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755B1 -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755B1
KR101126755B1 KR1020100006327A KR20100006327A KR101126755B1 KR 101126755 B1 KR101126755 B1 KR 101126755B1 KR 1020100006327 A KR1020100006327 A KR 1020100006327A KR 20100006327 A KR20100006327 A KR 20100006327A KR 101126755 B1 KR101126755 B1 KR 101126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body
fluid
check valve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928A (ko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김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용 filed Critical 김지용
Priority to KR102010000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7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40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the lift valve being of the bal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고압 유체에 적합한 기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본 발명은 내측에 관통 형성된 이동홀을 이루는 일부 테두리가 돌출되어 길이 방향의 유입 공간 및 유출 공간을 구분 형성하는 내돌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유출 공간에 구비되되, 일측 테두리부가 탄발지지에 의해 상기 내돌출부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측면 유로를 개방하도록 이동되며 상기 일측 테두리부에 원형테두리 형상의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밸브체; 및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 고정되되, 라운드진 노출면이 상기 밸브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내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면 접촉되는 고압용 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check valve type coup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 유체에 적합한 기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니플 타입으로서 기름의 유입과 배출로서 작동하는 산업용 기계의 유압장치의 입구와 출구 부분에 각각 결합되거나 압력테스트용 압력게이지와 고무호스를 연결하는 것 등과 같이 500bar 내지 600bar의 고압에도 견딜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이동되는 체크밸브형으로 이루어진 커플링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커플링 장치가 액체의 흐름을 통제하는 체크밸브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기름의 유입으로 작동되는 각종 장치나 기구 등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동되는 밸브체의 밀착시에 밀폐 부위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성이 중요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100)는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유체가 이동되는 이동홀(1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동홀(111)을 이루는 일측 테두리가 돌출된 지지부(112)가 구비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지지부(112)에 지지되며 타측이 탄발지지되어 상기 이동홀(11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좌우 이동되면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형의 밸브체(120)와, 상기 밸브체(120)를 탄발지지하여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밸브체(120)가 좌우 이동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코일스프링(14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유체의 압력과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탄발지지력이 상호 작용하여 상기 밸브체(120)의 이동으로 유로가 개폐됨에 따라 고압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밸브체(120)는 상기 지지부(112)에 선 접촉됨으로써 밸브체(120)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밸브체(120)는 볼형으로 이루어지며 원형 테두리 형상의 지지부(112)에 선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밸브체(120)가 이동되면서 접촉 부위에 흠집이 발생되며 계속적인 사용에 따른 마모가 발생되어 저압의 유체에도 리크(leak)가 발생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상기 밸브체(120)가 마모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었으며 상기 이물질이 접촉 부위에 끼이면서 리크(leak)를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접촉 구조가 개선되면서 고압용 오링부재가 결합된 밸브체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이 잘 묻지 않는 오링부재가 면 접촉되어 상기 밸브체의 실링이 이루어지므로 고압 유체에 적합한 기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측에 관통 형성된 이동홀을 이루는 일부 테두리가 돌출되어 길이 방향의 유입 공간 및 유출 공간을 구분 형성하는 내돌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유출 공간에 구비되되, 일면 테두리부가 탄발지지에 의해 상기 내돌출부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측면 유로를 개방하도록 이동되며 상기 일면 테두리부에 원형테두리 형상의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밸브체; 및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 고정되되, 단면상 라운드진 노출면이 상기 밸브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내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면 접촉되는 고압용 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부를 이루는 최외곽 테두리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를 구속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는 상기 밸브체의 전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의 외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고압이 상기 노출면의 접촉 부위에 작용되도록 상기 수용홈부에 의하여 밀착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유입 공간에는 상기 유체가 상기 밸브체의 외주에 형성된 경사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메쉬 어셈블리가 상기 내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소돌기부에 걸림 고정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는 상기 밸브체의 후측부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대한 표면압이 증대되도록 듀로미터 경도가 90 이상인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고압용 오링부재가 면 접촉되어 실링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선 접촉으로 인한 흠집이나 마모로 인한 리크가 방지되므로 고압 유체에 적합한 기밀성이 개선되어 기름의 유입으로 작동되는 각종 장치나 기구 등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고압용 오링부재는 수용홈부의 최외곽 테두리에 의해 구속되어 수용홈부에 의해 밀착 지지됨으로써, 유체의 고압이 실링 부위에만 집중되어 밸브체의 작동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노출면을 제외한 부위가 밀착되므로 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변질 부위가 최소화되어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밸브체로 유입되기 전에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메쉬 어셈블리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이 밸브체 주위에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물질에 의한 마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고압용 오링부재는 내측의 오링부와 노출면에 일체 형성된 표면부가 경도를 달리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오링부가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어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표면부에 의해 단단한 접촉 표면을 가지므로 실링 가압에 대한 기밀성은 물론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고압용 오링부재의 듀로미터 경도가 90 이상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압에 적합한 실링성을 가지면서 접촉 표면에 이물질이 잘 묻지 않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접촉 표면의 마모와 리크가 방지되어 내구성 또한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고압용 오링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주요 부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는 체크밸브의 역할을 하는 밸브체의 기밀 구조를 오링부재에 의한 면 접촉 구조로 개선하여 고압 유체에 적합한 기밀성이 향상됨은 물론 고압용에 적합한 오링부재가 사용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10)는 몸체(1), 밸브체(2), 고압용 오링부재(3) 및 코일스프링(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몸체(1)는 내측에 이동홀(11)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양측 단부를 통하여 호스 등에 연결된 어댑터와 나사 결합되거나 끼움으로 걸림 결합되고 오링홈(15)에 설치된 오링(5) 등으로 실링되는 연결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10, 20)는 호스 등의 일측에 연결되어 체크밸브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의 재질은 600bar 정도의 고압 유체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탄소의 함량이 0.17~0.23%인 스프링용 냉간압연 강대(Cold-rolled Strips for springs)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홀(11)을 이루는 일부 테두리가 상기 이동홀(11) 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의 유입 공간(11a) 및 유출 공간(11b)를 구분 형성하는 원형테두리 형상의 내돌출부(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돌출부(12)는 밸브체(2)가 걸림되는 지지 돌기의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이동홀(11) 상에 축소된 유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내돌출부(12)가 형성된 상기 이동홀(11)의 구조는 유체의 흐름 손실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유출 공간(11b), 유입 공간(11a) 및 내돌출부(12)들의 사이 공간 순으로 큰 유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의 내측 즉, 상기 유출 공간(11b)에 구비되는 밸브체(2)는 일면 테두리부가 탄발지지에 의해 상기 내돌출부(12)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 공간(11a)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측면 유로(11d)를 개방하도록 이동된다.
상세히, 상기 밸브체(2)는 부위에 따라 가이드 돌기부(21), 가이드 본체(22) 및 장착부(23)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부(21)는 상기 내돌출부(12)로 인하여 유로가 축소된 내측 이동홀(11)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이며 단부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돌출부(12)와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0.8mm~1mm)으로 이격되어 원형 테두리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 공간(11a)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가이드 돌기부(21)에 안내되어 가이드 본체(22)의 테두리부에 고르게 작용되므로 밸브체(2)는 이동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부(21)로부터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가이드 본체(22)는 상기 일면 테두리부에 원형테두리 형상의 홈 구조로 형성된 수용홈부(22a)가 구비되며 타면 테두리부는 코일스프링(4)의 단부에 접하여 탄발지지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본체(22)와 상기 코일스프링(4)의 지지 안정성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본체(22)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의 내측 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장착부(2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3)는 측면 유로(11d)를 통하여 이동되는 가이드 본체(22)가 기울어지면서 이동홀(11)에 끼여 동작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부(22a)를 이루는 최외곽 테두리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고압용 오링부재(3)를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입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고압이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와 상기 내돌출부(12)가 면 접촉되는 실링 부위에만 집중되므로 유체의 일관화된 흐름에 의하여 밸브체의 작동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고압용 오링부재(3)는 노출면을 제외한 부위가 밀착되므로 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변질 부위가 최소화되어 긴 수명을 가지므로 내구성 역시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본체(22)의 외주에는 상기 측면 유로(11d)를 확장시켜 유체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2b)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본체(22)의 외주는 도면상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경사져 있다. 물론, 경사부는 가이드 본체의 외주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2)의 재질은 고압 유체에 적합한 쾌삭강(Free Cutting Steel, SUM24)을 포함하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4)은 원통형, 방사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의 재질은 고압 유체에 적합한 경강선재(SWRH-77A or B ~ 82A or B)를 열처리 후 냉간 가공한 경강선(SW-C)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밸브체(2)의 상기 수용홈부(22a)에 삽입 고정되는 고압용 오링부재(3)는 단면상 라운드진 노출면이 상기 밸브체(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내돌출부(12)에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면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는 고무 및 우레탄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서 듀로미터 경도가 90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오링부재와 같은 탄성 재질의 경도는 듀로미터(Duromiter) 단위로 "A"로 표시하며 가장 무른 "0"에서 가장 강한 "100"까지 측정되는 것으로 듀로미터 경도를 90도 이상으로 높게 하는 것에 따라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의 표면에 이물질의 붙음이 작게 된다.
또한,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는 'ㄷ'자 형상의 상기 수용홈부(22a)에 밀착되게 삽입됨으로써 유체와 접촉되게 노출되는 노출면을 제외한 기타 부위에는 유체와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비교적 원활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유체로 인한 변질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는 상기 밸브체(2)의 전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21)의 외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고압이 상기 노출면의 접촉 부위에 작용되도록 상기 수용홈부에 의하여 밀착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10)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간단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고압용 오링부재(2)가 내돌출부(12)에 밀착되어 유체가 통과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유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는 상기 밸브체(2)와 함께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호스 등의 중간에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10)가 설치되고 유입 공간(11a)으로부터 300bar ~ 600bar의 압력을 갖는 기름이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기름은 가이드 돌기부(21)의 주위를 통하여 가이드 본체(22)의 테두리에 고르게 유입됨으로써 밸브체(2)에 압력을 작용시킨다.
이후, 밸브체(2)는 유체의 유압에 의하여 인장력이 발생되는 코일스프링(4)을 밀면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기름은 내돌출부(12)에 면 접촉된 고압용 오링부재(3)가 이격되면서 발생되는 틈 및 상기 밸브체(2)의 측면 유로(11d)를 통하여 유출 공간(11b)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기름은 이동홀(11)의 유로구조와 가이드 본체(22)의 경사부(22b)에 의해 흐름 손실 없이 원활하게 이동된다.
이후, 상기 기름의 유입이 중지되거나 상기 코일스프링(4)의 탄발지지력보다 작은 저압의 기름 유입시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의 복원력으로 상기 밸브체(2)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고압용 오링부재(3)의 노출면이 내돌출부(12)에 면 접촉으로 밀착 유지된다.
이때,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는 코일스프링(4)의 탄발지지력에 의해 가로축 방향의 힘을 받아 수축됨과 동시에 그의 내경은 팽창하여 상기 내돌출부(12)와 긴밀한 접촉면을 형성한다.
더욱이,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는 듀로미터 경도가 90 이상의 재질로서 고압의 유체에 적합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는 내마모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10)는 호스들 또는 파이프들을 연결하면서 유체가 일방향만으로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Check Valve)의 기능을 리크의 발생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는 상기 밸브체의 후측부에 배치된 코일스프링(4)에 의한 가압에 대한 표면압이 증대되도록 듀로미터 경도가 90 이상인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는 코일스프링(4)에 의한 가압 작용시 내돌출부(12)에 면 접촉되어 기존의 선 접촉으로 인한 리크(leak)가 방지됨은 물론 고압에 적합한 실링성을 가지면서 접촉 표면에 이물질이 잘 묻지 않아 이물질에 의한 접촉 표면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10)는 고압 유체에 적합한 기밀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기름의 유입으로 작동되는 각종 장치나 기구 등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쉬 어셈블리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중 메쉬 어셈블리(7)와 상기 메쉬 어셈블리(7)가 결합됨에 따른 이동홀(11)의 유로 구조를 제외한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밸브체(2) 측으로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20)의 유입 공간(11b)에는 내돌출부(12) 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 필터(72)를 포함하며 상기 내돌출부(12)에 걸림 지지되는 메쉬 어셈블리(7)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메쉬 어셈블리(7)는 일측에 연통홀(71a)이 형성된 면이 구비되며 타측이 메쉬 필터(72)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원통테 형상의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내측에 중첩되게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메쉬 필터(72)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쉬 어셈블리(7)가 상기 내돌출부(12)에 걸림이 용이하도록 상기 내돌출부(12)의 일측으로부터 재차 돌출 형성된 축소돌기부(2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쉬 어셈블리(7)가 상기 이동홀(11) 측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유입 공간(11a)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홀(11)의 유입구를 확장하기 위해 단면상 경사져서 방사형 구조로 이루어진 유입경사부(2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쉬 필터(72)는 유체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메쉬(mesh)를 달리하는 메쉬 필터(72)들로 구비됨으로써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 등의 불순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선별적으로 걸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과 입자가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메쉬 필터(72)들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메쉬 필터(72)에 불순물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쉬 필터(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의 제1메쉬 필터(72a), 제2메쉬 필터(72b) 및 제3메쉬 필터(72c)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메쉬 필터(72a)와 상기 제3메쉬 필터(72c)는 동일한 메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메쉬 필터(72b)보다 작은 메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메쉬 필터(72a)와 상기 제3메쉬 필터(72c)는 32메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메쉬 필터(72b)는 100메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20)의 이동홀(11)의 직경이 작은 경우(예를 들어, 5mm)에 소형의 크기를 갖는 메쉬 어셈블리(7)를 방향에 관계없이 삽입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입 공간(11a)에는 상기 유체가 상기 밸브체(2)의 외주에 형성된 경사부(22b)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메쉬 어셈블리(7)가 상기 내돌출부(12)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소돌기부(212)에 걸림 고정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물질이 밸브체(2) 주위에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물질에 의한 밸브체(2)의 마모 및 이물질에 의한 리크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10, 20)의 외면에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어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표시부(8)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향표시부(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화살표는 각인되거나 코팅되는 것 등의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내구적인 표시를 위해서 공구로 각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고압용 오링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주요 부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압용 오링부재(31)는 수용홈부(22a)에 삽입되는 오링 형상의 연질 재질로 구비되는 오링부(311)와, 상기 오링부(311)의 단면상 라운드진 노출면에 일체 형성되어 내돌출부(12)에 접촉되는 경질 재질로 구비되는 표면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술한 각 실시예의 고압용 오링부재(3)를 연질의 탄성 재질로 구성하되, 노출되는 라운드 면상에 경질의 탄성 재질을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표면부(312)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링부(311)는 듀로미터 경도가 40 내지 50A인 재질로 구성하며 상기 표면부(312)는 듀로미터 경도가 80 내지 90A인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면부(312)의 두께를 변화함으로써 표면압을 용이하게 변화시킬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31)는 내돌출부(12)에 접촉되도록 노출된 표면체가 단면 호 형상으로 경질의 탄성 재질이며 내부 지지체가 연질의 탄성 재질이다.
이를 통하여, 지지체와 접촉 표면이 구분된 강도를 갖는 고압용 오링부재(31)는 접촉 부위가 경질 재료여서 내마모성이 향상되면서도 지지체가 연질 재료여서 밀착 면적이 증대되는 탄성 변형력 또한 우수하여 기밀성 역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촉 구조가 개선되며 고압용 오링부재(3, 31)가 결합된 밸브체(2)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이 잘 묻지 않는 오링부재(3, 31)가 면 접촉되어 상기 밸브체(2)의 실링이 이루어지므로 고압 유체에 적합한 기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10, 20)를 제공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 있는 청구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20, 100: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1, 110: 몸체
11, 111: 이동홀 11a: 유입 공간
11b: 유출 공간 11d: 측면 유로
12: 내돌출부 15: 오링홈
2: 밸브체 21: 가이드 돌기부
22: 가이드 본체 22a: 수용홈부
22b: 경사부 23: 장착부
3, 31: 고압용 오링부재 4, 140: 코일스프링
5: 오링 7: 메쉬 어셈블리
71: 케이스 71a: 연통홀
72: 메쉬 필터 72a: 제1메쉬 필터
72b: 제2메쉬 필터 72c: 제3메쉬 필터
211: 유입경사부 212: 축소돌기부
311: 오링부 312: 표면부
8: 방향표시부

Claims (5)

  1. 내측에 관통 형성된 이동홀을 이루는 일부 테두리가 돌출되어 길이 방향의 유입 공간 및 유출 공간을 구분 형성하는 내돌출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유출 공간에 구비되되, 일면 테두리부가 탄발지지에 의해 상기 내돌출부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측면 유로를 개방하도록 이동되며 상기 일면 테두리부에 원형테두리 형상의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밸브체; 및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 고정되어, 단면상 라운드진 노출면이 상기 밸브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내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면 접촉되되, 상기 밸브체의 후측부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대한 표면압이 증대되도록 듀로미터 경도가 90 이상인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압용 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를 이루는 최외곽 테두리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를 구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용 오링부재는 상기 밸브체의 전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의 외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고압이 상기 노출면의 접촉 부위에 작용되도록 상기 수용홈부에 의하여 밀착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공간에는 상기 유체가 상기 밸브체의 외주에 형성된 경사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메쉬 어셈블리가 상기 내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축소돌기부에 걸림 고정되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5. 삭제
KR1020100006327A 2010-01-25 2010-01-25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KR10112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27A KR101126755B1 (ko) 2010-01-25 2010-01-25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27A KR101126755B1 (ko) 2010-01-25 2010-01-25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928A KR20110086928A (ko) 2011-08-02
KR101126755B1 true KR101126755B1 (ko) 2012-03-29

Family

ID=4492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327A KR101126755B1 (ko) 2010-01-25 2010-01-25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2887A (ko) 2022-04-27 2023-11-06 (주)하이플럭스 고압용 체크밸브
KR20240063406A (ko) 2022-11-03 2024-05-10 (주)청호시스템 체크밸브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640B1 (ko) * 2019-04-09 2020-11-17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핸들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5096A1 (en) * 2001-08-01 2003-02-06 James Jeory Coupling
JP2007194051A (ja) * 2006-01-19 2007-08-02 Toyo Seikan Kaisha Ltd メタノール燃料電池カートリッジ用弾性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5096A1 (en) * 2001-08-01 2003-02-06 James Jeory Coupling
JP2007194051A (ja) * 2006-01-19 2007-08-02 Toyo Seikan Kaisha Ltd メタノール燃料電池カートリッジ用弾性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2887A (ko) 2022-04-27 2023-11-06 (주)하이플럭스 고압용 체크밸브
KR20240063406A (ko) 2022-11-03 2024-05-10 (주)청호시스템 체크밸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928A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998B1 (ko) 체크밸브형 커플링장치
KR101102290B1 (ko) 관 조인트의 조인트 부재
US8979068B2 (en) Differential pressure sealing device for ball valves
US3401915A (en) Resilient material valve seal ring
EP3338013B1 (en) Flapper valve with improved flapper
CN103511713B (zh) 用于阀的液压机制
WO2016130315A1 (en) Pump valve seal with abrasion gauge
KR101002683B1 (ko) 이중시트링과 릴리프밸브를 내장하는 고압력 볼밸브
KR101126755B1 (ko) 체크밸브형 커플링 장치
JP2007508503A5 (ko)
US20160258538A1 (en) Valve seat, sealing gasket and pressure valve
RU2011149845A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дла клапан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клапанах
JP5973247B2 (ja) 高圧用逆止め弁とこれを用いた水素ステーション
JP2012255471A (ja) 逆止弁
KR20210107124A (ko) 가스용 릴리프 밸브
CN102026734A (zh) 具有结合的过滤功能和封闭止回阀的软管歧管
KR102186559B1 (ko) 체크밸브형 커플링장치
JP6654420B2 (ja) 高圧用逆止め弁とこれを用いた水素ステーション
US20090312674A1 (en) Electromagnetic valve and pneumatic massage apparatus
KR200482114Y1 (ko) 조립성이 향상된 글로브 밸브
US9086157B2 (en) High-pressure face seal
CA2508050A1 (en) High pressure check valve
EA027985B1 (ru) Клапан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KR101498146B1 (ko) 수도용 체크밸브
EP3049700A1 (en) Gas valve with rubber seal packing on the clos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