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596B1 -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 Google Patents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596B1
KR101324596B1 KR1020110015676A KR20110015676A KR101324596B1 KR 101324596 B1 KR101324596 B1 KR 101324596B1 KR 1020110015676 A KR1020110015676 A KR 1020110015676A KR 20110015676 A KR20110015676 A KR 20110015676A KR 101324596 B1 KR101324596 B1 KR 10132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release device
prepaid card
automatic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325A (ko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컴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컴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컴애드
Priority to KR102011001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배출부, 카메라부를 갖춘 전면 도어부와; 상기 전면 도어부의 배후측과 연결된 개폐구동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와; 하부에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가스실린더 또는 체인-모터로 형성되어 전면 도어부가 전방쪽으로 일정한 개폐속도 및 개방폭으로 개폐(분리)되도록 하고, 또한 중앙통제를 통해 자동방식으로 개폐되고정전시에는 자동 닫힘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도어부의 하부 내측에 중앙처리부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Vending machine for selling pre-paid card}
본 발명은 무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 장소나 건물, 상점, PC방 등에 설치되어 선불카드를 무인으로 자동발매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단말기는 "키오스크(KIOSK)" 로 불려지는 것으로,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극장, 지하철역 등 공공 장소나 건물, 상점 등에 설치되어 각종 행정절차를 처리하거나, 지리정보,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에 관한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아울러 각종 상품이나 티켓을 제공, 판매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무인 단말기는 근래 들어 인력 및 비용 절감과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 제고 등을 위해 각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 중, 무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로서는 지하철티켓, 교통카드, 국제전화 선불카드, 상품권 자동발매장치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으나, 하드웨어의 구성 및 지폐의 방출기능이나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즉석 카드발급 기능, 사용가능한 가맹점의 범위 등에서 취약하고, 또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카드 또는 용지와 현금 등의 보충이나 회수 등의 관리와 본체에 내장된 하드웨어의 교체 및 점검시 많은 제한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수 등을 위한 자동발매장치 내부의 개방시, 종래기술의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는 대부분 수직형 직육면체로써 전면의 도어를 냉장고처럼 좌우 일측을 중심으로 옆으로 열도록 되어 있으므로, 개방시 적어도 도어의 폭만큼 넓은 회전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 및 사용, 관리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모든 중요 부품들이 도어의 배후측 본체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보수 또는 교체시 상기한 전면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야만 하거나 본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전방 도어부의 좌우 선회형 개폐방식 즉, 냉장고형 개폐구조를 전면 상단부만을 전후로 개폐하는 구조로 구성하고 그리고 중요 하드웨어 구성부품을 전방 도어부에 장착시켜 놓음으로써, 자동발매장치의 설치 및 사용과 하드웨어 관리 및 교체시 협소한 장소와 공간에서는 달성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상적인 사용관리와 소모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는 디스플레이부, 결제 및 티켓배출부, 카메라부를 갖춘 전면 도어부와; 상기 전면 도어부의 배후측과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와; 하부에서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도어부와 본체부는 하부축의 힌지수단과 도어와 본체간의 개폐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전면 도어부가 하부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선회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면 도어부의 내부에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중요 하드웨어 구성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는 자동발매장치의 설치와 하드웨어 관리 및 교체시 협소한 장소와 공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소모품 교체 등의 편의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2는 상기 도1에 도시한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의 내부를 예시하기 위한 측면예시도.
도3은 상기 도2에 도시한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실린더형 개폐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4는 상기 도2에 도시한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인-모터형 개폐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그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는 예컨대, PC방이나 편의점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열람하여 선불카드를 무인으로 자동발매할 수 있게끔 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형적으로 전면에 위치하여 커버 역할을 하는 도어부(100A), 배후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100B), 및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부(100A) 및 본체부(100B)를 수직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부(100C)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100A)는 디스플레이부(10), 결제 및 티켓 배출부(20) 및 카메라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B)는 도어부(100A)의 이면(내면) 측에 설치된 중앙처리부 등의 하드웨어 구성부품(40)을 보호하면서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C)는 일실시례로서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B)와 결합되어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LCD 또는 CRT 방식 등의 모니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터치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입출력장치로서, 상기 도어부(100A)에 내장 보호된 중앙처리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앙처리부가 수신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에는 터치패드(12)가 구비되어 있고 모니터 양단 측면 내부에는 사운드 카드(미도시) 등을 통해 중앙처리부(40)의 중앙처리유닛(CPU)(미도시)과 연결되어 음향정보(예를 들어, 안내음, 경고음, 음악, 벨소리 등)를 제공하는 스피커(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의 양 측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음성/공기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 또는 장치의 하부측 공간(103)으로부터 유입된 찬공기 흐름(A)(도2 참조)이 장치에 내장된 각종 구성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고 고온기류로 변환 상승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구기능을 한다.
상기 결제 및 티켓 배출부(20)는 현금, 카드 등을 인식,배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에 선불카드 및 잔돈 방출구(21), 신용카드투입구(22), 지폐투입구(23) 및 이들을 감싸는 커버(24)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현금함(25), 선불카드인쇄기(26)를 갖추고 있으며,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폐인식기, 카드리더기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선불카드 및 잔돈 방출구(21)의 하부측에는 내부 제어시스템에 의해 거스름 돈의 방출이 인식된 경우 잔돈을 방출하는 잔돈 방출구(21a)와, 상부측에는 상기 잔돈의 방출이 종료된 후 선불카드가 인쇄되어 방출되는 선불카드 방출구(2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부(30)는 디스플레이부(1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무인 감시 및 화상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중앙처리부, 즉 하드웨어 구성부품(4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주변장치와 연결되어 주변장치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연산이 이루어지는 중앙처리유닛(CPU), 외부 인터넷 전용선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화선과 연결하기 위한 모뎀 또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위한 무선 랜카드, 각종 정보가 저장된 하드 디스크, CPU에서 연산처리시 필요한 기억영역을 제공하는 RAM, 기타 사운드 그래픽 카드 등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통상의 하드웨어 구성부품들을 말하며, 상기 도어부(100A) 내측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그 하드웨어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수신 및 발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본체부(100B) 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공간에 물품보관통(50) 등을 내장시켜 각종 필요한 물품을 예비적으로 보관할 수도 있다.
그럼,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개폐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개폐구조는 종래의 냉장고 개폐구조와 같은 도어의 좌우 회동형 개폐구조와는 달리,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승용차량의 본네트 또는 뒤 트렁크 개폐구조와 같이 상기 도어부(100A)의 하단이 본체부(100B)와 힌지수단 즉, 힌지축(101)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어부(100A)와 본체부(100B) 사이에 개폐구동수단이 서로 연결된 전후 회동형 개폐구조로 구성된다.
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가 폐쇄되었을 때, 즉 도어부(100A)와 본체부(100B)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자동발매장치(100)의 중간 부분의 양측에 대해 개폐구동수단으로서의 역방향 가스실린더(60)의 일단(상단)은 도어부(100A) 측의 베어링 고정부(61)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역방향 가스실린더(60)의 타단(하단)은 본체부(100B)의 힌지부(62)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역방향 가스실린더(60)의 하부측에 보조수단으로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의 양단을 도어부(100A)와 본체부(100B)에 연결한 후 상기 역방향 가스실린더(60)측에 속도제어기구(도시하지 않았음)를 함께 장착시켜 놓음으로써,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전면부 즉, 도어부(100A)의 상부측은 전방쪽으로 일정하게 제어된 개폐속도 및 개방폭으로 개폐(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공간에 제한받지 않고 편리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100A)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100C)와의 높이(간격)는 상기 도어부(100A)가 최대한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100A)의 걸림턱(102)이 베이스부(100C) 상에 걸려지는 사이즈로 정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는 최소 신장의 이용가능 대상자인 초등학생들이나 허리가 굽은 사람들도 장치의 스크린 화면을 수평 내지는 약간 아래 시선으로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하면서, 심미감 및 최소 개방공간과 점유공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도어부(100A)의 상부 부분이 후방 사선형으로 만곡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의 개폐구조를 보여 준다.
도4 역시 앞에서의 도3과 유사하나, 도어부와 본체부의 중간 지점에서의 개폐구조가 체인-모터 형으로서 가스실린더(60) 대신 체인-모터(70)로 되어 있고, 본체부(100B) 측에 모터 지지구(80)가 장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체인-모터(70)는 체인(71)과 모터(72)로 구성되어 앞서의 가스실린더(60) 구조와 같이 도어부(100A)가 전방쪽으로 일정한 개폐속도 및 개방폭으로 개폐되도록 하였다. 체인의 신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도어부(100A)를 전방쪽으로 개방시킬 때는 모터(72)에 의해 상부측을 길게 연장하는 체인라인은 소위, 래칫형으로 물리면서 막대형태로 도어부(100A)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폐쇄시에는 상부측의 체인이 하부측으로 이동되며 늘어지면서 도어부(100A)를 본체(100B)에 접근시켜 결합(폐쇄)시키는 것이다.
상기 도어부(100A)와 본체부(100B) 사이의 개폐동작은 평상시에는 전자 록장치에 의해 잠겨져 있다가 필요시 중앙 관리서버에 의한 통제를 통해 자동방식으로 개폐되고, 정전시에는 자동 닫힘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를 개방(폐쇄)시키고자 할 때, 일실시례로서 먼저 디스플레이부(10)의 관리자 화면을 통해 개방을 요청하면, 중앙 서버에서 개방신호를 송신하여 관리자 화면을 통해 도어 개방 진행용 화면이 나타나고, 아울러 관리자의 아이디와 중앙서버에서 관리자의 휴대전화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송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도어부(100A)는 본체부(100B)로부터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선회)되어 개방된다. 대안적으로, 전자 키(예컨대, 스마트 키) 또는 RF 카드를 이용하여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처리부를 포함한 하드웨어 구성부품(40)이 도어부(100A) 내부에 설치되고,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의 개폐구조가 도어부(100A)측이 가스실린더 방식 또는 체인-모터 방식으로 본체부로부터 개방 및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100)의 전면부 즉, 도어부(100A)가 전방쪽으로 일정하게 제어된 개폐속도 및 개방폭으로 개폐되어져서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협소한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부 20: 결제 및 티켓 배출부
30: 카메라부 40: 중앙처리부
50: 물품보관통 60: 역방향 가스실린더
70: 체인-모터 80: 모터 지지구
100: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100A: 도어부
100B: 본체부 100C: 베이스부

Claims (9)

  1. 전면측에 디스플레이부, 결제 및 티켓 배출부, 카메라부를 갖춘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배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 및 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도어부 및 본체부를 수직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본체부와 결합된 하단측의 힌지수단 및 도어부와 본체부간의 개폐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개폐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부의 상부측이 전방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부의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도어부가 최대한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걸림턱이 베이스부에 걸려지는 범위로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속도제어기구를 갖추어서 상기 도어부가 전방쪽으로 일정하게 제어된 개폐속도 및 개방폭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역방향 가스실린더 및 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체인-모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조는 중앙통제를 통해 자동방식으로 개폐되고, 정전시에는 자동 닫힘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중앙처리유닛(CPU), 무선 랜카드, 하드 디스크, 램(RAM), 사운드 카드, 그래픽 카드로 구성된 하드웨어 구성부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음성/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상부 부분이 후방 사선형으로 만곡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KR1020110015676A 2011-02-22 2011-02-22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KR10132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676A KR101324596B1 (ko) 2011-02-22 2011-02-22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676A KR101324596B1 (ko) 2011-02-22 2011-02-22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325A KR20120096325A (ko) 2012-08-30
KR101324596B1 true KR101324596B1 (ko) 2013-11-01

Family

ID=4688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676A KR101324596B1 (ko) 2011-02-22 2011-02-22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1512A (zh) * 2016-07-26 2016-12-21 吴少华 一种网吧用自助收银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646A (ko) * 2001-04-20 2002-10-30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자동판매기의 도어 고정장치
JP2009282710A (ja) * 2008-05-21 2009-12-03 Pfu Ltd 情報キオスク端末装置
US20100059330A1 (en) 2008-09-05 2010-03-11 Emn8, Inc. Customer-operated ordering kiosk having modular hardware configuration including overlay and inlay plates
KR20100106846A (ko) * 2009-03-24 2010-10-04 최원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646A (ko) * 2001-04-20 2002-10-30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자동판매기의 도어 고정장치
JP2009282710A (ja) * 2008-05-21 2009-12-03 Pfu Ltd 情報キオスク端末装置
US20100059330A1 (en) 2008-09-05 2010-03-11 Emn8, Inc. Customer-operated ordering kiosk having modular hardware configuration including overlay and inlay plates
KR20100106846A (ko) * 2009-03-24 2010-10-04 최원 카드형 상품권 배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1512A (zh) * 2016-07-26 2016-12-21 吴少华 一种网吧用自助收银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325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0296B2 (en) Access monitoring systems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other enclosures
CN102930655B (zh) 一种智能便民寄存缴费系统
US6550670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enclosure
JP2021530786A (ja) 使用済み電子デバイスを評価および購入するためのキオスク
US8844807B1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200395417Y1 (ko) 웹키오스크 시스템이 탑재된 음료 자동판매기
US20140316560A1 (en) Vending machine controller with innovative display features
US11941931B2 (en) Self-service modular drop safes with technology shelf replacement capability
CN205121727U (zh) 一种智能交互式快递柜
CN101241614A (zh) 彩票终端
CN102568089A (zh) 多功能自助缴费找零服务终端
CN201876935U (zh) 可视频导购的自动售药咨询机
CN203366430U (zh) 一种多功能智能自动售货机
WO2002067213A2 (en) Tabletop terminal for point of sale purchases
JP5758653B2 (ja) 携帯型決済端末
CN104183066B (zh) 一种基于平板电脑的收银机
KR101324596B1 (ko) 선불카드 자동발매장치
CN205722170U (zh) 一种避免货品损坏的大容量自动售货机
RU118090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ерминал
CN204515905U (zh) 电子支付自助服务终端机
CN204117290U (zh) 一种基于平板电脑的收银机
CN204229503U (zh) 一种壁挂式即开型彩票自助销售机
CN209946993U (zh) 一种智能亭
JP2005190450A (ja) 携帯情報端未機等の管理装置
RU105040U1 (ru) Терминал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абонентов к сотовому оператор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