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30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305A
KR20100107305A KR1020090025524A KR20090025524A KR20100107305A KR 20100107305 A KR20100107305 A KR 20100107305A KR 1020090025524 A KR1020090025524 A KR 1020090025524A KR 20090025524 A KR20090025524 A KR 20090025524A KR 20100107305 A KR20100107305 A KR 20100107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or
connector housing
coup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무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7305A/ko
Publication of KR2010010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커넥터하우징(30)의 내부에는 터미널(T)의 일측을 지지하는 랜스(34)가 구비되는 터미널수용실(32)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제1 내지 제3관통공(33a,33b,33c)이 나란히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텍터하우징(30)의 일단부에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프론트홀더(50)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홀더(50)에는 상기 랜스(34)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관통공(33a,33b,33c)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합돌기(55)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홀더(50)에는 상기 하우징결합부(40)의 결합공간(42)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스토퍼(5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하우징(30)에 터미널(T)이 삽입되기 전에는 프론트홀더(50)의 스토퍼(58)가 커넥터하우징(30)의 하우징결합부(4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으므로, 상대 커넥터의 삽입이 규제되어 상대 커넥터가 하우징결합부(4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커넥터하우징, 랜스, 프론트홀더, 스토퍼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어 구성되어 상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상대커넥터의 터미널이 접촉함으로써, 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커넥터하우징(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은 일반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다수개의 터미널수용실(14)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14)에는 터미널(T)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T)에는 외부와의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14)의 내부에는 랜스(16)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16)는 상기 터미널수용실(14)의 내면으로부터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16)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 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랜스(16)는 터미널(T)에 형성된 걸이공(t)에 걸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2)에는 상기 랜스(16)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프론트홀더(20)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홀더(2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선단으로부터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16)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론트홀더(20)의 일측에는 상기 랜스(16)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16)를 지지하는 지지부(22)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가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내부에 상기 터미널(T) 및 프론트홀더(20)가 먼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12)에 상대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하우징을 결합시켜야 한다. 하지만 작업자의 부주의로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내부에 상기 터미널(T)이 삽입되기 전에 상기 상대 커넥터하우징을 먼저 삽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하우징을 상기 커넥터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터미널(T)을 삽입하여 다시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홀더(2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내부에 결합되므로,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랜스(16)를 정확하게 지지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이때, 상기 프론트홀더(20)가 상기 랜스(16)를 정확하게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T)과 상대 터미널이 결합하게 되면, 상기 터미널(T)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상대적으로 불안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에 터미널이 삽입되기 전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프론트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하우징에 프론트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수용실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용실 내부에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 걸어지는 랜스가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터미널수용실과 연통되고 상기 터미널수용실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결합부가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랜스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랜스를 지지하여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상기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된 상태를 확인시키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어 상대 커넥터의 삽입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프론트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고, 상기 랜스의 하부에 상기 터미널수용실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의 폭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홀더는,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는 상대 터미널이 통과하는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상기 랜스의 선단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의 저면을 지지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된 상태를 확인시키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는 상대 커넥터의 삽입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상기 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된 상태를 확인시키는 슬라이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의 폭은 상기 관통공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채널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가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의 폭은 상기 터미널수용실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제1관통공, 제2관통공, 그리고 제3관통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 그리고 상기 제2관통공 및 제3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홀더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가이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부가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이 규제된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이 삽입되기 전에는 프론트홀더에 형성된 스토퍼가 커넥터하우징의 하우징결합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으므로, 상대 커넥터의 삽입이 규제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이 삽입되기 전에 상기 하우징결합부에 상대 커넥터의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프론트홀더에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 및 결합돌기가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관통공 중 어느 관통공에 삽입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프론트홀더의 지지플레이트가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랜스의 하부를 정확하게 지지하는지 알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홀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홀더와 커넥터하우징이 결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커넥터하우징(3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터미널수용실(3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32)에는 터미널(T)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수용실(32)은 두 개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T)에는 외부와의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외부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홀더(50)의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3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터미널수용실(32)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3)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홀더(50)의 결합돌기(55) 및 슬라이딩돌기(54)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세 개가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33)은 제1관통공(33a), 제2관통공(33b), 그리고 제3관통공(33c)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관통공(33a,33b,33c)은 프론트홀더(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론트홀더(50)의 결합돌기(55) 및 슬라이딩돌기(54)가 상기 제1 내지 제3관통공(33a,33b,33c)에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프론트홀더(50)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하우징(30)의 랜스(34)를 정확하게 지지하는지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론트홀더(50)의 결합돌기(55) 및 슬라이딩돌기(54)는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33a,33b) 또는 상기 제2관통공(33b,33c)에 선택적으로 각각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32)의 내부에는 랜스(34)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징에 의해 탄성을 가진다. 즉, 상기 랜스(34)는 외팔보 형상으로,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랜스(34)는 터미널(T)에 형성된 걸이공(t)에 걸어져 터미널(T)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랜스(34)는 터미널(T)의 삽입시 잠시 탄성변형 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된다.
상기 랜스(34)의 선단부에는 걸이턱(3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스(34)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6)은 상기 터미널(T)의 걸이공(t)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가이드채널(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8)은 상기 랜스(34)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8)은 상기 터미널수용실(32)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8)은 상기 관통공(33)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채널(38)의 폭(D)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홀더(50)의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의 폭(d)(도 5참조)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의 폭(d)은 상기 프론트홀더(50)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이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말한다.
상기 가이드채널(38)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홀더(50)의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가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은 양측으로 개방되어, 그 일측은 상대 커넥터(미도시)의 일부를 감싸고, 타측은 상기 터미널(T)에 연결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일단부에는 하우징결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4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일단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4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40)의 내부에는 결합공간(4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42)은 프론트홀더(50) 및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간(42)은 상기 가이드채널(38)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42)의 폭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홀더(50)의 홀더몸체(51)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이는 프론트홀더(50)의 홀더몸체(51)가 상기 결합공간(42)의 내에서 상기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프론트홀더(5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홀더(50)는 상기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삽입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스(34)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외관 및 골격은 홀더몸체(5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51)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홀더몸체(51)는 상기 하우징결합부(4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홀더몸체(51)에는 결합공(5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51')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터미널수용실(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공(51')은 상기 터미널수용실(32)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51')은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는 상대 터미널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51')의 폭(H)은 상기 터미널수용실(32)의 폭(h) 보다 크게 형성된다(도 7a 참조). 이는 상기 홀더몸체(51)가 상기 결합공간(42)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홀더몸체(51)에는 제1지지플레이트(52) 및 제2지지플레이트(5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는 상기 랜스(34)의 선단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는 외팔보와 같은 형상으로, 쌍 을 이루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가이드채널(38)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가이드채널(38)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34)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34)를 지지함으로써 랜스(34)의 처짐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플레이트(52,53)는 두 개가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플레이트(52,53)는 터미널수용실(32)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에는 각각 제1 및 제2가이드면(52',5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52',53')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가이드채널(38)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52',53')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와 커넥터하우징(30)의 가이드채널(38)과의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52',53')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34)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53)의 선단에는 슬라이딩돌기(54)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돌기(54)는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53)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공(33)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돌기(54)의 폭은 상기 관통공(33)의 폭 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 또는 제3관통공(33b,33c) 중 상기 슬라이딩돌기(54)가 위치한 부분을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돌기(55)와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돌기(54)는 제2관통공(33b) 및 제3관통공(33c)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홀더(50)를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가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돌기(54)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관통공(33c)에 위치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돌기(55)가 상기 제1관통공(33a)에 삽입되기에 앞서, 상기 슬라이딩돌기(54)가 상기 제2관통공(33b)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딩돌기(54)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53)의 선단에는 결합돌기(5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5)는 상기 관통공(3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5)는 상기 랜스상기 결합돌기(55)는 상기 제1관통공(33a) 및 제2관통공(33b)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돌기(54)가 상기 제2관통공(33c)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55)는 제2관통공(33b)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55)는 상기 슬라이딩돌기(54)가 상기 제2관통공(33b)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관통공(33a)에 삽입된다.
한편,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몸체(51)에는 스토퍼(58)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8)는 상기 홀더몸체(51)의 외면에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 퍼(58)는 상기 홀더몸체(51)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8)의 내면은 상대 커넥터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대 커넥터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8)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8)는 상기 프론트홀더(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가고정되었을 때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가 상기 랜스(34)를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결합부(40)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58)는 상기 프론트홀더(50)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부(58a)와 상기 밀착부(58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가이드부(58b)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부(58a)는 실질적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가고정되었을 때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부(58b)는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58b)는 상대 커넥터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프론트홀더가 커넥터하우징에 가고정된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프론트홀더가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된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중심으로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를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가이드채 널(38)의 내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홀더(50)를 상기 하우징결합부(40)의 결합공간(42)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의 가이드면(52',5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가이드채널(38)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홀더(50)를 커넥터하우징(30)의 가이드채널(38)에 계속 삽입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제2지지플레이트(52)의 슬라이딩돌기(54)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제3관통공(33c)에 삽입되도록 하고, 결합돌기(55)는 제2관통공(33b)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스토퍼(58)의 밀착부(58a)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결합부(40)의 결합공간(42)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는 상기 랜스(34)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대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결합부(40)의 결합공간(42)의 내부로 삽입하여도,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스토퍼(58)에 의해 규제되므로,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내부로 터미널(T)이 삽입되기 전에 상대 커넥터의 커넥터하우징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0)과 결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홀더(50)를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가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터미널수용실(32)의 내부로 터미널(T)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T)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결합부(40)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터미널수용실(32)의 내부로 삽입한다.
상기 터미널(T)은 상기 터미널수용실(32)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랜스(34)를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터미널(T)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랜스(34)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터미널(T)의 걸이공(t)에 랜스(34)의 걸이턱(36)이 걸어진다. 즉, 상기 터미널(T)이 랜스(34)에 의해 지지되어 터미널(T)의 밀림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론트홀더(50)를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완전히 결합시킨다. 즉,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스토퍼(58)의 밀착부(58a)가 상기 하우징결합부(40)의 결합공간(4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론트홀더(50)를 도 7a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작업자가 작업공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돌기(54) 및 결합돌기(55)를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내부를 향해 누른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52',53')과 상기 가이드채널(38)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52,53)는 상기 랜스(34)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슬라이딩돌기(54)는 상기 제2관통공(33b)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55)는 제1관통공(33a)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52,53)는 각각 상기 랜스(34)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랜스(34)가 도 3을 기준으로 아래로 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프론트홀더(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가고정되었는지 결합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제1 및 제2지 지플레이트(52,53)가 상기 랜스(34)의 하부를 정확하게 지지하였는지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돌기(54) 및 결합돌기(55)는 프론트홀더(50)의 제2지지플레이트(53)에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론트홀더(50)의 이동방향에 따라 슬라이딩돌기(54) 및 결합돌기(55)는 제1지지플레이트(53)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홀더와 커넥터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프론트홀더가 커넥터하우징에 가고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프론트홀더가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커넥터하우징 32: 터미널수용실
33: 관통공 33a: 제1관통공
33b: 제2관통공 33c: 제3관통공
34: 랜스 36: 걸이턱
38: 가이드채널 40: 하우징결합부
42: 결합공간 T: 터미널
t: 걸이공 50: 프론트홀더
51: 홀더몸체 51': 결합공
52: 제1지지플레이트 53: 제2지지플레이트
52': 제1가이드면 53': 제2가이드면
54: 슬라이딩돌기 55: 결합돌기
58: 스토퍼 58a: 밀착부
58b: 가이드부

Claims (7)

  1.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수용실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용실 내부에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 걸어지는 랜스가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터미널수용실과 연통되고 상기 터미널수용실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결합부가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랜스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랜스를 지지하여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상기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된 상태를 확인시키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어 상대 커넥터의 삽입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프론트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고, 상기 랜스의 하부에 상기 터미널수용실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의 폭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더는,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는 상대 터미널이 통과하는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상기 랜스의 선단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의 저면을 지지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된 상태를 확인시키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는 상대 커넥터의 삽입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상기 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된 상태를 확인시키는 슬라이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의 폭은 상기 관통공의 폭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채널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가이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폭은 상기 터미널수용실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제1관통공, 제2관통공, 그리고 제3관통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 그리고 상기 제2관통공 및 제3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홀더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가이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부가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이 규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0025524A 2009-03-25 2009-03-25 커넥터 KR20100107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24A KR20100107305A (ko) 2009-03-25 2009-03-25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24A KR20100107305A (ko) 2009-03-25 2009-03-25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305A true KR20100107305A (ko) 2010-10-05

Family

ID=4312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524A KR20100107305A (ko) 2009-03-25 2009-03-25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73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06B1 (ko) * 2012-11-09 2014-04-04 연합정밀주식회사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KR20180022009A (ko) * 2016-08-23 201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CN111682341A (zh) * 2019-03-11 2020-09-18 住友电装株式会社 连接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06B1 (ko) * 2012-11-09 2014-04-04 연합정밀주식회사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KR20180022009A (ko) * 2016-08-23 201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CN111682341A (zh) * 2019-03-11 2020-09-18 住友电装株式会社 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0560B (zh) 带有cpa接收构件的中间壳体和包括该壳体的插头型连接器系统
US20120184144A1 (en) Joint connector and busbar
CN107910680B (zh) 一种多针结构的电磁屏蔽连接器模块
KR20200077919A (ko) 방수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조립체
US11594839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KR20100107305A (ko) 커넥터
US9716335B2 (en) Connector assembly
KR20180063598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187401B2 (ja) コネクタ及び検査治具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101786594B1 (ko) 커넥터
KR101537320B1 (ko)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20090051643A (ko) 커넥터
KR100976508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KR20170078199A (ko)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KR101246518B1 (ko) 커넥터 조립체
JP6944931B2 (ja) コネクタ
KR20160001516A (ko) 기판용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기판과 커넥터 연결장치
KR200466960Y1 (ko) 커넥터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JP202300936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