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952A -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 Google Patents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952A
KR20100102952A KR1020090021285A KR20090021285A KR20100102952A KR 20100102952 A KR20100102952 A KR 20100102952A KR 1020090021285 A KR1020090021285 A KR 1020090021285A KR 20090021285 A KR20090021285 A KR 20090021285A KR 20100102952 A KR20100102952 A KR 20100102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kiln
air
distribution line
lin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699B1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박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선 filed Critical 박영선
Priority to KR102009002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699B1/ko
Priority to CN201080016430.2A priority patent/CN102395831B/zh
Priority to PCT/KR2010/001579 priority patent/WO2010104362A2/ko
Publication of KR2010010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rotating or oscillating dr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 폐기물이나 일반 폐기물등의 폐기물을 소각·용해하는 장치에 사용이 적합한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으로, 로터리 킬른(100)을 구성하는 외통(120)에는 공기 유입구멍(120a)이 형성되고, 로터리 킬른(100)을 구성하는 내통(110)에는 외통(120)의 공기 유입구멍(120a)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로터리 킬른(100)의 내부 홀(100a)로 유도 배출하는 공기 공급라인(111, 111', 112, 113)이 구비된 구조로서, 로터리 킬른(100)이 로터리 킬른(100) 내부의 폐기물에 연소 촉진을 위한 공기를 자체적으로 직접 공급하게 되고, 로터리 킬른 내부 홀(100a)로 공기를 분출하는 배출라인(113)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외부 공기를 로터리 킬른 내부 홀(100a)로 분출하게 되므로, 외부 공기가 로터리 킬른 내부 홀(100a)로 고르게 분출되어, 로터리 킬른(100)의 연소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021285
로터리 킬른, 회전가마, 연소, 소각, 용해

Description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Rotary kiln}
본 발명은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업 폐기물이나 일반 폐기물등의 폐기물을 소각·용해하는 장치에 사용이 적합한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내화재질의 원통으로 제작되는 로터리 킬른은 약간 기울어진 상태에서 완만한 속도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통상 로터리 킬른 내에 화염을 불어넣고,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로터리 킬른의 입구쪽으로 원료를 투입하여, 로터리 킬른의 입구쪽으로 투입된 원료가 회전되는 로터리 킬른 내부에서 교반되어 연소·용해되면서,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된 로터리 킬른의 출구쪽으로 이동되어서 로터리 킬른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로터리 킬른 내부로 투입된 연료가 보다 잘 연소되도록, 로터리 킬른 내부에 공기를 강제로 불어넣어서 연료의 연소가 촉진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로터리 킬른은 단순한 원통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로터리 킬른 내부로 공기를 강제 공급하기 위해서는 로터리 킬른의 입구쪽으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밖에 없는데, 이처럼 공기를 로터리 킬른의 입구쪽으로 불어넣게 되면, 로터리 킬른 내부로 불어넣어진 공기가 연료가 위치한 로터리 킬른의 내부 아래쪽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대부분의 공기가 로터리 킬른의 내부 위쪽을 따라 이동되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로터리 킬른 내부로 투입된 연료가 만족스럽게 연소·용해되지 못하였다.
이에 로터리 킬른 내부로 투입된 연료가 보다 잘 연소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이중 일부는 이미 관련 분야에서 공연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안들은 단순한 원통형 구조의 종래 로터리 킬른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로터리 킬른 주변 장치를 복잡한 형태의 구조로 변경하거나, 별도의 장치들을 부가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 이들 방안에 따르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보수 및 유지가 불리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설비 투자비용이 크게 높아지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또한, 상기 개량된 종래 폐기물 소각·용해장치는 연소기능도 기대했던 것 만큼 만족스럽지 못하여, 환경 오염물질인 폐기물을 연소시켜서 열원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 연료의 연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레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어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는 1차 분배라인, 1차 분배라인에 연통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2차 분배라인, 2차 분배라인에 연통되어 내부 홀을 향해 개구되는 배출라인을 갖춘 내화재질의 내통과 ; 내통의 1차 분배라인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멍을 갖추고서, 내통의 외면을 감싸는 외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리 킬른을 구성하는 외통에는 공기 유입구멍이 형성되고, 로터리 킬른을 구성하는 내통에는 외통의 공기 유입구멍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로터리 킬른의 내부 홀로 유도 배출하는 공기 공급라인이 구비되어, 로터리 킬른이 로터리 킬른 내부의 폐기물에 연소 촉진을 위한 공기를 자체적으로 직접 공급하게 되므로, 로터리 킬른의 연소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리 킬른은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로터리 킬른 내부 홀로 공기를 분출하는 배출라인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외부 공기를 로터리 킬른 내부 홀로 분출하게 되므로, 외부 공기가 로터리 킬른 내부 홀로 고르게 분출되어, 로터리 킬른의 연소기능이 더욱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을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에 적용하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구조가 대폭 단순화되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게 되고,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설비 투자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은, 내화재질의 내통(110)과, 내통(110)의 외면을 감싸는 외통(120) 및, 외통(120)의 외면에 구비되는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 130')로 구성된다.
상기 내통(110)은 둘레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어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는 1차 분배라인(111 ; 111')과, 1차 분배라인(111 ; 111')에 연통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2차 분배라인(112) 및, 2차 분배라인(112)에 연통되어 내부 홀(100a)을 향해 개구되는 배출라인(113)을 갖춘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1차 분배라인(111 ; 111')은 "ㄷ"자 단면을 이루는 원주형태의 금속 프레임을 외통(120)의 내면에 고정해서 형성하였지만, 1차 분배라인(111 ; 111')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1차 분배라인(111 ; 111')을 원호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2차 분배라인(112)은 원형 금속 관을 1차 분배라인(111 ; 111')의 측면에 연통되게 고정해서 형성하였지만, 2차 분배라인(112)의 단면 형상 역시도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출라인(113)은 원형 금속 관을 2차 분배라인(112)의 둘레면에 연통되게 고정하되, 출구가 내통(110)의 중심 축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배출라인(113)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가 로터리 킬른(110)의 내부 홀(100a) 중심을 향해서 배출되도록 하였지만, 배출라인(113)의 단면 형상 역시도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배출라인(113)의 각도를 조절하여 배출라인(113)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각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금속 재질의 프레임과 관을 이용해서 공기 공급라인(111, 111', 112, 113)을 형성하고, 내화재로 이들 공기 공급라인(111, 111', 112, 113)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서, 공기 공급라인(111, 111', 112, 113)을 갖춘 내화재질의 내통(110)을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공급라인(111, 111', 112, 113)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 관을 매개로 배출라인(113)을 형성하는 경우, 배출라인(113)의 공기 출구가 로터리 킬른(100)의 내부 홀(100a)로 노출되면 배출라인(113)이 고온에 의해서 융해될 위험이 있으므로, 배출라인(113)의 공기 출구는 내화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출라인(113)의 공기 출구가 내부 홀(100a)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여 돌기형태의 노즐(113a)을 이루도록 하였는데, 이처럼 돌기형태의 노즐(113a)을 이루도록 하면, 고온에 의해 연소되면서 용해되는 로터리 킬른(100) 내부의 폐기물이 배출라인(113)으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외통(120)은 내통(110)의 1차 분배라인(111)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멍(120a)을 갖춘 구조를 이룬다. 상기 공기 유입구멍(120a)의 크기와 위치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지만, 공기 유입구멍(120a)의 위치는 가급적 2차 분배라인(112) 간의 중간 부분에 형성해서, 공기 유입구멍(120a)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1차 분배라인(111, 111')을 거쳐서 2차 분배라인(112)으로 고르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통(120)으로는 통상 원형의 금속 관이 적용된다.
상기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 130')는 외통(120)의 외면에 원주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유입구멍(120a)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공기 안내판(G1, G2 ; G3, G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한 쌍의 공기 안내판(G1, G2 ; G3, G4)은 내열성과 탄성을 갖춘 내열 실리콘 재질의 것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공기 안내판(G1, G2 ; G3, G4)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의 것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141"은 공기 안내판(G1 ~ G4)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이고, 미설명부호 "142"는 고정부재(141)를 외통(12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이며, 미설명부호 "120b"는 체결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체결구멍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공기 안내판(G1 ~ G4)을 외통(120)에 체결하기 위한 구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안내판(G1 ~ G4)의 모양과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100)의 사용예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의하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는, 로터리 킬른(100)을 지지하면서 로터리 킬른(100)의 축을 중심으로 로터리 킬른(2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터리 킬른 구동장치(200)와 ; 입구(도 6상에서 왼쪽)가 출구(도 6상에서 오른쪽)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로터리 킬른 구동장치(200)에 얹혀져 고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100)과 ; 로터리 킬른(100)의 외부로 개구된 입구를 밀폐하는 내화재질의 밀폐구조물(300)과 ; 상부에는 연소가스 배출구(400a)를, 하부에는 슬래그 배출구(400b)를 갖추고서, 로터리 킬른(100)의 외부로 개구된 출구를 밀폐하면서, 연소가스와 슬래그를 분리 배출하는 2차 연소로(400)와 ; 밀폐구조물(300)에 설치되어, 로터리 킬른(200) 내부로 폐기물을 공급하는 폐기물 투입장치(500)와 ; 밀폐구조물(300)에 설치되어, 로터리 킬른(200)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을 점화하는 연소버너(600)와 ; 로터리 킬른(100)으로 연소 촉진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700)와 ; 2차 연소로(400)의 슬러 그 배출구(400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그를 이송하는 슬러그 이송장치(800)와 ; 2차 연소로(400)의 슬러그 배출구(400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슬러그 이송장치(800)에 의해서 이송되는 슬러그를 냉각하는 냉각수조(900)로 구성된다. 도 7은 상기 로터리 킬른(100)의 입구측 공기흐름 유도부재(130)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이에 의하면, 다수의 리브(B1a)와 관통구멍(h1)을 갖춘 제1기밀유지부재(B1)가 밀폐구조물(300)에 설치되고, 제1기밀유지부재(B1)의 리브(B1a)들 사이에 입구측 공기흐름 유도부재(130)를 구성하는 공기 안내판(G1, G2)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끼워진다. 도 8은 상기 로터리 킬른(100)의 출구측 공기흐름 유도부재(130)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이에 의하면, 다수의 리브(B2a)와 관통구멍(h2)을 갖춘 제2기밀유지부재(B2)가 2차 연소로(400)에 설치되고, 제2기밀유지부재(B2)의 리브(B2a)들 사이에 출구측 공기흐름 유도부재(130)를 구성하는 공기 안내판(G3, G4)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끼워진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10"은 공기공급장치(7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2차 연소로(40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노즐이다.
상기 폐기물 소각·용해장치를 가동하면, 로터리 킬른(100)이 로터리 킬른 구동장치(200)에 의해 회전되고, 공기공급장치(700)로부터 로터리 킬른(100)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폐기물이 폐기물 투입장치(500)에 의해서 로터리 킬른(10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연소버너(600)는 로터리 킬른(100)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이 발화되도록 일시적으로 가동되며, 로터리 킬른(100)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이 발화되면, 연소버너(600)의 가동을 중지하더라도 폐기물의 연소열에 의해 서 폐기물의 연소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로터리 킬른(100)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은 로터리 킬른(100)에 의해 교반되면서 연소·융해되어 자연스럽게 2차 연소로(400)로 배출되는데, 로터리 킬른(100)으로부터의 연소가스는 2차 연소로(400)의 상부로 유도되어 2차 연소로(400) 내에서 재연소된 후에 연소가스 배출구(400a)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로터리 킬른(100)으로부터의 슬래그(연소 찌꺼기)는 2차 연소로(400)의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냉각수조(900)를 통해 빠르게 냉각되면서 슬러그 이송장치(800)를 통해 다음 단계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장치(7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밀유지부재(B1)의 관통구멍(h1) → 한 쌍의 공기 안내판(G1, G2) 사이의 공간 → 외통(120)의 공기 유입구멍(120a ; 도 4 또는 도 6 참조) → 1차 분배라인(111) → 2차 분배라인(112) → 배출라인(113)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 후에 노즐(113a)을 통해서 내부 홀(100a)로 분출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밀유지부재(B2)의 관통구멍(h2) → 한 쌍의 공기 안내판(G3, G4) 사이의 공간 → 외통(120)의 공기 유입구멍(120a ; 도 4 또는 도 6 참조) → 1차 분배라인(111') → 2차 분배라인(112) → 배출라인(113)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 후에 노즐(113a)을 통해서 내부 홀(100a)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 안내판(G1, G2, G3, G4)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 압력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휘어지면서 기밀유지부재(B1, B2)의 리브(B1a, B2a)에 맞대어지게 되므로, 밀폐구조물(300)과 로터리 킬른(100), 2차 연소로(400)와 로터리 킬른(100) 간의 기밀이 긴밀하게 유지되면서, 공급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효 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리 킬른(100)을 구성하는 외통(120)에는 공기 유입구멍(120a)이 형성되고, 로터리 킬른(100)을 구성하는 내통(110)에는 외통(120)의 공기 유입구멍(120a)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로터리 킬른(100)의 내부 홀(100a)로 유도 배출하는 공기 공급라인(111, 111', 112, 113)이 구비되어, 로터리 킬른(100)이 로터리 킬른(100) 내부의 폐기물에 연소 촉진을 위한 공기를 자체적으로 직접 공급하게 되므로, 로터리 킬른(100)의 연소기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로터리 킬른(100)은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로터리 킬른 내부 홀(100a)로 공기를 분출하는 배출라인(113)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외부 공기를 로터리 킬른 내부 홀(100a)로 분출하게 되므로, 외부 공기가 로터리 킬른 내부 홀(100a)로 고르게 분출되어, 로터리 킬른(100)의 연소기능이 더욱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100)을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에 적용하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구조가 대폭 단순화되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게 되고,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설비 투자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130')가 단단한 금속재질인 경우의 일예를 도시 하고 있다.
도 11에 의하면, 다수의 리브(B3a)와 관통구멍(h3)을 갖춘 제3기밀유지부재(B3)가 밀폐구조물(300)에 설치되고, 제3기밀유지부재(B3)의 리브(B3a)들 사이에 입구측 공기흐름 유도부재(130)를 구성하는 공기 안내판(G1, G2)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끼워진다.
도 12에 의하면, 다수의 리브(B4a)와 관통구멍(h4)을 갖춘 제4기밀유지부재(B4)가 2차 연소로(400)에 설치되고, 제4기밀유지부재(B4)의 리브(B4a)들 사이에 출구측 공기흐름 유도부재(130)를 구성하는 공기 안내판(G3, G4)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끼워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기 안내판(G1 ~ G4)은 단단한 금속재질로서 외통(120)에 용접 고정되므로, 공기공급장치(700)로부터의 공기가 제1기밀유지부재(B1)의 관통구멍(h1)으로 유입되면, 유입 공기의 일부분이 공급 압력에 의해 제3·4기밀유지부재(B3, B4)와 공기 안내판(G1 ~ G4)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외부로 누출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공기 누출 방지판(S1 ~ S4)을 외통(120)의 외면에 보강하고, 제3·4기밀유지부재(B3, B4)의 리브(B3a, B4a)들 사이에 공기 누출 방지판(S1 ~ S4)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끼워지도록 해서, 공급 공기의 외부로의 누출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라인(113)의 출구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110)의 내면과 일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로터리 킬른(100) 내부의 용해 폐기물이 배출라인(113)으로 역류될 위험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경우, 로터리 킬른(100)의 입구측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및 1차 분배라인(111)과, 출구측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및 1차 분배라인(111')을 통해서 공기공급장치(700)로부터의 공기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입구측이나 출구측을 통해서만 공기공급장치(700)로부터의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3곳 이상의 위치에 공기흐름 유도부재와 1차 분배라인을 형성해서 공기공급장치(700)로부터의 공기 공급이 3곳 이상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공기흐름 유도부재와 1차 분배라인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기공급장치(700)로부터의 공기가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130')를 통해서 외통(120)의 공기 유입구멍(120a)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130')는 기밀유지부재(B1 ~ B4)와의 결합방식에 따라 적용 유무가 선택되어질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1차 분배라인(111, 111')으로의 공기 공급방식에 따라서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130')가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130')의 구조가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100)은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에 사용하 기 위해서 개발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100)은 특정 용도로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폭 넓은 용도로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로터리 킬른(100)의 입구부분에서는 폐기물의 건조 및 발화가 이루어지고, 로터리 킬른(100)의 중간부분에서 본격적인 폐기물의 연소 및 용해가 이루어지며, 로터리 킬른(100)의 출구부분에서는 폐기물의 소각 및 연소가스 발생이 이루어지므로, 로터리 킬른(100)의 중간부분에 보다 많은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로터리 킬른(100)의 연소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 직경의 배출라인(113)이 2차 분배라인(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로터리 킬른(100)의 중간부분에 위치된 배출라인(113)의 공급 압력이 다른 위치의 배출라인(113)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도록 하거나, 배출라인(113)이 2차 분배라인(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면서 공급압력이 배출라인(113)들에 고르게 가해지는 경우에는 로터리 킬른(100)의 중간부분에 위치된 배출라인(113)의 직경이 다른 위치의 배출라인(113)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하거나, 동일 직경의 배출라인(113)이 2차 분배라인(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공급압력이 배출라인(113)들에 고르게 가해지는 경우에는 로터리 킬른(100)의 중간부분에 위치된 배출라인(113) 간의 간격을 다른 위치의 배출라인(113)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해서, 로터리 킬른(100)의 중간부분에 보다 많은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의 요부 부분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을 갖춘 폐기물 소각·용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X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Y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을 이용한 로터리 킬른 내부로의 공기 공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1은 도 9에 대한 대응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대한 대응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 ; 로터리 킬른, 100a ; 내부 홀,
110 ; 내통, 111, 111' ; 1차 분배라인,
112 ; 2차 분배라인, 113 ; 배출라인,
113a ; 노즐, 120 ; 외통,
120a ; 공기 유입구멍, 120b ; 체결구멍
130, 130' ; 공기흐름 유도부재, 141 ; 고정부재,
142 ; 체결부재, 200 ; 로터리 킬른 구동장치,
300 ; 밀폐구조물, 400 ; 2차 연소로,
400a ; 연소가스 배출구, 400b ; 슬래그 배출구,
410 ; 공기노즐, 500 ; 폐기물 투입장치,
600 ; 연소버너, 700 ; 공기공급장치,
800 ; 슬래그 이송장치, 900 ; 냉각수조.
B1 ~ B4 ; 기밀유지부재, B1a ~ B4a ; 리브,
G1 ~ G4 ; 공기 안내판, h1 ~ h4 ; 관통구멍,
S1 ~ S4 ; 공기 누출 방지판.

Claims (6)

  1. 둘레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어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는 1차 분배라인(111 ; 111'), 1차 분배라인(111 ; 111')에 연통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2차 분배라인(112), 2차 분배라인(112)에 연통되어 내부 홀(100a)을 향해 개구되는 배출라인(113)을 갖춘 내화재질의 내통(110)과 ;
    내통(110)의 1차 분배라인(111)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멍(120a)을 갖추고서, 내통(110)의 외면을 감싸는 외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배라인(111)이 내통(110)의 둘레 외면에 원주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라인(113)이 내통(110)의 중심 축을 향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라인(113)의 공기 출구가 내부 홀(100a)을 향해 돌출되어서 돌기형태의 노즐(113a)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20)의 외면에 원주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유입구멍(120a)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공기 안내판(G1, G2 ; G3, G4)으로 구성된 공기흐름 유도부재(130 ; 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공기 안내판(G1, G2 ; G3, G4)이 내열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KR1020090021285A 2009-03-12 2009-03-12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KR10111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285A KR101110699B1 (ko) 2009-03-12 2009-03-12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CN201080016430.2A CN102395831B (zh) 2009-03-12 2010-03-12 燃烧功能优异的旋转窑
PCT/KR2010/001579 WO2010104362A2 (ko) 2009-03-12 2010-03-12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285A KR101110699B1 (ko) 2009-03-12 2009-03-12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952A true KR20100102952A (ko) 2010-09-27
KR101110699B1 KR101110699B1 (ko) 2012-03-16

Family

ID=4272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285A KR101110699B1 (ko) 2009-03-12 2009-03-12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10699B1 (ko)
CN (1) CN102395831B (ko)
WO (1) WO201010436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60B1 (ko) * 2013-07-19 2014-08-05 박창덕 로터리 킬른 버너
KR101887584B1 (ko) * 2017-02-23 2018-08-16 (주)창화에너지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593B (en) * 2011-06-07 2014-04-16 Chinook End Stage Recycling Ltd Improvements in waste processing
CN106123017B (zh) * 2016-08-20 2018-05-08 泰州市启航石油分析仪器有限公司 沥青拌和炉发火器
CN106369610A (zh) * 2016-08-25 2017-02-01 苏州天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旋转窑气化系统及其热解气化方法
CN113970103B (zh) * 2020-07-22 2023-10-27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埋入式窑身进风的危险废物焚烧系统及其焚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584A (en) * 1979-04-02 1980-10-07 O'conno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Rotary combustor wall
JPS55150418A (en) * 1979-05-12 1980-11-22 Noritake Co Ltd Air supply device for rotary kiln type incinerator
KR940001597B1 (ko) * 1991-07-16 1994-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써브브레이크 장치
KR940001597Y1 (ko) * 1992-09-14 1994-03-19 오정무 로터리 킬른식 쓰레기 소각장치
KR930007577Y1 (ko) * 1993-03-02 1993-11-05 재단법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로타리 킬른의 원주식 공기공급장치
JPH07318029A (ja) * 1994-05-20 1995-12-08 Kobe Steel Ltd ロータリーキルン式焼却炉
JPH09112860A (ja) * 1995-10-23 1997-05-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ロータリーキルン炉
JP4004155B2 (ja) * 1998-10-22 2007-11-07 日立造船株式会社 回転炉のガス供給装置
CN2504507Y (zh) * 2001-11-24 2002-08-07 四川科学城神工环保工程有限公司 废弃物回转窑焚烧炉
JP3961314B2 (ja) 2002-03-01 2007-08-22 Jfeソルデック株式会社 連続式固形廃棄物炭化装置
WO2004070300A1 (en) * 2003-02-05 2004-08-19 Young-Ill Hwang Duplex rotary kiln and mobile waste treat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2674299Y (zh) * 2003-08-01 2005-01-26 北京钠锘环境工程有限责任公司 有毒有害危险废弃物回转窑式焚烧炉
CN2924446Y (zh) * 2006-07-19 2007-07-18 程志强 埋入式回转窑径向供风装置
CN201129922Y (zh) * 2007-11-23 2008-10-08 沈阳铝镁设计研究院 炭素煅烧回转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60B1 (ko) * 2013-07-19 2014-08-05 박창덕 로터리 킬른 버너
KR101887584B1 (ko) * 2017-02-23 2018-08-16 (주)창화에너지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699B1 (ko) 2012-03-16
WO2010104362A3 (ko) 2011-01-06
CN102395831B (zh) 2014-04-23
WO2010104362A2 (ko) 2010-09-16
CN102395831A (zh)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699B1 (ko)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CA2722874C (en) Low nox burner
KR20110052545A (ko) 탄소 함유 연료의 가스화시 버너들을 점화 및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486729B1 (en) Incinerator
AU2010329886A1 (en) Burner unit for steel making facilities
WO2013073772A1 (ko) 내외염 복합식 다단 버너
WO2009157737A2 (ko) 연소장치
JP2006153305A (ja) 粉体溶融バーナー
SK1952000A3 (en) Burner
ES2550327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gestión de componentes no quemados para quemadores de regeneración, quemador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este tipo
CN105910115A (zh) 一种废液焚烧装置
JP5459836B2 (ja) 廃棄物ガス化溶融炉の燃焼室の助燃バーナ用のバーナタイル
KR20120000765A (ko) 가스연소장치
KR101426660B1 (ko) 로터리 킬른 버너
ITBO20120436A1 (it) Apparecchiatura di combustione a recupero di calore in particolare per forni ceramici
WO2020045755A1 (ko) 고로용 열풍로
KR0132761B1 (ko) 소각장치
JP5529086B2 (ja) 燃焼装置
CN108700287B (zh) 用于喷射微粒状固体燃料和氧化剂的方法及其喷射器
KR200210590Y1 (ko) 회전식 소각로
JP2007139380A (ja) 加熱炉用の燃焼装置
JP2004301369A (ja) 加熱炉用の燃焼装置
KR102507605B1 (ko)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JP4067454B2 (ja) 廃棄物の焼却設備
KR100867744B1 (ko) 산소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31

Effective date: 201112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