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306B1 -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306B1
KR101381306B1 KR1020120126616A KR20120126616A KR101381306B1 KR 101381306 B1 KR101381306 B1 KR 101381306B1 KR 1020120126616 A KR1020120126616 A KR 1020120126616A KR 20120126616 A KR20120126616 A KR 20120126616A KR 101381306 B1 KR101381306 B1 KR 10138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nnector
connector housing
plate por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지희철
고윤선
Original Assignee
연합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합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합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3/00Land mines ; Land torpedoes
    • F42B23/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3/00Land mines ; Land torpedoes
    • F42B23/10Land mines ; Land torpedoes anti-personnel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살상장치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와 탐지장치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면접촉을 통하여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물리적 안정성 내지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는, 일단이 살상장치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되 단부에 제1평탄면을 가지는 제1단자들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와, 일단이 탐지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제1단자들의 제1평탄면과 각각 면접촉하게 되는 제2평탄면을 가지는 제2단자들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The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on between casualty apparatus and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상장치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 제1단자와 탐지장치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 제2단자의 면접촉을 통하여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물리적 안정성 내지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2차에 걸친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지뢰는 폭약과 더불어 급속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지뢰 변천사를 살펴보면, 초창기에 점화약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폭발하는 단순 압력식 지뢰에서 설치자 보호용 안전장치(장전장치)를 가진 압력식 지뢰, 당기는 힘을 이용한 인력식 지뢰 등으로 발전돼 왔다.
또 전자기술 발전으로 전차 진동을 감지해 폭발하는 지뢰, 금속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특성을 이용한 자기감응식 지뢰, 압력식.진동식.자기감응식 센서 등 2개 이상의 센서를 갖는 복합형 지뢰로 발전돼 왔다.
지뢰 설치방법 측면에서 볼 때는 사람이 직접 설치하는 지뢰에서 투척 살포하거나 탄 투발로 설치되는 지뢰로 발전됐으며, 적군이 지뢰를 제거하지 못하도록 탐지가 불가능한 지뢰도 나타나게 됐다.
그러나 이처럼 발전을 거듭해 온 지뢰는 그 특성상 적과 아군을 식별해 사용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지뢰 설치 지역을 아군이 이동할 경우 지뢰 제거작업에 많은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군사적 정보가 없는 민간인에게는 더욱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 인식으로 인도적인 차원에서 대인지뢰 사용금지에 대한 협약이 오슬로에서 처음 채택됐으며, 그 후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다. 대인지뢰금지협약에 대한 활동의 일환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휴전선 인근 지역 및 군사보호구역에 산재해 있는 유기지뢰·불발탄 등의 폭발물을 제거하는 활동이 지속되고 있다.
또 이러한 노력과 더불어 연구개발되는 지뢰기술 또한 지능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지능화된 지뢰는 적군이 기 설치된 지뢰를 제거하지 못하게 할 수 있고, 필요시 아군의 기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전시간 후에는 자폭·해체 기능이 있으며, 폭발은 원격으로 작동해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한 목표물을 선택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최근 종래의 지뢰기술을 대체하여 탐지장치와 살상장치를 커넥터 조립체를 통하여 체결하는 탐지/살상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탐지/살상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는 단자들은 접촉면이 협소하여 물리적 안정성 및 통전성의 취약점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물리적 안정성 및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단자들이 구비된 커넥터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살상장치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 제1단자와 탐지장치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 제2단자의 면대면의 면접촉을 통하여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물리적 안정성 내지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야전에서 이용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의 특성상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방수구조를 이중으로 강화한 탐지장치와 살상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는, 일단이 살상장치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되 단부에 제1평탄면을 가지는 제1단자들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와, 일단이 탐지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제1단자들의 제1평탄면과 각각 면접촉하게 되는 제2평탄면을 가지는 제2단자들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커넥터 하우징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살상장치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1A돌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타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제1B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커넥터 하우징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탐지장치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2A돌출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타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B돌출부의 삽입공간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제2B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B돌출부는 상기 제1B돌출부의 내벽에서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B돌출부는 상기 제2B돌출부에서 J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게 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홈은, 상기 제2B돌출부의 입구 가장자리에서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일단에서 소정의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상기 안내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커넥터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과 상기 제2B돌출부 외벽 및 내벽의 경계지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제1B돌출부와의 체결 부위를 이중으로 밀봉하게 되는 이중 실링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중 실링부재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B돌출부 외벽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제2B돌출부 외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B돌출부의 내벽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제2B돌출부 내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1단자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과 제2단자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절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돌기와 걸림홈은 각각, 상기 제1B돌출부와 제2B돌출부의 둘레를 따라서 120도의 간격을 두고 세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제1A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살상장치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1A돌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A직경보다 큰 제1B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제1B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되 단부에 제1평탄면을 가지는 제1단자들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제2A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탐지장치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2A돌출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2A직경보다 큰 제2B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B돌출부의 삽입공간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제2B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제1단자들의 제1평탄면과 각각 면접촉하게 되는 제2평탄면을 가지는 제2단자들과, 상기 제2플레이트부과 상기 제2B돌출부 외벽 및 내벽의 경계지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제1B돌출부와의 체결 부위를 이중으로 밀봉하게 되는 이중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중 실링부재는, 상기 제2B돌출부 외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2B돌출부 내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는 살상장치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 제1단자들과 탐지장치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 제2단자들의 면접촉을 통하여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물리적 안정성 내지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는 야전에서 이용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의 특성상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방수구조를 이중으로 강화하여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체결 부위에 물이 침투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1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1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2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2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2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제1단자와 제2커넥터의 제2단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제1단자와 제2커넥터의 제2단자의 체결 전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1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1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10)는 그 일단이 살상장치(1)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100)와, 그 일단이 탐지장치(2)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제1커넥터(100)의 타단에 걸림 결합되는 제2커넥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10)의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수직 상으로 걸림 결합을 이루어 단자들(120,220)의 연결 접속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1커넥터(100)는 외관을 형성하여 그 양단이 각각 살상장치(1)와 제2커넥터(200)에 체결되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중심축 상에서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단자들(120)과,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제1단자들(120)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제1절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넥터 하우징(110)은 대략 속이 빈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커넥터 하우징(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1플레이트부(111)의 일단에서 원통형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살상장치(1)에 체결되는 제1A돌출부(112)와, 제1플레이트부(111)의 타단에서 원통형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제2커넥터(2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을 가지는 제1B돌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 하우징(110)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복수의 제1단자들(120)이 구비된다.
제1단자들(120)은 도전성의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2커넥터(200)의 제2단자들(22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단자들(120)은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제1A돌출부(112)에 대응 배치되는 제1A단자부(121)와,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제1B돌출부(113)에 대응 배치되는 제1B단자부(122)와, 제1A단자부(121)와 제1B단자부(122)가 직선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제1A단자부(121)와 제1B단자부(122)의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탄성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A단자부(121)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제1A돌출부(112)에서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살상장치(1)의 미도시된 기판과 솔더링 결합될 수 있다.
제1B단자부(122)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제1B돌출부(113)에서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그 단부에 제1평탄면(122A)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제2커넥터(200)의 제2단자들(220)과 면접촉하게 되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탄성부(123)는 제1A단자부(121)와 제1B단자부(122)의 사이에서 스프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B단자부(122)가 제2커넥터(200)의 제2단자들(220)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부(111)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플레이트부(111)에는 살상장치(1)의 미도시된 하우징에 나사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제1체결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플레이트부(111)의 일단에는 제1플레이트부(111)에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살상장치에 밀착되는 제1A돌출부(112)가 구비되어 있다.
제1플레이트부(111)의 타단에는 제2커넥터(2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을 가지는 제1B돌출부(113)가 제1플레이트부(111)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B돌출부(113)는 제2커넥터(2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을 형성하는 제1원통몸체(113A)와, 제1원통몸체(113A)의 내면에서 삽입공간(114)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113B)를 포함한다.
제1B돌출부(113)의 삽입공간(114)에는 제2커넥터(200)가 삽입되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체결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삽입공간(114)의 내면은 후술하는 제2커넥터(200)의 제2B돌출부(213)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113B)는 제1원통몸체(113A)의 내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삽입공간(114)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113B)는 대략 핀 형상으로 형성되되 후술하는 제2커넥터(200)의 걸림홈(213B)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은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커넥터(100)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제1단자들(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130)를 더 구비한다.
제1절연부재(130)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중심축 부근에서 제1단자들(120)과 제1커넥터 하우징(110) 사이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40은 제1절연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B돌출부(113)의 내벽에 끼워지는 제1멈춤링이며, 도면부호 150은 제1커넥터 하우징(110) 제1B돌출부(113)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을 채워넣기 위한 몰딩재이다.
제1커넥터(100)에는 상대 커넥터인 제2커넥터(200)가 체결된다. 이러한 제2커넥터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2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2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의 제2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200)의 외관은 제1커넥터(100)와 마찬가지로 제2커넥터 하우징(210)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커넥터(200)는 외관을 형성하여 그 양단이 각각 탐지장치(2)와 제1커넥터(100)에 체결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2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중심축 상에서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단자들(220)과, 제2커넥터 하우징(210)과 제2단자들(220)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제2절연부재(230)와,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내벽과 외벽에 이중으로 끼워지는 이중 실링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커넥터 하우징(210)은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대략 속이 빈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커넥터 하우징(2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부(211)와, 제2플레이트부(211)의 일단에서 원통형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탐지장치에 체결되는 제2A돌출부(212)와, 제2플레이트부(211)의 타단에서 원통형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제1B돌출부(113)에 삽입되는 제2B돌출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넥터 하우징(210)은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복수의 제2단자들(220)이 구비된다.
제2단자들(220)은 도전성의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커넥터(100)의 제1단자들(12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단자들(220)은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제2A돌출부(212)에 대응 배치되는 제2A단자부(221)와,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제2B돌출부(213)에 대응 배치되는 제2B단자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A단자부(221)는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제2A돌출부(212)의 내측에 배치되어 탐지장치(2)의 미도시된 케이블과 솔더링 결합될 수 있다.
제2B단자부(222)는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제2B돌출부(213)에서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그 단부에 제2평탄면(222A)을 구비하여 상술한 제1커넥터(100) 제1단자들(120)의 제1평탄면(122A)과 면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제1평탄면(122A)과 제2평탄면(222A)에 의해 제1단자들(120)과 제2단자들(220)은 면대면으로 접촉할 수 있어 접촉면적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제1평탄면(122A)과 제2평탄면(222A)이 면대면 접촉으로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제1단자들(120)과 제2단자들(220)의 결합을 위한 물리적 안정성 및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제2플레이트부(211)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플레이트부(211)에는 탐지장치(2)의 미도시된 하우징에 나사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제2체결홈(2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플레이트부(211)의 일단에는 제2플레이트부(211)에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탐지장치(2)에 밀착되는 제2A돌출부(212)가 구비되어 있다.
제2플레이트부(211)의 타단에는 제1커넥터(100)에 삽입되는 제2B돌출부(213)가 제2플레이트부(211)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B돌출부(213)는 제1커넥터(100)에 삽입되는 제2원통몸체(213A)와, 제2원통몸체(213A)에서 J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제1B돌출부(113)의 걸림돌기(113B)가 끼워지게 되는 걸림홈(21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홈(213B)은 J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홈(213B)에는 상술한 제1커넥터(100) 제1B돌출부(113)의 걸림돌기(113B)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걸림홈(213B)은 제1커넥터 하우징(110)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걸림홈(213B)은 제2커넥터의 입구 가장자리를 향해 일측이 개구되어 걸림돌기(113B)를 안내하는 안내부(251)와, 안내부(251)의 일단에서 소정의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2)와, 연장부(252)의 일단에서 안내부(251)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걸림돌기(113B)가 끼워 고정되는 걸림부(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내부(251)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이 삽입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입구 측, 즉, 제2원통몸체(213A)의 입구 가장자리 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안내부(251)는 제2원통몸체(213A)의 입구 가장자리로부터 제2커넥터 하우징(2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안내부(251)의 일단에는 연장부(252)가 안내부의 일단에서 소정의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장부(252)는 안내부(251) 및 걸림부(253)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연장부(252)는 안내부(251)와 걸림부(253) 사이를 이어주는 통로 역할을 한다.
연장부(252)의 일단에는 걸림부(253)가 안내부를 향하여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걸림부(253)는 안내부(251)가 개구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걸림부(253)는 제1커넥터 하우징(110) 제1B돌출부(113)의 걸림돌기(113B)가 걸리는 부분이다. 이때, 걸림홈(213B)의 연장부(252)는 안내부(251)를 중심으로 제2커넥터 하우징(21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213B)은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세 개가 형성된다.
제2커넥터 하우징(210) 제2플레이트부(211)의 일면과 제2A돌출부(212) 외벽 및 내벽의 경계지점에 각각 배치되어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의 결합 부위를 이중으로 밀봉하게 되는 이중 실링부재(240)가 구비된다.
이중 실링부재(240)는, 제2플레이트부(211)와 제2B돌출부(213) 외벽의 경계지점에서 제2B돌출부(213) 외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241)와, 제2플레이트부(211)와 제2B돌출부(213)의 내벽의 경계지점에서 제2B돌출부(213) 내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야전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의 특성상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체결 부위에 물이 침투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침투한 물에 의해 커넥터 조립체(10)의 내부 구성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제1단자와 제2커넥터의 제2단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체결 전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커넥터 하우징(210)을 파지하여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걸림돌기(113B)를 제2커넥터 하우징(210) 걸림홈(213B)의 안내부(251)에 맞추어 삽입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의 걸림돌기(113B)가 제2커넥터 하우징의 안내부(251)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제2커넥터 하우징(210)을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4)으로 밀어넣는다. 이때, 제1커넥터 하우징의 걸림돌기(113B)는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안내부(251)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2커넥터 하우징(210)이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부로 안내된다.
제2커넥터 하우징(210)이 소정 거리 삽입되면, 제2커넥터 하우징(210)의 제2단자들은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제1단자들(120)과 접촉하게 된다.
특히, 제1단자들(120)의 제1평탄면(122A)과 제2단자들(220)의 제2평탄면(222A)은 면대면 접촉으로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제1단자들(120)과 제2단자들(220)의 결합을 위한 물리적 안정성 및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단자들(120)은 제1탄성부(123)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으므로, 제2커넥터 하우징(210)은 제1단자들(120)의 제1탄성부(123)에 의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1단자들(1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제1커넥터 하우징(110) 방향으로 힘을 주어 제2커넥터 하우징(210)을 밀어넣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커넥터 하우징(2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커넥터 하우징(110) 걸림돌기(113B)가 제2커넥터 하우징 걸림홈(213B)의 걸림부(253)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시킨다.
제1커넥터 하우징(110)의 걸림돌기(113B)가 제2커넥터 하우징 걸림홈(213B)의 걸림부(253)의 입구에 위치되면 제1단자들에 의해 제2커넥터 하우징(210) 방향으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113B)는 걸림부(253)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제2커넥터 하우징(210)은 제1커넥터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 하우징(110)과 제2커넥터 하우징(210)에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걸림돌기(113B)가 걸림홈(213B)의 걸림부(253)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는 살상장치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와 탐지장치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면접촉을 통하여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물리적 안정성 내지 통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커넥터 조립체 100..제1커넥터
110...제1커넥터 하우징 120...제1단자들
130...제1절연부재 200...제2커넥터
210...제2커넥터 하우징 220...제2단자들
230...제2절연부재 240...이중 실링부재

Claims (11)

  1. 일단이 살상장치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되 단부에 제1평탄면을 가지는 제1단자들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와,
    일단이 탐지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제1단자들의 제1평탄면과 각각 면접촉하게 되는 제2평탄면을 가지는 제2단자들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살상장치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1A돌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타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제1B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탐지장치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2A돌출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타단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B돌출부의 삽입공간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제2B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B돌출부는 상기 제1B돌출부의 내벽에서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B돌출부는 상기 제2B돌출부에서 J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게 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2B돌출부의 입구 가장자리에서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일단에서 소정의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상기 안내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과 상기 제2B돌출부 외벽 및 내벽의 경계지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제1B돌출부와의 체결 부위를 이중으로 밀봉하게 되는 이중 실링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실링부재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B돌출부 외벽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제2B돌출부 외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B돌출부의 내벽의 경계지점에서 상기 제2B돌출부 내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1단자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과 제2단자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절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은 각각,
    상기 제1B돌출부와 제2B돌출부의 둘레를 따라서 120도의 간격을 두고 세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10.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제1A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살상장치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1A돌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A직경보다 큰 제1B직경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제1B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되 단부에 제1평탄면을 가지는 제1단자들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제2A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탐지장치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2A돌출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2A직경보다 큰 제2B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B돌출부의 삽입공간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제2B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 중심축 상에서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제1단자들의 제1평탄면과 각각 면접촉하게 되는 제2평탄면을 가지는 제2단자들과, 상기 제2플레이트부과 상기 제2B돌출부 외벽 및 내벽의 경계지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제1B돌출부와의 체결 부위를 이중으로 밀봉하게 되는 이중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실링부재는,
    상기 제2B돌출부 외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2B돌출부 내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KR1020120126616A 2012-11-09 2012-11-09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KR101381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616A KR101381306B1 (ko) 2012-11-09 2012-11-09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616A KR101381306B1 (ko) 2012-11-09 2012-11-09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306B1 true KR101381306B1 (ko) 2014-04-04

Family

ID=5065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616A KR101381306B1 (ko) 2012-11-09 2012-11-09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3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642A (ko) * 1996-06-21 1998-03-30 야마우치 히로시 커넥터 조립체
KR20090132362A (ko) * 2008-06-20 200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107305A (ko) * 2009-03-25 2010-10-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642A (ko) * 1996-06-21 1998-03-30 야마우치 히로시 커넥터 조립체
KR20090132362A (ko) * 2008-06-20 200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107305A (ko) * 2009-03-25 2010-10-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900B1 (ko) 커넥터
US9570862B2 (en) Terminal and charging connector
US8960093B2 (en) Igniter with a multifunctional plug
US6298190B2 (en) Field repairable hermaphroditic connector tool
US9160097B2 (en) Connector with small housing
EP2913899A1 (en) Charging connector
US9337582B2 (en) Connector unit
EP2362492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437972B2 (en) Electric connector
US20070207669A1 (en) Connector for electronic detonators
KR2012010554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20160097623A1 (en) Initiator modules, munitions systems including initiator modules, and related methods
CN111384633A (zh) 水密连接器
KR101381306B1 (ko) 살상장치와 탐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EP0270270B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KR200405989Y1 (ko) 아머드 케이블용 그랜드의 구조
JP6919837B2 (ja) 水中爆弾用安全装置
CN209526284U (zh) 连接器、对配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9281611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wire retainer tube
CN211579476U (zh) 一种电线保护器
US9318842B2 (en) Connector
US20150126059A1 (en) Waterproof assembly for a light string
KR102517170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RU2421677C1 (ru) Боеприпас для гранатометной системы
WO2013115417A1 (en) Liquid-proof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