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151A -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151A
KR20100107151A KR1020090025289A KR20090025289A KR20100107151A KR 20100107151 A KR20100107151 A KR 20100107151A KR 1020090025289 A KR1020090025289 A KR 1020090025289A KR 20090025289 A KR20090025289 A KR 20090025289A KR 20100107151 A KR20100107151 A KR 20100107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housing
coil spring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560B1 (ko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56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부재가 반경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위치 보정 가능한 역류방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는, 내부가 중공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왕복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수측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측 부분에는 하우징의 중심부측으로 수렴되는 수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부측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역류방지장치, 탄성부재

Description

역류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본 발명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다양한 장치에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와 같은 역류방지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정수기와 같은 가전제품, 산업용 기기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와 온수탱크 사이의 배관이나 호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탄성을 작용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일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압축됨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유로를 개방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이 신장됨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유로를 폐쇄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역류방지장치는 코일 스프링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므로, 상기 코일 스프링이 개폐부재의 테두리부 전체에 균일한 탄성력을 작용하기 곤란했다.
이처럼 개폐부재의 테두리부에 탄성력이 불균일하게 작용함게 되면, 상기 개 폐부재가 개방될 때에 반경방향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역류방지장치의 개폐성능이 저하될 수 있었다. 나아가, 상기 개폐부재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면 정위치로 위치 보정되기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부재의 중심부측에 탄성이 작용되도록 하여 개폐부재가 일측으로 치우치더라도 정위치로 보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부재가 개방될 때에 상기 개폐부재가 떨림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는, 내부가 중공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왕복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수측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측 부분에는 하우징의 중심부측으로 수렴되는 수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부측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렴부는 원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렴부에 끼워지는 삽입부; 및 상기 원추부의 외측 테두리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외측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렴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하우징의 입수측을 개방할 때에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부와 외측 테두리를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부재의 중심부측에 탄성이 작용되도록 하여 개폐부재 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부재가 정위치로 보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부재가 떨리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하우징(110), 개폐부재(120) 및 코일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은 하우징(110)의 중심부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원형의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개폐부재(120)와 코일 스프링(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2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소정 거리 왕복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130)은 상기 개폐부재(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개폐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에 끼워지는 개폐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121)는 하우징(110)의 유체 입수측(111)에 끼워져 개폐시킬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20)는 코일 스프링(130)의 중심측에 결합되는 결합부(123)와,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테두리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12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부재(120)의 외측 지지부(12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왕복되도록 가이드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15)은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123)는 코일 스프링(130)측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지지부(125)는 코일 스프링(130)의 테두리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23)와 외측 지지부(125)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개폐부재(120)측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중심측으로 수렴되는 수렴부(1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렴부(131)는 개폐부재(120)의 결합부(123)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120)의 중심부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수렴부(131)는 원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20)의 외측 지지부(125)는 수렴부(131)의 외측 테두리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지지부(125)는 상기 개폐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을 개방할 때에 상기 수렴부(131)의 외측 테두리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20)가 개방된 때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130)인 개폐부재(120)의 중심부측과 테두리측을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을 개방할 때에 반경방향을 일측으로 위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지지부(125)는 상기 개폐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을 폐쇄할 때에 상기 수렴부(131)의 외측 테두리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을 폐쇄시킨 때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130)이 개폐부재(120)의 중심부측만을 탄성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출수측(112)에는 슬리브(14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슬리브(14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출수측(112)을 안정되게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역류방지장치에서 개폐부재가 하우징의 입수측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출수측(112)에서 입수측(111)으로 압력이 작용하거나 또는 출수측(112)과 입수측(111)의 압력이 거의 평형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수렴부(131)는 상기 개폐부재(120)의 중심부측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개폐부재(120)가 반경방향의 일측으로 거의 치우치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을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20)가 하우징의 내측과의 유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약간 치우칠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수렴부(131)가 개폐부재(120)의 동심원 방향으로 탄성을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20)는 정위치로 위치 보정되므로, 상기 역류방지장치(100)의 역류 방지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역류방지장치에서 개폐부재가 하우징의 입수측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에서 출수측(112)으로 코일 스프링(130)보다 큰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20)는 코일 스프링(130)을 출수측(112)으로 가압한다.
상기 개폐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을 약간 개방한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수렴부(131)는 개폐부재(120)에 의해 가압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수렴부(131)는 개폐부재(120)의 중심부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상기 개폐부재(120)는 반경방향의 일측으로 거의 치우지치 않은 상태로 하우징(110)의 출수측(112)으로 후퇴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20)가 순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약간 치우칠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수렴부(131)가 개폐부재(120)의 동심원 방향으로 탄성을 작용하여 상기 개폐부재(120)를 정위치로 위치 보정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을 안정적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입수측(111)을 완전히 개방한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수렴부(131)는 개폐부재(120)에 의해 압축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20)의 중심부와 테두리는 상기 수렴부(131)의 중심측과 테두리에 의해 동시에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20)가 반경방향의 일측으 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20)가 반경방향으로 약간 기우어졌다 하더라도 상기 수렴부(131)의 테두리에 의해 정위치로 보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역류방지장치(100)의 압력과 유속이 높아지더라도 상기 개폐부재(120)가 떨림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역류방지장치의 역류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역류방지장치에서 개폐부재가 하우징의 입수측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역류방지장치에서 개폐부재가 하우징의 입수측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하우징 120: 개폐부재
123: 결합부 125: 외측 지지부
130: 코일 스프링 131: 수렴부

Claims (4)

  1. 내부가 중공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왕복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수측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측 부분에는 하우징의 중심부측으로 수렴되는 수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부측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역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렴부는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렴부에 끼워지는 삽입부; 및
    상기 원추부의 외측 테두리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렴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하우징의 입수측을 개방할 때에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부와 외측 테두리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
KR1020090025289A 2009-03-25 2009-03-25 역류방지장치 KR101535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89A KR101535560B1 (ko) 2009-03-25 2009-03-25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89A KR101535560B1 (ko) 2009-03-25 2009-03-25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151A true KR20100107151A (ko) 2010-10-05
KR101535560B1 KR101535560B1 (ko) 2015-07-10

Family

ID=4312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289A KR101535560B1 (ko) 2009-03-25 2009-03-25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5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21B1 (ko) * 2012-04-23 2013-06-17 임사현 그리스밸브
KR20180135290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삼천리 이중 안전 밸브 및 이를 구비한 가스 배관 시스템
KR200491532Y1 (ko) * 2019-01-08 2020-04-24 (주)코맷 전자부품 가공장비와 관련된 화학물질 드레인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406A (ko) 2022-11-03 2024-05-10 (주)청호시스템 체크밸브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0174U (ko) * 1986-05-27 1987-12-03
KR200204278Y1 (ko) * 2000-06-23 2000-11-15 이정헌 체크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21B1 (ko) * 2012-04-23 2013-06-17 임사현 그리스밸브
KR20180135290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삼천리 이중 안전 밸브 및 이를 구비한 가스 배관 시스템
KR200491532Y1 (ko) * 2019-01-08 2020-04-24 (주)코맷 전자부품 가공장비와 관련된 화학물질 드레인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560B1 (ko) 201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3432A3 (en) Fluid control valve
KR20100107151A (ko) 역류방지장치
JP2009511272A5 (ko)
ATE475493T1 (de) Hochdruckspritzpistole
ATE487542T1 (de) Schaumbildende anordnung, pressschäumer und spender
WO2011116752A3 (de) Pumpe mit einer einem ventil zugeorneten dämpfanordnung
WO2010045906A3 (de) Pumpe, insbesondere flügelzellenpumpe
TW200641280A (en) Fastener for a faucet
GB0320883D0 (en) Fluid pump
US7527073B2 (en) Backflow preventer
WO2006102510A3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valve assembly with a vacuum pulsation dampener
ATE415808T1 (de) Düse zum grobtropfigen versprühen eines fluids
RU2010111771A (ru) Сепаратор жидкости
JP5566836B2 (ja) 多連式給水電磁弁
RU2009145662A (ru) Упругий двойной клапан
KR101449510B1 (ko) 역류방지장치
EP2065621A3 (en) Fluid filt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WO2009014218A1 (ja) 流路開閉装置
KR101498146B1 (ko) 수도용 체크밸브
KR102205867B1 (ko) 멀티 체크 밸브
KR101268980B1 (ko) 체크밸브
WO2008110776A3 (en) A component for installation in a steam plant
JP2014047905A (ja) 逆止弁
KR101146453B1 (ko) 역류방지장치
KR20170064611A (ko) 역류방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