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979A -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979A
KR20100103979A KR1020090022084A KR20090022084A KR20100103979A KR 20100103979 A KR20100103979 A KR 20100103979A KR 1020090022084 A KR1020090022084 A KR 1020090022084A KR 20090022084 A KR20090022084 A KR 20090022084A KR 20100103979 A KR20100103979 A KR 20100103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ow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3979A/ko
Priority to US12/722,767 priority patent/US8612778B2/en
Publication of KR2010010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06F1/305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Abstract

본 발명은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접속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듀얼 시스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의 전류를 제한하는 메인 전류 제한부로부터 상기 메인 전원을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로 인가하는 제1전원부; 상기 메인 전원을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공급 받아 제1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서브 전원의 연결 상태와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제1네트워크의 접속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상기 메인 전원을 공급받아 제2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22084
USB, 전원, 단말기

Description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system control according to power supply of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접속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SB를 통해 전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중 무선 랜을 이용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PC(Personal Computer)나 노트북과 등과 같은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고속의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공중 무선 랜을 통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는 유선 환경에서와 거의 동일한 품질을 제공하지만, 특정 네트워크에 따라 커버리지(Coverage)가 다르고, 이동성이 취약하며, 실외에서 신뢰성 높고 무결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 대응하여 듀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을 구비한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기존 보다 편리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다.
기존의 USB 접속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에서 전자장치로부터 충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USB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단말기 자체에 배터리를 구비하는 시 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때, 단말기는 동글(Dongle)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전자장치의 두 개의 USB 포트에 각각 케이블을 삽입하여 전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하지만, 단말기는 전자장치로부터 대용량의 전원을 배터리로 수급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크기가 커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크기도 커지고, 디자인이 나빠지며 배터리 단가에 따라 단말기의 가격이 상승한다.
또한, 단말기의 배터리는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 충전으로 인하여 전자장치 상에서 일시적인 전류 부족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전류 제한 회로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USB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전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할 수 없기 때문에 전자장치의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라 듀얼 시스템 운용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공급 전원이 부족한 경우에도 듀얼 시스템 운용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듀얼 시스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의 전류를 제한하는 메인 전류 제한부로부터 상기 메인 전원을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로 인가하는 제1전원부; 상기 메인 전원을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공급 받아 제1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서브 전원의 연결 상태와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제1네트워크의 접속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상기 메인 전원을 공급받아 제2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로부터 메인 전원이 공급되는지 판 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전원이 공급되면, 제1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제1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제1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실행 중에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제2네트워크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면, 서브 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제1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시스템으로 구성된 단말기는 충분한 전원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해당되는 네트워크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따라 핸드오버(Handover)가 가능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최대한 효율적으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단말기의 내부 장치를 통해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장치의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듀얼 시스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써,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단말기,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기에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모듈이 구비된 모든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기지국(10), 제2기지국(20), 단말기(30) 및 전자장치(4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주체가 되는 것은 단말기(30)이고, 전자장치(4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USB 통신을 통해 단말기(30)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30)가 구동될 수 있다.
단말기(30)는 제1기지국(10) 또는 제2기지국(20)과 통신을 실행하여 전자장치(40)에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단말기(30)는 듀얼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로써, 두 개의 다른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해당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30)는 제1기지국(10)과 CDMA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기지국(20)과 Wimax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 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는 제1기지국(10)과 GSM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기지국(20)과 Wimax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는 제1기지국(10)과 HSDPA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기지국(20)과 Wimax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30)는 각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해당되는 기지국과 연결되기 위하여 전자장치(40)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아이디(Identification, ID)나 패스워드(Password)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단말기(30)는 해당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대한 데이터가 회신되면, 해당되는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증은 같은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방식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전자장치(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USB 포트를 통해 단말기(30)와 직접 연결되거나 USB 케이블을 통해 단말기(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40)는 단말기(30)에 전원을 공급하고, 단말기(30)와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40)는 USB 통신이 가능한 PC나 노트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40)는 USB 케이블을 통해 단말기(30)와 연결되는 경우, USB 포트를 통해 전원만을 단말기(30)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4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단말기(30)를 통해 해당되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30)는 제1제어부(100), 제1전원부(110), 제1무선통신부(120), 메인 전류 제한부(130), 제2제어부(200), 제2전원부(210), 제2무선통신부(220), 서브 전류 제한부(230), 제1커넥터(300), 제2커넥터(400) 및 스위치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넥터(300)는 USB 케이블을 통해 전자장치(40)로부터 단말기(30)에 메인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 때, 제1커넥터(300)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장치(3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터(300)는 전자장치(40)와 단말기(30)간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한다. 즉, 제1커넥터(300)는 USB 플러그(Plug)로 구성되어 전자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을 단말기(30)로 전달하고, 단말기(30)와 전자장치(4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기능을 한다.
제2커넥터(400)는 전자장치(40)로부터 단말기(30)에 서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제공한다. 이 때, 제2커넥터(400)는 USB 소켓(Socket)이 될 수 있으며,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자장치(40)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310)는 전자장치(40)와 제1제어부(100) 또는 전자장치(40)와 제2제어부(200) 사이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스위치부(310)는 제1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제1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하여 제1커넥터(300)를 통해 전자장치(40)로 전달하거나 제2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제2제어부(200)로부터 수신하여 제1커넥터(300)를 통해 전자장치(4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전류 제한부(130)는 제1커넥터(30)를 통해 전자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의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30)는 전자장치(40)로부터 일정 전류 이상의 전원 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메인 전류 제한부(130)는 USB를 통해 일정 전류 이상의 전원이 단말기(30)에 공급되어 전자장치(40)의 기능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전원부(110)는 제1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기(3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제1전원부(110)는 메인 전류 제한부(130)를 통해 일정 전류 이하의 메인 전원을 공급 받거나, 서브 전류 제한부(230)를 통해 일정 전류 이하의 서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전원부(110)는 제2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메인 전원을 제2제어부(200)로 인가할 수 있다.
제1무선통신부(120)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및 확산(Spreading)하거나 수신한 데이터를 역확산(Despreading)및 채널부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1무선통신부(120)는 제1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제1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신호를 제1기지국(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무선통신부(120)는 제1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네트워크 접속에 관한 데이터 신호를 제1제어부(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부(100)는 단말기(3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수신하는 RF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각 모뎀에 전송하여 해당되는 모뎀의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1제어부(100)는 제1커넥터(300)를 통해 전자장치(40)와 연결되면, 전자장 치(4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 때,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면, 제1제어부(100)는 제1전원부(11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1제어부(100)는 전자장치(40)를 통해 제공되는 메인 전원 공급에 따라 제1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제1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제1제어부(100)는 메인 전원을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에 접속 중 전자장치(40)의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2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되면, 제1제어부(100)는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지역인 경우 제2무선통신부(220)를 통해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하여 서브 전원이 공급되는 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1제어부(100)는 서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1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송수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서브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1제어부(100)는 제2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전원 확보를 위하여 제1네트워크의 접속 상태를 변경한다. 즉, 제1제어부(100)는 전자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수신전계강도에 따라 제1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제어부(100)는 단말기(30)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수신전계강도가 기 설정된 중전계 혹은 강전계 이상인 경우 제2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전원 확보를 위하여 제1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송신을 제한하고, 수신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제어부(100)는 제1기지국(10)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00)는 단말기(30)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수신전계강도가 전원 소모가 상대적으로 큰 기 설정된 약전계인 경우 제1기지국(10)으 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하지 않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제어부(100)는 제1네트워크 접속 중 사용자로부터 제2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되면, 단말기(30)의 기능에 대한 제어를 제2제어부(200)가 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다.
제1제어부(100)는 제1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접속 시 단말기(30)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100)는 전자장치(40)로부터 제1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되면, 전자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대한 데이터를 제1기지국(10)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제1네트워크 접속 요청과 동시에 제1기지국(10)과 사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제1제어부(100)는 전자장치(40)로부터 메인 전원과 서브 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 메인 전원을 이용하고 있는 제1네트워크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 접속에 추가 전원이 필요한 경우 메인 전원과 서브 전원을 이용하여 제1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제1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4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는 제1커넥터(300)를 통해 단말기(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전원부(210)는 제2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기(30)의 각 부에 서브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제2전원부(210)는 서브 전류 제한부(230)를 통해 일정 전류 이상의 서브 전원을 공급 받거나, 메인 전류 제한부(130)를 통해 일정 전류 이하의 메인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2전원부(210)는 제1제어 부(100)의 제어에 따라 서브 전원을 제1제어부(100)로 인가할 수 있다.
제2무선통신부(220)는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 및 확산하거나 수신한 데이터를 역확산 및 채널부호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2무선통신부(220)는 제2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신호를 제2기지국(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2무선통신부(220)는 제2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네트워크 접속에 관한 데이터 신호를 제2제어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브 전류 제한부(230)는 제2커넥터(400)를 통해 전자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서브 전원의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30)는 전자장치(40)로부터 일정 전류 이하의 전원 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서브 전류 제한부(230)는 USB를 통해 일정 전류 이상의 전원이 단말기(30)에 공급되어 전자장치(40)의 기능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제어부(200)는 단말기(3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수신하는 RF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각 모뎀에 전송하여 해당되는 모뎀의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2제어부(200)는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 시 제1제어부(100)로부터 단말기(30)에 대한 제어권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2제어부(100)는 제2커넥터(400)가 전자장치(40)와 연결되면 전자장치(4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스위치부(310)를 통해 전자장치(4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2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2제어부(200)는 제2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전자장치(40)로 전송할 수 있 다.
제2제어부(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장치(40)로부터 입력되는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지역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제어부(200)는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기 위하여 제1네트워크 접속 시 이용하였던 사용자 인증에 따른 정보를 제1제어부(100)로부터 전달받아 실행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200)는 제1제어부(100)와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공유되어 있는 경우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여부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제2제어부(2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제2무선통신부(220)를 제어하여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제어부(200)는 제2네트워크 접속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제1네트워크 접속 가능 지역인 경우 제1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하여 서브 전원이 공급되는 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00)는 서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2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송수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서브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2제어부(200)는 제1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전원 확보를 위하여 제2네트워크의 접속 상태를 변경한다. 즉, 제2제어부(200)는 전자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수신전계강도에 따라 제2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제어부(200)는 단말기(30)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수신전계강도가 기 설정된 중전계 혹은 강전계 이상인 경우 제2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전원 확보를 위하여 제2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송신을 제한하고, 수신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제어부(200)는 제2기지국(20)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00)는 단말기(30)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수신전계강도가 전원 소모가 상대적으로 큰 기 설정된 약전계인 경우 제2기지국(20)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하지 않는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제어부(200)는 전자장치(40)로부터 서브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2네트워크 접속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메인 전원과 서브 전원을 이용한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메인 전원과 서브 전원을 이용한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3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단말기(30)는 S301단계에서 제1커넥터(300)를 통해 전자장치(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40)와 연결되면, 단말기(30)는 전자장치(40)로부터 메인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으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의 전류량은 메인 전류 제한부(130)를 통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30)는 USB 케이블을 통해 전자장치(40)와 연결되거나 플러그로 구성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4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30)는 전자장치(40)로부터 메인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1제어부(100)가 먼저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메인 전원이 공급되면, 제1제어부(100)는 커넥터 접속에 따라 전자장치(4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신호는 스위치부(310)를 통해 제1제어부(100)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310)는 제1제어부(100) 또는 제2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전자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1제어부(100) 혹은 제2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1제어부(100)는 S303단계에서 메인 전원을 통해 제1전원부(110)를'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전원은 메인 전류 제한부(130)를 통해 안정적으로 제2전원부(110)에 공급된다.
제1전원부(110)가 가동되면, 제1제어부(100)는 S305단계에서 제1무선통신부(120)를 제어하고, 제1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제어부(11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 즉,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1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접속 시 단말기(30)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100)는 전자장치(40)로부터 제1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되면,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대한 데이터를 제1기지국(10)에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제1네트워크 접속 요청과 동시에 제1기지국(10)과 사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으로는 인터넷 서비스 및 문자 메시지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단말기(3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전자장치(4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예 를 들어 설명 하였지만, 전자장치(40) 또는 단말기(30)의 고유번호 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제어부(100)는 S307단계에서 제1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실행 중 전자장치(4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2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이 감지되면, 제1제어부(100)는 S309단계에서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제어부(100)는 제1전원부(110)를 제어하여 제2제어부(200)에 메인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이 후, 제2제어부(200)는 제2무선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10)의 현재 위치가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지역인 경우 제2제어부(200)는 S312단계에서 전자장치(40)의 화면에 서브 전원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1커넥터(300)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40)의 화면에는"서브 전원을 공급해 주세요"(401)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제어부(100)는 단말기(30)가 현재 위치한 지역이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지역이 아닌 경우, 즉, 현재 지역에서 제2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제2제어부(200)는 S311단계에서 사용자에게 현재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자장치(40)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1커넥터(300)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40)의 화면에는"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지역이 아닙니다."(403)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제어부(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S305단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제1제어부(100)는 S313단계에서 서브 전원이 공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10)는 메인 전원만으로 제1네트워크 접속 중 전자장치(4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 따른 전원의 소모가 다르기 때문에 단말기의 전원을 안정화 하기 위하여 서브 전원을 전자장치(4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2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되면, 제1제어부(100)는 제2제어부(200)를 통해 단말기(30)가 제어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 후, 제2제어부(200)는 단말기(30)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제어부(200)는 제2커넥터(400)를 통해 서브 전원을 공급 받는 경우, 서브 전류 제한부(230)를 통하여 일정 전류 이하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
서브 전원이 공급되면, 제1제어부(100)는 S315단계에서 제1기지국(10)과의 송수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100)는 제1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후, 제2제어부(200)는 S331단계에서 서브 전원을 통해 제2전원부(210)를 '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전원부(210)가 가동되면, 제2제어부(200)는 S333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에 따른 정보를 제1제어부(100)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200)는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기 위하여 제1네트워크 접속 시 이용하였던 사용자 인증에 따른 정보를 제1제어부(100)로부터 전달받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제어 부(200)는 제1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사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제2제어부(200)는 S335단계에서 제2무선통신부(220)를 제어하여 제2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 후, 제2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제2제어부(200)는 전자장치(40)의 사용자가 제2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한편, 서브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1제어부(100)는 S317단계에서 제1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수신전계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제어부(100)는 제1기지국(10)으로부터 단말기(30)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수신전계강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거나 자신이 현재 수신하는 신호 세기의 강도를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 후, 제1제어부(100)는 수신전계강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강도에 따라 제1네트워크 접속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신전계강도가 기 설정된 중전계 혹은 강전계 이상인 경우, 제1제어부(100)는 S319단계에서 제1기지국(10)과의 송신을 제한하고, 수신만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30)는 제1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일정 주기로 제1기지국(10)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신전계강도가 기 설정된 약전계인 경우, 제1제어부(100)는 S321단계에서 제1기지국(10)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하지 않고, 네트워크 접속 중지를 수행하는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제어부(100)는 제1전원부(110)의 동작을 종료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1제어부(100)는 S323단계에 서 전자장치(40)의 화면에 제1네트워크 접속 중지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1커넥터(300)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40)의 화면에는"제1네트워크 접속을 중지합니다."(405)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럼 다음, 제2제어부(200)는 S341단계에서 메인 전원을 통해 제2전원부(210)를 '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전원부(210)가 가동되면, 제2제어부(200)는 S343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에 따른 정보를 제1제어부(100)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200)는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기 위하여 제1네트워크 접속 시 이용하였던 사용자 인증에 따른 정보를 제1제어부(100)로부터 전달받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제어부(200)는 제1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사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제2제어부(200)는 S345단계에서 제2무선통신부(220)를 제어하여 제2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 후, 제2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제2제어부(200)는 전자장치(40)의 사용자가 제2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메인 전원과 서브 전원을 이용한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메인 전원과 서브 전원을 이용한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Claims (15)

  1.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듀얼 시스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의 전류를 제한하는 메인 전류 제한부로부터 상기 메인 전원을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로 인가하는 제1전원부;
    상기 메인 전원을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공급 받아 제1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서브 전원의 연결 상태와 제2네트워크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제1네트워크의 접속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상기 메인 전원을 공급받아 제2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와 유에스비(USB) 연결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서브 전원의 전류량을 제한하여 상기 제1전원부 및 제2전원부에 공급하는 서브 전류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서브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송수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서브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1네트워크의 수신전계강도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기 설정된 강전계 혹은 중전계인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송신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기 설정된 약전계인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제2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제어권을 상기 제2제어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네트워크의 접속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사용자 인 증에 따른 정보를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단말기.
  8.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로부터 메인 전원이 공급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전원이 공급되면, 제1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제1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제1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실행 중에 제2네트워크 접속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제2네트워크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면, 서브 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제1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장치와 유에스비(USB) 연결을 통해 서브 전원의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메인 전원 또는 상기 서브 전원의 전류량을 제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서브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송수신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서브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1네트워크의 수신전계강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기 설정된 강전계나 중전계인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의 데이터 신호 송신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기 설정된 약전계인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제2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기의 제어권을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제2네트워크의 접속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 인증에 따른 정보를 리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스템 듀얼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090022084A 2009-03-16 2009-03-16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103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84A KR20100103979A (ko) 2009-03-16 2009-03-16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722,767 US8612778B2 (en) 2009-03-16 2010-03-12 Terminal device capable to operate at a dual power feeding mode for supporting a dual-mode configuration having two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84A KR20100103979A (ko) 2009-03-16 2009-03-16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79A true KR20100103979A (ko) 2010-09-29

Family

ID=4273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084A KR20100103979A (ko) 2009-03-16 2009-03-16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12778B2 (ko)
KR (1) KR201001039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0603B2 (en) * 2006-06-09 2011-08-02 Gentex Corporation Variable transmission window system
JP5570053B2 (ja) * 2009-12-25 2014-08-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DE102011079890A1 (de) * 2011-07-27 2013-01-31 Codewrights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Bedienung von Feldgeräten in einer Automatisierungsanlage
US9405165B2 (en) 2012-03-30 2016-08-02 Gentex Corporation Controller configured for an electro-optic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3457458B (zh) * 2012-05-28 2016-03-30 华为终端有限公司 电流切换控制设备及电子设备
EP3052985B1 (en) 2013-10-04 2019-07-24 Gentex Corporation Variable transmittance window system
JP2015170292A (ja) * 2014-03-10 2015-09-2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KR102117028B1 (ko) 2014-10-07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어링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260B1 (en) * 1999-07-07 2002-03-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408147A (zh) * 2000-10-04 2003-04-02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机
US20030050103A1 (en) * 2001-09-07 2003-03-13 Jean Tourrilhes Power management scheme for a communication interface of a wireless device
JP2004038295A (ja) * 2002-06-28 2004-02-0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US6865063B2 (en) * 2002-11-12 2005-03-0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Integrated inrush current limiter circuit and method
JP4250991B2 (ja) * 2003-03-27 2009-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8682386B2 (en) * 2003-04-07 2014-03-25 Fujitsu Limited Dual-mode system and dual-mode wireless terminal
KR100640364B1 (ko) * 2004-01-14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 서비스 제공 여부를 사용자에게알리는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TWI244607B (en) * 2004-08-27 2005-12-01 Incomm Technologies Co Ltd Multi-interface auto-switching circuit and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60164773A1 (en) * 2005-01-25 2006-07-27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Adjusting current limit thresholds based on output voltage of power supply device in system for providing power over communication link
KR101151075B1 (ko) * 2005-04-19 2012-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US20070026866A1 (en) * 2005-05-27 2007-02-01 Govindarajan Krishnamurthi Mobile nod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ing off from one type of network to another type of network
EP1891760A1 (en) * 2005-06-03 2008-02-27 Terahop Networks, Inc. Using wake-up receivers for soft hand-off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4628331B2 (ja) * 2005-09-26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7706390B2 (en) * 2005-11-07 2010-04-27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packets in a wireless multihopping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217048A1 (en) * 2005-12-23 2009-08-27 Bce Inc. Wireless device authentication between different networks
KR100739183B1 (ko) * 2005-12-30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WO2007125570A1 (ja) * 2006-04-26 2007-11-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8798671B2 (en) * 2006-07-26 2014-08-05 Motorola Mobility Llc Dual mode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ing configuration
US20080032628A1 (en) * 2006-08-02 2008-02-0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rends in received signal strength
US7660565B2 (en) * 2006-08-14 2010-02-09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signal strength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4275698B2 (ja) * 2006-10-13 2009-06-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無線接続端末及び無線通信のローミング方法
US8504119B2 (en) * 2007-01-09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efficient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ervice levels in a mobile station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US8290524B2 (en) * 2007-01-17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transmission during a channel fade
US7630735B2 (en) * 2007-03-12 2009-12-08 Inventec Appliances Corp. Intelligent method for dynam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 modes of a dual-mode communication module
US7627339B2 (en) * 2007-04-02 2009-12-01 Inventec Appliances Corp. Application-oriented and intelligent method for switching communication modes of a dual-mode communication module
KR20090035220A (ko) * 2007-10-05 200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모드형 이동 단말기와 그의 통신 모드 제어방법
CN101426295B (zh) * 2007-10-31 2016-09-14 Nxp股份有限公司 在无线通信系统中实现双待机状态的方法和系统
US8547887B2 (en) * 2007-12-31 2013-10-01 Shoretel, Inc. Wireless interface contro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35657A1 (en) 2010-09-16
US8612778B2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979A (ko)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US79041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electively utilizing peripheral devices
KR10073542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sim 카드 공유 방법
EP2629582B1 (en) Mobile terminal with routing function for supporting multiple-mode acces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02138134B (zh) 智能的具有供电功能的通信端口
US7346368B2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operating in different data transfer modes
US7884572B2 (en) Hot spot device
US20100211685A1 (en) Pairing exchange
WO2007047911B1 (en) Communications network extension via spontaneous generation of new cells
US201602700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and Terminal
US895357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network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284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8621568B2 (en) WAN module based remote wakeup system and terminal thereof
US20140211771A1 (en) Wireless modem having transmission power management modes
KR20120017730A (ko) 대기전력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제어장치
CN212628214U (zh) 一种多功能无线路由器
CN109429291B (zh) 一种便携式宽带无线装置及网络信号的切换方法
CN108009110B (zh) 设备识别方法及装置
KR101523398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및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의 핸드오버 방법
KR20140088663A (ko)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배터리 충전서비스 제공방법
CN108984004B (zh) 一种电源外置式的无线充电鼠标
KR101569535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및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의 핸드오버 방법
TW201636758A (zh) 通訊控制系統、方法及具有通訊功能的充電器
GB2450080A (en) Combined mouse and wireless modem
KR20130142320A (ko) Uart 기반 통신용 동글, 동글 모듈, 동글 어답터 및 이를 이용한 기기 연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