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021A -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 Google Patents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021A
KR20100102021A KR1020090020963A KR20090020963A KR20100102021A KR 20100102021 A KR20100102021 A KR 20100102021A KR 1020090020963 A KR1020090020963 A KR 1020090020963A KR 20090020963 A KR20090020963 A KR 20090020963A KR 20100102021 A KR20100102021 A KR 20100102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servoir
water
section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90020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2021A/ko
Publication of KR2010010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지역이나 경사지에 구축되도록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지 등에 우천 등으로 내려오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저수를 하는 저수조와, 이에 저장되는 빗물은 경사지 등을 흐르면서 쏠려 내려오는 토사 또는 오염물이 침하로 저수조의 바닥면에 쌓여서 장기간 사용하기 위하여 청소를 수행하게 되는데, 지중에 다층구조로 매설되는 저수조에 대한 용이한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공하면서, 효과적인 저수를 위하도록 다단계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직사각형을 이루는 바닥면(54)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로 형성되는 전,후측의 벽면(55)(저수조(48)을 기준으로 전,후측 측벽(55)이라 칭한다.)과 이를 연결하는 측벽(60)으로 형성되는 바닥면(54)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저수조(48)가 다단계로 적층되는 저수조(48)에서, 이의 상측에는 상측판(56)을 덮어주면서 일측에는 유입구(46)로 유입된 빗물이 저장된 물이 배수하도록 저수조(48)의 통과구간(36)의 저측으로는 배수관(65)로 조립하여 주는 저수조(48)에 있어서, 상기 후측의 벽면(55)에서 외측으로 상향하면서 돌출되는 분배판(57)의 일측으로 외벽(50)과 측벽(60)을 연장시켜서 주는 통과구간(36)을 구비하여 주되, 상기 통과구간(36)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유입구간(19)에 형성되는 분배판(57)에는 분배구(59)를 다수개 천공하여 주고,
상기 전,후측 벽체(55)와 이에 연결되는 측벽(60)의 상측부위에 고정리브(30)를 수평 상태로 고정시켜 주되,
상기 고정리브(30)에는 간헐적으로 고정구(31)를 천공시켜 주고,
상기 고정구(31)에는 청소용 포대(35)의 고정구(31)로 고정끈으로 고정시켜서 저수조(48)의 내측 벽면을 밀착으로 덮어주어서 바닥면(54)의 청소구(52)와 덮개(53) 상이의 갭에서 누수를 방지와 저수조(48)의 오염을 방지하여 주고, 상기 전측의 벽체(55)에 구비된 공급관(15)에 파킹링구(13)로 청소용 포대(35)를 조립시켜 주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저수조, 고정구, 포대, 청소구

Description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omitted}
본 발명은 건조지역이나 경사지에 구축되도록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지 등에 우천 등으로 내려오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저수를 하는 저수조와, 이에 저장되는 빗물은 경사지 등을 흐르면서 쏠려 내려오는 토사 또는 오염물이 침하로 저수조의 바닥면에 쌓여서 장기간 사용하기 위하여 청소를 수행하게 되는데, 지중에 다층구조로 매설되는 저수조에 대한 용이한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공하면서, 효과적인 저수를 위하도록 다단계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고로 지형에 따라 형성되는 비탈면에 대한 친환경적이면서 폭우에 의한 빗물을 저장하여서 장기적으로 생활용수에 대한 장기적인 물을 공급하고, 또한 폭우에 의하는 붕괴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지중에 매설되는 저수조 등에서 특히 다층구조로 적층되어 매설되는 저수조는 물을 장기간 저장하면서 필요에 따라 배출로 사용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히 빗물인 경우에는 지표면을 흐르면서 부유물이나 미세한 토사 등 이 흐르는 빗물과 동시에 흘러들어서 저수조에서 저장하는 동안에 하측면에 침하 등으로 쌓이게 되어서 장기간 사용을 하면 저장된 물이 혼탁하게 되어서 비위생적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지중에 매설된 저수조는 햇볕 등이 차단되어서 비위생적인 대장균 등이 번식하게 됨으로 주기적으로 청결을 위하는 청소를 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중에 배설되면서 다층구조로 적층된 저수조에 대한 청소를 위하여 바닥면의 일측에다 청소구를 관통하여 주면서 저수에 필요한 누수차단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에 따른 누수차단 작업도 매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지표면을 흐르는 지표수는 지역에 따라 오염된 물이 흐르므로 이에 대하여 자연적인 정화를 보강하여 주는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또한 우천 시에 내려오는 빗물이 지표면에 흘러내려 오거나 건축물이나 시설물 등의 지붕 등으로 흘러내려오는 빗물은 대기 중에서 비산되어 공기 중에 흩어진 미세 먼지 등이 빗물이 섞여서 저수조에 저장되는 경우가 많아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오염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저수를 위하여 저수지를 조성하거나 하천에서 보 또는 제방으로 물을 저장하여 주는데, 이는 공기중에 수분이 증발로 인하여 감소되며, 홍수 등으로 하천수의 유속으로 인하여 흘러내리는 유실로 인하여 빗물에 대한 저장이 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건조지역과 같은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대부분 날씨가 햇볕이 비치므로 이를 이용하여서 효과적인 발전을 수행하여서, 상기 저수조 등에서 필요로 하는 동력을 발전하기 위함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에 대한 용이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함이며, 또한 다층구조로 적층된 저수조에 대한 바닥면의 청소구로 발생하는 누수의 차단을 위하는 발명이다.
또한 지상으로 내려오는 빗물을 광범위한 지역에서 저수조를 중첩으로 적층을 하면서 매설된 단지에 저장을 하되 장기간 필요에 다라 사용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경사지에서 일측 부위만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경사지는 비탈면에서의 구조에서는 저수를 함과 동시에 경사면 방향으로 노출되는 저수조의 일측으로 친환경적으로 식생하는 블럭을 일체로 구성하여 주되, 노출된 전측벽 부위에는 건조지역에서는 햇볕에 대한 노출이 많으므로 태양광 발전으로 동력을 발전을 하면서, 이에 따라 냉동기를 가동시켜서 공기 중에 비산된 수분을 응축시켜서 물을 포집하는 발명이며, 또한 상기 저수조용 블록을 다단계로 형성하여서 비탈면의 경사진 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조경용으로 적용시켜 법면에 대한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건조지역에서 강수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가끔 내리는 빗물에 대한 저장을 위하는 저수조에서 빗물을 유도하기 위한 넓은 면적의 유도판에서는 건조한 날씨에는 태양광 발전을 위함이다.
직사각형을 이루는 바닥면(54)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로 형성되는 전,후측의 벽면(55)(저수조(48)을 기준으로 전,후측 측벽(55)이라 칭한다.)과 이를 연결하는 측벽(60)으로 형성되는 바닥면(54)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저수조(48)가 다단계로 적층되는 저수조(48)에서, 이의 상측에는 상측판(56)을 덮어주면서 일측에는 유입구(46)로 유입된 빗물이 저장된 물이 배수하도록 저수조(48)의 통과구간(36)의 저측으로는 배수관(65)로 조립하여 주는 저수조(48)에 있어서, 상기 후측의 벽면(55)에서 돌출되는 분배판(57)의 일측으로 외벽(50)과 측벽(60)을 연장시켜서 주는 통과구간(36)을 구비하여 주되, 상기 통과구간(36)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유입구간(19)에 형성되는 분배판(57)에는 분배구(59)를 다수개 천공하여 주고, 상기 전,후측의 벽체(55)와 이에 연결되는 측벽(60)의 상측부위에 고정리브(30)를 수평 상태로 고정시켜 주되,
상기 고정리브(30)에는 간헐적으로 고정구(31)를 천공시켜 주고,
상기 고정구(31)에는 청소용 포대(35)의 고정구(31)로 고정끈으로 고정시켜서 바닥면(54)의 청소구(52)와 덮개(53) 사이의 갭에서 누수의 방지와 저수조(48)의 내측면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여 주고, 상기 전측의 벽체(55)에 구비된 공급관(15)에 파킹링구(13)로 청소용 포대(35)를 조립시켜 주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저수조(48)을 다층구조로 적층된 저수조용 블록(10)을 서로 좌,우측 방향과 좌,우측 방향으로 연결로 형성하는 저수조용 블록(10)(10')(10")...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저수용 블록(10)(10')(10")...의 최상측으로 적층된 저수조(48)의 후측의 유입구(46)에 맞추어서 넓은 면적의 빗물수집판(21)을 서로 대향되게 구비하여서 단지형으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빗물수집판(21)에 태양광 발전 소자(22)를 형성하여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저수조용 블록(10)에서 최상측의 저수조(48)에 여과망(28)을 지지대로 구비하여 주면서, 후측의 벽면(55)에서 통과구간(36')을 구비하여 주도록 보조벽체(55')를 상측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비탈면(11)에 연결시켜 주고, 상기 여과망(28)에는 여과조(41)를 구비하여 주면서 수초(42) 등을 식재하여 주고, 상기 설명되는 보조벽체(55')와 외벽(50) 사이의 통과구간(36)(36')은 여과조(41)의 양측 가장자리로 형성되는 측벽(60)의 상측 모서리에 상측판(56)을 얹져줌으로 구비하여 주어서 물의 통과구간(36)(36')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전측의 벽체(55)에서 양측의 측면(60)을 연장하면서 전측벽(49)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전측벽(49)에는 조경구(23)을 형성하여 주되, 전측벽(49)의 구강에서 상,하측으로 구비하여 주고, 상기 조경구(16)의 하측구간으로 형성하는 전측벽(49)에는 조립구(16)를 다수개 천공을 하여 주되, 상기 조립구(16)에는 심지(28)을 끼워서 식수구간(20)으로 구비하여 주고,
상기 식수구간(20)의 조경 토에 심어진 심지(28)를 전측의 벽체(55)를 넘어서 저수조(48)의 저장된 물에 담겨주어서, 저수조(48)의 물이 식수구간(20)으로 이동하여 주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경사면 등에서 폭우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저장을 하면서, 용수에 필요한 물을 장기적으로 제공함이며, 또한 적층된 블록의 저장조에 대한 용이한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공함이며, 일측으로는 식수구 역할로 제공하면서 견고성을 제공하므로, 도로, 하천 또는 주택단지에서의 조경용 옹벽으로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조에 대한 장기적인 사용으로 축적된 토사에 대한 주기적인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제공하는 친환경적인 장치이다.
상기 설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도1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3은 도1의 요부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7은 도4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9는 도8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10은 도8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이며, 도11은 도8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12는 도8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지중 매설하면서 빗물을 저수하려는 저수조(48)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은 첨부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바닥면(54)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로 형성되는 전,후측의 벽체(55)(저수조(48)을 기준으로 전,후측 벽체(55)이라 칭한다.)과 이를 연결하는 측벽(60)으로 형성되는 바닥면(54)의 면적으로 저수조(48)를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후측의 벽체(55)에서 외측으로 상향하면서 돌출되는 분배판(57)의 일측으로 상기 후측의 벽체(55)의 크기에 맞추어서 외벽(50)을 구비하여 주되, 상기 외벽(50)을 연장시켜서 주는 가장자리에 맞추어서 일체로 통과구간(36)을 구비하여 주되, 상기 통과구간(36)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유입구간(19)에 형성되는 분배판(57)에는 분배구(59)를 다수개 천공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일부는 저수조(48)로 흘러주고, 남은 일부는 상기 분배판(57)의 형성되는 면적의 구간인 통과구간(36)으로 흘러주어서, 하측으로 적층되는 저수조(48)로 흘러주도록 구비하여 준다.
여기서 후측의 벽체(55)의 상측 모서리에는 상측으로 적층된 저수용 블록(10)의 유입구간(19)에 형성되는 분배판(57)에는 통과구간(36)으로 흘러내려오는 빗물이, 하측으로 적층된 저수조(48)로 흐러주는 구간을 형성하여 주는 높이로 분배판(57)이 형성되는 구간으로 맞추어 주며, 여기서 최하측으로 조립되는 저수조(48)의 통과구간(36)의 저측으로는 배수관(65)로 조립하여 주면서, 상기 저수조용 블록(10)의 전측으로 배출하여서 제거하여 주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6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로 형성되는 전측의 벽체(55)과 외벽(50)의 상측 모서리에는 외측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조립턱(37)을 형성하여 주어서, 상측으로 적층되는 저수조(48)의 바닥면(54) 가장자리를 서로 맞추어서 조 립으로 적층이 되도록 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조수조(48)을 형성하는 전측의 벽체(55) 하측에는 공급구(15')가 형성되는 공급관(15)와 밸브(67)을 서로 연결하여서 전체적으로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저수조(48)의 빗물을 연결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다층구조로 적층되어 지중에서 매설되는 각각의 층간의 저수조(48)에 대한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는 설명으로서, 상기 바닥면(54)의 중간부위에 청소구(52)를 구비하여 주면서 이에 맞추어 주는 덮개(53)로 닫아 준다.
여기서 상기 청소구(52)를 닫아주는 덮개(53)를 닫았을 경우 바닥면(54)이 평활한 표면으로 형성하여 주도록 하측방향으로 조립리브를 돌출되도록 하며, 상기 덮개(53)에는 손잡이를 적절하게 구비하여 주어서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빗물에 섞여서 흘러오는 미세한 토사 등의 청소를 위하여 청소용 포대(35)를 상기 저수조(48)의 내측 공간으로 삽설시켜 준 다음, 상기 청소용 포대(35)를 고정하기 위하여 전,후측의 벽체(55)와 이에 연결되는 측벽(60)의 상측부위에 고정리브(30)를 수평 상태로 고정시켜 주되, 상기 고정리브(30)에는 간헐적으로 고정구(31)를 다수개로 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저수조(48)의 내측구간에 삽설된 청소용 포대(35)의 상측 가장자리로 상기 고정구(31)이 맞추어서 고정끈으로 고정시켜서 저수조(48)의 내측 벽면을 밀착으로 덮어주도록 제공하여 준다.
또한 상기 저수조(48)의 전측의 벽체(55)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급관(15)의 배출구(15')에 맞추어서 상기 청소용 포대(35)를 절개시켜 준 부위를 삽입시켜 주면서 파킹링구(13)로 삽입으로 고정시켜서 저수조(48)의 내측구간에는 빗물에 대한 접촉을 차단시켜 주며, 빗물에 함유되어 유입되는 미세한 토사 또는 부유물 등은 청소용 포대(35)에 담겨진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장기간 사용으로 상기 저수조(48)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을 하면 상기 청소용 포대(35)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리브(30)의 고정구(31)에 묶어진 고정끈을 풀어서 분리를 한 다음, 서로 접어주어서, 상기 설명되는 상측으로 적층된 저수조(48)의 바닥면(54)에 형성되는 청소구(52)를 이용하여서 제거를 하여 준다.
또한 청소를 수행한 다음, 교환된 청소용 포대(35)를 상기와 같이 청소구(52)를 이용하여서 조립하려는 저수조(48)로 삽입하여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리브(30)의 전체 구간에 형성된 다수대의 고정구(31)에 청소용 포대(35)의 상측 부위에 구비된 고정홀(32)을 고정 끈으로 서로 엮어 준다.
따라서 상기 바닥면(54)에 형성되는 청소구(52)와 덮개(53) 사이의 갭에 대한 누수를 상기 청소용 포대(35)에 의하여 완벽한 누수를 해결하며, 상기 포대(35)의 교환에 의거 저수조(48)의 청소가 수행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서로 적층된 저수조(48)에서 설명되는 청소구(52)와 덮개(53)의 위치는 일직선상의 수직된 위치로 구비하여서 청소용 포대(35)의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포대(35)에 대한 설명은 좁은 면적의 청소구(52)의 통과와 청소의 용이한 공정을 위하여, 유연성이 양호하면서 내구성이 있는 합성수지제 섬유질이나 턴트 지 등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조수조(48)을 형성하는 저수조용 블록(10)을 적층시켜서 다층으로 형성하여 주되, 이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저수조(48)에 대한 상층판(56)에는 상기 설명되는 청소구(52)와 이에 따른 덮개(53)을 형성하여 주며, 또한 상기 설명되는 통과구간(36)의 위치에 맞추어 주도록 후측으로 바탈면(11)의 흐르는 위치에 맞추어 빗물수집판(21)에 흐르는 빗물이 유입구(53)로 유입되도록 형성하여 준다.
[실시예1]
건조지역에서 빗물이 내려오는 날씨에서는 가능한 많은 량의 빗물을 수집하기 위하는 발명이며, 도한 건조지역에서는 빗물이 내려오는 우천 시의 날씨 외에는 대부분 맑고 햇볕이 비추는 것이다.
고로 상기 비춰주는 햇볕을 이용하면서, 우천시에는 빗물을 수집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되누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저수조(48)이 다층구조로 적층으로 형성되는 저수조용 블록(10)을 서로 좌,우측 방향과 전,후측 방향으로 연결로 형성하는 저수조용 블록(10)(10')(10")...을 형성하면서 이에 연결되는 공급관(15)으로 연결시켜 주면서, 최상측으로 적층된 저수조(48)의 상측을 상측판(56)으로 덮어주는 후측의 유입구(46)에 맞추어서 넓은 면적의 빗물수집판(21)을 서로 대향되게 구비하여서 단지형으로 형성시켜 제공되는 발명이며, 상기 설명되는 서로 대향되면서 경사지는 넓은 면적의 빗물수집판(21)에 태양광 발전 소자(22)를 형성하여서 지공하는 발명으로서, 미도시된 발전용 제어장치와 축전기 등을 구비하여서, 상기 저수조용 블록(10)(10')(10")...에 연결하는 공급관(15)에 구비되는 펌프(68)와 밸브(67) 등의 동력으로 제공하는 발명이다.
[실시예2]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저수조용 블록(10)은 지형의 구조에 따라 물이 흐르는 소하천이나 습지 또는 지하수 등이 흐르는 지역에서의 물은 대부분 환경오염 등으로 정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 바, 이에 대한 발명을 제공하기 위하는 설명을 기재하면, 첨부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48)가 적층되어 다층구조로 쌓여 있는 저수조용 블록(10)에서, 최상측에 구비된 저수조(48)의 내측공간에다, 정화용 수초 및 정화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전측의 벽체(55)에서 후측의 벽체(55) 사이의 구간을 중간정도의 높이로 여과망(28)을 별도의 지지대로 구비하여 주면서, 후측의 벽면(55)에서 통과구간(36')을 구비하여 주도록 별도의 보조벽체(55')를 상측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이탈면(11)에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측의 벽체(55)에서 보조벽체(55')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여과망(28)에는 여과조(41)를 구비하여 주면서 수초(42) 등을 식재하여서 자연적으로 상기 습지(44) 등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물을 정화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보조벽체(55')와 외벽(50) 사이의 통과구간(36)(36') 사이에는 상측판(56)을 구비하여 주어서 상기 물이 통과구간(36)(36')의 공간을 형성 하도록 제공되면서 지중에 매설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습기(44) 등에서 유입되는 물이 여과망으로 지지되는 여과조(41)로 유입이 되면 수초(42)나 여과조(41)에 의하여 정화가 된 다음, 저수조(48)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물은, 보조벽체(55')의 후측에 형성되는 통과구간(36')으로 상승을 한 다음, 후측의 벽체(55)를 통과하여서 통과구간(36)의 분배판(57)에 천공된 분배구(59)를 지나서 하측에 적층된 저수조(48)의 후측인 유입구간(19)으로 이동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요부인 저수조용 블록(10)에 대한 지중 매설을 하는 경우에, 경우에 따라 비탈면의 정도가 심하여서 수직과 같은 경사도가 매우 심한 구간에서도 안정적인 매설을 위하여사는 일측을 외부의 공간을 노출을 하여 주되, 상기 노출된 전측의 벽체(55)에서는, 친환경적 식생이나 조경을 위하도록 구성된 저수조용 블록(10)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8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의 벽체(55)에서 전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인 조경토를 담아주는 식수구간(20)을 구비하기 위하여, 전측의 벽체(55)에서 전측으로 양측의 측면(60)을 연장하면서 일체되는 전측벽(49)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전측벽(49)에는 조경용 조경대(26)을 상향되게 돌출시켜 주되 양측의 측벽을 구비하여서 조경구(23)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설명되는 전측벽(49)의 구강에서 상,하측으로 구비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상,하측 조경구(23)은 경사면(11)에서 매설된 저수조(48)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구간이므로,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으로 동력을 발전을 하고,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는 응축수가 응축되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조경구(23)에서 고정되면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응축수 포집판(70)을 구비하여 주되, 상온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를 제공하면서 응축수가 응축되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동기(73)에서 냉각된 냉매를 냉각관(71)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 포집판(70)의 내측구간에 삽설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냉매에 의하여 냉각된 표면온도에 응축된 응축수를 흘러내려서 조경구(23)의 내측을 지나 저수조(48)의 내측구간으로 흘러가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하측의 조경구(23)에서 고정되면서 돌출되는 태양광 발전판(69)를 만곡으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설명되는 응축수포집판(70)에 대한 햇볕에 대한 그늘을 제공하도록 단면이 원호형으로 만곡되도록 제공하되, 상기 전측벽(49)의 전체 구간에 맞추어 주는 넓이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경구(23)에 저수조(48)에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조경구(23)의 하측구간을 형성하는 전측벽(49)에는 조립구(16)를 다수개 천공을 하여 주되, 상기 조립구(16)에는 심지(28)을 끼워서 식수구간(20)으로 위치하도록 구비하여서 식수구간(20)의 조경토에 스며드는 물기를 조경구(23)의 조경토에 전달되어서 조경수가 성장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수구간(20)의 조경토에 심어진 심지(28)를 전측의 벽체(55)를 월경시켜서 저수조(48)의 저장된 물에 담겨주면, 저수조(48)의 물이 식수구간(20)으로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이동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식수구간(20)에서의 공급관(15)에 대한 설명은 전측의 벽체(55)에 구비된 공급관(15)을 연장시켜 주되, 서로 다층구조로 적층된 저수조(48)에서 각각의 공급관(15)을 서로 연결시켜 제공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48)에 저장된 물은 심지(28)의 삼투력에 의하여 식수구간(20)과 조경구(23)로 이동이 되어서 조경수가 성장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건조 지역에서 조경수에 대한 식수를 위하는 발명이다.
도1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
도3은 도1의 요부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예의 부분 사시도
도6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7은 도4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9는 도8에서 B-B선 단면도
도10은 도8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
도11은 도8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12는 도8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명칭*
10. 집수용 블록 11. 비탈면 13. 파킹링구 15. 공급관 16. 조립구
18. 조경구 19. 유입구간 20, 식수구간 21. 빗물수집판 22. 발전소자
26. 조경대 28. 여과망 30, 고정리브 31. 고정구 32. 고정홀
35. 포대 36. 통과구간 37. 조립턱 41. 여과조
42. 수조 44. 습지 46. 유입구 48. 저수조 49. 전측벽
50. 외벽 52. 청소구 53. 덮개 54. 바닥면 55. 벽체
56. 상측판 57. 분배판 59. 분배구 60. 측벽 61. 이동구
64. 심지 65. 배출구 66. 배수로 67. 밸브 68. 펌프
69. 태양광 발전판 70. 응축수 포집판 71. 냉각관 73. 냉동기

Claims (4)

  1. 직사각형을 이루는 바닥면(54)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로 형성되는 전,후측의 벽체(55)(저수조(48)을 기준으로 전,후측 벽체(55)이라 칭한다.)과 이를 연결하는 외벽(50)으로 형성되는 바닥면(54)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저수조(48)가 각각 다단계로 적층되는 저수조(48)에서, 이의 상측에는 상측판(56)을 덮어주면서 일측에는 유입구(46)로 유입된 빗물이 저장된 물이 배수하도록 하측에 적층되는 저수조(48)의 통과구간(36)의 하측으로 배수관(65)로 조립하여 주는 저수조(48)에 있어서,
    상기 후측의 벽체(55)에서 돌출되는 분배판(57)의 일측으로 외벽(50)과 측벽(60)을 연장시켜서 주는 통과구간(36)을 구비하여 주되, 상기 통과구간(36)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유입구간(19)에 형성되는 분배판(57)에는 분배구(59)를 다수개 천공하여 주고,
    상기 전,후측의 벽체(55)와 이에 연결되는 측벽(60)의 상측부위에 고정리브(30)를 수평 둘레로 고정시켜 주되,
    상기 고정리브(30)에는 간헐적으로 고정구(31)를 천공시켜 주고,
    상기 고정구(31)에는 청소용 포대(35)의 고정구(31)로 고정끈으로 고정시켜서 바닥면(54)의 청소구(52)와 덮개(53) 사이의 갭에서 누수의 방지와 저수조(48)의 내측면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여 주고,
    상기 전측의 벽체(55)에 구비된 공급관(15)에 파킹링구(13)로 청소용 포대(35)를 조립시켜 주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48)을 다층구조로 적층된 저수조용 블록(10)을 서로 좌,우측 방향과 전,후측 방향으로 연결로 형성하는 저수조용 블록(10)(10')(10")...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저수용 블록(10)(10')(10")...의 최상측으로 적층된 저수조(48)의 후측의 유입구(46)에 맞추어서 넓은 면적의 빗물수집판(21)을 서로 대향되게 구비하여서 단지형으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빗물수집판(21)에 태양광 발전 소자(22)를 형성하여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용 블록(10)에서 최상측의 저수조(48)에 여과망(28)을 지지대로 구비하여 주면서, 후측의 벽체(55)에서 통과구간(36')을 구비하여 주도록 보조벽체(55')를 상측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비탈면(11)에 연결시켜 주고,
    상기 여과망(28)에는 여과조(41)를 구비하여 주면서 수초(42) 등을 식재하여 주고,
    상기 설명되는 보조벽체(55')와 외체(50) 사이의 통과구간(36)(36') 사이에는 상측판(56)을 덮어주도록 구비하여 주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의 벽체(55)에서 양측의 측면(60)을 연장하면서 전측벽(49)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전측벽(49)에는 조경구(23)을 형성하여 주되, 전측벽(49)의 구간에서 상,하측으로 구비하여 주고,
    상기 상측의 조경구(23)에 고정된 응축수포집판(70)을 돌출로 구비하여 주되, 상기 응축수 포집판(70)의 내측구간에서 냉각관(71)을 삽설시켜 주고,
    상기 하측의 조경구(23)에 고정된 단면이 원호형 태양광 발전판(69)을 돌출로 구비하여 주고,
    상기 조경구(16)의 하측구간으로 형성하는 전측벽(49)에는 조립구(16)를 다수개 천공을 하여 주되, 상기 조립구(16)에는 심지(28)을 끼워서 식수구간(20)으로 구비하여 주고,
    상기 식수구간(20)의 조경 토에 심어진 심지(28)를 전측의 벽체(55)를 월경하여서 저수조(48)의 저장된 물에 담겨주면, 저수조(48)의 물이 식수구간(20)으로 이동하여 주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KR1020090020963A 2009-03-10 2009-03-10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KR20100102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963A KR20100102021A (ko) 2009-03-10 2009-03-10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963A KR20100102021A (ko) 2009-03-10 2009-03-10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533A Division KR101282720B1 (ko) 2012-01-04 2012-01-04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의 조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021A true KR20100102021A (ko) 2010-09-20

Family

ID=4300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963A KR20100102021A (ko) 2009-03-10 2009-03-10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20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164A (ko) 2017-02-13 2018-08-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집수면 및 접이식 부상형 저장조를 이용한 수면 위 빗물 집수처리, 운반 시스템
CN110331758A (zh) * 2019-05-27 2019-10-15 贵州乌江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沙沱发电厂 一种壁挂式漏水收集装置
CN111962960A (zh) * 2020-08-25 2020-11-20 湖北大学 生态园林式高层构建物
KR20220096328A (ko) 2020-12-31 2022-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기반 영상 센싱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164A (ko) 2017-02-13 2018-08-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집수면 및 접이식 부상형 저장조를 이용한 수면 위 빗물 집수처리, 운반 시스템
CN110331758A (zh) * 2019-05-27 2019-10-15 贵州乌江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沙沱发电厂 一种壁挂式漏水收集装置
CN111962960A (zh) * 2020-08-25 2020-11-20 湖北大学 生态园林式高层构建物
KR20220096328A (ko) 2020-12-31 2022-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기반 영상 센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044B1 (ko)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JP2018515070A (ja) 開孔浸透灌漑排水管及び密封式全自動浸透灌漑雨水回収全方位型プランタ
ES2371695B2 (es) Estación hidráulica de recuperación, de gestión y de distribución de las aguas pluviales.
CN202450610U (zh) 一种绿色建筑小区雨水收集截污系统
CN209907525U (zh) 一种城市道路雨水收集净化利用系统
US9175463B1 (en) Methods for modular catch basins
EP3209113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KR20150110193A (ko)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KR101461655B1 (ko)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KR20100102021A (ko)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KR101574644B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KR200289980Y1 (ko)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KR101282720B1 (ko)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의 조경구조
KR100808923B1 (ko) 경사지용 저수 시스템
KR101404215B1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JP2006022502A (ja) 雨水利用システム
US9593477B1 (en) Modular catch basins
CN102561500B (zh) 绿色建筑小区雨水收集截污系统
KR101433076B1 (ko) 강우 유출수 및 지하수 관리 시스템
JP3115445U (ja) 自然集水式排砂排水管
US9162169B1 (en) Flexible filter hand bags for catch basins
JPH11256630A (ja) 雨水地下貯溜タンクシステム
KR20090008698A (ko) 빗물받이 커튼식 악취 방지 장치
KR101204043B1 (ko) 집수정 간접취수 시스템
KR101067237B1 (ko) 응축수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223

Effective date: 201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