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404A -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404A
KR20100102404A KR1020090020767A KR20090020767A KR20100102404A KR 20100102404 A KR20100102404 A KR 20100102404A KR 1020090020767 A KR1020090020767 A KR 1020090020767A KR 20090020767 A KR20090020767 A KR 20090020767A KR 20100102404 A KR20100102404 A KR 2010010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icone
mixture
weight
foundation composition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544B1 (ko
Inventor
계성봉
김진준
김동명
채희원
현승수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54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캡슐화된 색소 1 ~ 20 중량%, 실리콘 오일의 유상부 2 ~ 40 중량%, 수상부 0.1 ~ 30 중량%, 분말부 5 ~ 96.89 중량% 및 증점제 0.01 ~ 5 중량%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고기능의 영양 크림과 같은 외관을 가지면서 피부에 펴 바르면 캡슐화된 색소가 피부에 도포시 색소가 깨지면서 자연스러운 스킨 색상으로 발현되어 시각적으로 차별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상기 캡슐화된 색소의 스킨색 유지가 지속되는 장점이 현저하고, 유화 안정도가 뛰어나다.
캡슐화된 산화철, 스킨색, 파운데이션, 사이클로메치콘,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치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Description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oundation Composition With Capsuled Pig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고기능의 영양 크림과 같은 외관을 가지면서 피부에 펴 바르면 캡슐화된 색소가 피부에 도포시 색소가 깨지면서 자연스러운 스킨 색상으로 발현되어 시각적으로 차별성을 부여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자신을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가꾸며, 자외선이나 건조 등으로부터 피부나 모발을 보호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사회활동의 증가로 인해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자아의식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피부를 가꾸고 건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증가하여 다양한 형태와 제형의 기초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제형이 도입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의 조성물은 인간의 피부에 안료 함유 성분을 도포하는 것으로 피부에 도포시 스킨베이지 색상으로 자연스러운 피부톤의 메이크업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피부 결점을 감추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색소로서 사용되는 산화철은 철이 공기 속에서 가열되어 생성되는 부분으로 적갈색 분말 형태를 띄고 제조온도에 따라 황색, 자색, 흑색, 갈색 등의 색상이 나타내어 메이컵 제품에 적용시 우수한 색상 표현의 효과를 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산화철은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하지만 제형에 사용되는 왁스, 오일 등에 의해 분산이 고르게 되지 않는 문제점 및 상기 산화철 자체에 대한 메이컵 화장료의 응용한계가 있어 그 사용에 제한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 산화철을 파운데이션 화장료에 사용할 때 산화철 분산의 불균일성, 산화철 입자 간의 응집, 그리고 산화철의 불안전한 분산에 따란 발색력 저하 등의 문제점이 남아 있다.
또한, 상기 산화철에 색소 분산성 및 유화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메치콘, 알킬실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등으로 코팅하여 색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상이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한 파운데이션 조성물 중 외부의 온도변화에도 발한현상이 없고 내용물의 수축이 적어 보관시 장기안정성이 있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37,268호)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 기 고형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안료의 지속성과 스킨색의 발현이 미비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안료가 지속적이지 못한 문제와 스킨색이 발 표현되지 못한 문제를 자연스러운 마무리 화장의 형성, 색의 시간의 지남에 따른 칙칙함을 방지하고 색소분산성이 뛰어나고 유화 안정도가 뛰어난 캡슐화된 색소와 실리콘 오일의 유상부, 글리세린류의 수상부를 포함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여 해결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로서, 캡슐화된 색소 1 ~ 20 중량%, 실리콘 오일의 유상부 2 ~ 40 중량%, 수상부 0.1 ~ 30 중량%, 분말부 5 ~ 96.89 중량% 및 증점제 0.01 ~ 5 중량%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유상 성분인 사이클로메치콘,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및 피이지-10 디메치콘을 평량하여 균일하게 용해하여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1차 혼합물에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이산화티탄, 캡슐처리된 산 화철, 및 탈크를 넣고 믹서로 교반하여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수상 성분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정제수를 균일하게 용해시켜 1차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실온에서 상기 제2차 혼합물에 상기 1차 반응물을 서서히 투입하여 유화시키고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증점시켜 2차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반응물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첨가한 후 탈포시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고기능의 영양 크림과 같은 외관을 가지면서 피부에 펴 바르면 캡슐화된 색소가 피부에 도포시 색소가 깨지면서 자연스러운 스킨 색상으로 발현되어 시각적으로 차별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상기 캡슐화된 색소의 스킨색 유지가 지속되는 장점이 현저하고, 유화 안정도가 뛰어나다.
본 발명은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로서, 캡슐화된 색소 1 ~ 20 중량%, 실리콘 오일의 유상부 2 ~ 40 중량%, 수상부 0.1 ~ 30 중량%, 분말 부 5 ~ 96.89 중량% 및 증점제 0.01 ~ 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상기 캡슐화된 색소, 상기 실리콘 오일의 유상부, 상기 수상부, 상기 분말부 및 상기 증점제에 의해 고기능의 영양 크림과 같은 외관을 가지면서 피부에 펴 바르면 캡슐화된 색소가 피부에 도포시 색소가 깨지면서 자연스러운 스킨 색상으로 발현되어 시각적으로 차별성을 부여하는 장점이 현저하다. 또한, 화장시 캡슐막이 깨져 안료의 색상이 발현되면서 자연스러운 피부톤의 메이크업 효과를 나타내고 캡슐화된 색소가 일반 산화철보다 안정성 및 색상 발현이 우수하다.
상기 캡슐화된 색소는 산화철, 이산화티탄 또는 보론나이트라이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화된 색소는 이산화티탄, 산화철, 보론나이트라이드가 함께 내포되어 있고 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피복하여 캡슐화하고, 캡슐화함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 표면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코팅함으로써 산화철 입자간 엉김이 줄어들어 사이크로메치콘을 포함한 유상부 내 분산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상기 캡슐화된 색소는 자연스러운 마무리 화장을 형성하고 색의 시간의 지남에 따른 칙칙함을 방지하고 색소분산성이 뛰어나고 유화 안정도가 뛰어나다.
상기 캡슐화된 색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내 안료 지속성과 스킨색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메이크업 색상으로 자연스러운 스킨색을 넘어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상부는 사이클로메치콘,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페닐디메치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피이지-8 디메치콘 또는 피이지-10 디메치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상부는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피부 도포시 밀착감, 유분감 등 사용감을 향상시키고, 화장 후에는 땀이나 피지 등에 잘 지워지지 않는 지속성을 부여한다.
상기 사이클로메치콘은 피부 표면으로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유분을 흡수시킨 후 곧 증발되는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는 화장료 농축제 및 피부안정제이다.
상기 디메치콘은 피부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는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는 피부표면으로 상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유분을 이송하는 운반체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페닐디메치콘은 피부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는 점도가 큰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는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서 자외선이 피부 속으로 침투하여 유해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막아주는 자외선 차단제이다.
상기 피이지-8 디메치콘(PEG-8 Dimethicone)과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은 피부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는 실리콘 오일이다.
여기서, 상기 유상부는 실리콘 오일 뿐만아니라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이 굳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화장시 피부에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수상부는 글리세린 또는 부틸렌글리콜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수분을 함유하는 상기 수상부로 인해 사용시 청량감과 쾌적함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즉 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수산(OH-)기를 3개 갖고 있어 물에 잘 용해되며 흡습성이 강하고 끈적임이 있다.
또한, 상기 부틸렌글리콜은 수산(OH-)기를 2개 갖고 있어 물에 잘 용해되며 흡습성이 있고 끈적임이 조금 있다.
상기 수상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이 뻑뻑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물 의 증발에 의한 수축현상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말부는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탈크 또는 마그네슘설페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메칠메타이크릴레이트는 결합제로 사용된다.
상기 탈크는 백색 안료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설페이트는 제습제로 사용된다.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분말부의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0.3 ~ 8 중량%, 상기 탈크의 함량은 5 ~ 50 중량% 및 상기 마그네슘설페이트의 함량은 0.1 ~ 5 중량%이다.
상기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결합력이 감소하여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많이 단단해진다.
또한, 상기 탈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백색의 표현이 줄어들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창백해보인다.
상기 마그네슘설페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이 굳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푸석푸석해진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소듀마그네슘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또는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 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고기능의 영양크림과 같은 점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증점제를 사용하여 상기 영양크림과 같은 점도를 유지한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 피부에 도포시 펴 발라지지 않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제조방법은
유상 성분인 사이클로메치콘,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및 피이지-10 디메치콘을 평량하여 균일하게 용해하여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1차 혼합물에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이산화티탄, 캡슐처리된 산화철, 및 탈크를 넣고 믹서로 교반하여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수상 성분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정제수를 균일하게 용해시켜 1차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실온에서 상기 제2차 혼합물에 상기 1차 반응물을 서서히 투입하여 유화시키고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증점시켜 2차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반응물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첨가한 후 탈포시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제조방법은 유상부를 먼저 용해 및 혼합한 후 여기에 캡슐화된 산화철 등의 안료와 안료 결합제인 상기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를 넣은 2차 혼합물에 수상성분들을 균일하게 용해시킨 수상부를 서서히 가하여 유화시키고 증점제인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넣어 영양크림과 같은 점도를 맞춘 후 제습제인 상기 마그네슘설페이트를 첨가, 탈포시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성분들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단위; 중량%)으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파운데이션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우선, (1) 유상성분인 원료 1~6을 평량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 유상성분(1)에 원료 7~10을 넣고 애지믹서(AGI MIXER : 마쓰시다전기공업 주식회사(Matsushita Electric Industial Co. Ltd), SER No 515, 일본)로 교반, 혼합하였다.
(3) 수상성분 원료 11~12을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4) 실온에서 (2)에 (3)을 서서히 투입하고 유화(미쯔보사 LR-1)시킨 후, 원료 13과 14를 첨가한 후, 탈포하여 상기 실시예 1(캡슐 파운데이션)과 비교예 1(일반 파운데이션)의 조성을 갖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얻었다.
(단위:중량%)
원료명 실시예1 비교예1
1.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10.0 10.0
2.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3. 디메치콘 3.0 3.0
4.사이크로메치콘/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0 5.0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3.0 3.0
6. 피이지-10 디메치콘 1.0 1.0
6.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3.0 3.0
7. 이산화티탄 10.0 10.0
8. 일반산화철 - 5.0
9. 캡슐처리산화철 5.0 -
10. 탈크 36.0 36.0
11. 정제수 16.8 16.8
12. 글리세린 5.0 5.0
13. 마그네슘설페이트 1.0 1.0
14. 향,방부제 0.2 0.2
* 안료는 이산화티탄(메치콘처리), 일반산화철(메치콘처리), 탈크(디메치콘처리)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아토마이저(HEUNG-BO INDUSTRY CO.LTD)로 2회 분쇄한 것이다.
* 피이지-10 디메치콘는 SHINETSU(일본) KF-6017 제품(상품명)을 사용하였다.
* 일반산화철은 Daito(일본) SI-2 YELLOW,RED,BLACK제품을 사용하였다.
* 캡슐처리 산화철은 TAGRA(이스라엘) YELLOW CAP1,RED CAP1,BLACK CAP1제품(상품명)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발색력
캡슐 파운데이션(실시예 1)과 일반 파운데이션(비교예 1)을 피부에 도포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에 나타내는 발색력과 안정도를 비교하였다.
캡슐 파운데이션(실시예 1)을 도포한 경우 미세한 캡슐입자가 함유되어 고기능의 영양크림의 성상을 가지고 있고, 피부에 펴바르면 자연스런 피부톤을 연출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품을 종이에 바른 직후와 3시간 후 사진으로 측정한 결과 일반 산화철을 사용한 파운데이션(비교예 1)은 시간이 지나면서 진해지고 캡슐안료 사용한 파운데이션(실시예 1)은 바른 직후와 3시간 후 사진에서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피부에 도포시 일반 파운데이션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칙칙해지는 반면 캡슐처리된 파운데이션은 칙칙함이 덜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2 유화안정도
캡슐 파운데이션이 일반 산화철 색소 파운데이션보다 유화 안정도에는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실험해 보았다.
유화안정도 실험방법으로는 원심분리기(제조사: Hettich, 기기명: Universal Centrifuge)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3000rpm으로 측정한 결과 실시예 1(도 3a 참조)은 비교예 1(도 3b 참조)보다 오일분리상태가 심하지 않은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캡슐 파운데이션은 색소가 캡슐안에 포함되어 있어 유화 입자내에서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안정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안정도 실험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안정도(실온) 안정도(40도) 안정도(5도) 안정도(50도)
실시예 1
비교예 1 ×
× ; 아주 나쁨, △ ; 좋지 않음, ○ ; 보통, ◎ ; 매우 우수
* 안정성은 각 조성물 100g 씩 투명한 용기에 담아 보관하여 1달 후 경시 보존 안정성 살펴 보았다.
실험예 3 사용감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파운데이션의 사용감을 보기 위하여 패널 테스트를 통해서 사용감(커버력,밀착감,화장막 두께,색상 표현,마무리감,종합)을 평가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3 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커버력 5 4
밀착감 4 4
화장막 두께 4 5
색상표현 5 3
마무리감 4 3
종합 4.4 3.8
1점;아주나쁨, 2점:나쁨 3점: 좋지않음, 4점; 보통,5점; 매우 우수
그 결과 상기 표3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발명에 의한 캡슐파운데이션의 조성물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슐 처리된 안료를 사용하여 종래의 일반 산화철을 사용한 파운데이션보다 안정도도 우수하고 색상 표현력이 우수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파운데이션의 색상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파운데이션과 비교예의 일반 파운데이션을 종이에 바른 직후와 3시간이 지난 후의 비교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파운데이션을 원심분리한 후 오일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b는 비교예의 일반 파운데이션을 원심분리한 후 오일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7)

  1. 캡슐화된 색소 1 ~ 20 중량%, 실리콘 오일의 유상부 2 ~ 40 중량%, 수상부 0.1 ~ 30 중량%, 분말부 5 ~ 96.89 중량% 및 증점제 0.01 ~ 5 중량%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색소는 산화철, 이산화티탄 또는 보론나이트라이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사이클로메치콘,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페닐디메치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피이지-8 디메치콘 또는 피이지-10 디메치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글리세린 또는 부틸렌글리콜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부는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탈크 또는 마그네슘설페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소듀마그네슘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또는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7. 유상 성분인 사이클로메치콘,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및 피이지-10 디메치콘을 평량하여 균일하게 용해하여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1차 혼합물에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이산화티탄, 캡슐처리된 산화철, 및 탈크를 넣고 믹서로 교반하여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수상 성분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정제수를 균일하게 용해시켜 1차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실온에서 상기 제2차 혼합물에 상기 1차 반응물을 서서히 투입하여 유화시키고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증점시켜 2차 반응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반응물에 마그네슘설페이트를 첨가한 후 탈포시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90020767A 2009-03-11 2009-03-11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9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767A KR101094544B1 (ko) 2009-03-11 2009-03-11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767A KR101094544B1 (ko) 2009-03-11 2009-03-11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404A true KR20100102404A (ko) 2010-09-24
KR101094544B1 KR101094544B1 (ko) 2011-12-19

Family

ID=4300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767A KR101094544B1 (ko) 2009-03-11 2009-03-11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935A (zh) * 2019-01-26 2019-04-23 广州蔻丝恩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轻薄无瑕粉底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08B1 (ko) 2020-09-22 2021-03-04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935A (zh) * 2019-01-26 2019-04-23 广州蔻丝恩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轻薄无瑕粉底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544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1211A (ko) 겔 유형 화장용 조성물
JP2014062132A (ja) 化粧品のための水系スラリー組成物および使用法
EP3554465B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JPS63250311A (ja) 油中水型化粧料
KR20120055223A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42271B1 (ko)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094544B1 (ko)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633B1 (ko)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0070A (ko) 기능성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CN110227040B (zh) 一款可以出水的蜡基棒状化妆品及制备方法
CN111419740A (zh) 一种高效持妆粉底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高效持妆粉底液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028414A1 (en) Method for producing solid powder cosmetic material and solid powder cosmetic material
JPH02300109A (ja) メイクアップ用皮膚化粧料組成物
KR20200134872A (ko)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15384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0185818B1 (ko)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고형분말 색조화장료
KR101483974B1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KR102211958B1 (ko) 미립자 공정을 통해 분산된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파우더 조성물
KR100823077B1 (ko) 수중실리콘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92920A (ja) 化粧料及び表面処理剤
KR20180030281A (ko)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117559B1 (ko)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 및 수용성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보습용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745304B (zh) 紫外線阻斷用化妝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