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271B1 -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271B1
KR101242271B1 KR20110021211A KR20110021211A KR101242271B1 KR 101242271 B1 KR101242271 B1 KR 101242271B1 KR 20110021211 A KR20110021211 A KR 20110021211A KR 20110021211 A KR20110021211 A KR 20110021211A KR 101242271 B1 KR101242271 B1 KR 101242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igment
silica
encaps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2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137A (ko
Inventor
김동명
현승수
계성봉
김용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2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27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3Coating mediated by organosilicon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 1~10 중량%, 유상부 10~45 중량%, 수상부 30~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향상된 색 발현성과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 coated pigment}
본 발명은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도포시 자연스러운 색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화철은 철이 공기 속에서 가열되어 생성되는 부분으로 적갈색 분말 형태를 띄고 제조법 온도에 따라 황색, 적색, 흑색, 갈색등 색상이 나타난다. 무기 착색 안료로서 메이크업 제품에 사용되어 우수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된다.
산화철이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하지만 제형에 사용되는 왁스, 오일 등에 의해 산화철 분산의 불균일성, 산화철 입자 간 응집 등의 문제점이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메치콘, 알킬실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등으로 코팅하여 사용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색발현성이 향상된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 1~10 중량%, 유상부 10~45 중량%, 수상부 30~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는 산화철 또는 산화철과 이산화티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무기증점제 0.0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사이클로메치콘,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페닐디메치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피이지-8 디메치콘 및 피이지-10 디메치콘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유화제, 제습제,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0.1~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마그네슘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부에 펴 바르면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가 피부에 도포시 깨지면서 자연스러운 스킨 색상으로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각적으로 차별성을 부여하고 자연스러운 화장 효과를 낼 수 있다. 또 피부 위에서 분비되는 지방을 다공질 실리카가 흡수하여 투명성이 높아지고 캡슐내 산화철이 피부색과 잘 조화되도록 돕는다.
도 1은 도포 전 일반 메이크업 제품과 동일하지만 도포 후 칼라가 체인지되어 피부에 이상적인 피부톤으로 표현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 1~ 10 중량%, 유상부 10~45 중량%, 수상부 30~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수용성 무기 증점제 0.01~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 유상부, 수상부에 의해 고기능의 영양 크림과 같은 외관을 가진다. 이를 피부에 펴 바르면 캡슐화된 색소가 깨지면서 자연스러운 스킨 색상으로 발현되고, 화장시 캡슐막이 깨져 안료의 색상이 발현되면서 자연스러운 피부톤의 메이크업 효과를 나타낸다.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가 일반 산화철보다 산화철의 분산력 및 색상 발현이 우수하다.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는 산화철 또는 산화철과 이산화티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색소를 실리카로 피복하여 캡슐화하고, 캡슐화함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 표면 처리한다. 실리카로 캡슐화한 색소의 경우에 산화철과 이산화티탄이 2:1의 비율로 포함되며, 이들을 실리카로 코팅 처리한다.
상기 실리카로 코팅함으로써 산화철 입자간 엉김이 줄어들어 사이크로메치콘을 포함한 유상부 내 분산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는 자연스러운 마무리 화장을 형성하고 색의 시간의 지남에 따른 칙칙함을 방지하고 색소분산성과 유화 안정도가 뛰어나다.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내 안료 지속성과 스킨색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메이크업 색상으로 자연스러운 피부색을 넘어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상부는 사이클로메치콘,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페닐디메치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피이지-8 디메치콘 및 피이지-10 디메치콘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피부 도포시 밀착감, 유분감 등 사용감을 향상시키고, 화장 후에는 땀이나 피지 등에 잘 지워지지 않는 지속성을 부여한다.
상기 사이클로메치콘은 실크같은 느낌을 주고 완화 작용을 하며, 피부 표면으로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유분을 흡수시킨후 곧 증발되는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는 화장료 농축제 및 피부안정제이다.
상기 디메치콘은 피부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는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는 피부표면으로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유분을 이송하는 운반체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페닐디메치콘은 피부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는 점도가 큰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는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자외선이 피부 속으로 침투하여 유해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막아주는 자외선 차단제이다.
상기 피이지-8 디메치콘(PEG-8 Dimethicone)과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은 피부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는 실리콘 오일이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굳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45 중량% 초과인 경우 화장시 피부에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수상부는 유화제, 제습제,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을 함유하는 상기 수상부로 인해 사용시 청량감과 쾌적함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수산(OH-)기를 3개 갖고 있어 물에 잘 용해되며 흡습성이 강하고 끈적임이 있다.
상기 부틸렌글리콜은 수산기를 2개 갖고 있어 물에 잘 용해되며 흡습성이 있고 끈적임이 조금 있다.
상기 제습제는 마그네슘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설페이트의 함량은 0.1 ~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상부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뻑뻑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60 중량% 초과인 경우 물의 증발에 의한 수축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소듀마그네슘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및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증점제를 사용하여 고기능의 영양크림과 같은 점도를 갖는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고, 5 중량% 초과인 경우 점도가 높아 피부에 도포시 펴 발라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탈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는 결합제로 사용된다.
상기 탈크는 백색 안료로 사용된다.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0.3 ~ 8 중량%일 수 있고, 상기 탈크의 함량은 0.1~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결합력이 감소하여 피부 도포시 흘러내릴 수 있고, 8 중량% 초과인 경우 많이 단단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크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백색의 표현이 줄어들 수 있고, 8 중량% 초과인 경우 창백하게 보일 수 있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은 조성물을 포함한다. 단위는 중량%이다.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1.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10.0 10.0 10.0 10.0 10.0 10.0
2.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3.디메치콘 3.0 3.0 3.0 3.0 3.0 3.0
4.사이크로메치콘/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0 5.0 5.0 5.0 5.0 5.0
5.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3.0 3.0 3.0 3.0 3.0 3.0
6.피이지-10 디메치콘 1.0 1.0 1.0 1.0 1.0 1.0
7.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3.0 3.0 3.0 3.0 3.0 3.0
8.이산화티탄 10.0 10.0 10.0 10.0 10.0 10.0
9.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
(적색,황색,흑색)
2.0 5.0 8.0 5.0 5.0 5.0
10.탈크 5.0 5.0 5.0 5.0 5.0 5.0
11.정제수 40.0 40.0 40.0 40.0 40.0 40.0
12.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13.마그네슘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14.향,방부제 0.2 0.2 0.2 0.2 0.2 0.2
15.외관칼라색소(울트라마린) 미량 미량 미량 미량
(그린)
미량
(핑크)
미량
(보라)
상기 표1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아래와 같은 실시예의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유상성분인 원료 1내지 6들을 평량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성분 7에서 10까지 원료를 유상성분 (1)에 애지믹서(AGI MIXER : 마쓰시다전기공업 주식회사)로 교반, 혼합하였다.
(3)수상성분 원료 11-14성분을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4)실온에서 (1)+(2)원료들을 (3)원료에 서서히 투입하고 유화(미쯔보사 LR-1)시킨 후, 원료 15를 첨가한 후, 탈포 하였다.
(5)실시예 1,2,3의 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의 함량을 2.0, 5.0, 8.0 (단위; 중량%)으로 하여 실시예1,2 및 3으로 나타내고 패널 테스트를 통해 사용감(커버력, 밀착감, 화장막 두께, 색상표현, 마무리감)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커버력 4 4 4
밀착감 4 4 4
화장막 두께 5 4 5
색상표현 1 5 2
마무리감 4 4 4
종합 3.6 4.2 3.8
1점;아주나쁨,2점;나쁨, 3점;좋지않음 4점;보통,5점;매우 우수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의 비율에 따라서 커버력, 밀착감, 마무리감에서 차이는 없었지만, 상기 실시예 2는 화장막 두께가 얇으면서도 색상 표현감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적인 사용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때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의 함량이 5.0 중량% 일때 가장 자연스럽고 우수한 색상표현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4, 5, 및 6은 표1의 조성물의 색상이 그린, 핑크, 보라 색상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4, 5, 및 6은 피부에 도포전에는 화장품의 색상이 변하지 않지만 피부에 도포시에 그린, 핑크, 보라 색상이 피부톤에 맞는 자연스러운 컬러로 체인지되어 이상적인 피부톤으로 표현되는 것을 보여준다.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는 화장품이 피부에 도포되면 피부톤이 자연스럽게 표현되도록 도와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위에 분비되는 지방을 다공성 실리카가 흡수하여 칙칙한 피부톤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도 1은 도포 전 일반 메이크업 제품과 동일하지만 도포 후 칼라가 체인지되어 피부에 이상적인 피부톤으로 표현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린, 핑크, 보라 색상의 화장품이 피부에 도포되면, 실리카 캡슐이 터지면서 내부에 포함된 색소에 의해서 피부색과 흡사한 색으로 컬러 체인지가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다공성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 1~10 중량%, 유상부 10~45 중량%, 수상부 30~6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는 산화철, 이산화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상부는 유화제, 제습제,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제는 마그네슘설페이트이고, 피부로 도포시 상기 다공성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가 깨지면서 자연스런 스킨색을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수용성 무기 증점제 0.0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사이클로메치콘,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페닐디메치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피이지-8 디메치콘 및 피이지-10 디메치콘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KR20110021211A 2011-03-10 2011-03-10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24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1211A KR101242271B1 (ko) 2011-03-10 2011-03-10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1211A KR101242271B1 (ko) 2011-03-10 2011-03-10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37A KR20120103137A (ko) 2012-09-19
KR101242271B1 true KR101242271B1 (ko) 2013-03-11

Family

ID=4711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21211A KR101242271B1 (ko) 2011-03-10 2011-03-10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2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958B1 (ko) 2013-08-08 2013-12-18 (주)바이오제닉스 수난용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삼중층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408401B1 (ko) 2021-12-28 2022-06-14 주식회사 보광화학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531A1 (ko) * 2017-04-03 2018-10-11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액적 방출 화장료
KR102642761B1 (ko) 2023-11-27 2024-02-29 김환배 식재료의 수분짜는 기능을 갖는 주방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233A (ko) * 2007-08-13 2010-04-13 프록터 앤드 갬블 앤터내셔날 올퍼레이션스 에스에이 염료-로딩된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233A (ko) * 2007-08-13 2010-04-13 프록터 앤드 갬블 앤터내셔날 올퍼레이션스 에스에이 염료-로딩된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958B1 (ko) 2013-08-08 2013-12-18 (주)바이오제닉스 수난용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삼중층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WO2015020286A1 (ko) * 2013-08-08 2015-02-12 (주)바이오제닉스 수난용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삼중층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408401B1 (ko) 2021-12-28 2022-06-14 주식회사 보광화학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37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WO2005074865A2 (de) Kosmetisches präparat enthaltend ein metallpigment
KR20160077756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MXPA01001684A (es) Emulsion h/e solida que comprende gelano y un agente tensioactivo particular, y su utilizacion.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958189B (zh) 光感调色防脱妆纳米粉体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242271B1 (ko)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85801B1 (ko)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CN105228579B (zh) 化妆品组合物
US10383811B1 (en) Sunscreen emulsion comprising silane-treated oxide
US20180318188A1 (en) Foundation with controllable color change
KR20110048899A (ko) 수분 순간 방출형 고함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190114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on-interference scattering particles and aerogel particles, and cosmetic lightening method
KR101072633B1 (ko)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175939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516806A (ja)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および界面活性剤からなるコンパウンド、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粉末ならびにポリアルキル(メタ)アクリレートを油性相に含む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872A (ko)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94544B1 (ko)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415B1 (ko) 리포좀화된 헥사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3974B1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KR101015384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3077B1 (ko) 수중실리콘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689013A (zh) 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