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511A -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511A
KR20100105511A KR1020100066122A KR20100066122A KR20100105511A KR 20100105511 A KR20100105511 A KR 20100105511A KR 1020100066122 A KR1020100066122 A KR 1020100066122A KR 20100066122 A KR20100066122 A KR 20100066122A KR 20100105511 A KR20100105511 A KR 20100105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cold
auxiliary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276B1 (ko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이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용 filed Critical 이종용
Priority to KR102010006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27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수와 다수 개의 필터들을 통과한 정수 물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필터들을 통과한 정수 물 또는 생수통에 저장된 물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저수조에 저장하여 냉수통과 온수통을 독립으로 분리하여 열 가열수단을 통하여 온수통을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높은 온도의 온수 열을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보조온수통에 열을 전달받아 보조온수통의 온도가 자연적으로 높아져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고자 보조온수통을 장착하여 온수통의 온수 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가 붙은 모양의 보조온수통을 장착하여 저수조에서 냉수에 의한 온 수열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온수통의 식힘 현상을 방지하여 적은 전기에너지의 소모로 안정된 온수를 빠른 시간내에 공급하기 위한 보조온수통과 온수역류방지장치로 인하여 높은 온도의 온수 열로 인한 냉수통의 식힘 현상을 방지하기위하여 냉수역류방지장치를 장착하여 냉수의 온도상승을 방지하여 냉수의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냉수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에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AN ASSISTANT BOILED WATER TANK FOR A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AND COOL AND WARM PURIFIER}
본 발명은 생수와 정수 물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 온수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 물 또는 생수통 물을 공급받아 저장 물을 보관하는 저수조에서 냉수통과 온수통을 독립으로 분리하고 저수조와 온수통 사이에 두 개가 붙은 모양의 보조온수통을 장착하여 온수통의 높은 온도를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보조온수통의 온도를 자연적으로 높아지고 온수역류방지장치로 높은 온수온도를 차단 시키면 저수조의 식힘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 온수와 냉수를 최단시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냉온수기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과 같이 종래의 냉온수기의 저장 물은 생수통(10)으로부터 저수조(20)로 유입되어 저수조(20)에 저장된다.
이때에 분리격막(60)은 저수조(20)에 저장된 상태에서 하부는 냉수통(30)으로 상부는 저수조(20)로 분리시켜 준다.
분리격막(60)의 하단부에 위치한 냉수통(30)의 외부 둘레에는 냉매관(40)이 감겨져 있다.
이 냉매관(40)의 작동에 의하여 냉수통(30)에 저장된 저장 물의 온도를 낮추도록 되어있고 온수통(90)은 분리격막(60) 중간에 연결된 파이프(70)를 통해 저수통(20)에 저장된 저 장물이 온수통으로 공급되어 온수통(90)의 저장 물이 보충되도록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냉온수기는 온수통(90)에서 열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된 섭씨 약 85± 5도 온도를 지닌 저장 물로부터 방사되는 높은 열이 저수조(2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저수조(20)의 저장 물의 온도를 섭씨 약 25도± 5도로 상승시키게 되어 있다.
이것은 분리격막(60)의 하단부에 위치한 냉수통(30)에 저장된 저장 물의 온도를 높이게 되어서, 이는 냉매관(40)의 작동에 의하여 높아진 온도만큼 저장 물의 온도를 다시 낮추기 위하여 전기에너지소모가 많이 되었다.
다시 말하면, 냉수 사용 시에 온수통(90)에 저장되는 저장 물이 섭씨 85도± 5도 온수온도의 열에 의하여 저수통(20)에 저장된 저장 물이 가열되어 저수통(20)에 저장된 저장 물의 온도가 섭씨 25도± 5도 온도로 높아지게 된다.
저수조(20) 섭씨 약 25도±5도 온도가 높아진 만큼 상승 된 저장 물이 냉수통(30)에 유입됨에 따라 냉수통(30)에 저장된 저장 물의 냉수 온도 섭씨 약 10± 5도의 온도를 높이게 되고 다시 냉수온도를 낮추기 위하여서는 냉매관(40)의 냉매 흐름을 작동시키기 위한 냉각 모터(100)가 더 많이 작동하여 전기 에너지가 더 많이 소모하게 된다.
반대로, 냉매관(40)의 작동으로 인하여 이미 냉각된 저수조(20)의 저장 물의 온도가 섭씨 약 25도± 5도로 하강 되어져 있기 때문에 온수 사용 시에 저수조(20)에 저장된 물이 온수통(90)으로 유입함에 따라 온수통(90)에 저장되는 저장 물에서는 온수(90)와 냉수(30)의 상호 열 교환작용으로 인하여 저수조(20)의 식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분리격막(60) 중간에서 온수 취수관(70)이 냉수통(30) 중간으로 연결되어 온수 취수관(70)의 영향으로 인한 냉수통(30)의 식힘 현상이 발생하는 동시에 온수통(90)의 식힘 현상도 발생하여 냉각모터의 가동과 열 가열수단(히터)의 가열시간이 늘어나는 시간만큼 전기에너지의 소모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온수통(90)에서 저수조(20)로 직접 전달되는 온수 열의 손실을 줄이고자 냉수통(30)과 온수통(90)을 독립으로 분리하여 저수조(20)와 온수통(90) 사이에 두 개가 붙은 모양의 보조온수통A(85).B(86)를 만들어 장착함으로 인하여 냉수 사용 시 온수로 인한 저수조(20)의 식힘 현상과 온수 사용 시 냉수로 인한 저수조(20)의 식힘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저수조(20)에서 냉수통(30)과 온수통(90)이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저수조(20)와 온수통(90) 사이에 장착되는 보조온수통A(85),B(86)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에서는 두 개가 붙은 모양으로 보조온수통A(85),B(86)들로 이루어져 있고 보조온수통A(85) ,B(86)사이에 격벽(84)에 의하여 분할되며, 보조온수통A(85),B(86)들은 격벽(84)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통구C(87)에 의하여 서로 연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A(85),B(86)에서
저수조(20)의 출수구는 보조온수통B(86)의 입수구에 기구 적으로 연결되고 보조온수통A(85)의 출수구는 온수통(90)의 입수구에 기구 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A(85),B(86)에서 온수역류방지장치(75)는 저수통(20)의 출수구와 보조온수통A(85).B(86)사이에 장착되고 냉수역류방지장치(35)는 저수조(20)의 출수구와 냉수통(30) 사이에 장착하여 기구 적으로 결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에 의하면, 저수통(20)에서 냉수통(30)과 온수통(90)이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열 가열수단을 통하여 온수통을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온수통(90)으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온수 온도 섭씨 약 85± 5도의 고온의 온수 열을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보조온수통A(85).B(86)의 온도가 자연적으로 높아지는 효과로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온수통A(85).B(86)으로 인하여 고온의 온수를 차단 저장하는 동시에 저수조(20)에 직접 전달되는 고온의 온수 열을 차단하여 저수조(20)의 가열 현상을 방지하고 냉수통(30)으로부터 전달되는 저온의 냉수를 차단하여 저수조(20)의 온수와 냉수의 상호 식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열 가열수단 및 냉각모터의
가열 및 가동이 줄어들어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 온수와 냉수를 최대한 빠르게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보조온수통A(85),B(86)의 완전 보온으로 열의 식힘 현상을 방지하여 보조온수통A(85),B(86)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시간이 길어지는 시간만큼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냉수통(30)과 보조온수통A(85),B(86)로 분리 및 상호 열 교환 작용에 의한 저수조(20)의 식힘 현상을 방지하여 세균번식 및 장기간 보관으로 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1은 종래의 냉온수기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온수통을 구비한 냉온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온수통을 구비한 냉온수기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상태 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온수통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A(85),B(86)의 구성 및 그에 의하여 발휘되는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보조온수통A(85),B(86)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는 냉온수기의 생수통(10)이 존재하지 않고 수돗물을 공급받아 정수한 물을 저수조(20)에 바로 공급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에서 두 개가 붙은 모양으로 보조온수통A(85),B(86)들로 이루어져 있다.
보조 온수통에서 보조온수통A(85), B(86)들은 격벽(84)에 의하여 분할되어 있다.
또한 보조 온수통A(85),B(86)는 격벽(84)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통구C(87)에 의하여 서로 연통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보조온수통에서의 물의 흐름은 보조온수통B(86)로부터 유입된 생수 또는 정수 물이 연통구C(87)를 통하여 보조온수통A(85)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은 저수조(20)와 온수통(90) 사이에 기구 적으로 보조온수통A(85),B(86)가 장착되어 진다.
따라서, 저수조(20)의 출수구는 보조온수통B(86)의 입수구에 기구 적으로 연결되고 보조온수통A(85)의 출수구는 온수통(90)의 입수구에 기구 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온수통B(86)는 보조온수통A(85)의 기구 적인 연통은 격벽(84)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통구C(87)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다.
한편, 냉수통(30)은 저수통(20)의 다른 출수구와 기구 적으로 결합 되고 냉수통(30)의 외부 둘레에는 냉매관(40)이 감겨져 있다.
더욱이, 온수 출수구(80)는 온수통(90)의 출수구에 기구 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냉수 출수구(50)는 냉수통(30)의 출수구에 기구 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온수역류방지장치(75)는 저수조(20)의 출수구와 보조 온수통 사이 일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냉수역류방지장치(35)는 저수통(20)의 다른 출수구와 냉수통(30) 사이 일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보조온수통은 격벽(84)을 통하여 두 개의 붙은 모양의 보조온수통A(85), B(86)로 나누어진다.
격벽(84)은 보조온수통A(85)와 보조온수통B(86) 사이에 설치되어 저수조(20)에 저장된 물이 온수통(9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격벽(84)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통구C(87)는 온수통(90)에서 설치 위치적으로 보조온수통B(86)보다 보조온수통A(85)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온수통(90)의 대류 현상으로 보조온수통A(85)의 온도가 더 높아진 물부터 먼저 온수통(90)에 공급되기 때문에 저수조(20)의 저온의 급수 물이 바로 온수통(9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보조온수통A(85), B(86)에 저장된 물의 흐름을 늦추어 온수 출수구(80)로부터 온수 출수 시에 높은 온도의 보조온수통A(85)에 저장된 저장 물부터 우선 온수통(90)으로 공급되도록 온수의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에서는 정수 물 또는 생수통에서 공급받아 저수통(20)에 저장하여 냉수통(30)과 보조온수통을 독립으로 분리 및 설치하였기 때문에, 열 가열수단히터를 통하여 온수통(9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더라도 온수통(90)에 저장된 온수로부터 전달되는 온수 열이 저수조(20)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온수통(90)에 저장된 온수로부터 전달되는 온수 열로 인하여 저수조(2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높이는 현상을 줄이도록 하여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고 열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더욱이, 보조온수통A(85) 및 보조온수통B(86) 두 개가 붙은 모양으로 온수통(90)의 높은 온수 온도 섭씨 약 85도± 5도의 열을 이용하여 보조온수통A(85)의 온도가 섭씨 약 60±5도 및 보조온수통B(86)의 온도가 섭씨 약 50±5도로 저장 물의 온도가 높아지게 하였다.
이는 미리 보조온수통B(86)의 저장된 물을 예열하는 결과를 발생하게 되어 온수 출수(80) 시에 빠르게 온수를 재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냉수 역류방지장치(35) 및 온수 역류방지장치(75)에 의하여 저수조(20)로 전달되는 보조온수통B(86)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때문에 저수조(20)의 저장 물의 식힘 현상을 방지하여 냉수통(30)의 냉수의 적정온도 섭씨 약 10±5도로 유지하여 적은 전기에너지의 소모로 안정된 냉수를 빠른 시간내에 제공할 수 있다.
온수와 냉수를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저수조(20)로부터 온수통(90)과 냉수통(30)을 분리하여 온수통(90)의 열에 의한 냉수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였다.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정수 물 또는 저수조(20)의 저장된 물을 보조 온수통A(85). B(86)와 냉수통(30)으로 독립으로 공급하여 열 가열수단히터에 의해 온수통(90)에 저장된 물의 온수 온도가 섭씨 약 85도± 5도의 높은 온도로 상승하면 보조온수통과 연결된 온수 취수관(70)을 통해 온수통(90)의 온수가 대류현상으로 인하여 보조온수통A(85)의 온도가 섭씨 약 55±5도로 상승하는 효과로 인해 보조온수통B(86)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섭씨 약 50도±5도로 자연적으로 높아져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보조 온수통A(85)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섭씨 약 55±5도의 온수가 온수통(90)으로 연결된 온수 취수관(70)을 통해 온수통(90)에 유입되게 하여 온수 출수 시에 빠른 시간내에 온수의 온도가 섭씨 약 85±5도의 온도로 빠르게 상승할 수 있게 되므로 섭씨 약 50~55±5도의 상승 온도만큼의 전기에너지소모를 줄이면서 빠르게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1의 종래의 냉온수기의 단일 저수조(20)에서는 온수통(90)의 저장 물로부터 방사되는 열에 의한 저수조(20)의 온도 상승과 많은 용량의 저장 물을 냉각시키는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온수와 냉수의 상호작용으로 저수조(20)의 가열 현상과 식힘 현상을 발생하였던 것을 보조온수통인 보조 온수통A(85).B(86)를 설치하여 저수조(20)에서 냉수통(30)과 보조온수통A(85).B(86)로 분리하여 온수통(90)의 온수와 냉수통(30)의 냉수로 인한 상호작용으로 저수조(20)의 가열 현상과 식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대기시간에 낭비되고 있는 대기전력을 줄이면서 온수 또는 냉수를 만드는 시간을 단축하여 온수와 냉수를 최대한 빠르게 공급하면서 전기에너지의 소모는 최대한 줄일 수 있게 하였다.
10 : 생수통 20: 저수조
30: 냉수통 35 : 냉수역류방지창치
40 : 냉매관 50 : 냉수 출수구
75 : 온수역류방지장치 80 : 온수 출수구
84 : 격벽 85 : 보조온수통A
86 : 보조온수통B 87 : 연통구 C
90 : 온수통 100 : 냉각 모터

Claims (4)

  1. 생수와 다수 개의 필터들을 통과한 정수 물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 온수통에 있어서.
    저수조(20)에서 냉수통(30)과 온수통(90)이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저수조(20)와 온수통(90) 사이에 장착되는 보조온수통A(85). B(86)와 저수조(20)와 냉수통(30) 사이에는 냉수역류방지장치(35)를 저수조(20)와 보조온수통A(85). B(86) 사이에는 온수역류방지장치(75)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 온수통.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온수통은 두 개가 붙은 모양의 보조 온수통A(85),B(86)로 이루어져 있고 보조온수통A(85),B(86)는 격벽(84)에 의하여 분할되며, 보조온수통A(85), B(86)는 격벽(84)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통구C(87)에 의하여 서로 연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
  3.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20)의 출수구는 보조온수통B(86)의 입수구에 연결되고 보조온수통A(85)의 출수구는 온수통(90)의 입수구에 기구 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
  4. 제1항에 있어서,
    냉수역류방지장치(35)는 저수조(20)의 출수구 와 냉수통(30) 사이에 장착되고 온수역류방지장치(75)는 저수조(20)의 출수구와 보조 온수통B(86) 사이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
KR1020100066122A 2010-07-09 2010-07-09 냉온수기 KR10104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122A KR101041276B1 (ko) 2010-07-09 2010-07-09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122A KR101041276B1 (ko) 2010-07-09 2010-07-09 냉온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23 Division 2009-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511A true KR20100105511A (ko) 2010-09-29
KR101041276B1 KR101041276B1 (ko) 2011-06-14

Family

ID=4300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122A KR101041276B1 (ko) 2010-07-09 2010-07-09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520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음용수기용 복합형 온수통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331B1 (ko) 2011-06-29 2011-12-26 이종용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699A (ja) 1999-02-08 2000-08-22 Sanyo Electric Co Ltd 水タンクの給水装置
DE10148306A1 (de) * 2001-09-29 2003-04-24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Hydrolysebeständig ausgerüstete, transparente, amorph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200328361Y1 (ko) 2003-06-19 2003-09-29 주식회사 크로버 온수역류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520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음용수기용 복합형 온수통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276B1 (ko)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2203B2 (ja) 給湯機
NO20071085L (no) Superledende kabel
CN102751451B (zh) 一种辅助恒温电池盒
WO2006062010A3 (en) Fuel cell system
JP4316527B2 (ja) 蓄熱式熱供給装置
KR20100105511A (ko)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
KR101365611B1 (ko) 히트파이프와 중성자 흡수물질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제어봉 및, 이를 이용한 원자로 잔열 제거시스템
CN217721805U (zh) 一种制冷系统
CN102031946A (zh) 油嘴套加热装置
JP2013057435A (ja) 熱供給システム
JP2007050324A (ja) 加熱冷却装置
KR20100074094A (ko) 열효율이 높은 전기에너지 절약형 온수통
JP5982636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JP2007309568A (ja) 給湯システム及び給湯方法
TWI650518B (zh) 飲水設備散熱方法及其模組
JP2004125289A (ja) 潜熱蓄熱式冷熱源設備、及び、潜熱蓄熱式温熱源設備
CN211926194U (zh) 一种集成式换热水箱装置
JP2013057436A (ja) 熱供給システム
CN203893290U (zh) 自然对流式电暖器及自然对流式供热装置
JP5749999B2 (ja) 蓄熱装置
CN202902373U (zh) 水冷式商用电磁灶
KR101011699B1 (ko) 온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
CN210602345U (zh) 一种用于低温并联机组带存储水冷冷凝器
JP5774973B2 (ja) 貯湯式熱源機
JP2009170111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