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331B1 -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331B1
KR101099331B1 KR1020110063710A KR20110063710A KR101099331B1 KR 101099331 B1 KR101099331 B1 KR 101099331B1 KR 1020110063710 A KR1020110063710 A KR 1020110063710A KR 20110063710 A KR20110063710 A KR 20110063710A KR 101099331 B1 KR101099331 B1 KR 10109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reservoir
cover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이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용 filed Critical 이종용
Priority to KR102011006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보다 효율적인 청소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저수통(10), 보조 온수통(30), 냉수통(40), 온수통(70) 및 차단공(80)으로 구성하되, 상하부 공간이 상이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각각 제1출수관(21)과 제2출수관(22)이 하방에 연장되는 저수통(10); 제1출수관의 하단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보조 온수통 덮개(33); 제2출수관의 하단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냉수통 덮개(4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공기유도구(23)와 수위센서가 배치되고 저수통의 밀폐를 유지하는 저수통 덮개(11); 및 보조 온수통과 냉수통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한 치형패킹(50);을 포함하며, 상기 저수통과 저수통 덮개, 보조 온수통과 보조 온수통 덮개, 냉수통과 냉수통 덮개는 결합부재 본체(60-1)와 결합부재 결합체(60-2)와 결합부재 손잡이(60-3)로 이루어진 원터치 결합부재(60);에 의해 각각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COOL AND WARM PURIFIER ASSEMBLY}
본 발명은 제반 구성요소들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청소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 등은 물을 취급하는 제품의 특성상 부득이하게 각종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제공하게 되면서 미생물 등의 세균 번식에 상당히 취약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냉온수기의 청결 상태는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필수 사항이 되므로, 건강을 위협하는 위해요소의 서식을 예방하여 보다 깨끗한 물이 제공될 수 있도록 잦은 세척을 필수적으로 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온수기 구조는 해체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구성요소간의 결합이 고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한 번 세척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통상의 냉온수기는 온수통에서 열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된 약 85℃(±5℃) 온도를 지닌 저장 물로부터 방사되는 열이 부득이하게 저수조에 전달되는 구조로 인해 저수조의 저장 물 온도를 섭씨 약 25℃(±5℃)로 상승시키게 되는 치명적인 취약점이 존재하였다. 즉, 분리격막의 하단부에 위치한 냉수통에 저장된 저장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바, 이는 냉매관의 작동에 의하여 높아진 온도만큼 저장 물의 온도를 다시 낮추기 위하여 전기에너지소모가 많이 되고, 냉매관의 작동으로 인하여 이미 냉각된 저수조의 저장 물의 온도가 섭씨 약 25℃(±5℃)로 하강 되어져 있기 때문에 온수 사용 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온수통으로 유입함에 따라 온수통에 저장되는 저장 물에서는 온수와 냉수의 상호 열 교환작용으로 인하여 저수조의 식힘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분리격막 중간에서 온수 취수관이 냉수통 중간으로 연결되어 온수 취수관의 영향으로 인한 냉수통의 식힘 현상이 발생하는 동시에 온수통의 식힘 현상도 발생하여 냉각모터의 가동과 열 가열수단(히터)의 가열시간이 늘어나는 시간만큼 전기에너지의 소모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등록특허 10-1041276호 "냉온수기"가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등록특허에 적용되는 기술사상이다.
상기 등록특허 10-1041276호 "냉온수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와 냉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냉수역류방지장치 및 온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온수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여서 구성하되, 저수조로부터 냉수통과 온수통이 독립된 공간에 이격 배치되고, 저수조와 온수통 사이에는 복수의 보조온수통이 더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보조온수통은 격벽에 의하여 분할되고, 보조온수통과 보조온수통은 격벽의 단부에 형성된 연통구에 의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터치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 과제이다.
그리고, 역류방지 및 내부 공기의 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또한, 밀폐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패킹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기 어셈블리는 저수통, 보조 온수통, 냉수통, 온수통 및 차단공으로 구성하되, 상하부 공간이 상이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각각 제1출수관과 제2출수관이 하방에 연장되는 저수통; 제1출수관의 하단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보조 온수통 덮개; 제2출수관의 하단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냉수통 덮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공기유도구와 수위센서가 배치되고 저수통의 밀폐를 유지하는 저수통 덮개; 및 보조 온수통과 냉수통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한 치형패킹;을 포함하며, 상기 저수통과 저수통 덮개, 보조 온수통과 보조 온수통 덮개, 냉수통과 냉수통 덮개는 결합부재 본체와 결합부재 결합체와 결합부재 손잡이로 이루어진 원터치 결합부재;에 의해 각각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통과 보조 온수통 덮개와 냉수통 덮개가 동시에 분리 결합되는 냉온수기를 구축하여 각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게 되면서 내부 청소 및 관리가 간편해지고, 이로 인해 청소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어 잦은 세척이 가능해짐에 따라 건강을 위협하는 위해요소의 서식을 보다 철저히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이러한 탈부착 타입의 구조를 원터치 결합부재로 하여금 구현되게 구성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결속력의 강화와 함께 취급의 간편화를 일괄적으로 도모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평패킹이 아닌 치형패킹을 적용하여 저수통, 보조온수통, 냉수통, 온수통 등의 기밀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특히 가열수단에 의해 물을 가열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나 고열이 저수통으로 역류하는 것을 적극 차단할 수 있는 차단공 및 일정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각 덮개를 구비하여 역류 방지의 기능 이외에 공기의 배출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냉온수기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냉온수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단공 배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유도구를 상세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보조 온수통이 구비된 종래 기술의 냉온수기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보다 효율적인 청소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에 관련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냉온수기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냉온수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단공 배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유도구를 상세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10)과 저수통 덮개(11); 보조 온수통(30)과 보조 온수통 덮개(33); 냉수통(40)과 냉수통 덮개(44); 온수통(70)과 온수통 덮개(참조부호 없음);로 구분 구성되고, 차단공(80); 치형패킹(50); 원터치 결합부재(60); 수위센서(미도시함); 급배수 밸브(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공간이 상이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각각 제1출수관(21)과 제2출수관(22)이 하방에 연장되는 저수통(10);과, 제1출수관의 하단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보조 온수통 덮개(33);와, 제2출수관의 하단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냉수통 덮개(44);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유도구(23)와 수위센서가 배치되고 저수통(10)의 밀폐를 유지하는 저수통 덮개(11); 및 보조 온수통과 냉수통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한 치형패킹(50);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통과 저수통 덮개, 보조 온수통과 보조 온수통 덮개, 냉수통과 냉수통 덮개는 원터치 결합부재(60)에 의해 각각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통(10)은 담수된 물을 보조 온수통(30)과 냉수통(40)에 일정량 분배 제공하고,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 공간이 상부 공간에 비해 협소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차에 의해 상대적으로 차가운 물은 하부 공간에 위치되어 냉수통(40)으로 공급되는 한편, 따뜻한 물은 상부 공간에 위치되면서 보조 온수통(30)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저수통 덮개(11)는 저수통의 밀폐를 위하여 구비되고, 공기유도구(23)와 수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구(23)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돌출 배치되는바, 절곡 범위는 15~20°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공기유도구의 형성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이 더욱 완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평판으로 형성되는 종래의 덮개와 달리 공기유도구가 형성되는 일부 영역을 상측으로 돌출시켜 이에 해당하는 내부 공간을 더 확보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보다 높이 확대된 공간으로 하여금 공기를 쉽게 결집시켜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절곡 범위를 15~20°로 한정한 것은 내부 공기가 배출됨에 있어 구조적으로 가장 유연한 경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며,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공기 배출이 가장 극대화될 수 있는 최적의 경로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저수통(10), 보조 온수통(30), 냉수통(40), 온수통(70)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등록특허 10-1041276호 "냉온수기"에 관련된 기술사상으로, 단순히 저수통을 냉각통으로 혼용하면서 상기 저수통의 하방 일직선상에 온수통만을 별도 배치하던 종래의 구성과 차별될 수 있도록 상기 온수통(70)과 냉수통(40)을 저수통(10)으로부터 명확하게 분리 형성되어 서로 독립된 공간에서 각각 냉수와 온수를 생성 및 수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저수통과 온수통 사이에 보조 온수통(30)을 더 장착함으로써, 온수통의 고열로부터 기인한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온수통의 온도가 자연적으로 높아지게 유도하고, 더불어 온수역류방지장치(차단공,80)로 인해 저수통의 식힘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 온수와 냉수를 최단시간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 온수통 덮개(33)와 냉수통 덮개(44)는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의 경사면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공기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차단공(80)의 원활한 부력의 압력을 받아 부력부분의 닫는 면적이 덮개에 넓게 닫으면서 차단공이 입수구를 차단하고 입수구의 물과 보조 온수통 또는 냉수통에 저장된 물과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함이며, 저수통 덮개(11)의 공기유도구(23)와 동일한 기술사상 및 특성을 포함하는바, 온수통에서 발생하는 기포 등을 재빨리 제거 가능하기에 효과적이다. 특히, 만수위일 경우에도 해당 보조 온수통(30) 및 냉수통(40)에서 공기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되어 공기를 쉽게 집결 배출시킬 수 있으며, 평판형에 비해 물이 담수되는 속도가 빨라 매일 새로운 물을 채워야 하는 경우 보다 유리하게 된다. 또한, 만곡 부위의 정점이 되는 영역은 제1,2출수관(21,22)이 위치되는바, 여기에 구 형상의 차단공(80)이 자연스럽게 배치되면서 역류방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차단공(80)은 물 수위에 따른 부력의 작용으로 상하 위치가 결정되는 종래의 기술사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단공이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하였다. 다시 말해서, 상측 방향에 대해 불룩한 형상의 보조 온수통 덮개(33)와 냉수통 덮개(44)가 제공하는 공간으로 움직임이 자유로운 차단공(80)이 쉽게 유도되면서 제1,2출수관(21,22)에 맞춤 수용됨으로써 역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치형패킹(50)은 상하 대응되는 사각돌부 형상의 돌기를 연속되게 다수 구비하여 서로 치합되는 방식으로 결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요소로, 예컨대 보조 온수통 덮개(33)와 보조 온수통(30), 냉수통 덮개(44)와 냉수통(40)의 각 사이 공간에 치형패킹이 개재됨과 아울러 보조 온수통 및 냉수통의 상면에는 상기 치형패킹과 대응되는 형상의 치형패킹이 더 구비되어 서로 치합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물을 수용하고서 밀폐 유지되는 온수통 내지 냉수통에는 일정 압력과 온도가 필수불가결하게 발생하므로 밀폐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으며, 이물질이 끼이기 쉽고 압력에 약한 통상의 평 패킹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형상(예컨대, 사각 형상)의 돌기를 등간격 다수 구비하여 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치형패킹 돌기와 상호 치합되게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하 치합되는 한 쌍의 치형패킹은 각각 서로 다른 재질(가죽, 고무 등)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위센서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저수통(10)에 채워진 물의 양을 실시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급수가 필요한 경우에 물의 보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으며, 특히 종래에는 물 수위가 낮아지는 정도에 한해서만 새로운 물이 공급되는 구조의 특성상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저수통 내부에 물이 머물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부력에 의해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수위센서가 채용됨으로써 이러한 수위센서가 저수통 바닥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급수가 이루어져 기존에 채워진 물은 완전히 배출되고 난 다음에야 새로운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터치 결합부재(60)는 결합부재 본체(60-1); 결합부재 결합체(60-2); 결합부재 손잡이(60-3);로 이루어져 저수통과 저수통 덮개, 보조 온수통과 보조 온수통 덮개, 냉수통과 냉수통 덮개 각각을 간편하게 서로 결합 내지 분리할 수 있도록 복수 개 이상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 본체(60-1)는 보조 온수통 혹은 냉수통 혹은 저수통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되어 힌지 회동할 수 있으며, 결합부재 손잡이(60-3) 부분을 위로 당기면서 각 덮개(11,33,44) 쪽으로 밀게 되면 결합부재 결합체(60-2)가 상측으로 위치 변동되면서 각각의 덮개 상면에 안착되고, 이러한 작용으로 절곡 형성된 아래쪽 부분('V' 형태의 절곡 영역)이 해당 덮개(11,33,44)를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게 되면서 결속이 이루어진다. 이와는 반대로, 결속을 해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합부재 손잡이(60-3)를 원래의 위치가 되도록 상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해당 덮개로부터 각각의 결합부재 결합체(60-2)가 이격 배치되어 그 결속력이 해제되므로 쉽게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원터치 결합부재(60)의 사용으로 세부적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해짐에 따라 냉온수기의 세척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보조 온수통 덮개(33) 하방으로 격막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격막은 보조 온수통 내부 공간을 좌우 두 공간으로 분할함과 아울러 격막 하단이 보조 온수통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저수통(10)으로부터 온수통(70)으로 전달된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온수통의 열기가 저수통으로 직접 전이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며, 보조 온수통 내부 공간을 분리 형성하는 격막에 의해 소정의 이동 경로가 제공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전이 시간을 지체시키는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수통 하방으로 직결되는 배관을 구비하여 배수밸브를 장착함으로써 예약된 시간에 상기 배수밸브가 열리면서 저수통의 물이 완전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냉수통의 출수관과 연결된 배관에 배수밸브를 장착하여 예약된 시간에 배수밸브가 열리면서 저수통과 냉수통의 물을 완전 배수할 수도 있다. 더불어, 제1출수관(21) 및 제2출수관(22)에 각각 제1급수밸브와 제2급수밸브를 더 장착하여 예약된 시간에 제1급수밸브가 열리면서 저수통의 물이 보조 온수통으로 공급되고, 제2급수밸브가 열리면서 냉수통으로 물을 공급되며, 예약 해지시에는 제1,2급수밸브가 잠기면서 급수가 차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온수기(1)를 구성하는 저수통(10), 보조 온수통(30), 냉수통(40), 온수통(7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탈부착 타입으로 이루어져 어렵지 않게 세척이 가능하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정수 유입관 내측 공간에 온수 역류방지방치가 설치됨은 물론 모든 구성요소가 고정 결합 타입으로 구성되어 이를 분리 및 세척하는데 있어 많은 문제점이 도출된 종래 기술을 벗어나, 본 발명에서는 원터치 결합부재(60)에 의해 각 요부 구성요소를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 유도하여 유지 관리 및 세척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냉온수기 10: 저수통
11: 저수통 덮개 21: 제1출수관
22: 제2출수관 23: 공기유도구
30: 보조 온수통 33: 보조 온수통 덮개
40: 냉수통 44: 냉수통 덮개
50: 치형패킹 60: 원터치 결합부재
70: 온수통 80: 차단공

Claims (4)

  1. 저수통(10), 보조 온수통(30), 냉수통(40), 온수통(70) 및 차단공(80)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부 공간을 상이한 공간이 되게 하여 각각 제1출수관(21)과 제2출수관(22)이 하방에 연장되는 저수통(10); 제1출수관의 하단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보조 온수통 덮개(33); 제2출수관의 하단부에서 고정 결합되는 냉수통 덮개(4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공기유도구(23)와 수위센서가 배치되고 저수통의 밀폐를 유지하는 저수통 덮개(11); 및 보조 온수통과 냉수통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한 치형패킹(50);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과 저수통 덮개, 보조 온수통과 보조 온수통 덮개, 냉수통과 냉수통 덮개는 결합부재 본체(60-1)와 결합부재 결합체(60-2)와 결합부재 손잡이(60-3)로 이루어진 원터치 결합부재(60);에 의해 각각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63710A 2011-06-29 2011-06-29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KR101099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10A KR101099331B1 (ko) 2011-06-29 2011-06-29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10A KR101099331B1 (ko) 2011-06-29 2011-06-29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331B1 true KR101099331B1 (ko) 2011-12-26

Family

ID=4550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10A KR101099331B1 (ko) 2011-06-29 2011-06-29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830B1 (ko) 2014-12-17 2015-10-06 이종용 수위표시장치를갖는냉온수기저수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953A (ja) 1996-05-25 1998-03-03 Samsung Electron Co Ltd 浄水器用浄水貯蔵タンクのカバー装置
KR101041276B1 (ko) 2010-07-09 2011-06-14 이종용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953A (ja) 1996-05-25 1998-03-03 Samsung Electron Co Ltd 浄水器用浄水貯蔵タンクのカバー装置
KR101041276B1 (ko) 2010-07-09 2011-06-14 이종용 냉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830B1 (ko) 2014-12-17 2015-10-06 이종용 수위표시장치를갖는냉온수기저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418B1 (ko) 중첩식 열교환기
KR20160132442A (ko) 건조기 및 세탁건조 복합기
CN101368743B (zh) 高频烹调设备
KR102053784B1 (ko) 정수기용 냉수 탱크
KR102038030B1 (ko)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CN104729186A (zh) 冰箱
KR101099331B1 (ko) 탈부착 타입의 냉온수기 어셈블리
CN113892817A (zh) 冷罐组件和饮水机
CN210408115U (zh) 饮水机的冰胆组件和饮水机
JP2010159916A (ja) 蒸気発生機能付き加熱調理器
KR200470101Y1 (ko) 정수기용 저수탱크장치
WO2019148863A1 (zh) 储水盒组件及设置有该储水盒组件的冰箱
KR20160022709A (ko) 정수기용 필터 연결장치
KR101184371B1 (ko) 냉온수기
CN102016460B (zh) 包括压力补偿阀的制冷装置
CN210408109U (zh) 上盖、水壶及饮水机
KR101976769B1 (ko)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KR101034680B1 (ko) 온수 역류방지장치를 갖는 분리형 온수통
CN207101923U (zh) 一种可拆卸式蒸发器
CN218474465U (zh) 一种水汽分离装置、水龙头和饮水设备
CN206905257U (zh) 燃气热水器及其储水罐的安装结构
KR101098191B1 (ko) 냉수통에 체결되는 저장조
KR101480076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1035214B1 (ko) 물통을 구비하는 기계식 비데
US11137192B2 (en) Circulator for cooling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