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058Y1 -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 Google Patents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058Y1
KR200332058Y1 KR20-2003-0017648U KR20030017648U KR200332058Y1 KR 200332058 Y1 KR200332058 Y1 KR 200332058Y1 KR 20030017648 U KR20030017648 U KR 20030017648U KR 200332058 Y1 KR200332058 Y1 KR 200332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haracter
consonant
fingers
symme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엽
Original Assignee
이현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엽 filed Critical 이현엽
Priority to KR20-2003-0017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큰 크기로 인하여 휴대가 불편한 기존의 키보드를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하여 버튼의 수를 절반으로 감소하여 소형화한 것으로 기존 키보드의 문자배치를 실질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바로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소형 키패드에 비하여 보지 않고도 빠른 속도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빠른 문자의 입력을 요구하는 휴대용 및 소형 정보통신 분야의 다양한 기기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 소형 키보드 {Miniaturized Keyboard Using Symmetrical Nervous Response of Fingers of Both Hands}
기존 키보드는 컴퓨터 등에서 문자의 주요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며 입력하려는 각 문자는 해당 버튼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좌판을 보지 않고도 문자의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나 버튼의 수가 많아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므로 휴대용 기기나 소형 정보통신기기 또는 포터블 키보드 등의 환경에서는 사용에 적합하지 않으며, 기존 키보드 이외의 문자 입력 수단으로서 소형 키패드가 있으나 문자버튼의 수가 적고 각 문자는 해당 버튼을 갖지 않아 버튼의 조합에 따른 문자의 입력방법이 불편함은 물론입력시간이 긴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소형 정보기기 등에서 편리한 문서작업 환경을 구현하도록 신문처럼 둘둘 말아서 휴대하는 고무재질의 외장형 키패드가 이용되고 있으나 사용할 때마다 키패드를 편 후에 커넥터에 접속하여야 하고 고무 재질의 버튼을 사용할 때 버튼의 누름 감각이 무딘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키보드와 같이 비교적 신속히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면서 키보드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면, 즉 기존의 키보드와 키패드의 중간의 특성을 갖는 입력도구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면 이를 휴대용 및 소형 정보통신기기 등에 보다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큰 크기를 갖음에 따라 휴대가 불편한 키보드를 기존의 문자버튼 배치를 유지한 채로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하여 소형화함으로써 손쉽게 한 손으로도 비교적 빠른 속도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키보드를 보지 않고도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용 및 소형 정보통신 분야의 다양한 기기에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존 키보드의 문자버튼 배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기존 키보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각 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보드의 버튼 그룹과, 신경동작 반응이 대칭적으로 동일한 왼손과 오른손의 손가락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에 의하여 기존 키보드의 배치에 따라 오른손의 각 손가락이 키보드의 오른편과 왼편의 문자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문자판이 오버랩된 소형 키보드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서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소형 영문 키보드의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소형 한글 키보드의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소형 키보드의 동작 프로그램의 기능적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존 키보드 20 : 소형 영문 키보드
22 : Toggle 키버튼 25 : 소형 한글 키보드
28 : End 키버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소형 키보드는 오른손과 왼손의 손가락이 대칭적으로 동일한 신경적인 동작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하여 왼편과 오른편의 키보드 버튼을 대칭적으로 겹친 후에 한쪽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존의 키보드(10)의 외형을 나타내며, 이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보드의 좌측은 왼손의 손가락을, 그리고 우측의 버튼에는 오른손의 손가락을 올려놓도록 하여 b에서 e까지의 해당 줄에 위치한 문자를 누를 때에는 이에 상응하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문자를 입력할 때는 왼손과 오른손의 각 손가락은 신경계통에 의해 대칭적인 동작반응을 나타내므로 왼손의 엄지를 누를 필요가 있을 때는 오른손의 엄지를, 왼손의 검지는 오른손의 검지, 왼손의 집게는 오른손의 집게 등과 같이 대칭적으로 반대쪽의 손가락을 누르는 것이 용이하며, 예를 들어 왼손의 검지 손가락을 누를 경우에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을 대신 움직이기는 용이하지만,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은 신경적인 동시반응이 어려워 대신 움직이기가 어렵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도 3과 같이 오른손이 사용하는 키보드의 오른쪽과 왼손이 사용하는 키보드의 왼쪽 부분을 서로 오버래핑하여 키보드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문자의 입력은 왼손가락 d 가 눌러야 할 문자는 신경적으로 동일한 반응을 갖는 오른손가락 d가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버튼을 배치하도록 하면 한 손만으로도 문자의 대칭성을 이용해 전체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도 4는 위의 방법에 의하여 구성된 소형 오른손용 영문 키보드(20)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어 PEN을 입력하려면 P는 오른손가락 e에 의해 Q/P를 누르고, E는 원래 좌판 왼편의 c 줄에 위치하므로 오른손 c를 이용하여 E/I를 누른 다음 Toggle 버튼(22)을 누르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N은 오른손가락 b에 의해 B/N을 누르면 PEN의 입력이 가능한 데, 여기서 Toggle 버튼(22)은 키버튼에 표시된 이중의 2문자 중에서 기존 키보드의 왼손 측에 위치한 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위의 방법을 이용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형 한글 키보드(25)의 구성이 가능하며, 한글의 입력방법은 먼저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된 하나의 글자 끝에는 문자의 끝을 알리는 End (28)를 입력하도록 하고,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은 키보드에서 눌리는 첫번째 버튼은 자음으로, 둘째 버튼은 모음으로, 그리고 셋째 버튼은 받침을 나타내는 자음으로 인식하도록 하며, 초성인 경우에는 자음이 오지만 쌍자음인 경우에는 다음에 모음으로 인식되는 모음버튼 다음에 Toggle(22) 을 눌려쌍자음을 표시하고, 중성인 경우에는 모음이 오지만 쌍모음인 경우에는 다음에 자음으로 인식되는 자음 버튼 다음에 Toggle(22) 을 눌러 쌍모음으로 표시하고, 마지막으로 종성인 경우에는 자음이 오지만 쌍자음인 경우에는 다음에 오는 자음과 함께 쌍자음으로 구성된 받침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이 가능하다.
초성 : 자음 (쌍자음 : 자음 + 자음 + Toggle ) :
예) ㄱ ㄴ ... ㅎ (ㄲ ㄸ ㅃ ㅆ ㅉ)
중성 : 모음 (쌍모음 : 모음 + 모음 + Toggle ) :
예) ㅏ ㅑ ... ㅜ ㅣ (ㅘ ㅙ ㅚ ㅝ ㅞ ..)
종성 : 자음 (쌍자음 : 자음 + 자음) + End :
예) ㄱ ㄴ ... ㅎ (ㄲ ㄳ ㄵ ㄶ ㄺ ㅄ ..)
예를 들면 '특허청'의 입력은 ㅌ - ㄱ @ ㅎ ㅓ @ ㅊ ㅓ ㅇ @ 의 키로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땅이 웬말'의 경우에는 ㄷ Toggle ㅏ ㅇ @ ㅇ ㅣ @ ㅇ ㅜ ㅔ Toggle ㄴ @ ㅁ ㅏ ㄹ@ 로 입력이 가능하며, 여기서 @은 End 버튼(28)을 나타내고 Shift 키는 사용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소형 영문 키보드(20)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키보드와 관련된 플래그를 초기화하고(S30) 키보드의 입력의 변화를 점검하여(S31) 눌린 버튼의 스캔코드를 저장하도록 한다(S32).
눌린 버튼이 Toggle 키가 아니고(S33) 이중문자 버튼인 경우에는(S34) 눌린 버튼이 이중으로 문자의 표시가 가능한 버튼임을 나타내는 이중문자 플래그를 세트하고(S35) 2개의 문자 중에서 오른손이 입력 가능한 문자의 코드를 스캔코드로 선택하며(S36), 이중문자 버튼이 아닌 경우에는 그냥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눌린 버튼이 Toggle키인 경우에는(S33) 이중문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확인한 다음(S37) 바로 전에 전송된 문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Back Space 문자의 스캔코드를 전송한 후에(S38) 바로 전에 눌린 버튼에 대한 왼손이 입력 가능한 문자의 스캔코드를 스캔코드로 선택하고(S39) 이중문자 플래그를 리세트(S40) 한 후에 위의 과정에서 확정된 스캔코드의 값을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한다(S41).
본 고안에 따른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소형 한글 키보드(25)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방법에 따라 구성이 가능하며, 한글이나 영문 키보드 모두 동작모드를 변경하여서 하나의 키보드로 왼손이나 오른손에 의하여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키보드를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하여 키보드의 왼쪽부분과 오른쪽 부분을 서로 겹치도록 구성하면 소형화가 가능하고 기존 키보드의 버튼배치를 실제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한 손만으로 비교적 빠른 속도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함을 물론 오른손이나 왼손용 키보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키보드와 키패드의 중간 영역에 해당되는 문자의 입력 도구로써 휴대용 및 소형 정보통신기기 등에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기존의 문자 배치를 유지한 채로 기존 키보드의 왼편과 오른편의 특정 문자를 대칭적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문자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 특정 영어문자를 입력할 경우 기존 키보드의 우측에 있는 문자는 기존과 동일하게 입력하고 키보드의 좌측에 있는 문자는 양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에 의하여 키보드의 버튼을 선택한 다음 좌측에 있는 문자임을 알리기 위한 목적의 Toggle 버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보드 문자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 특정 한글문자를 입력할 경우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된 하나의 글자의 종료를 표시하기 위한 End 키와 초성에 있어서 쌍자음, 중성에 있어서 쌍모음을 나타내기 위한 Toggle 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보드 문자입력장치.
KR20-2003-0017648U 2003-06-05 2003-06-05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KR200332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48U KR200332058Y1 (ko) 2003-06-05 2003-06-05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48U KR200332058Y1 (ko) 2003-06-05 2003-06-05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188A Division KR20040106916A (ko) 2003-06-05 2003-06-05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058Y1 true KR200332058Y1 (ko) 2003-11-10

Family

ID=4941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648U KR200332058Y1 (ko) 2003-06-05 2003-06-05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0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48428A1 (en) Mobile device and key arranging method
WO2008029492A1 (en) Input device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10059872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US20080183781A1 (en) Multi-method input arrangement
KR200332058Y1 (ko)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KR200205575Y1 (ko) 휴대폰 문자 입력 장치
KR100689515B1 (ko) 투명 키패드를 이용한 장치
KR100557139B1 (ko) 키보드의 키 배열
KR20040106916A (ko)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KR200304005Y1 (ko) 6개의 키버튼을 이용한 영문 알파벳 문자 입력 시스템
KR100609287B1 (ko) 5행3열 플러스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KR200600622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KR200351141Y1 (ko) 소형 키보드
KR200286423Y1 (ko) 소형 키보드
KR20030060607A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키패드의 문자 배열 방식
KR20040044238A (ko) 다중문자 입력방법
KR20050043364A (ko) 키 배치 방법,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US20060250370A1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KR20030061772A (ko) 다수의 문자조합 버튼을 동시에 사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