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846A -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 Google Patents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846A
KR20100106846A KR1020090025084A KR20090025084A KR20100106846A KR 20100106846 A KR20100106846 A KR 20100106846A KR 1020090025084 A KR1020090025084 A KR 1020090025084A KR 20090025084 A KR20090025084 A KR 20090025084A KR 20100106846 A KR20100106846 A KR 20100106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certificate
card
slider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
Original Assignee
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 filed Critical 최원
Priority to KR102009002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846A/ko
Publication of KR20100106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드형 상품권을 적재하고 있다가 요청되는 수량을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카드형 상품권을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며 일측에 상품권 배출구를 구비하는 상품권 수납부; 상기 상품권 수납부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상품권 수납부의 바닥면에서 왕복이동하며 카드형 상품권을 밀어 배출하는 슬라이더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과 상기 슬라이더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운동을 상기 슬라이더부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암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제어하며, 상기 회전원판이 일정한 위치에서만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한다.
카드형 상품권, 상품권 배출기

Description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CARD TYPE EXCHANGE TICKET DISCHARGER}
본 발명은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카드형 상품권을 적재하고 있다가 요청되는 수량을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이형 상품권은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한 카드형 상품권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형 상품권을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한다.
지폐형 상품권 배출기의 경우 상품권 재질이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어서, 롤러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수량만큼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카드형 상품권의 경우 휘어지지 않는 일정한 형태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지폐의 상품권 배출기와는 전혀 다른 구조의 상품권 배출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카드형 상품권을 수직방향으로 적재하고 있다가, 맨 아래쪽의 카 드형 상품권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수량의 카드형 상품권을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형 상품권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카드형 상품권을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며 일측에 상품권 배출구를 구비하는 상품권 수납부; 상기 상품권 수납부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상품권 수납부의 바닥면에서 왕복이동하며 카드형 상품권을 밀어 배출하는 슬라이더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과 상기 슬라이더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운동을 상기 슬라이더부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암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제어하며, 상기 회전원판이 일정한 위치에서만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를 상기 슬라이더부를 왕복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부와, 상기 코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자기력을 전달하는 고정철심과, 상기 고정철심의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부에 연결되는 가동철심과, 상기 가동철심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는 수납부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형 상품권을 원하는 수량만큼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카드형 상품권을 원하는 수량만큼 배출할 수 있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카드형 상품권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범용성이 우수한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는 일측에 카드형 상품권 배출구(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카드형 상품권(C)을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는 상품권 수납부(120)와,
상기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124)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부(160)의 동작에 따라 왕복운동하며 상품권 수납부(120)에 저장된 카드형 상품권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카드형 상품권을 밀어내는 슬라이더부(140)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부(140)를 소정 회수 만큼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특히, 제 1 실시예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부(16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모터(162)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슬라이더부(140)는 왕복운동을 해야하므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제 1 실시예의 구동부(16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162)와, 구동모터(162)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원판(164)과, 상기 회전원 판(164)과 슬라이더부(140)를 연결하여, 회전원판의 회전운동(164)을 슬라이더부(1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크랭크암(166)을 포함한다.
크랭크암(166)은 양측이 각각 회전원판(164)과 슬라이더부(140)에 연결된다. 양측의 연결부는 모두 회전가능한 힌지 결합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더부(140)는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회전원판(164)의 회전운동이 크랭크암(166)에 의하여 슬라이더부(140)의 왕복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회전원판(164)과 연결되는 부분은 회전원판(164)의 중심부가 아닌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슬라이더부(140)는 카드를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회전원판(164)이 회전함에 따라 크랭크암(166)이 슬라이더부(140)를 밀고 당기면서 슬라이더부(140)를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회전원판(164)이 1회전하면, 슬라이더부(140)도 1회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슬라이더부(140)가 1회 왕복운동 할 때마다, 카드형 상품권(C)이 1장씩 배출된다.
상기 구동모터(162)와 상기 회전원판(164)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감속기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감속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 구동모터(162)의 회전속도를 저속으로 저감시키고 회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10:1의 기어비를 이용하여 감속하는 경우 구동모터(162)가 10회전하면, 회전원판(164)이 1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구동모터(162)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구동모터(162)를 10회전 단위로 제어하여 배출되는 카드형 상품권 의 개수를 제어하게 된다.
상품권 수납부(120)는 카드형 상품권의 크기에 대응하는 평면구획을 감싸는 측면(122)과, 바닥면(1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124)에 슬라이더부(140)가 결합된다.
또한, 상품권 수납부(100)는 일측에 상품권 배출구(123)를 구비한다.
상품권 배출구(123)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카드형 상품권(C) 한장이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그런데, 다양한 규격의 카드형 상품권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품권 배출구(123)의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권 배출구(123)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는 2가지 형태가 있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권 배출구(123)가 형성되는 측면(122a)과 바닥면(124)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측면(122a)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품권 배출구(12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상품권 배출구(123)를 측면(122a)에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상품권 배출구(123)가 형성된 측면(122a) 자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상품권 배출구(123)가 형성된 측면(122a)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상품권 배출구(12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수납부(120)의 일부 측면을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카드형 상품권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124)에는 카드형 상품권의 배출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릿홀(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홀(125)을 통해서 슬라이더부(140)와 연결된다.
슬라이더부(140)는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124)에 카드형 상품권의 배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부(140)는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124)에 형성된 슬릿홀(125)을 관통하는 돌기(14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기(142)는 슬라이더부(140)의 위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슬릿홀(125)을 관통하여 바닥면(124)의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기(142)가 카드형 상품권(C)의 일측면(C1)을 밀어 카드형 상품권(C)을 이동시키게 된다.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상기 돌기(142)가 바닥면(124)의 위로 돌출되는 높이는 카드 한장 두께의 50~1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되는 높이가 50% 미만이면 카드형 상품권을 적절하게 밀어내지 못할 수 있으며, 100% 초과하면 맨 아랫장의 카드형 상품권이외에 그 윗장의 카드형 상품권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카드형 상품권의 배출에 지장을 주거나 카드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카드형 상품권의 두께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142)의 바닥면 위로 돌출되는 높이는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의 높이 조절은 볼트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는 돌기(142) 자체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회전원판의 회전과 슬라이더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슬라이더부의 이동에 따른 카드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원판(164)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지해 있다가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360°씩 회전하게 된다. 대기 상태에서는 슬라이더부(140)가 상품권 수납부(120)의 우측(상품권 배출구의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품권 수납부(120)의 내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더부(140)의 돌기(142)는 카드형 상품권(C1) 수납된 공간에서 벗어나 가장 아래쪽 카드형 상품권(C1)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가장 아래쪽 카드형 상품권(C1)은 바닥면(124)에 닿아 있는 상태이다.
도 3 및 도 5는 회전원판이 180°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동모터(162)가 작동하여 회전원판이 180°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더부(140)가 좌측으로 이동하며 가장 아래쪽의 카드형 상품권(C1)을 상품권 배출구(123)로 밀어내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더부(140)가 좌측으로 끝까지 이동한 상태에서도 돌기(142)가 윗장의 카드형 상품권(C2)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돌기(142)가 윗장의 카드형 상품권(C2)을 벗어나게 되면, 슬라이더부(140)가 우측으로 후퇴할 때 윗장의 카드형 상품권(C2)이 우측으로 밀려 나가거나, 윗장의 카드형 상품권(C2)에 걸려 슬라이더부(140)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될 수 있기 때문에, 돌기(142)가 좌측의 끝부분 까지 이동했을 때 윗장의 카드형 상품권(C2)을 벗어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원판이 180°도 추가로 회전하면, 다시 도 2 및 도 4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원판이 360° 회전할 때 마다 카드형 상품권이 1장씩 배출되는 것으로, 회전원판은 정확하게 360°씩 회전하도록 제어되어야 하며, 이러한 회전원판의 위치 제어는 제어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원판이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의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구동모터로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할 수 있다. 스테핑 모터는 펄스 신호를 줄 때마다 일정한 각도씩 회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어부에서 펄스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슬라이더부(140)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품권 수납부(120)와 슬라이더부(14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는 왕복운동을 하는 유압실린더(170)와 유체공급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슬라이더부(140)를 이동시킨다.
유압실린더(170)는 양측에 유체입구(171,17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피스톤(174)이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174)이 슬라이더부(140)에 연결되어 있다. 상 기 피스톤(174)은 유체의 공급에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유체입구(171)로 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174)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부(140)가 우측에 위치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유체입구(172)로 유체가 공급되면 피스톤(174)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부(14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유압실린더(170)를 사용하여 슬라이더부(140)를 이동시키는 경우, 카드형 상품권 1장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170)를 1회 왕복시키면 된다.
유압실린더(170)의 이동에 사용되는 유체로는 압축공기 또는 작동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체공급장치와 양측의 유체입구(171,172)의 사이에 개폐 조작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배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유압실린더(170)의 피스톤(174)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 3 실시예는 슬라이더부(140)의 왕복운동이 솔레노이드 실린더(180)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품권 수납부(120) 및 슬라이더부(140)의 구성은 앞선 제 1,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솔레노이드 실린더(180)의 구성과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솔레노이드 실린더(180)는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부(182) 와 상기 코일부(18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자기력을 전달하는 고정철심(184)과, 상기 고정철심(184)의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가동철심(185)과, 상기 가동철심(185)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6)를 포함한다.
도 8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코일부(18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86)가 가동철심(185)을 밀어내어 슬라이더부(140)가 바닥면(124)의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코일부(182)에 전원이 공급되면, 고정철심(185)에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기력으로 인해서 가동철심(185)이 고정철심(185)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14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3 실시예의 경우, 전원을 공급했다가 다시 해제하면 도 8과 같이 슬라이더부(140)가 바닥면(124)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24)의 우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도 8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슬라이더부(140)가 초기에 우측에 있다가 좌측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1장의 카드형 상품권이 배출되는 것은 동일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는 카드형 상품권을 수직방향으로 적재하고 있다가 맨 아래쪽에 위치하는 카드형 상품권 부터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카드형 상품권을 1장씩 배출하게 되므로, 슬라이더부의 왕복횟수를 제어하여 배출되는 카드형 상품권의 조절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더부가 구동모터에 의하여 동작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더부의 왕복회수를 제어하게 되고,
제 2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더부가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동작하는 경우에는 유체 경로의 전환 횟수를 제어하여 슬라이더부의 왕복횟수를 제어하게 되며,
제 3 실시예와 같이 솔레노이드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차단의 횟수를 제어하여 배출되는 카드형 상품권의 갯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배출구의 크기 및 상품권 수납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카드형 상품권을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회전원판의 회전과 슬라이더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슬라이더부의 이동에 따른 카드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임.

Claims (8)

  1. 카드형 상품권을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며 일측에 상품권 배출구(123)를 구비하는 상품권 수납부(120);
    상기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124)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기(142)를 구비하여, 상기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에서 왕복이동하며 카드형 상품권을 밀어 배출하는 슬라이더부(140);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162)와, 상기 구동모터(162)에 연결되는 회전원판(164)과, 상기 회전원판(164)과 상기 슬라이더부(140)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원판(164)의 회전운동을 상기 슬라이더부(140)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암(166)을 포함하는 구동부(160);
    상기 회전원판(164)의 회전수를 제어하며, 상기 회전원판(164)이 일정한 위치에서만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2. 카드형 상품권을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며 일측에 상품권 배출구(123)를 구비하는 상품권 수납부(120);
    상기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124)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기(142)를 구비하여, 상기 상품권 수납 부(120)의 바닥면에서 왕복이동하며 카드형 상품권을 밀어 배출하는 슬라이더부(140);
    상기 슬라이더부(140)를 왕복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70)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유체공급장치의 압력유체를 상기 유압실린더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3. 카드형 상품권을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며 일측에 상품권 배출구(123)를 구비하는 상품권 수납부(120);
    상기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124)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기(142)를 구비하여, 상기 상품권 수납부(120)의 바닥면에서 왕복이동하며 카드형 상품권을 밀어 배출하는 슬라이더부(140);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부(182)와 상기 코일부(18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자기력을 전달하는 고정철심(184)과, 상기 고정철심(184)의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부(140)에 연결되는 가동철심(185)과, 상기 가동철심(185)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6)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실린더(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162)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회전원판(164)으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펄스 신호를 줄 때마다 일정한 각도씩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70)는 양측에 유체입구(171,172)를 구비하여, 유체가 주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부(140)에 연결되는 피스톤(174)이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 배출구(123)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42)는 사용되는 카드형 상품권의 두께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KR1020090025084A 2009-03-24 2009-03-24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KR20100106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084A KR20100106846A (ko) 2009-03-24 2009-03-24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084A KR20100106846A (ko) 2009-03-24 2009-03-24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846A true KR20100106846A (ko) 2010-10-04

Family

ID=4312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084A KR20100106846A (ko) 2009-03-24 2009-03-24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8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96B1 (ko) * 2011-02-22 2013-11-01 주식회사 웰컴애드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KR102162551B1 (ko) * 2019-08-06 2020-10-07 강희식 카드발매기의 인출장치
KR20220152694A (ko) * 2021-05-10 2022-11-17 김영창 숙박업소 키오스크용 카드수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96B1 (ko) * 2011-02-22 2013-11-01 주식회사 웰컴애드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KR102162551B1 (ko) * 2019-08-06 2020-10-07 강희식 카드발매기의 인출장치
KR20220152694A (ko) * 2021-05-10 2022-11-17 김영창 숙박업소 키오스크용 카드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6846A (ko)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TWI583868B (zh) 壓電氣動閥驅動型分配泵及用所述泵分配黏性液體的方法
CN100411956C (zh) 自计量分配装置
JP2007090345A5 (ko)
JP2012533707A5 (ko)
US20150151865A1 (en) Continuous disc type card-punching device
EP2712406B1 (en) Reciprocating pump assembly for liquids
CN208442506U (zh) 云台
CN208146327U (zh) 一种曲柄滑块驱动式点胶装置
JP5392947B2 (ja) 巻線体の巻線の切断装置
CN209127591U (zh) 型材的水平送料装置
JP2007283396A (ja) 空き缶、空きボトル圧縮機
CN106078472A (zh) 3d曲面扫光机
JP4641821B2 (ja) プレス機械のダイクッション装置
CN218799128U (zh) 增材制造用无刮刀铺粉装置
KR101762212B1 (ko) 솔레노이드밸브 시스템
CN207943571U (zh) 用于芯片个性化数据写入机的芯片写入机构
CN112390210A (zh) 一种阻燃胶用压料机及其使用方法
CN106216089B (zh) 一种筷子的分拣装置
CN217533034U (zh) 一种分体式机器人货仓和机器人
CN220386982U (zh) 一种多工位点胶机
RU5986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товара
KR20190141059A (ko) 내부 캠 팔로워 타입의 제트디스펜서
CN114938906B (zh) 一种自动发药设备
CN215885535U (zh) 一种堆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