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584B1 -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 Google Patents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584B1
KR101887584B1 KR1020170023942A KR20170023942A KR101887584B1 KR 101887584 B1 KR101887584 B1 KR 101887584B1 KR 1020170023942 A KR1020170023942 A KR 1020170023942A KR 20170023942 A KR20170023942 A KR 20170023942A KR 101887584 B1 KR101887584 B1 KR 10188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ied
raw material
oxygen
pip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덕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창화에너지
박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화에너지, 박창덕 filed Critical (주)창화에너지
Priority to KR102017002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36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27B7/362Introducing gas into the drum axially or through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06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36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27B7/362Introducing gas into the drum axially or through the wall
    • F27B2007/367Introducing gas into the drum axially or through the wall transversally through the wall of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킬른 내벽에 형성된 제1노즐부를 통해 고온의 산소가 공급되어 킬른 내부로 유입된 원료가 상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킬른 내부에 머물고 있는 연소가스는 입구부분에 형성된 제2노즐부를 통해 후단부로 밀어내어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외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회전모터와 가이드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되어 공기이동통로를 따라 내벽 둘레에 제1노즐부가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킬른본체의 입구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원료와 연소가스가 공급되고 내측에 회전몸체의 배출방향으로 제2노즐부가 복수로 설치되는 공급몸체와, 상기 공급몸체에 설치되어 투입된 원료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바람에 의해 회전몸체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원료공급부와, 상기 공급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제1산소 주입관을 통해 공급된 산소가 공급몸체 내부에 구획 형성된 제1공간부로 먼저 공급되고 공기이동통로를 거쳐 제1노즐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제1산소 공급부와, 상기 공급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제2산소 주입관을 통해 공급된 산소가 공급 몸체 내부에 구획 형성된 제2공간부로 먼저 공급되고 제2노즐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제2산소 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Improved combustion efficiency Rotary kiln}
본 발명은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킬른 내벽에 형성된 제1노즐부를 통해 고온의 산소가 공급되어 킬른 내부로 유입된 원료가 상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킬른 내부에 머물고 있는 연소가스는 입구부분에 형성된 제2노즐부를 통해 후단부로 밀어내어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킬른은 내부에 내화벽돌 붙임으로 한 강철제의 회전로에 연소용 원료를 넣고 연소가스를 직접불어 넣어 가열하는 노로서, 원료가 수용된 원통의 회전로에 300℃ 내지 1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원료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거나,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로터리 킬른은 내화재질의 원통으로 제작되는 로터리 킬른은 약간 기울어진 상태에서 완만한 속도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통상 로터리 킬른 내에 화염을 불어넣고,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로터리 킬른의 입구쪽으로 원료를 투입하여, 로터리 킬른의 입구쪽으로 투입된 원료가 회전되는 로터리 킬른 내부에서 교반되어 연소용해되면서,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된 로터리 킬른의 출구쪽으로 이동되어서 로터리 킬른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로터리 킬른 내부로 투입된 연료가 보다 잘 연소하도록, 로터리 킬른 내부에 공기를 강제로 불어넣어서 연료의 연소가 촉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로터리 킬른은 단순한 원통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로터리 킬른 내부로 공기를 강제 공급하기 위해서는 로터리 킬른의 입구쪽으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밖에 없는데, 이처럼 공기를 로터리 킬른의 입구쪽으로 불어넣게 되면, 로터리 킬른 내부로 불어 넣어진 공기가 원료가 위치한 로터리 킬른의 내부 아래쪽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대부분의 공기가 로터리 킬른의 내부 위쪽을 따라 이동되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로터리 킬른 내부로 투입된 연료가 만족스럽게 연소용해되지 못하였으며, 이에 로터리 킬른 내부로 투입된 연료가 보다 잘 연소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이중 일부는 이미 관련 분야에서 공연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안들은 단순한 원통형 구조의 종래 로터리 킬른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로터리 킬른 주변장치를 복잡한 형태의 구조로 변경하거나, 별도의 장치들을 부가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 이들 방안에 따르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보수 및 유지가 불리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소각용해장치의 설비 투자비용이 크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량된 종래 폐기물 소각용해장치는 연소기능도 기대했던 것만큼 만족스럽지 못하여, 환경 오염물질인 폐기물을 연소시켜서 열원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로터리 킬른은 투입된 원료가 단순히 경사진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원료 전체가 균일하게 연소되지 못하고 연소가 촉진될 수 있는 구성이 미비하여 연소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2002-0088257호 및 공개실용신안 1999-0016093호에는 이와 같은 로터리 킬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이러한 기술내용으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제대로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투입된 원료가 킬른 내벽에 형성된 제1노즐부를 통해 고온의 산소가 공급되어 원료가 단순히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가 아닌 상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킬른의 입구부분에 제2노즐부를 형성하여 킬른 내부에 머물고 있는 연소가스를 후단부로 밀어내어 배출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열교환장치의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로터리 킬른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회전모터와 가이드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되어 공기이동통로를 따라 내벽 둘레에 제1노즐부가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입구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원료와 연소가스가 공급되고 내측에 회전몸체의 배출방향으로 제2노즐부가 복수로 설치되는 공급몸체와, 상기 공급몸체에 설치되어 투입된 원료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바람에 의해 회전몸체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원료공급부와, 상기 공급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제1산소 주입관을 통해 공급된 산소가 공급몸체 내부에 구획 형성된 제1공간부로 먼저 공급되고 공기이동통로를 거쳐 제1노즐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제1산소 공급부와, 상기 공급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제2산소 주입관을 통해 공급된 산소가 공급 몸체 내부에 구획 형성된 제2공간부로 먼저 공급되고 제2노즐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제2산소 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부;는 전방에 제1원료출구가 형성되고, 제1원료출구의 후방에는 제2원료출구가 형성되어 무거운 원료는 제1원료출구로 떨어지고 가벼운 원료는 제2원료출구로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이동통로;는 제1노즐부가 형성된 복수의 원통관이 회전몸체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각각의 원통관이 공급몸체의 제1공간부와 연통되어, 공급된 산소가 원통관을 따라 가열되면서 제1노즐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이동통로;는 격판에 의해 회전몸체 전방에서 공급된 산소가 제1경로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제2경로를 통해 다시 전방으로 돌아오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노즐부는 제2경로와 연통되어, 공급된 산소가 제1경로와 제2경로를 따라 가열과정을 거친 다음 제1노즐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경로는 회전몸체의 내부에 가깝도록 배치되고, 제2경로는 회전몸체의 외부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몸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통해 온수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열교환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열교환장치는; 전방하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가스입구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폐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가스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방에는 물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온수배출구가 형성된 한 쌍의 메인관로와, 상기 메인관로를 따라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관 및 가로관과, 상기 가로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연결되어 관 내부의 물과 외부의 연소가스가 서로 열교환되는 열교환관과, 상기 본체 내부에 차단벽이 형성되어 연소가스의 진행경로가 상,하로 움직이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부의 가스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관은 단일관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있는 물이 관 외부를 지나는 연소가스에 의해 열교환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관은 내부관과 외부관으로 나뉘는 이중관으로 이루어지되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내부관은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통된 구조가 되어, 연소가스가 내부관을 함께 지나면서 내,외부가 동시에 열교환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 연결되어 1차 증기통과, 상기 1차 증기통과 연결되어 본체 상부에 형성된 증기배출구로 증기가 직접 배출될 수 있도록 한 2차 증기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터리 킬른의 내벽에 설치된 제1노즐부로 산소가 공급되면서 연소작용을 돕고 공급된 산소에 의해 원료가 공기중으로 부상하면서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리 킬른의 입구구분에 제2노즐부가 설치되어 킬른 내부에 머물고 있는 연소가스를 후방으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배출된 연소가스는 열교환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료공급부의 원료가 낙하되는 부분이 한 부분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제1원료출구와 제2원료출구로 각각 분할하여 무거운 원료는 제1원료출구로 떨어지고 가벼운 원료는 제2원료출구로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원료가 특정위치에 쌓이지 않고 원활히 연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몸체와 공급몸체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산소 공급부와 제2산소 공급부의 공급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공기이동통로가 원통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공기이동통로가 격판에 의해 제1경로와 제2경로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몸체 후단에 열교환장치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열교환장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연소가스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5는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6은 도 11의 C-C'선 단면도
도 17은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메인관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1차 증기통과 2차 증기통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은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회전모터(160)와 가이드롤러(1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는 공기이동통로(120)가 형성되어 공기이동통로(120)를 따라 내벽(110) 둘레에 제1노즐부(130)가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몸체(100)와, 상기 회전몸체(100)의 입구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원료와 연소가스가 공급되고 내측에 회전몸체(100)의 배출방향으로 제2노즐부(210)가 복수로 설치되는 공급몸체(200)와, 상기 공급몸체(200)에 설치되어 투입된 원료가 송풍관(310)을 통해 공급된 바람에 의해 회전몸체(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원료공급부(300)와, 상기 공급몸체(200) 일측에 형성되어 제1산소 주입관(410)을 통해 공급된 산소가 공급몸체(200) 내부에 구획 형성된 제1공간부(220)로 먼저 공급되고 공기이동통로(120)를 거쳐 제1노즐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제1산소 공급부(400)와, 상기 공급몸체(200) 일측에 형성되어 제2산소 주입관(510)을 통해 공급된 산소가 공급 몸체 내부에 구획 형성된 제2공간부(230)로 먼저 공급되고 제2노즐부(2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제2산소 공급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몸체(100)는 회전모터(160)와 가이드롤러(18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 것으로, 이러한 회전방식은 공지의 로터리 킬른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내부에는 경사진 형태의 내벽(110)이 마련되어 회전몸체(100)가 회전하면서 원료는 점점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내벽(110)에 설치된 제1노즐부(130)로 산소가 공급되면서 연소작용을 돕고 공급된 산소에 의해 원료가 공기중으로 부상하면서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몸체(200)는 회전몸체(1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입구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연소버너(240)가 설치되어 공급된 원료의 점화작용을 하고, 원료공급부(300)와 제1산소 공급부(400), 제2산소 공급부(500)가 각각 설치되고, 내측에 회전몸체(100)의 배출방향으로 제2노즐부(210)가 설치되어 킬른 내부에 머물고 있는 연소가스를 후방으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배출된 연소가스는 열교환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급몸체(200)는 도 3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공간부(220)와 제2공간부(230)로 각각 구획형성하여, 제1공간부(220)는 외측으로 제1산소 공급부(400)와 연결되고 내측으로는 회전몸체(100)의 공기이동통로(120) 및 제1노즐부(1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제2공간부(230)는 외측으로 제2산소 공급부(500)와 연결되고 내측으로는 공급몸체(200)의 제2노즐부(210)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원료공급부(300)는 공급몸체(200)에 설치되고 상부에 설치된 컨베이어를 통해 원료가 떨어지고 송풍관(310)을 통해 공급된 바람의 힘으로 원료를 밀어주어 회전몸체(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원료공급부(300)는 공급몸체(200) 내부에 한 부분으로만 원료가 공급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제1원료출구(320)가 형성되고, 제1원료출구(320)의 후방에는 제2원료출구(330)가 형성되어 무거운 원료는 제1원료출구(320)로 떨어지고 가벼운 원료는 제2원료출구(330)로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원료가 특정위치에 쌓이지 않고 원활히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산소 공급부(400)와 제2산소 공급부(500)는 각각 제1산소 주입관(410)과 제2산소 주입관(510)을 통해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송풍기에서 공급된 산소가 제1산소 주입관(410)과 제2산소 주입관(510)으로 분기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각각 별개의 송풍기로 독립적으로 산소가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몸체(100)의 공기이동통로(120)는 연소가스에 의해 공급된 산소가 가열되면서 제1노즐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도 5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노즐부(130)가 형성된 복수의 원통관(121)이 회전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각각의 원통관(121)이 공급몸체(200)의 제1공간부(220)와 연통되어, 공급된 산소가 원통관(121)을 따라 가열되면서 제1노즐부(130)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공기이동통로(1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이동통로(120);는 격판(122)에 의해 회전몸체(100) 전방에서 공급된 산소가 제1경로(122a)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제2경로(122b)를 통해 다시 전방으로 돌아오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노즐부(130)는 제2경로(122b)와 연통되어, 공급된 산소가 제1경로(122a)와 제2경로(122b)를 따라 되돌아오는 가열과정을 거친 다음 제1노즐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경로(122a)는 회전몸체(100)의 내부에 가깝도록 배치되고, 제2경로(122b)는 회전몸체(100)의 외부에 가깝도록 배치되어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로터리 킬른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몸체(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통해 온수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열교환장치(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장치(600)는 로터리 킬른의 회전몸체(1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열교환장치(600)와 회전몸체(100) 사이에 연결장치(700)가 더 설치되어 회전몸체(100)의 연소가스가 열교환장치(600)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장치(70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몸체(100)와 연결되는 입구부분의 하부로 완전 연소된 원료가 떨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잔유물 배출구(71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냉각용 기체유입구(720)와 냉각용 기체 배출구(730)가 형성되어 프레임 자체에 형성된 공기이동경로를 따라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냉각 구조를 구비한 이유는 회전몸체(100)와 연결되는 연결장치(700)는 고온에서 견뎌야하기 때문에 고온으로 인한 연결장치(700)의 변형을 방지하고 냉각용 기체 배출구(730)의 배출공기를 온풍으로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열교환장치(6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하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가스입구(611)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폐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가스출구(612)가 형성된 본체(610)와, 상기 본체(6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방에는 물유입구(62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온수배출구(622)가 형성된 한 쌍의 메인관로(620)와, 상기 메인관로(620)를 따라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관(630) 및 가로관(640)과, 상기 가로관(64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연결되어 관 내부의 물과 외부의 연소가스가 서로 열교환되는 열교환관(650)과, 상기 본체(610) 내부에 차단벽(660)이 형성되어 연소가스의 진행경로가 상,하로 움직이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부의 가스출구(6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610)의 연소가스가 곧바로 공급되는 가스입구(611) 부분의 내측은 가로관(640)과 열교환관(650)이 상부쪽에만 형성되어 연소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연소공간의 후방에는 하부에 형성된 차단벽(660)에 의해 연소가스가 상부로 넘어가고, 그 다음에는 상부에 형성된 차단벽(660)에 의해 하부로 넘어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 본체(610) 상부에 위치한 가스출구(612)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650)은 각각의 가로관(640)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바둑판 형태로 배열된 구조가 된다. 각각의 열교환관(650)은 서로 접촉되지 않고 어느정도 이격된 형태가 되어 이격된 공간사이로 연소가스가 지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관(650)은 2가지의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일관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있는 물이 관 외부를 지나는 연소가스에 의해 열교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내부관(651)과 외부관(652)으로 나뉘는 이중관으로 이루어지되 내부관(651)과 외부관(652) 사이에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내부관(651)은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통된 구조가 되어, 연소가스가 내부관(651)을 함께 지나면서 내,외부가 동시에 열교환 될 수 있도록
상기 단일관형태의 실시예는 열교환관(650)에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이중관 형태의 실시예는 열교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도면상에는 상기의 두 실시예가 모두 복합적으로 적용된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 열교환관(650) 전체가 단일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열교환장치(600)에는 온수가열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1차 증기통(670), 2차 증기통(680), 증기배출구(6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차 증기통(67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양측의 수직관(630) 상부에 연결되고 2차 증기통(680)은 1차 증기통(670)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의 1차 증기통(670)과 연결되고 2차 증기통(680)의 증기는 본체(610) 상부에 형성된 증기배출구(61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회전몸체 110 : 내벽
120 : 공기이동통로 121 : 원통관
122 : 격판 122a : 제1경로
122b : 제2경로 130 : 제1노즐부
160 : 회전모터 180 : 가이드롤러
200 : 공급몸체 210 : 제2노즐부
220 : 제1공간부 230 : 제2공간부
240 : 연소버너 300 : 원료공급부
310 : 송풍관 320 : 제1원료출구
330 : 제2원료출구 400 : 제1산소 공급부
410 : 제1산소 주입관 500 : 제2산소 공급부
510 : 제2산소 주입관 600 : 열교환장치
610 : 본체 611 : 가스입구
612 : 가스출구 613 : 증기배출구
620 : 메인관로 621 : 물유입구
622 : 온수배출구 630 : 수직관
640 : 가로관 650 : 열교환관
651 : 내부관 652 : 외부관
660 : 차단벽 670 : 1차 증기통
680 : 2차 증기통 700 : 연결장치
710 : 잔유물배출구 720 : 냉각용 기체유입구
730 : 냉각용 기체배출구

Claims (9)

  1. 외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회전모터(160)와 가이드롤러(1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는 공기이동통로(120)가 형성되어 공기이동통로(120)를 따라 내벽(110) 둘레에 제1노즐부(130)가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몸체(100)와,
    회전몸체(100)의 입구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원료와 연소가스가 공급되고 내측에 회전몸체(100)의 배출방향으로 제2노즐부(210)가 복수로 설치되는 공급몸체(200)와,
    상기 공급몸체(200)에 설치되어 투입된 원료가 송풍관(310)을 통해 공급된 바람에 의해 회전몸체(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원료공급부(300)와,
    상기 공급몸체(200) 일측에 형성되어 제1산소 주입관(410)을 통해 공급된 산소가 공급몸체(200) 내부에 구획 형성된 제1공간부(220)로 먼저 공급되고 공기이동통로(120)를 거쳐 제1노즐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제1산소 공급부(400)와,
    상기 공급몸체(200) 일측에 형성되어 제2산소 주입관(510)을 통해 공급된 산소가 공급 몸체 내부에 구획 형성된 제2공간부(230)로 먼저 공급되고 제2노즐부(2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제2산소 공급부(500);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이동통로(120);는 제1노즐부(130)가 형성된 복수의 원통관(121)이 회전몸체(100)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각각의 원통관(121)이 공급몸체(200)의 제1공간부(220)와 연통되어, 공급된 산소가 원통관(121)을 따라 가열되면서 제1노즐부(130)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회전몸체(100)의 후방에 연결장치(700)를 더 설치하여 회전몸체(100)의 연소가스가 열교환장치(600)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장치(700)는 회전몸체(100)와 연결되는 입구부분의 하부로 완전 연소된 원료가 떨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잔유물 배출구(71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냉각용 기체유입구(720)와 냉각용 기체 배출구(730)가 형성되어 프레임 자체에 형성된 공기이동경로를 따라 냉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300);는 전방에 제1원료출구(320)가 형성되고, 제1원료출구(320)의 후방에는 제2원료출구(330)가 형성되어 무거운 원료는 제1원료출구(320)로 떨어지고 가벼운 원료는 제2원료출구(330)로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이동통로(120);는 격판(122)에 의해 회전몸체(100) 전방에서 공급된 산소가 제1경로(122a)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제2경로(122b)를 통해 다시 전방으로 돌아오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노즐부(130)는 제2경로(122b)와 연통되어, 공급된 산소가 제1경로(122a)와 제2경로(122b)를 따라 가열과정을 거친 다음 제1노즐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122a)는 회전몸체(100)의 내부에 가깝도록 배치되고, 제2경로(122b)는 회전몸체(100)의 외부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통해 온수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열교환장치(60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열교환장치(600)는;
    전방 하부에 연소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가스입구(611)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폐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가스출구(612)가 형성된 본체(610)와,
    상기 본체(6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방에는 물유입구(62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온수배출구(622)가 형성된 한 쌍의 메인관로(620)와,
    상기 메인관로(620)를 따라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직관(630) 및 가로관(640)과,
    상기 가로관(64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연결되어 관 내부의 물과 외부의 연소가스가 서로 열교환되는 열교환관(650)과,
    상기 본체(610) 내부에 차단벽(660)이 형성되어 연소가스의 진행경로가 상,하로 움직이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부의 가스출구(6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650)은 단일관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있는 물이 관 외부를 지나는 연소가스에 의해 열교환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650)은 내부관(651)과 외부관(652)으로 나뉘는 이중관으로 이루어지되 내부관(651)과 외부관(652) 사이에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내부관(651)은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통된 구조가 되어, 연소가스가 내부관(651)을 함께 지나면서 내,외부가 동시에 열교환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630)의 상부에 연결되어 1차 증기통(670)과, 상기 1차 증기통(670)과 연결되어 본체(610) 상부에 형성된 증기배출구(613)로 증기가 직접 배출될 수 있도록 한 2차 증기통(68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KR1020170023942A 2017-02-23 2017-02-23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KR10188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942A KR101887584B1 (ko) 2017-02-23 2017-02-23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942A KR101887584B1 (ko) 2017-02-23 2017-02-23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584B1 true KR101887584B1 (ko) 2018-08-16

Family

ID=6344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942A KR101887584B1 (ko) 2017-02-23 2017-02-23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4131A (zh) * 2020-10-31 2021-02-26 湖南省虹宇碳素新材料有限公司 一种碳素制品焙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952A (ko) * 2009-03-12 2010-09-27 박영선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KR20130063806A (ko) * 2011-12-07 2013-06-17 엔디티엔지니어링(주) 복합식 다중관 보일러
KR101426660B1 (ko) * 2013-07-19 2014-08-05 박창덕 로터리 킬른 버너
KR20150024206A (ko) * 2013-08-26 2015-03-06 박창덕 열교환 방식의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952A (ko) * 2009-03-12 2010-09-27 박영선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KR20130063806A (ko) * 2011-12-07 2013-06-17 엔디티엔지니어링(주) 복합식 다중관 보일러
KR101426660B1 (ko) * 2013-07-19 2014-08-05 박창덕 로터리 킬른 버너
KR20150024206A (ko) * 2013-08-26 2015-03-06 박창덕 열교환 방식의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4131A (zh) * 2020-10-31 2021-02-26 湖南省虹宇碳素新材料有限公司 一种碳素制品焙烧装置
CN112414131B (zh) * 2020-10-31 2023-12-19 湖南省虹宇碳素新材料有限公司 一种碳素制品焙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1073B (zh) 一种生产石灰的方法和机械
WO2019007001A1 (zh) 一种蓄热燃烧式煤基竖炉及一种直接还原生产方法
RU2660987C1 (ru) Пиролизный котел-утилизатор
CN102967048A (zh) 使用醇基液体燃料的间接式热风炉
KR101887584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킬른
WO2011059230A2 (ko)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용 버너
CN210885324U (zh) 外热式优质活性炭高效节能环保回转活化炉
CN210197696U (zh) 一种分体式热风炉
CN114322303A (zh) 一种生物质成型燃料燃烧装置
US2344203A (en) Combination burner
KR101426660B1 (ko) 로터리 킬른 버너
WO2017054308A1 (zh) 液压供料的可燃物焚烧热利用装置
KR20140091897A (ko) 연소장치
CN110068143B (zh) 一种分体式热风炉
WO2019090510A1 (zh) 对冲式熔铝炉均流燃烧系统
JP2016166723A (ja) 固形燃料用のチェーンストーカ火格子を用いる複合式蒸気ボイラ
CN111439751B (zh) 外热式优质活性炭高效节能环保回转活化炉及其应用方法
CN111442637A (zh) 一种粮食烘干塔的供热装置
JPH01222102A (ja) 熱回収式燃焼装置
CN110594726A (zh) 换热式生物质燃料炉
KR101532880B1 (ko) 멀티냉각 및 다단연소 구조의 열회수용 연소장치
KR101582289B1 (ko) 돈분 소각보일러
CN109595564A (zh) 空气进口堵漏方便的燃烧炉
CN214619574U (zh) 逆流回转窑焚烧炉
CN214891132U (zh) 水冷振动炉排秸秆气化燃烧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