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368A - 플라스틱제 리벳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제 리벳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1368A KR20100101368A KR1020090019831A KR20090019831A KR20100101368A KR 20100101368 A KR20100101368 A KR 20100101368A KR 1020090019831 A KR1020090019831 A KR 1020090019831A KR 20090019831 A KR20090019831 A KR 20090019831A KR 20100101368 A KR20100101368 A KR 201001013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le member
- circumferential direction
- female member
- center
- female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101700004678 SLIT3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100027339 Slit homolog 3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차체 판넬에 트림 보드 등 복수의 작업을 중합상태로, 동시에 해체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암부재와 수부재와 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리베트에 플라스틱제 리벳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암부재와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리벳으로,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하단에 내향지게 손톱부을 돌출 형성함과 동시에, 날(edge)부의 상면에는,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따라 상면과 하면이 평평하며, 그 중간이 원주방향의 1방향에 경사한 단차가 있는 복수의 톱니형 캠을 원주방향에 동일간격으로 마련하고,
상기 수부재에는 머리부의 하면에, 하단이 상기 톱니형 캠의 상면이나 하면에 습접할 수 있는 하향의 돌기를 마련하고,
축부의 하단부 외주에는 상기돌기가 톱니형 캠의 상면상 혹 그것보다도 위로 위치할 때에 전기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내향지게 손톱부를 요입하는 요부를 원주방향에 간격을 유지해서 마련함과 동시에,
중심의 각 요부 상측 둘레에 전기 돌기가 톱니형 캠의 하면에 습접하고 있을 때에 각 분할편의 내향지게 손톱부를 걸쳐지게 하여, 중심 분할편을 외측으로 확장한 상태로 유지하는 계지융기를 원주방향에 인접 간격을 유지해서 마련하고,
수부재 축부의 하단부 외주에 마련한 요부는,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에 복수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슬릿(slit)내에 습접하는 방사상으로, 전기 계지융기의 인접 간격에 따라 축방향 하향에 연장되는 경계벽에서 구분한 것이다.
플라스틱, 리벳, 암부재, 수부재, 차체판넬, 보드, 날부, 손톱부, 몸통부, 톱니형 캠, 요부, 계지융기, 경계벽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차체 판넬에 트림 보드 등 복수의 작업을 중합상태로, 동시에 해체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암부재와 수부재와 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리베트에 플라스틱제 리벳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제 리베트로서, 통형 몸통부와, 중심 몸통부의 상단외주에서 튀어나온 날(edge)부를 구비하고, 전기 통형 몸통부에는 하단에서 위로 절개된 복수의 슬릿(slit)에서 복수의 확장 가능한 분할편을 형성한 암부재와, 원판형상으로, 상면에 공구의 결합홈을 가지는 머리부와, 중심 머리부의 하면(下面) 중심에서 늘어지고, 전기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끼워져서 전기 분할편을 외측으로 확장하는 축부를 구비한 수부재의 구성이 일본 실용신안 공보 소 58-33298호에 의해 알려져 있다.
상기 공지의의 리베트의 암부재는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fp에 암나사조를 소유한다.
동시에, 날(edge)부 위에 동심 형상으로, 상면에 원주방향에 연속한 산형의 캠을 가지는 원통형의 상향돌출부를 구비하고, 또, 수부재는 축부의 외주에, 수부재를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압입 할 때는 전기 암나사조에 올라 앉으면서 통과하는 나사조와, 원판형상의 머리부 하부에 동심형상으로, 전기 암부재의 산형캠과 정반대인 산형캠을 하면에 가지는 원통형의 하향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부재의 하향 돌출부의 하면의 산형캠의 山과, 암부재 날(edge)부 위에 마련되어진 상향 돌출부의 상면의 산형캠의 산골짜기를 상하 방향에 일치시켜, 수부재의 머리부를 상측에서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암부재의 분할편은 외측으로 확장하고, 암부재 날(edge)부의 하면에 복수의 작업을 중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중합 상태로 고정한 복수의 작업(워크)의 고정을 분리하기 위해서, 공구, 예를 들면 드라이버의 날 끝을 수부재의 머리부상면의 결합홈에 끼워 맞추고, 암부재에 대하여 수부재를 돌려, 수부재의 하향 돌출부 하면의 산형캠의 하측 끝부를, 암부재 날(edge)부 위에 돌출 형성한 상향 돌출 부상면의 산형캠의 상향 끝부위로 습접시켜, 수부재의 머리부의 하면을 암부재 날(edge)부의 상면에서 위로 분리 시키려해도 수부재 축부의 나사조는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 내측 둘레의 암나 사조에 나사결합 되어있기 때문에, 원활에 수부재를 분리시킬수는 없다.
동시에, 분해하기 위해서는 수부재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몇 회씩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여, 공수와 시간이 걸린다.
게다가, 수부재 축부를, 암부재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압입시에, 수부재 축부의 나사조와, 통형 몸통부 내측 둘레의 암나사조가 강하게 상호 마찰하거나, 또는 쌍방이 결손하므로 여러회 반복해서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할때 까지 수부재와 암부재를 각각 보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분실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부재와 암부재를 분실할 우려가 없고, 또, 작업을 중합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수부재의 압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 리벳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시 공수가 적게 드는 리벳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암부재와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리벳으로,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하단에 내향지게 손톱부을 돌출 형성함과 동시에, 날(edge)부의 상면에는,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따라 상면과 하면이 평평하며, 그 중간이 원주방향의 1방향에 경사한 단차가 있는 복수의 톱니형 캠을 원주방향에 동일간격으로 마련하고,
상기 수부재에는 머리부의 하면에, 하단이 상기 톱니형 캠의 상면이나 하면 에 습접할 수 있는 하향의 돌기를 마련하고,
축부의 하단부 외주에는 상기돌기가 톱니형 캠의 상면상 혹 그것보다도 위로 위치할 때에 전기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내향지게 손톱부를 요입하는 요부를 원주방향에 간격을 유지해서 마련함과 동시에,
중심의 각 요부 상측 둘레에 전기 돌기가 톱니형 캠의 하면에 습접하고 있을 때에 각 분할편의 내향지게 손톱부를 걸쳐지게 하여, 중심 분할편을 외측으로 확장한 상태로 유지하는 계지융기를 원주방향에 인접 간격을 유지해서 마련하고,
수부재 축부의 하단부 외주에 마련한 요부는,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에 복수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슬릿(slit)내에 습접하는 방사상으로, 전기 계지융기의 인접 간격에 따라 축방향 하향에 연장되는 경계벽에서 구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리벳의 수부재와 암부재를 분리할 일 없는 임시조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부재 축부 외주와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 내측 둘레는 나사결합이 된 것이 아니므로, 작업시 적층장에 고정할 때에 수부재를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부드럽게 압입 할 수 있다.
동시에, 고정을 분해할 때는 수부재를 암부재에 대하여 조금 돌리면, 다음은 확장한 분할편이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서 수부재를 밀어 올려서 임시조립 상태로 되돌아가고, 종래의 리벳과 같이 수부재를 드라이버 등으로 몇 회씩 회전시 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부재와 암부재를 분실할 우려가 없고, 또, 중합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수부재의 압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과 분리 작업시에도 공수가 적게 드는 리벳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암컷, 수컷 양쪽 부품의 분해 도시도이다.
도 2는 자웅 양쪽 부품의 임시조립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복수장의 작업을 중합, 고정한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암부재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암부재를 절반은 위에서, 타측 반은 아래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수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수부재를 절반은 위에서, 타측 반은 아래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제8도의 Ⅸ-Ⅸ선에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용도 설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F는 암부재, M은 수부재를 나타내고, 양부품은 각기 플라스틱의 일체형성품이다.
암부재(F)는 원통형의 통형 몸통부(1)와, 중심 몸통부(1)의 상단외주에서 돌출된 날부(2)를 갖추고, 중심통형 몸통부(1)에는 하단에서 원주방향에 90°의 위상으로 상측으로 절개된 4개의 슬릿(3)에 의해 여기에서는 4개의 확장 가능한 분할편(4)이 형성해 있다.
각 분할편(4)는 각기 하단에 내향으로 돌출된 손톱부(5)를 가지고, 또, 날부(2)는 통형 몸통부(1)의 내측 둘레와 동심의 원형의 홈부(6)를 상면에 구비하고, 그 홈부(6)의 밑바닥에는 단차가 있는 평평한 상면(7a) 및 하면(7b)과, 중심상면 7a와 하면(7b)의 사이가 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내려가는 경사면(7c)이 된 톱니형 캠(7)을 통형 부품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 동일 간격으로 4개 마련해 있다.
상기 각 톱니형 캠이 평평한 상면(7a)와, 이것에 원주방향에 인접한 톱니형 캠이 평평한 하면(7b)은 서로 수직한 경계면(8)로 구분되어, 이 경계면(8)은 각기의 분할편(4)을 칸막이하는 전기 슬릿(3)과 원주방향에 같은 위상으로 위치한다.
수부재(M)는, 전기 암부재(F)의 홈부(6)에 몰입하는 원반형상의 머리부(11)와, 중심머리부의 하면 중심부에서 늘어지고, 전기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1)의 내측 둘레를 관통하여, 그 하단에서 아래로 돌출 가능한 원형단면의 축부(1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머리부(11)의 상면 중앙부에는 수부재를 돌리기 위한 드라이버 등 공구의 날 끝을 꽂기 위한 오목부(13)가 마련해 있어, 머리부의 하면 주연부에는 180°의 위상으로, 전기 암부재 날(edge)부에 마련되어진 톱니형 캠(7)이 평평한 상면과 하면에 습접할 수 있는 하단을 구비한 하향 돌기(14)가 마련되 있다.
또, 축부(12)의 하단부 외주에는, 중심축부를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위에서 압입 할 때,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내향지게 손톱부(5)를 수용하는 요부(15)를 원주방향에 4개 동일간격으로 마련하여, 이 각 요부(15) 상측 둘레를 따라서 축부의 외주에서 조금 밀어 낸 계지융기(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요부(15)는, 계지융기(16)의 인접 간격(17)에 따라 축방향 하측에 연장되는 방사상의 4매의 경계벽-이 실시 예에서는 십자형 단면의 경계벽-(18)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구분되어, 동시에 각 요부(15)의 내부에는 상측둘레가 계지융기(16)에 이어지는 상향에 구경이 넓어진 원추형(원뿔형)사면(1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각 경계벽(18)은 암부재의 슬릿(3)안에 습접하는 두께를 가지고, 외면은 축부의 외주와 동일 곡률의 원호가 되고 있다.
축부(12)는 상기 요부(15)를 가지는 하단부 밑에, 외경이 계지융기(16)과 같아서, 동시에 각 경계벽(18)의 하단이 연접한 원추형(원뿔형)의 첨단부(20)를 가진다.
한편,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1)의 내측 둘레의 반경은, 수부재 축부에 있는 계지융기(16)의 곡률 반경 또는 상기원추형(원뿔형) 첨단부(20)의 큰직경 상단의 반경에 맞춰 있다.
또, 수부재 축부(12)에 있는 경계벽(18)의 방향을 암부재의 통형몸통부(1)에 있는 슬릿(3)에 맞추면, 수부재의 머리부 하면에 있는 돌기(14)는 톱니형 캠(7)의 하면(7b)위에 위치하게 정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수부재 축부의 경계벽(18)과,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1)에 있는 슬릿(3)의 방향을 맞추고, 축부(12)를 통형몸통부의 내측둘레에 상부에서 압입하면, 축부 하단의 원추형(원뿔형) 첨단부(20)가 각 분할편 4의 내향진 손톱부(5)의 사이를 아래로 통과할 때에 분할편은 갈라져서 외측으로 휘어서 뒤집히지만, 통과 후에 도 2에 도시와 같이, 그 내향진 손톱부 (5)는 축부(12)의 주변의 요부(15)에 들어가서 분할편(4)은 원상태로 복원하고, 요부(15)를 구분하는 경계벽(18)은 인접한 내향진 손톱부(5)의 사이에 슬릿(3)에 들어가서 습접하고, 수부재의 머리부 하면의 돌기(14)는 암부재 날부(2)에 있는 톱니형 캠의 하면(7b)의 윗쪽에 위치해 있는 임시조립 상태가 된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거듭 고정해야 할 복수장의 판넬(P1)(P2)에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1)의 외경에 적합한 구멍을 비워서 그 구멍을 맞추고, 전기 임시 조립한 암부재 날부(2)의 하면이 최상층의 판넬(P1)의 상면에 당접할 때 까지 통형몸통부(1)을 그 구멍의 상부에서부터 압입하고, 뒤이어, 수부재의 머리부(11)를 밀어 내린다.
이것에 의해 수부재 축부(12)는 암부재의 통형몸 통부(1)의 내측 둘레를 강하하고, 상기 축부의 돌아 맞춰져서 암부재의 각 분할편(4)의 내향진 손톱부(5)을 수용하고 있던 요부(15)의 원추형(원뿔형) 경사면(19)은 중심 손톱부(5)를 외측에서 누르고, 각 분할편(4)를 최하층의 판넬(P2) 아래에서 탄성에 저항해서 화병 형상으로 확개(擴開)된다.
이렇게 해서 상대적으로 손톱부(5)의 내단이 원추형(원뿔형) 경사면(19)에 올려 걸쳐진 상태에서 외측의 밀림을 받아 계지융기(16)를 위로 지나쳐 가면, 도 3 에 도시와 같이, 중심융기에 걸려서 아래로 되돌아올 수 없게 되고, 각 분할편(4)은 외측으로 최대 확개하고, 복수장의 판넬(P1)(P2)의 하면에 압접하여 중심 판넬을 적층상태로 고정한다, 이 상태로 수부재의 머리부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돌기(14)의 하면은 암부재 날부(2)에 있는 톱니형 캠이 평평한 하면(7b)에 당접하고, 수부재의 머리부(11)의 상면은 암부재 날부(2)의 상면과 동일면이 되어, 또 외측으로 확개된 각 분할편의 슬릿(3)은 각 경계벽(18)의 외측으로 떨어져, 암부재에 대하여 수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적층 상태로 고정한 판넬(P1)(P2)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수부재(M)의 돌기(14)가 암부재 날부(2)에 있는 톱니형 캠(7)의 경사면(7c)에 올려 걸치는 방향에 수부재를 돌린다.
이 실시예 에서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날 끝을 수부재의 머리부 상면의 홈(13)에 집어 넣어서 수부재를 약 90°,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이것에 의해, 수부재의 머리부에 있는 하향의 돌기(14)는 톱니형 캠(7)의 사면(7c)으로부터 그 상면(7a)에 올려 걸쳐서 수부재는 상향에 이동하고, 동시에 암부재의 각 분할편(4)의 손톱부(5)는, 수부재 축부(12)위에 있는 계지융기(16)의 인접 간격(17)위로 이동해서 계지융기(16)와의 걸림이 빠져, 외측으로 확개된 각 분할편(4)의 하부가 원래대로 복원하고자 하는 수축력으로 수부재 축(12)을 더욱 끌어 올린다.
따라서, 암부재(F)의 각 분할편의 내향진 손톱부(5)는 상승하는 수부재의 각 경계벽(18)의 외주면에 습접하는 동시에, 각 분할편(4)의 수축에 의해 경계벽(18) 은 분할편의 인접 간격의 슬릿(3)에 들어 가려고하여 수부재는 더욱 회전하며, 각 분할편의 손톱부(5)는 경계벽(18)위에서 옆에 미끄러져서 요부(15)에 떨어지며, 수부재의 머리부 돌기(14)는 암부재 날부(2)에 있는 톱니형 캠의 하면(7b)의 상측에 위치하고, 수부재(M)와 암부재(F)는 다시 제2도의 임시조립 상태로 되돌아가고, 다시 판넬(P1)(P2)을 중합 상태로 고정하는 태세를 취한다.
이 실시 예와 같이 분할편(4)을 원주방향에 동일 간격의 4개의 슬릿(3)에 의해 4개 형성했을 경우, 각 톱니형 캠은 원주방향에 90°에 걸쳐 연장되지만, 이 경우, 상면(7a)은 15°, 하면(7b)은 30°,사면(7c)은 45°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부재의 머리부 하향 돌기(14)에는, 적층 고정한 판넬(P1)(P2)을 분해하기 위해서 공구로 돌려지는 방향의 끝(가장자리)부를 경사면(14′)로 해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설명했지만, 암부재의 분할편은 원주방향에 동일간격의 복수의 슬릿(slit)에 의해 임의의 수 N만 형성할 수 있고, 그 수에 맞춰서 톱니형 캠, 수부재의 요부, 경계벽을 마련하면 좋다.
또, 수부재의 머리부의 하향 돌기는, 톱니형 캠의 전부에 작용하도록 중심캠과 동수 마련해도 좋고, 이 실시 예와 같이 4개의 톱니형 캠에 대하여 둘밖에 마련하지 않은 것과 같이 톱니형 캠보다도 적은 수를 마련해도 좋다.
본 고안의 플라스틱제 리벳에 의하면, 수부재 축부에 있는 방사상의 경계벽과, 암부재의 통형몸통부에 있는 슬릿(slit)의 방향을 맞추어, 수부재 축부를 암부 재의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위에서 축방향에 억지로 들어가면, 전기 경계벽은 슬릿(slit)에 습접해서 들어가고, 또, 암부재의 각 분할편으로부터 돌출하는 내향진 손톱부는 수부재 축부의 하단부 외주의 요부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암컷·수컷 양 부재는 회동 불능으로 동시에 분리되는 일이 없는 임시조립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를, 그 날(edge)부의 하면이 결합해야 할 복수의 작업(워크)이 상면에 당접할 때 까지 중심복수의 작업상 정렬된 구멍 에 삽입하고, 그로부터 수부재 축부를 더욱 깊이 암부재의 통형 부품의 내측 둘레에 밀어 넣으면, 수부재 축부에 있는 요부 상측둘레의 계지융기를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내향지게 손톱부가 상측을 넘어 지나는 것에 의해 각 분할편은 외측으로 확장하고, 날(edge)부의 하면(下面)과의 사이에 복수장의 작업(워크)를 중합 상태로 고정하고, 각 분할편의 내향진 손톱부는 계지융기를 넘어간 상태로 계지되어 원래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 때, 수부재의 머리부에 있는 하향 돌기의 하면은 암부재 톱니형 캠이 평평한 하면에 당접하고, 또, 각 분할편은 외측으로 확장하므로 분할편 상호의 사이의 슬릿(slit)은 축부의 경계벽의 외측으로 떨어져, 수부재는 암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중합 상태로 고정한 복수장의 판넬의 고정을 분해할 때는, 수부재의 머리부로부터 돌출하는 하향 돌기의 하면이, 암부재 날(edge)부에 있는 톱니형 캠의 경사면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수부재를 돌린다.
이것에 의해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내향진 손톱부는 수부재 축부에 원주방향 으로 떨어져 마련된 요부상의 둘레를 따라 계지융기의 인접 간격에 위치하고, 암부재의 각 분할편이 원래의 구경으로 축소하려하는 탄성 복원력으로 전기 손톱부는 계지융기의 간격을 아래로 통과한 뒤, 약간의 회전후 수부재의 요부에 다시 수용되어, 암컷, 수컷 양쪽 부품은 원래의 임시조립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1은 암컷, 수컷 양쪽 부품의 분해 도시도.
도 2는 자웅 양쪽 부품의 임시조립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3은 복수장의 작업을 중합, 고정한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4는 암부재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5는 암부재를 절반은 위에서, 타측 반은 아래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수부재의 정면도.
도 7은 수부재를 절반은 위에서, 타측 반은 아래에서 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서의 단면도.
도 9는 제8도의 Ⅸ-Ⅸ선에서의 일부의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F - 암부재 1 - 통형 몸통부 2 - 날부
3 - 슬릿(slit) 4 - 분할편 5 - 손톱
6 - 홈부 7 - 톱니형 캠 7a - 상면
7b - 하면 7c - 경사면 M - 수부재
11 - 머리부 12 - 축부 14 - 돌기
15 - 요부 16 - 계지융기 17 - 간격
18 - 경계벽
Claims (2)
- 통형 몸통부와,중심 몸통부의 상단외주에서 튀어나온 날(edge)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 몸통부에는 하단에서 위로 절개된 복수의 슬릿(slit)에서 복수의 확장 가능한 분할편을 형성한 암부재와,원판형상으로, 상면에 공구의 결합홈을 가지는 머리부와,중심머리부의 하면 중심에서 늘어지고, 상기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에 끼워져서 전기 분할편을 외측으로 확장하는 축부를 구비한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리벳에 있어서,상기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하단에 내향지게 손톱형상을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날부의 상면에는, 통형 몸통부의 내측 둘레의 둘레에 따라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그 중간이 원주방향의 1방향에 경사한 단차가 있는 복수의 톱니형 캠을 원주방향에 동일간격으로 마련하고,상기 수부재에는 머리부의 하면에, 하단이 상기 톱니형 캠의 상면이나 하면에 습접할 수 있는 하향의 돌기를 마련하고,또, 축부의 하단부 외주에는 상기돌기가 톱니형 캠의 상면상 혹 그것보다도 위로 위치할 때에 전기 암부재의 각 분할편의 내향지게 손톱을 받아 들리는 요부를 원주방향에 간격을 유지해서 마련하고,중심의 각 요부 상측둘레에 전기 돌기가 톱니형 캠의 하면에 습접하고 있을 때에 각 분할편의 내향지게 손톱부를 걸쳐지게 해, 중심 분할편을 외측으로 확장한 상태로 유지하는 계지융기를 원주방향에 인접 간격을 유지해서 마련하고,수부재 축부의 하단부 외주에 마련한 요부는, 암부재의 통형 몸통부에 복수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슬릿내에서 습접하는 방사상으로, 상기 계지융기의 인접 간격에 따라 축방향 하측에 길어지는 경계벽에서 구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리벳.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날(edge)부의 상면에, 수부재 원판형상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원형의 홈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톱니형 캠은 상기 홈부의 밑바닥에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 마련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리벳.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9831A KR20100101368A (ko) | 2009-03-09 | 2009-03-09 | 플라스틱제 리벳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9831A KR20100101368A (ko) | 2009-03-09 | 2009-03-09 | 플라스틱제 리벳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1368A true KR20100101368A (ko) | 2010-09-17 |
Family
ID=4300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9831A KR20100101368A (ko) | 2009-03-09 | 2009-03-09 | 플라스틱제 리벳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0136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86497A (zh) * | 2015-05-15 | 2017-01-04 | 天津市信霖塑料制品有限公司 | 一种膨胀卡扣 |
KR20180054082A (ko) | 2016-11-15 | 2018-05-24 | (주)성일프라스틱 | 차량용 플라스틱 리벳 |
-
2009
- 2009-03-09 KR KR1020090019831A patent/KR201001013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86497A (zh) * | 2015-05-15 | 2017-01-04 | 天津市信霖塑料制品有限公司 | 一种膨胀卡扣 |
KR20180054082A (ko) | 2016-11-15 | 2018-05-24 | (주)성일프라스틱 | 차량용 플라스틱 리벳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26244B2 (en) | Member fastening structure and clip for fastening member | |
US5568675A (en) | Two-piece clip | |
US9909608B2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threaded body | |
WO2011118173A1 (ja) | フロアマット用クリップ | |
US9845036B2 (en) | Multi-vehicle retention grommet | |
EP2781806B1 (en) | Hole plug | |
US20030059255A1 (en) | Quarter turn panel fastener | |
US9016170B2 (en) | Combination five gallon bucket opener and method | |
WO2016088182A1 (ja) | 雌スナップボタンの上部構造体、雌スナップボタン及び生地への雌スナップボタンの取付方法 | |
US10746217B2 (en) | Two-part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components | |
JP2001074015A (ja) | クリップ | |
KR20150130969A (ko) | 체결구 머리부 및 상보적인 드라이버 | |
KR101144425B1 (ko) | 체결구 | |
US11592050B2 (en) | Apparatus for a captured fastener assembly with expanding grommet | |
CN108603524B (zh) | 固定件 | |
KR20100101368A (ko) | 플라스틱제 리벳 | |
JP5465218B2 (ja) | ファスナー | |
JPH0754654Y2 (ja) | プラスチック製リベット | |
JPH0645048Y2 (ja) | プラスチック製リベット | |
WO2020086809A1 (en) | Flexible fastener | |
GB2173851A (en) | Flex-action rivet for securing sheets together | |
KR101819811B1 (ko) | 리벳 | |
US20030127346A1 (en) | Screw feed belt | |
US4145862A (en) | Rotary sheet metal fastener and fastening system | |
JP2006057666A (ja) | 止め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