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993A -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993A
KR20100101993A KR1020090020469A KR20090020469A KR20100101993A KR 20100101993 A KR20100101993 A KR 20100101993A KR 1020090020469 A KR1020090020469 A KR 1020090020469A KR 20090020469 A KR20090020469 A KR 20090020469A KR 20100101993 A KR20100101993 A KR 2010010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vowel
consonant
set screen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영
Original Assignee
정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영 filed Critical 정운영
Priority to KR102009002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1993A/ko
Publication of KR2010010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터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 터치에서의 자유로운 입력화면을 이용하여 쉽게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종래의 버튼식 단말기에서는 키 숫자의 한계로 글자 한개를 입력하기 위해 평균 4~6타를 입력해야 했다. 그러나 전면 터치 단말기에서는 입력 버튼 구성이 자유로워 소위 qwerty 자판으로 불리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유사한 입력 방식을 이용한다. 전면 터치 단말기의 경우 입력은 스타일러스와 손가락으로 터치 하는 방법이 있는바 스타일러스 입력은 두손을 사용해야만 하고 손가락에 의한 입력은 터치 면적이 넓다. 전면 터치 단말기는 입력할수 있는 버튼의 숫자가 늘어남에 따라 입력 타수가 줄어 들은 반면 터치 면적이 좁아 오타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 버튼수를 최소화하여 터치 면적을 최대화 하여 입력 오타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입력타수를 최소화하며 한손으로 입력할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스마트폰,PDA,한글,자판,

Description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Korean on touch pannel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면 터치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자유로운 자판 배열의 장점을 이용하여 오타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글자당 입력 타수를 최소화하고 한손으로도 쉽게 입력이 가능한 전면 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는 물리적인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버튼이 표시 되어 이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PDA등을 지칭한다.종래의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에서는 소위 qwerty 자판 배열 즉 컴퓨터 키보드와 동일한 자판 배열에 의한 입력과 기존 천지인 한글 입력 방식을 결합한 모아키 발명에 따른 입력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qwerty 자판(도 5)의 경우 자판 갯수가 많으므로 주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다. 손으로 터치할때는 터치 면적이 좁아 오타를 줄이기 위해 조심스럽게 터치 해야 하므로, 글자당 입력 타수가 적다 하더라도 입력 시간은 오히려 증가 하게 된다. 또 다른 모아키 발명 자판의 경우는 자판 수는 qwerty에 비해 현저히 적으나 자음을 누를 경우 자판 두배의 면적 에 .,ㅡ,l,해당 자음 4개가 분할사용 되므로 qwerty 자판의 크기와 비슷해진다(도 4). 따라서 문제점은 상기 qwerty 자판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종래 자판의 경우 오타를 줄이기 위해서 스타일러스를 사용하게 되어 두손으로 입력하게 되므로 이는 이동성 단말기의 특성상 불편함이 명확하고, 특정의 터치 판넬,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판넬에서는 손가락 터치만이 가능하므로 불편함이 더욱 가중된다.
본 발명은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것으로 자판 배열을 최소화하여 터치할수 있는 범위를 최대화하여 입력 오류를 줄이는 동시에 글자당 입력 타수를 최소화하고 한손으로도 쉽게 입력이 가능한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5*4 즉 20개 배열의 자판으로, 자음 세트와 모음 세트의 두개의 화면을 준비한다. 자음 세트의 화면(도 1)에는 단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14개와 모음 전환 버튼 1개와 ,스페이스,영문전환,지우기,숫자전환 등으로 구성된 1차 기능버튼 4개, 1,2차기능 전환 버튼 1개등 20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2차 기능버튼세트는 특수문자 전환,사용자 정의 버튼 전환,줄바꿈,엔터,등 4개로 구성 된다. 모음 세트화면(도 2)은 ㅏ,ㅑ,ㅓ,ㅕ,ㅜ,ㅠ,ㅗ,ㅛ,ㅡ,ㅣ,ㅚ,ㅟ,ㅐ,ㅒ,ㅔ,ㅖ,ㅢ 의 17개 버튼과 ㅘ,ㅙ를 함께 사용하는 버튼 1개,ㅝ,ㅞ 를 함께 사용하는 버튼 1개 자음 전환 버튼 1개등 20개로 구성 된다. 20개로 버튼을 구성하면 qwerty 자판 버튼 면적의 2배의 크기가 되므로 오타가 현저히 줄어들게 됨은 누구나 동의 할것이다.
상기의 자판에서 1차 기능버튼세트와 2차 기능버튼세트라 함은, 기본적으로 자음 화면 세트에서 14개의 자음,1-2차 전환 버튼,모음 전환 버튼은 자음 세트화면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며 1차 기능 버튼 세트 4개가 우선 표시된다. 1-2차 전환 버 튼을 누르면 1차세트(301) 자리에 2차 기능 버튼 세트(302)가 표시 되고 또 다시 1-2차 전환 버튼(103)을 누르면 1차 기능 버튼 세트 화면으로 복귀된다.2차 기능버튼 세트의 버튼은 1차 기능 버튼 세트의 버튼에 비해 사용 빈도수가 적은것으로 배열한다.
모음 전환 버튼(101)을 누르면 모음 세트 화면이 표시 되고 모음 세트와면에서 자음 전환 버튼을 누르면 자음 세트 화면이 표시 된다. 또한 모음 세트 화면에서 모음을 누를 경우 자음 세트 화면으로 자동 복귀하며 자음 세트 화면에서 지우기 버튼(102)을 누르면 자음을 지울 경우 자음 세트화면이 유지 되면 모음을 지울 경우 모음 세트 화면이 표시 된다. 쌍자음을 눌러야 할 경우에는 자음을 한번 누르면 해당 버튼이 쌍자음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한번 더 누르면 쌍자음이 입력된다. 단자음을 계속 입력 할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으면 누르고 있는동안 같은 자음이 연속으로 입력된다. 한 버튼에서 두개의의 모음을 사용하는 ㅘㅙ,ㅝㅞ(202)의 경우 앞에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한번 누르고 자음 전환 버튼(201)을 누르면 자음 세트 화면으로 전환 표시 되고 두번 누르면 뒤의 모음이 입력되고 자동으로 자음 세트 화면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면 터치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자유로운 자판 배열의 장점을 이용하여 오타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글자당 입력 타수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입력을 할수 있으며 이동중에 한손으로도 쉽고,정확한 입력이 입력이 가능하므로 어떠한 터치 판 넬에도 적용할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자음 세트 화면의 버튼 배열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 2는 모음 세트 화면의 버튼 배열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 3은 1차 기능 버튼 세트(301),2차 기능버튼 세트(302)의 배열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대한민국" 입력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1의 자음 세트 화면의 'ㄷ' 버튼을 누른후 'ㅐ'를 입력하기 위해 모음전환 버튼(101) '모'를 누른다. 화면은 모음 세트화면이 표시되고 'ㅐ'를 입력한다. 모음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자음 세트화면으로 복귀되어 자음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어서 'ㅎ'+'모'+'ㅏ'+'ㄴ'+'ㅁ'+'모'+'ㅣ'+'ㄴ'+'ㄱ'+'모'+'ㅜ'+'ㄱ' 순으로 입력하여 총 15타가 소요 된다. 상기 과정에서 '대하'를 '대해'로 잘못 입력하고 자음 세트화면으로 복귀한 경우 지우기 버튼(102)을 누르면 '대ㅎ'가 되면서 모음 세트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즉 지우기 버튼(102)은 이전 세트 화면으로 되 돌린다.
'원'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ㅇ'+'모'+'ㅝㅞ'+'자'+'ㄴ' 순으로 5번 입력하게 된다.
'궤'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모'+'ㅝㅞ'+'ㅝㅞ' 순으로 4번 입력하게 된다.
즉 2개의 모음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버튼(202)은 한번누르면 왼쪽의 모음이 입력되고 한번 더 누르면 오른쪽의 모음이 입력 되면서 자음 세트화면으로 복귀한다.
쌍자음은 단자음을 두번 누르면 쌍자음으로 처리가 되며 연속 자음 'ㄷㄷㄷ'를 입력하려면 'ㄷ'을 지속적으로 누르면 연속으로 입력 된다.
1차 기능버튼세트(301)와 2차 기능버튼세트(302)는 자음 세트 화면에 표시 되며 1-2차 기능버튼세트(103) 전환 버튼을 누르면 전환된다. 기본적으로 자음세트화면에 1차 세트(301) 키들이 표시 된다. 2차 세트(302)키에는 1차 세트(301)에 비해 사용 빈도가 적은 키들로 조합한다.
도 1은 자음 세트화면의 배열을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도 2 는 모음 세트 화면의 배열을 보여 주는 실시예이다
도 3 은 기능 버튼 세트 화면의 실시예이다.
도 4 는 모아키의 모음 입력시의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qwerty 자판의 예시도 이다.

Claims (7)

  1. 단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14개와 모음 전환 버튼 1개와 ,스페이스,영문전환,지우기,숫자전환 등으로 구성된 1차 기능버튼 4개, 1,2차기능 전환 버튼 1개등 20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자음 세트 화면; 특수문자 전환 버튼,사용자 정의 버튼 전환,줄바꿈,엔터,등 4개를 포함하눈 2차 기능 버튼 세트; ㅏ,ㅑ,ㅓ,ㅕ,ㅜ,ㅠ,ㅗ,ㅛ,ㅡ,ㅣ,ㅚ,ㅟ,ㅐ,ㅒ,ㅔ,ㅖ,ㅢ 의 17개 버튼과 ㅘ,ㅙ를 함께 사용하는 공용버튼 1개,ㅝ,ㅞ 를 함께 사용하는 공용버튼 1개 자음 전환 버튼 1개등을 포함하는 모음 세트 화면 으로 구성 되는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음 전환 버튼은, 입력시 상기의 모음 세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자음 전환 버튼은, 입력시 상기의 자음 세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우기 버튼은, 입력시 자음을 지웠을 경우 자음 세트 화면을, 모음을 지웠을 경우 자음 세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공용 버튼 입력시 해당 버튼은, 한번 입력시 좌측 모음에 해당하는 코드를 발생하고, 두번 입력시 우측 모음에 해당하는 코드를 발생하고 자음 세트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전환 버튼은, 버튼 입력시 1차 기능 버튼 세트 와 2차 기능 버튼 세트를 교대로 디스플레이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ㄱ,ㄷ,ㅂ,ㅅ,ㅈ' 버튼은, 해당 버튼을 두번 입력시 'ㄲ,ㄸ,ㅃ,ㅆ,ㅉ'의 쌍자의의 코드를 발생 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터치 입력 단말기
KR1020090020469A 2009-03-10 2009-03-10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KR20100101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69A KR20100101993A (ko) 2009-03-10 2009-03-10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69A KR20100101993A (ko) 2009-03-10 2009-03-10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993A true KR20100101993A (ko) 2010-09-20

Family

ID=4300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469A KR20100101993A (ko) 2009-03-10 2009-03-10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19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987A (ko) * 2012-10-22 201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427524B1 (ko) * 2013-05-15 2014-08-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987A (ko) * 2012-10-22 201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427524B1 (ko) * 2013-05-15 2014-08-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115B1 (ko) 키입력장치
CN101251781A (zh)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KR101113960B1 (ko) 문자 키패드
US200902438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lphanumeric data via keypads or display screens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00121218A (ko)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KR20100101993A (ko)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JP4907296B2 (ja) 入力装置
JP3197051U (ja) キー入力装置
KR1006525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와 문자 인식 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69517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JP2013219752A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
KR2010008697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987793B1 (ko) 올인원방식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KR101216766B1 (ko)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JPH11134096A (ja) キー入力装置
JP2004038897A (ja) 目的の文字を直接入力できる携帯電話機の入力装置
KR20070077500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KR101464642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652881B1 (ko) 터치 환경에서의 피커를 이용한 영문 입력 장치 및 방법
JPH10207608A (ja) キー入力装置
KR10121677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