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633B1 -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633B1
KR101072633B1 KR1020040112110A KR20040112110A KR101072633B1 KR 101072633 B1 KR101072633 B1 KR 101072633B1 KR 1020040112110 A KR1020040112110 A KR 1020040112110A KR 20040112110 A KR20040112110 A KR 20040112110A KR 101072633 B1 KR101072633 B1 KR 10107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liquid founda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725A (ko
Inventor
김명성
박명삼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4011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6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유기 점증제, 무기 점증제 및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포함하여 진동이나 교반으로 젤이 유동성 있는 졸로 변하고 방치하면 다시 겔로 되돌아가는 틱소트로픽(Thixotropic) 현상을 갖는 오일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이며, 상기 유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20.0중량%, 상기 무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10.0중량%, 상기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6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무기 점증제, 유기 점증제, 화장료, 조성물, 오일, 커버력, 안정도, 틱소트로픽

Description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of dispersion type liquid foundation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커버력을 측정한 것으로, 좌측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바르기 전의 상태도이고, 우측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바른 후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틱소트로픽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단 변화에 따른 점도를 측정한 결과에 관한 도이다.
본 발명은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20.0중량%의 유기 점증제, 0.01중량%~10.0중량%의 무기 점증제, 5.0중량%~60.0중량%의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함유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의 조성물은 인간의 피부를 위한 메이크업 조성물로, 피부, 특히 얼굴에 아름다운 색상을 줄 뿐 아니라, 발적(Redeness) 및 반점과 같은 피부 결점을 감추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파운데이션에는 유화형 파운데이션, 분산형 파운데이션, 파우더형 파운데이션이 있는데, 이 중 종래의 분산형 파운데이션은 크게 오일-왁스-안료로 구성되는 커버력과 밀착감이 우수한 고형 파운데이션과 휴대가 간편한 스틱형 파운데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의 분산형 파운데이션의 경우에는 우수한 커버력을 목적으로 다량의 분체를 함유시키고 이를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왁스을 사용하여 고형화함으로서 안정화를 시켜왔다. 그러나 왁스를 사용함으로 인한 무거운 사용감과 두꺼운 화장막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커버력과 안정도를 지님과 함께 틱소트로픽(thixotropy) 현상을 나타내어 가벼운 사용감을 가지면서도, 분산성과 지속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종래와 다른 새로운 리퀴드 타입의 분산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퀴드 제형의 오일 분산형으로, 커버력과 안정도 가 우수하며 틱소트로픽 현상을 가지고 사용감이 우수한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유기 점증제, 무기 점증제 및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포함하여 진동이나 교반으로 젤이 유동성 있는 졸로 변하고 방치하면 다시 겔로 되돌아가는 틱소트로픽(Thixotropic) 현상을 갖는 오일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이며, 상기 유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20.0중량%, 상기 무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10.0중량%, 상기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6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연속상인 오일에 유상성분을 넣고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유상성분 혼합물에 유기 점증제 및 무기 점증제를 투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득물에 코팅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투입한 후 균일하게 교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분산형 파운데이션인 고형 파운데이션과는 상이한 조성인 리퀴드 제형으로, 유기 점증제 및 무기 점증제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커버력, 안정도와 함께 특히, 진동이나 교반으로 젤이 유동성 있는 졸로 변하고 방치하면 다시 겔로 되돌아가는 틱소트로픽(Thixotropic) 현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틱소트 로픽 효과를 가지므로 제품을 사용시 흔들어 주거나 손으로 펴 바를때 유동성 있는 제형으로 바뀌어 보다 가볍고 얇은 화장막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화장이 끝나 힘을 제거하면 피부에 밀착되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소비자에게 우수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비코팅된 안료 대신에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성과 지속성이 더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20.0중량%의 유기 점증제, 0.01중량%~10.0중량%의 무기 점증제, 5.0중량%~60.0중량%의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 점증제 및 무기 점증제는 오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오일 점증제로서, 우수한 커버력과 안정도를 부여하고, 또한, 틱소트로픽 현상을 갖게 하여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기 점증제로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9/19 Dimethicone), 폴리실리콘-11(Polysilicone-11), 및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9/19 Dimethicon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점증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0.01중량%~20.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10.0중량%일 수 있다. 이는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0.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제형 안정성과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무기 점증제로는 쿠아터니움-18 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스테아알코니움 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및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점증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0.01중량%~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5.0중량%이다. 이는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제형 안정성과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는 분산성과 지속성을 위해 코팅 처리한 것이며, 메치콘(Methicon), 디메치콘(Dimethicon), 트리에톡시카프릴릭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마그네슘 스테아라에트(Magnesium Stearate), 글리세릴 베헤네이트(Glyceryl Behenate), 알루미늄 스테아라에트(Aluminum Stearate) 및 DEA-C8-18 퍼플루오로알킬에틸 포스페이트(DEA-C8-18 Perfluoroalkylethyl Phosph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톡시카프릴릭실란(Triethoxycaprylylsilane)으로 코팅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6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0중량%~40.0중량%일 수 있다. 이는 그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60.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과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연속상인 오일에 유상성분을 넣고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유상성분 혼합물에 유기 점증제 및 무기 점증제를 투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득물에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투입한 후 균일하게 교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연속상인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총 오일의 중량은 전체 중량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속상에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사용감에 따라 가벼운 사용감을 원하면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고, 무거운 사용감을 원하면 에스테르계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필수 성분 이외에 사용목적에 따라 이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감 조절을 위한 극성 또는 비극성 오일, 유동도 및 분산효율을 위한 계면활성제, 화장 효과 및 사용성 조절을 위한 안료 등과 방부제, 자외선 흡수 제, 폴리머, 지방상 알코올 및 향료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목적에 따라 이용되는 일반적인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마,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중량%~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3.0중량%로 배합된다. 상기 성분의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을 부과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제 등의 기능을 겸비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 중에 자외선 차단제 등이 추가되어 자외선 차단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에 자외선 자단제를 1.0중량%~7.0중량%로 더 함유하여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하기 실시예 1 내지 4의 성분 및 함량으로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비교예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분산형 고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유 상 성 분 오조케라이트(Ozokerite) - - - - 1.5
카스토르 왁스(Castor Wax) - - - - 2.5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30.0 30.0 30.0 30.0 2.0
디메치콘(Dimethicone) 100 까지 100 까지 100 까지 100 까지 5.0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Dicaprylyl Carbonate)
10.0 10.0 10.0 10.0 100 까지
페닐 트리메치콘
(Phenyl Trimethicon)
10.0 10.0 10.0 10.0 15.0
Sorbitan Isostearat - - - - 2.0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Stear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3.0 3.0 3.0 3.0 2.0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 - - - 1.5
PEG-10 디메치콘
(PEG-10 Dimethicone)
- - - - 2.0
방부제 0.3 0.3 0.3 0.3 0.3

증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PE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9/19 Dimethicone) 5.0 5.0 9.0 - -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4.0 4.0 - 4.0 -
분체 안료(Pigment) - 35.0 - - 43.0
코팅처리된 안료
(Treated Pigment)
35.0 - 35.0 35.0 -
실리카(Silica) - - - - 12.0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표 1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성분 및 함량으로 유상성분을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이를 교반하면서 서서히 상기 점증제를 투입한 후, 다시 교반하면서 실온상태에서 서서히 상기 분체를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교반하여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비교예 1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표 1의 비교예 1에따른 성분 및 함량으로 유상성분을 가열(85~90 ℃)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이를 교반하에 온도(70~75 ℃)를 유지한 상태에서 서서히 고상분체를 투입한 후 균일하게 교반하여 탈기한 다음, 접시에 담아 냉각한 후 분산형 고형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실험예 1. 커버력 측정>
상기 실시예 1 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각 파운데이션의 커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홍반의 색상이 농도별로 인쇄되어진 인조 피부 위 동일면적에 동량의 내용물을 고르게 펴 바른 후 카메라를 찍어 커버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커버력은 비교예 1의 기존 분산형 고형 파운데이션 보다 커버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제품 안정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각 파운데이션의 제품 안정도를 보기 위하여 내용물을 투명 점도병에 넣고 4 ℃, 37 ℃, 45 ℃ 항온조에 각각 2 주간 보관 후, 오일 분리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실온 1주일
2주일
4 ℃ 1주일
2주일
37 ℃ 1주일 SW
2주일 X SW
45 ℃ 1주일 SW
2주일 X X X SW
(O : 양호, △ : 보통, X : 분리, SW; 스웨팅(Sweating))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기 점증제 및 유기 점증제 모두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가 유기 점증제만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보다 안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틱소트로픽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에서 틱소트로픽(Thixotropy)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TA 인스트루먼트 점도계(TA instruments Rheometer) 모델명 AR2000 기기를 사용하여 틱소트로픽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경우 우수한 틱소트로픽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사용감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각 파운데이션의 사용감 정도를 보기 위하여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사용감(커버력, 퍼짐성, 화장막 두께, 지속성, 밀착감, 마무리감, 종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커버력 5 4 4 5 4
퍼짐성 5 4 3 3 3
화장막 두께 5 4 5 5 4
지속성 5 4 4 5 4
밀착감 5 3 3 4 5
마무리감 5 4 3 4 4
종합 5 3.8 3.7 4.3 4.0
( 1점: 아주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아주 좋음)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조성물이 사용감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에멀젼 타입의 파운데이션 또는 고형의 파운데이션과는 달리, 유기 점증제 및 무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연속상인 오일 분산매에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분산시켜 안정한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우수한 커버력과 안정도를 나타냄과 함께 틱소트로픽 (thixotropy) 효과를 가지며 사용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오일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유기 점증제, 무기 점증제 및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포함하여 진동이나 교반으로 젤이 유동성 있는 졸로 변하고 방치하면 다시 겔로 되돌아가는 틱소트로픽(Thixotropic) 현상을 갖는 오일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이며,
    상기 유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20.0중량%, 상기 무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10.0중량%, 상기 코팅 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6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점증제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9/19 Dimethicone), 폴리실리콘-11(Polysilicone-11), 및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점증제는
    쿠아터니움-18 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스테아알코니움 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및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는
    메치콘(Methicon), 디메치콘(Dimethicon), 트리에톡시카프릴릭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마그네슘 스테아라에트(Magnesium Stearate), 글리세릴 베헤네이트(Glyceryl Behenate), 알루미늄 스테아라에트(Aluminum Stearate) 및 DEA-C8-18 퍼플루오로알킬에틸 포스페이트(DEA-C8-18 Perfluoroalkylethyl Phosph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코팅처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연속상인 오일에 유상성분을 넣고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유상성분 혼합물에 유기 점증제 및 무기 점증제를 투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수득물에 코팅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를 투입한 후 균일하게 교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연속상인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총 오일의 중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유기 점증제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9/19 Dimethicone)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20.0중량%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무기 점증제로는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0.01중량%~10.0중량%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의 코팅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는 트리에톡시카프릴릭실란(Triethoxycaprylylsilane)으로 코팅처리된 고상 분체 안료이며, 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60.0중량%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1.0중량%~7.0중량%로 더 함유하여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112110A 2004-12-24 2004-12-24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2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110A KR101072633B1 (ko) 2004-12-24 2004-12-24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110A KR101072633B1 (ko) 2004-12-24 2004-12-24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725A KR20060073725A (ko) 2006-06-29
KR101072633B1 true KR101072633B1 (ko) 2011-10-11

Family

ID=3716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110A KR101072633B1 (ko) 2004-12-24 2004-12-24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6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826A (ko) * 2014-01-02 2015-07-10 (주)아모레퍼시픽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44913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5982832A (zh) * 2015-03-05 2016-10-0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20170126259A (ko) * 2016-05-09 2017-11-17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분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547B1 (ko) * 2006-11-30 2007-09-07 (주)아모레퍼시픽 분산형 산화철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1636B1 (ko) * 2007-08-07 2009-04-02 (주) 런프로덕션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위한 화장품 용기
KR100941496B1 (ko) * 2007-09-28 2010-02-10 (주)아모레퍼시픽 번들거림 및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64B1 (ko) * 2008-11-19 2011-08-08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9579B1 (ko) * 2015-09-30 2023-05-09 (주)아모레퍼시픽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20179947A1 (ko) * 2019-03-06 2020-09-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4486A1 (en) 2003-05-14 2004-11-25 Tomohiro Hashimoto Aqueous composition for cosmetics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4486A1 (en) 2003-05-14 2004-11-25 Tomohiro Hashimoto Aqueous composition for cosmetics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826A (ko) * 2014-01-02 2015-07-10 (주)아모레퍼시픽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99886B1 (ko) 2014-01-02 2021-01-08 (주)아모레퍼시픽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44913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59844B1 (ko) * 2014-10-16 2016-09-3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5982832A (zh) * 2015-03-05 2016-10-0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CN105982832B (zh) * 2015-03-05 2021-06-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20170126259A (ko) * 2016-05-09 2017-11-17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분산방법
KR102518580B1 (ko) 2016-05-09 2023-04-06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분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725A (ko)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389B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1140481A (ja) 唇用化粧料
JPH0532363B2 (ko)
KR102029653B1 (ko)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WO2015174241A1 (ja) うるおい補給用スティック状化粧料
TW414714B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are and make-ups containing hollow spherically shaped aluminosilicate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2633B1 (ko)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13733B2 (ja) 化粧料
JP6997537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0070A (ko) 기능성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JP5436058B2 (ja) スティック状乳化組成物
JP4523695B2 (ja) 化粧料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015384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4872A (ko)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JPH092920A (ja) 化粧料及び表面処理剤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4544B1 (ko)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2515538A (ja) 固体連続水相中に分散された水性スフェロイドを含有する固体化粧品組成物
KR102598347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28785B1 (ko) 왁스-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