층(120) 상에 무기물 구조물(131)의 측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무기물 구조물(131)을 이루는 무기물의 밴드갭(bandgap)과 서로 다른 밴드갭을 갖는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기물의 밴드갭보다 작은 밴드갭을 갖는 유기물로 유기물 구조물(132)이 이루어진다. 유기물 구조물(132)을 이루는 유기물은 Poly ethylene oxide, Poly phosphazene, Poly aniline, Poly pyrrole, Poly thiophene, Poly p-phenylene, Poly acetylene, Poly sulfur nitride, Poly p-phenylenevinylene 및 Poly N-vinyl-carbazo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120)이 n형인 경우, 반도체층(120)과 유기물 구조물(132)이 p-n 접합을 이루기 위해, 유기물 구조물(132)을 이루는 유기물은 p형 또는 진성인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반도체층(120)이 p형인 경우, 반도체층(120)과 유기물 구조물(132)이 p-n 접합을 이루기 위해, 유기물 구조물(132)을 이루는 유기물은 n형 또는 진성인 것인 것이 이용된다.
무기물 구조물(131)과 유기물 구조물(132)은 반도체층(120)에 비해 로우 도핑(low doping)하거나 도핑하지 않아, 공핍 영역(depletion region)을 넓게 하고 공핍 영역에서의 전계(electric field)를 크게 할 수 있다. 공핍 영역이 넓어지면,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되어, 광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핍 영역에서의 전계가 커지게 되면,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자-정공쌍(electron-hole pair)이 재결합(recombination)되는 비율을 감소시켜, 광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기물의 밴드갭과 유기물의 밴드갭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광기전력층(310)이 형성되면, 무기물 구조물(131)과 반도체층(120) 사이의 p-n 접합과 유 기물 구조물(132)과 반도체층(120) 사이의 p-n 접합이 서로 다른 파장 영역대의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파장 영역대의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넓은 파장 영역대의 태양광을 흡수하는 일반적인 박막 적층형 턴뎀(tandem) 태양전지와 달리 본 실시예서와 같이 무기물 구조물(131)과 유기물 구조물(132)이 수직 구조를 갖고 일정하게 배열되면, 박막을 투과하면서 발생되는 광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배열된 무기물 구조물(131)은 한 번 입사된 태양광을 외부로 전반사시키지 않고 광기전력층(130) 내부에 가두는 일종의 텍스쳐링(texturing)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므로, 별도의 텍스쳐링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그리고 무기물 구조물(131)과 유기물 구조물(132)이 수직 구조를 갖고 배열되므로 태양광을 흡수하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광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부전극(140)은 광기전력층(130) 상에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부전극(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기물 구조물(131)의 상면 전부와 유기물 구조물(132)의 상면 일부가 함께 덮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전극(140)은 더 많은 태양광이 광기전력층(130) 내부로 입사되도록, 투과성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전극(140)은 ITO(indium tin oxide),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Au, Pt 및 T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100)의 광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반도체층(120)은 n형이고, 무기물 구조물(131)과 유기물 구조 물(132)는 p형이며, 무기물 구조물(131)의 밴드갭이 유기물 구조물(132)의 밴드갭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때, 무기물 구조물(131)의 가전자대(valence band)의 에너지 준위를 Ev ,1로 나타내었고, 전도대(conduction band)의 에너지 준위를 Ec , 1으로 나타내었으며, 무기물 구조물(131)의 밴드갭을 Eg , 1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기물 구조물(132)의 가전자대의 에너지 준위를 Ev ,2로 나타내었고, 전도대의 에너지 준위를 Ec , 2으로 나타내었다. 전도대의 에너지 준위는 전자가 비어 있는 가장 낮은 에너지준위(ELUMO)에 해당하고, 가전자대의 에너지 준위는 전자가 채워져 있는 가장 높은 에너지준위(EHOMO)에 해당하며, 밴드갭은 ELUMO와 EHOMO의 차이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전지(100)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대부분은 근자외선 영역의 단파장 태양광과 가시광선 영역의 장파장 태양광이다. 태양광이 태양전지(100)에 입사되면, 단파장의 태양광은 도 2의 P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무기물 구조물(131)에 흡수된다. 무기물 구조물(131)이 단파장의 태양광을 흡수하게 되면 무기물 구조물(131)의 가전자대의 전자가 여기되어 전자-정공쌍을 생성하게 된다. 전자-정공쌍이 형성되면, 도 2의 S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는 반도체층(120)을 통해 하부전극(110)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무기물 구조물(131)을 통해 상부전극(140)으로 이동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도 2의 P1로 나타낸 단파장 태양광의 흡수는 주로 무기물 구조물(131)과 유기물 구조물(132)의 계면에서 발생하게 된 다.
그리고 여기된 전자 중 일부는 전극(110, 140)으로 이동하여 전력 생산에 기여하지 못하고, 도 2의 R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완화(relaxation) 작용으로 에너지를 잃고 전도대의 에지(edge)로 이동하게 된다. 전도대의 에지로 이동한 전자는 이후, 도 2의 R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전자대의 정공과 재결합하여 무기물 구조물(131)의 밴드갭(Eg,1)에 해당하는 에너지(전이 에너지(transition energy))를 가진 광자(photon)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광자는 도 2의 P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물 구조물(132)에 흡수된다. 그리고 무기물 구조물(131)의 밴드갭(Eg,1)에 해당하는 에너지보다 작아 무기물 구조물(131)에 흡수되지 못한 장파장의 태양광은 도 2의 P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물 구조물(132)에 흡수된다. 도 2의 P2, P3의 형태로 유기물 구조물(131)에 흡수된 태양광 또는 광자는 유기물 구조물(132)의 가전자대의 전자를 여기시켜 전자-정공쌍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전자-정공쌍은 도 2의 S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는 반도체층(120)을 통해 하부전극(110)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유기물 구조물(132)을 통해 상부전극(140)으로 이동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유기물 내에서 전자의 이동도(mobility)는 정공에 비해서 현저히 작으므로, 도 2의 P2, P3으로 나타낸 흡수는 주로 유기물 구조물(132)와 반도체층(120)의 계면에서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무기물 구조물(131)의 밴드갭이 유기물 구조물(132)의 밴드갭보 다 큰 경우, 단파장의 태양광은 무기물 구조물(131)과 반도체층(120)의 p-n 접합을 통해 광발전에 이용되며, 장파장의 태양광은 유기물 구조물(132)과 반도체층(120)의 p-n 접합을 통해 광발전에 이용된다. 따라서 넓은 파장 영역대의 태양광을 모두 광발전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광발전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320)의 하부에 하부전극(310)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320)은 n형(n-type) 또는 p형(p-type)이다. 반도체 기판(320)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 기판(320)을 이루는 무기물은 Si, Ge, GaAs, GaN, GaP, InAs, InP, InSb, CdSe, CdTe, ZnS, Al2O3, SiC, 유리(glass),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및 석영(quartz)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반도체 기판(420)에 n형 도펀트(dopant) 또는 p형 도펀트가 하이 도핑(high doping)된 경우, 반도체 기판(320)은 전극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전극(310)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320) 상에 다공성 나노 템플레이트(template)(330)를 형성한다. 다공성 나노 템플레이트(330)는 반도체 기판(320) 상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기판에 다공성 나노 템플레이트를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320) 상에 부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공 성 나노 템플레이트는 양극산화법에 의해 형성된 양극산화 알루미나(Anodic Aluminium Oxide, AAO) 나노 템플레이트일 수 있다. 양극산화법에 의해 양극산화 알루미나 나노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일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양극산화 알루미나 나노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20) 상에 두께가 수백 ㎛, 예컨대 100 ㎛인 Al 박막(420)을 열증착을 통해 형성한다. 그리고 1차 양극산화를 위해 Al 박막(420)이 증착된 기판(410)을 양극에 연결하고, 백금 또는 탄소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두 전극에 수십 V, 예컨대 35 ~ 55 V의 전압을 인가하면서 황산(H2SO4) 또는 옥살산(H2C2O4)으로 된 전해질 용액에서 수 시간, 예컨대 4 ~ 8 시간 동안 양극산화를 진행한다. 전압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다공성 알루미나의 구멍의 지름을 조절할 수 있고, 전해질 용액의 온도는 10℃ 이하일 수 있다. 1차 양극산화를 마친 Al 박막(42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다공성 알루미나(422)가 형성된다. 그러나 1차 양극산화로 형성된 다공성 알루미나(422)는 모양이 불규칙하고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본 발명에 이용하기 적절치 않다.
불규칙한 모양의 다공성 알루미나(422)를 제거하기 위해 기판(410)을 인산과 크롬산을 혼합한 용액에 수 시간 동안 담근다. 예컨대, 0.4 M의 인산과 0.2 M의 크롬산을 혼합한 60℃의 용액에 기판(410)을 1 ~ 3 시간 동안 담가 다공성 알루미 나(422)를 제거한다. 다공성 알루미나(422)가 제거된 Al 박막(421)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알루미나에 있던 자리에 낮은 높이의 매우 규칙적인 요철이 남게 된다.
단계 1차 양극산화와 동일하게 기판(410)을 전극에 연결한 후, 1차 양극산화와 동일한 조건에서 수 분 동안 2차 양극산화를 진행한다. 예컨대, 1차 양극산화와 동일한 전압과 전해질 용액에서 5 ~ 10분 동안 2차 양극산화를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도 4(d)와 같이 일정한 높이를 가진 다공성 알루미나(430)가 형성된다. 제2차 양극산화 시간을 조절하여 형성되는 다공성 알루미나(4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2차 양극산화를 통해 성장한 다공성 알루미나(430)는 도 5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하며, 도 6의 원자힘 현미경(AFM)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양극산화법에 의해 형성된 양극산화 알루미나는 높이가 일정하고 매우 규칙적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노 템플레이트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조건에 따라 다공성 알루미나의 구멍의 크기, 간격 및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이용되기에 적합하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나노 템플레이트(330)의 공극 내에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물 나노선(nanowire)(340)을 형성한다. 무기물 나노선(340)은 Si, Ge, GaAs, GaP, AlSb, InP, In2Se3, In2Te3, CdS, CdSe, CdTe, ZnSe, ZnTe, Bi2S3, Cu2S, MoSe2, WSe2, SiOx, TiO2, Cu2O, CuO, GaN 및 Zn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 기판(320)이 n형인 경우, 반도체 기판(320)과 무기물 나노선(340)이 p-n 접합을 이루기 위해, 무기물 나노선(340)은 p형 또는 진성(intrinsic)인 것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320)이 p형인 경우, 반도체 기판(320)과 무기물 나노선(340)이 p-n 접합을 이루기 위해, 무기물 나노선(340)은 n형 또는 진성인 것인 것으로 형성한다.
무기물 나노선(340)은 전기화학적 방법(electro chemical deposition)으로 형성한다. 예컨대, 탈이온수(DI water)를 용매로 사용하여, 무기물 나노선으로 수직 성장시키기 위한 타겟(target) 물질과 이를 돕는(supporting) 물질을 용매에 넣고 용해시킨 후, 이 용액 안에서 전기화학 반응으로 무기물 나노선(340)이 성장할 수 있도록 삼극 시스템을 만들어 무기물 나노선(34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무기물 나노선(340)은 광기전력층(360)을 구성하여 광발전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입사된 태양광이 태양전지에서 전반사되는 것을 막고 내부에 계속 머물게 하는 광도파관 역할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템플레이트(340)를 제거한다. 나노 템플레이트(340)가 양극산화 알루미나인 경우, 중크롬산 인산 혼합 수용액을 이용하여 양극산화 알루미나 나노 템플레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무기물 나노선(340)을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성장시키는 동안 반도체 기판(320) 표면은 나노 템플레이트(340)에 의해 보호되었기 때문에, 나노 템플레이트(340)가 제거된 후, 반 도체 기판(320)의 표면 상태는 균일하다.
그리고 나노 템플레이트(340) 제거 후, 나노 템플레이트(340) 제거로 인해 생긴 빈 공간에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물(350)을 형성한다. 유기물(350)은 무기물 나노선(340)의 밴드갭과 서로 다른 밴드갭을 갖는 물질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기물의 밴드갭보다 작은 밴드갭을 갖는 유기물(350)을 형성한다. 이때, 유기물(350)은 스핀코팅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기물(350)은 Poly ethylene oxide, Poly phosphazene, Poly aniline, Poly pyrrole, Poly thiophene, Poly p-phenylene, Poly acetylene, Poly sulfur nitride, Poly p-phenylenevinylene 및 Poly N-vinyl-carbazo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 기판(320)이 n형인 경우, 반도체 기판(320)과 유기물(350)이 p-n 접합을 이루기 위해, 유기물(350)은 p형 또는 진성인 것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320)이 p형인 경우, 반도체 기판(320)과 유기물(350)이 p-n 접합을 이루기 위해, 유기물(350)은 n형 또는 진성인 것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무기물 나노선(340)과 유기물(350)은 반도체 기판(320)에 비해 로우 도핑(low doping)하거나 도핑하지 않아, 공핍 영역(depletion region)을 넓게 하고 공핍 영역에서의 전계(electric field)를 크게 할 수 있다. 공핍 영역이 넓어지면,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되어, 광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핍 영역에서의 전계가 커지게 되면,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자-정공쌍(electron-hole pair)이 재결합(recombination)되는 비율을 감소시켜, 광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기물 나노선(34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무기물 나노선(350) 높이 이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유기물을 제거하여, 무기물-유기물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광기전력층(360)을 형성한다. 유기물 제거를 위해 애싱(ashing) 공정을 이용한다. 이는 무기물 나노선(340)에서 상부전극(370)으로 이동하는 초과 캐리어(excess carrier)가 유기물(350)을 통해 전송되지 않고 직접 상부전극(370)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초과 캐리어들의 이동도가 감소하는 것이 방지되어 광발전 효율이 증가된다.
다음으로,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기전력층(360) 상에 상부전극(370)을 형성한다. 상부전극(370)은 더 많은 태양광이 광기전력층(360) 내부로 입사되도록, 투과성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전극(370)은 ITO(indium tin oxide),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Au, Pt 및 T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전극(370)은 무기물 나노선(340)의 상면 전부와 유기물(350)의 상면 일부가 함께 덮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게 되면, 무기물-유기물 복합재료가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박막을 투과하면서 발생되는 광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를 다공성의 나노 템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무기물 나노선(340)과 유기물(350)를 원하는 높이와 크기를 갖도록 균일하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상온에서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공 장비의 이용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 단가가 낮고 공정 방법이 간 단하여 대면적의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데에 적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광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양극산화 알루미나 나노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산화 알루미나 나노 템플레이트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이다.
도 6은 도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산화 알루미나 나노 템플레이트의 AFM(atomic force microscopy) 사진이다.

Claims (16)

  1.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물 구조물과, 상기 반도체층 상에 상기 무기물 구조물의 측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기물의 밴드갭(bandgap)과 서로 다른 밴드갭을 갖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물 구조물을 구비하는 광기전력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층을 이루는 반도체 물질은 n형(n-type)이고, 상기 무기물과 유기물은 p형(p-type) 및 진성(intrinsic)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반도체층을 이루는 반도체 물질은 p형이고, 상기 무기물과 유기물은 n형 및 진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구조물은 상기 반도체층의 상방으로 길게 뻗은 형상의 나노선(nano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구조물과 유기물 구조물은 상기 반도체층에 비해 로우 도핑(low doping)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의 밴드갭은 상기유기물의 밴드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전극; 및
    상기 광기전력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은 상기 무기물 구조물의 상면 전부와 상기 유기물 구조물의 상면 일부가 함께 덮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은 투과성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Au, Pt 및 T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반도체 기판이며,
    상기 반도체 기판은 무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이루는 무기물은 Si, Ge, GaAs, GaN, GaP, InAs, InP, InSb, CdSe, CdTe, ZnS, Al2O3, SiC, 유리(glass), TCO 및 석영(quartz)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구조물을 이루는 무기물은 Si, Ge, GaAs, GaP, AlSb, InP, In2Se3, In2Te3, CdS, CdSe, CdTe, ZnSe, ZnTe, Bi2S3, Cu2S, MoSe2, WSe2, SiOx, TiO2, Cu2O, CuO, GaN 및 Zn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구조물을 이루는 유기물은 Poly ethylene oxide, Poly phosphazene, Poly aniline, Poly pyrrole, Poly thiophene, Poly p-phenylene, Poly acetylene, Poly sulfur nitride, Poly p-phenylenevinylene 및 Poly N-vinyl-carbazo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13. 반도체 기판 상에 다공성 나노 템플레이트(template)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 템플레이트의 공극 내에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물 나노선(nanowir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선 형성 후, 상기 나노 템플레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나노 템플레이트 제거 후,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무기물 나노선이 함께 덮이도록 상기 무기물의 밴드갭(bandgap)과 서로 다른 밴드갭을 갖는 유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기물 나노선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무기물 나노선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물을 제거하여, 무기물-유기물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광기전력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기전력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은 n형(n-type)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기물과 유기물은 p형(p-type) 및 진성(intrinsic)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거나,
    상기 반도체 기판은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기물과 유기물은 n형 및 진성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템플레이트는 양극산화법에 의해 형성된 양극산화 알루미나(Anodic Aluminium oxide, AAO) 나노 템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제조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나노선은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기물은 스핀코팅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제조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전극이 상기 무기물 나노선의 상면 전부와 상기 유기물의 상면 일부를 함께 덮도록, 상기 상부전극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제조방법.
KR1020090025722A 2009-03-26 2009-03-26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99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22A KR100995833B1 (ko) 2009-03-26 2009-03-26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22A KR100995833B1 (ko) 2009-03-26 2009-03-26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586A true KR20100107586A (ko) 2010-10-06
KR100995833B1 KR100995833B1 (ko) 2010-11-22

Family

ID=4312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722A KR100995833B1 (ko) 2009-03-26 2009-03-26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647B1 (ko) * 2012-01-19 2015-06-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 전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태양 전지
CN106233482A (zh) * 2014-04-23 2016-12-14 株式会社Lg化学 有机无机混合太阳能电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37B1 (ko) 2011-01-19 2013-05-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1782B2 (en) * 2002-06-22 2007-11-06 Nanosolar, Inc. Optoelectron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JP2009054907A (ja) * 2007-08-29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ヘテロ接合素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647B1 (ko) * 2012-01-19 2015-06-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 전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태양 전지
CN106233482A (zh) * 2014-04-23 2016-12-14 株式会社Lg化学 有机无机混合太阳能电池
CN106233482B (zh) * 2014-04-23 2019-07-26 株式会社Lg化学 有机无机混合太阳能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833B1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453B1 (ko) p-i-n 나노선을 이용한 태양전지
US11349039B2 (en) Axially-integrated epitaxially-grown tandem wire arrays
Yue et al. SnS homojunction nanowire-based solar cells
US20180219115A1 (en) Semiconductor structures for fuel generation
US20090020150A1 (en) Structures of ordered arrays of semiconductors
US9048097B2 (en) Semiconductive micro- and nano-wire array manufacturing
CN107863400A (zh) 用于多结太阳能电池的InP晶格常数的II型高带隙隧道结
Zhang et al. n-ZnO/p-Si 3D heterojunction solar cells in Si holey arrays
CN103000709A (zh) 背电极、背电极吸收层复合结构及太阳能电池
KR100995833B1 (ko) 유기물-무기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Tian et al. Synthesis of the wheat-like CdSe/CdTe thin film heterojunction and their photovoltaic applications
KR101019382B1 (ko) 양극 산화 알루미나를 사용한 태양 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2103278B (zh) 一种具备微结构的硅基叠层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Tsakalakos Introduction to photovoltaic physics,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CN110224033B (zh) 一种内嵌硅pn结的氧化铁光阳极体系及制备方法
Das et al. High-efficiency solar cells based on semiconductor nanostructures
Jäger et al. Improving Monolithic Perovskite/Silicon Tandem Solar Cells From an Optical Viewpoint
Hao et al. Photo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 sub-micron structured film with poly (3-methylthiophene)(P3MT)-modified CdTe/ZnO shell-core sub-micron tube arrays
KR101069109B1 (ko) 박막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068779B (zh) 一种太阳电池结构及其制备方法
CN210620237U (zh) 一种可完全光解水的内嵌硅pn结的氧化铁光阳极体系
RU272431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переходного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с вертикально-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столбчатой структурой на основе интеграции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и 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крем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Sun Recent Progress and state-of art applications of Perovskite Solar Cells
Patki Investigation of Low-Band Gap Photoactive Polymers for 3D Organic Solar Cells (OSC)
CN111276550A (zh) 具有石墨烯透明电极的柔性太阳能电池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