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453B1 -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453B1
KR101146453B1 KR1020080019480A KR20080019480A KR101146453B1 KR 101146453 B1 KR101146453 B1 KR 101146453B1 KR 1020080019480 A KR1020080019480 A KR 1020080019480A KR 20080019480 A KR20080019480 A KR 20080019480A KR 101146453 B1 KR101146453 B1 KR 101146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prevention device
backflow preventio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504A (ko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4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는,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슬리브; 및 상기 테두리부와 슬리브의 일단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의 유압이 일방향으로 작용할 때에는 상기 바디의 테두리부에 걸려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는 개폐판부와, 상기 프레임부와 개폐판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갖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개폐판부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상기 개폐판부가 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유체의 정상적인 유속을 확보하며,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80019480
역류방지장치, 밸브

Description

역류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본 발명은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다양한 장치에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와 같은 역류방지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정수기와 같은 가전제품, 산업용 기기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정수기의 정수탱크와 온수탱크 사이의 배관이나 호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탄성을 작용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일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유로를 개방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유로를 폐쇄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역류방지장치의 유로 내부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및 개폐부재 지지 구조 등이 복잡하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과 지지 구조에 의해 유로 저항이 현저히 상승되어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곳에 적용이 곤란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및 지지 구조에 유체가 유동될 때에 기포가 발생되어 유속이 현저히 느려지고 유체의 유동 소음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다양한 지지 구조에 의해 내부 형상이 복잡해지므로,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제조 단가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 유동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유체의 정상적인 유속을 확보하며,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는,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슬리브; 및 상기 테두리부와 슬리브의 일단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의 유압이 일방향으로 작용할 때에는 상기 바디의 테두리부에 걸려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는 개폐판부와, 상기 프레임부와 개폐판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갖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개폐판부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상기 개폐판부가 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는 테두리부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 유동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유체의 정상적인 유속을 확보하며,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역류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역류방지장치(10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개구된 형태의 바디(11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의 양단에는 배관(미도시)이나 호스(미도시)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바디(110)의 양단에는 배관이나 호스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는 누수가 되지 않도록 오링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110)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부(111)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테두리부(111)는 바디(110)의 일단부에 링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바디(110)의 내면에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는 슬리브(120)가 삽입된다. 상기 슬리브(120)는 상기 바디(110)에 대응되도록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 리브(120)의 중공부는 실질적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121)를 형성한다.
상기 슬리브(12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바디(110)의 내주면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압입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123)는 상기 슬리브(120)가 바디(110)의 내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바디(110)에 억지 끼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입부(123)의 삽입측에는 상기 슬리브(120)의 외면이 바디(110)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20)가 상기 바디(110)에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27)은 슬리브(120)의 일단부에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의 테두리부(111)와 상기 슬리브(120)의 일단부 사이에는 밸브(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130)는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과 같이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130)는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130)는 슬리브(120)의 내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31)와, 상기 프레임부(131)의 내측에 배치되는 개폐판부(132)와, 상기 프레임부(131)와 개폐판부(132)를 연결하는 힌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31)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110)의 테두리부(111)와 상기 슬리브(120)의 일단부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밸브(130)를 배치시킨 후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슬리브(120)를 삽입하면, 상기 프레임부(131)의 양측면이 상기 테두리부(111)와 상기 슬리브(120)의 일단부에 의 해 약간 압착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부(131)의 내경은 상기 슬리브(120)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슬리브(120)의 유로(121)를 따라 유체가 유동될 때에 유동 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31)의 내경은 상기 테두리부(1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31)가 상기 테두리부(111)와 슬리브(120)의 일단부 사이에 움직이지 않도록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개폐판부(132)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31)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부(132)의 직경은 상기 테두리부(111)의 내경보다는 크고 상기 슬리브(120)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부(132)에 일방향(도면의 좌측)으로 유압의 압력(이하에서는 '유압'이라고 한다)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개폐판부(132)는 상기 바디(110)의 테두리부(111)에 걸려 유로(121)를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132)에 타방향(도면의 우측)으로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개폐판부(132)는 유로(121)를 개방시킨다.
상기 바디(110)에는 테두리부(111)를 가로지르도록 지지 리브(11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리브(113)는 상기 개폐판부(132)가 유로(121)를 폐쇄하도록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개폐판부(132)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 리브(113)는 개폐판부(132)에 일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개폐판부(132)가 휘어지거나 꺽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 리브(113)는 "╋"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지지 리브(113)는 유로(121)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두께가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역류방지장치에서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121)에 유체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개폐판부(132)의 일면에는 유압이 작용한다. 상기 개폐판부(132)는 유압에 의해 상기 힌지부(133)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유로(121)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장치(100)의 내부에는 구조가 간단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유로(121)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역류방지장치(100)를 통과한 유체에는 기포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배관이나 호스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확보할 수 있고 유체의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장치(100)의 구조와 조립 공정이 간단하므로,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역류방지장치에서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121)에 유체가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개폐판부(132)의 타면에는 유압이 작용한다. 이때, 상기 개폐판부(132)는 상기 테두리부(111)에 걸려 회전되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부(132)는 유압이 작용됨에 의해 상기 테두리부(111)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역류방지시 유로(121)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13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개폐판부(132)에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역류방지시 상기 테두리부(111)와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어 실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폐판부(132)의 일면은 상기 지지 리브(113)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개폐판부(132)에 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판부(132)는 거의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유체의 유속을 확보하고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역류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역류방지장치에서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역류방지장치에서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역류방지장치 110: 바디
111: 테두리부 113: 지지 리브
120: 슬리브 121: 유로
123: 압입부 124: 테이퍼
127: 걸림턱 130: 밸브
131: 프레임부 132: 개폐판부
133: 힌지부

Claims (4)

  1.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슬리브; 및
    상기 테두리부와 슬리브의 일단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의 유압이 일방향으로 작용할 때에는 상기 바디의 테두리부에 걸려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는 개폐판부와, 상기 프레임부와 개폐판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갖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개폐판부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상기 개폐판부가 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는 테두리부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
KR1020080019480A 2008-03-03 2008-03-03 역류방지장치 KR101146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480A KR101146453B1 (ko) 2008-03-03 2008-03-03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480A KR101146453B1 (ko) 2008-03-03 2008-03-03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04A KR20090094504A (ko) 2009-09-08
KR101146453B1 true KR101146453B1 (ko) 2012-05-18

Family

ID=4129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480A KR101146453B1 (ko) 2008-03-03 2008-03-03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4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3173A (en) 1968-02-26 1976-01-20 Yoshio Kajita Check valve
JPS62155382A (ja) 1985-12-26 1987-07-10 Shinya Ai 逆止弁
KR20070045554A (ko) * 2005-10-27 2007-05-02 한국기계연구원 힌지형 박판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3173A (en) 1968-02-26 1976-01-20 Yoshio Kajita Check valve
JPS62155382A (ja) 1985-12-26 1987-07-10 Shinya Ai 逆止弁
KR20070045554A (ko) * 2005-10-27 2007-05-02 한국기계연구원 힌지형 박판 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04A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35793B2 (en) Irrigation valve
KR20090060938A (ko) 역지밸브
EP1835209A3 (en) Triple duty valve
PL174939B1 (pl) Zawór zwrotny z kulowym elementem zamykającym
JP6031647B2 (ja) 管体継ぎ手
US7527073B2 (en) Backflow preventer
KR101146453B1 (ko) 역류방지장치
JP4428501B2 (ja) 逆止弁
KR200448968Y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KR20100130950A (ko) 역류방지밸브
KR101268980B1 (ko) 체크밸브
KR101126755B1 (ko)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KR101498146B1 (ko) 수도용 체크밸브
EP2065621A3 (en) Fluid filt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KR200447182Y1 (ko) 소켓 분리형 역류방지 장치
JP2008256114A (ja) 通気弁
KR20090080772A (ko) 역류방지장치
JP2007132441A (ja) 逆流防止弁
CN107061806B (zh) 卫浴回流防止阀
JP4262634B2 (ja) 逆止弁の水撃防止装置
KR20130114362A (ko) 버터플라이 밸브용 시트 일체형 라이닝
KR101568286B1 (ko) 회전식 개폐 부재를 구비하는 밸브
KR200338649Y1 (ko) 다이아프램 밸브
KR102601365B1 (ko) 배관 삽입형 체크밸브 장치
JP3127795U (ja) 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