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899A - 배드민턴용 셔틀콕 - Google Patents

배드민턴용 셔틀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899A
KR20100100899A KR1020107013803A KR20107013803A KR20100100899A KR 20100100899 A KR20100100899 A KR 20100100899A KR 1020107013803 A KR1020107013803 A KR 1020107013803A KR 20107013803 A KR20107013803 A KR 20107013803A KR 20100100899 A KR20100100899 A KR 2010010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ather
artificial
shuttlecock
shaft
badmin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743B1 (ko
Inventor
마사오 오가와
유타카 토노무라
사토시 요시다
토시마사 타케나카
Original Assignee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63B67/193Shuttlecocks with all feathers made in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63B67/19Shuttlecocks with several feathers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초기의 비상(飛翔) 성능을 장기에 걸처서 유지 가능한, 배드민턴용 셔틀콕을 제공한다.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복수의 인공 깃털(3)을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을 포함하고,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다. 인공 깃털(3)의 깃털부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킨 후 응고시킴에 의해, 깃털부가 겹쳐진 부분을 고정하는 융착부로서의 융착 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드민턴용 셔틀콕{SHUTTLECOCK FOR BADMINTON}
본 발명은, 배드민턴용 셔틀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배드민턴용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드민턴용 셔틀콕으로서, 그 깃털에 물새(水鳥)의 깃털을 사용한 것(천연 셔틀콕)과, 나일론 수지 등에 의해 인공적으로 제조된 깃털을 사용한 것(인공 셔틀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인공 셔틀콕에는, 깃털이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된 스커트형상의 일체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천연 셔틀콕과 같이 독립한 복수의 인공 깃털을 사용한 것이 있다.
도 30은, 천연 셔틀콕을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31은, 천연 셔틀콕의 깃털의 겹침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천연 셔틀콕을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연 셔틀콕(10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102)와, 베이스 본체(102)의 평탄한 표면에 접속된 복수의 물새의 깃털로 이루어지는 깃털(103)과, 복수의 천연 깃털(103)의 축(軸)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꿰매는 실로 이루어진다. 깃털(103)은 축(107)과 깃털본체부(105)로 이루어진다. 원환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깃털(103)은,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본체부(105)가 부분적으로 겹쳐짐과 함께, 깃털본체부(105)의 연재 방향이 개개의 깃털(103)에서 교차하도록(비틀림각(角)이 형성되도록) 그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인공 셔틀콕중, 복수의 인공 깃털을 사용한 것은, 그 외관 자체는 상기 천연 셔틀콕(101)과 유사하다.
천연 셔틀콕은, 그와 같은 천연의 깃털에 관해 일정한 품질의 것을 입수하는데 수고가 걸리기 때문에, 인공의 깃털을 사용한 셔틀콕보다 고가이다. 그 때문에, 염가이며 안정된 품질의 인공의 깃털을 사용한, 독립한 복수의 인공 깃털을 사용한 인공 셔틀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소57-37464호 공보(특허 문헌 1) 및 특개소53-40335호 공보(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서는, 부직포에 의해 깃털부(羽部)를 형성하고, 해당 깃털부에 결합한 깃축부(羽軸部)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한 셔틀콕용 인공 깃털 및 해당 인공 깃털을 사용한 인공 셔틀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로는, 깃털부와, 고강도 섬유를 보강재로 하는 깃축부를 접착제로 접합한 셔틀콕용 인공 깃털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비행을 안정시킴과 함께 깃축부의 절손(折損)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깃털부에 노치부를 마련함과 함께 해당 노치부에서 깃축부에 실을 주착(周着)하는 구성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실개소59-26676호 공보(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소57-3746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소53-4033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실개소59-2667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셔틀콕용 인공 깃털을 사용한 인공 셔틀콕에서는,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실제로 사용하면 인공 깃털의 강도가 천연의 깃털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인공 깃털의 깃털본체부가 교착(交錯)하는(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배치)가 국소적으로 교체되는) 일이 있다. 이 깃털본체부의 교착을,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2는, 인공 깃털의 깃털본체부가 교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32는 도 31에 대응한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인공 셔틀콕에서는, 사용하면 인공 깃털(3)의 강도가 천연의 깃털과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도 32의 교착부(1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본체부(5)의 적층 순서가 교체되는(교착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교착이 발생하면, 라켓으로 타격된 셔틀콕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어, 그 비상(飛翔) 특성이 극단적으로 악화하게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인공 셔틀콕에 있어서도, 상술한 깃털본체부의 교착이는 문제는 마찬가지로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깃털본체부의 교착 등에 의한 비상 특성의 악화는, 천연 셔틀콕에 비하여 상술한 인공 셔틀콕에서 특히 현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의 비상 성능을 장기에 걸처서 유지 가능한, 배드민턴용 셔틀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와, 복수의 인공 깃털을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털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에 고정된다. 인공 깃털의 깃털부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킨 후 응고시킴에 의해, 깃털부가 겹쳐진 부분을 고정하는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적층 상태 고정부로서 작용하는 융착부를 형성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나 형상을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인공 깃털이 변형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융착부는, 복수의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인공 깃털을 서로 고정하기 때문에, 보강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이 때문에, 셔틀콕의 강도가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셔틀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 깃털이 적층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재응고시킴으로써, 접착제 등의 사전(事前) 배치 등을 행하는 일 없이 융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콕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와, 복수의 인공 깃털을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인공 깃털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깃털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에 고정된다. 인공 깃털의 깃털부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층에 의해 접속한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적층 상태 고정부로서 작용하는 접착부를 형성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나 형상을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인공 깃털이 변형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는, 복수의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인공 깃털을 서로 고정하기 때문에, 보강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이 때문에, 셔틀콕의 강도가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셔틀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복수의 인공 깃털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콕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와, 복수의 인공 깃털과, 끈형상체(紐狀體)를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을 포함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깃털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에 고정된다. 끈형상체는, 복수의 인공 깃털에 있어서의 깃털부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유지한 부재로서 작용하는 끈형상체를 배치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와, 복수의 인공 깃털과, 적층 상태 고정부를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털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깃털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에 고정된다. 적층 상태 고정부는,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적층 상태 고정부를 형성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상태 고정부는, 복수의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인공 깃털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보강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이 때문에, 셔틀콕의 강도가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셔틀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 상태 고정부를 형성함에 의해, 인공 깃털의 적층 순번이나 배치, 형상 등이 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물새의 깃털을 사용한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성능 및 내구성을 구비하는, 인공 깃털을 사용한 배드민턴용 셔틀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을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셔틀콕의 융착 고정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셔틀콕의 상면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융착 고정부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융착 고정부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융착 고정부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융착 고정부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융착 고정부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을 구성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털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12는 도 11의 선분(Ⅶ-Ⅶ)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13은 도 11의 선분(Ⅷ-Ⅷ)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14는 도 11의 선분(XⅣ-XⅣ)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15는 도 11의 선분(XV-XV)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2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셔틀콕의 접착 부재에 의해 고정된 접착 고정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3을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셔틀콕의 상면 모식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한 셔틀콕의 중간실이 배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한 셔틀콕의 속실이 배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22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셔틀콕의 겉실이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4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셔틀콕의 고정용 실이 배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5를 도시하는 상면 모식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을 구성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털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5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상면 모식도.
도 30은 천연 셔틀콕을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31은 천연 셔틀콕의 깃털의 겹침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32는 인공 깃털의 깃털본체부가 교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모식도.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및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을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셔틀콕의 융착 고정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베이스 본체(2)의 평탄한 표면에 접속된 복수의 셔틀콕용의 인공 깃털(3)로 이루어지고, 또한 복수의 인공 깃털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융착 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2)는, 예를 들면 코르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예를 들면 16장)의 인공 깃털(3)은, 베이스 본체(2)의 평탄한 표면에, 원환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공 깃털(3)은, 베이스 본체(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서로의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복수의 인공 깃털(3)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筒狀部)의 내경이 베이스 본체(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그 깃축부(8)(도 11 참조)가 목면(木棉)의 실과 같은 꿰매는 실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융착 고정부(41)는, 평면 형상이 타원형 형상이고, 적층한 깃털본체부(5)를 웰더 등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용융 및 재응고시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융착 고정부(41)에서는, 깃털본체부(5)를 구성하는 재료가 부분적으로 용융 응고됨에 의해 서로 고착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융착 고정부(41)의 평면 형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인공 깃털(3)이 변형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에서는, 그 제조 공정에서 미리 접착제 등을 깃털본체부(5)의 표면에 배치한다는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보다 간략화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셔틀콕(1)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융착 고정부(41)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이 다르다. 즉, 도 3에 도시한 셔틀콕(1)에서는, 융착 고정부(41)에 있어서 적층한 깃털본체부(5) 사이에 보강 부재(43)가 배치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4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편(片)을 깃털본체부(5)의 적층부에 배치하고, 깃털본체부(5)와 함께 가열 및 재응고시킴에 의해 형성되고, 융착 고정부(41)를 보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보강 부재(43)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수지 시트로서 종횡이 4㎜의 4각형 형상이고 두께가 200㎛의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부재(43)를 배치함으로써, 융착 고정부(4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셔틀콕(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보강 부재(43)로서는, 임의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제의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을 미리 적층한 깃털본체부(5)의 사이에 끼워 넣어 두고, 웰더 등을 이용하여 해당 부분을 가열함에 의해, 깃털본체부(5) 및 보강 부재(43)로서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융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부재(43)로서는, 깃털본체부(5)를 구성하는 재료와는 다른 재료로서, 해당 깃털본체부(5)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융점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융착 고정부(41)에 가하는 열량을 비교적 작게 한 상태에서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깃털본체부(5)를 구성한 재료 자체는 완전하게는 용융하는 일 없이, 보강 부재(43)가 용융 및 재응고됨에 의해 융착 고정부(41)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융착 고정부(41)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보강 부재(43)로서, 소정 크기의 필름(예를 들면 4㎜×4㎜ 정도의 크기의 4각형 형상의 필름)를 준비하고, 해당 필름을 깃털본체부(5)의 소정의 위치에 임시고정한다. 이 임시고정은, 예를 들면 극히 소량의 접착제, 점착제 등을 통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드 타입의 초음파 웰더 장치 등을 이용하여, 깃털본체부(5), 보강 부재(43) 및 다른 깃털본체부(5)와 3층 구조가 된 적층부를 가압하여 가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보강 부재(43)의 질량은,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한 경우라면, 개략 0.04g으로 극히 경량이다. 따라서 셔틀콕의 질량 밸런스에는 해당 보강 부재(43)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셔틀콕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의 다른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셔틀콕(1)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융착 고정부(41)에 더하여 인공 깃털(3)의 깃털부가 내측으로 굴곡하는(컬{curl)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속실(內絲)(17)이 배치되어 있다.
속실(17)은, 인공 깃털(3)의 축의 주위를 주회(周回)한다. 그리고, 속실(17)은, 원환 형상으로 나열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내주 측부터 인접하는 다른 인공 깃털(3)의 축 까지 도달하고, 해당 축의 주위를 순차적으로 주회하여 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4 및 도 5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속실(17)은 원환 형상으로 나열한 인공 깃털(3)의 내주측에 따라 배치된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사용시에,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가 내주측(속실(17)이 위치하는 측)으로 굴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셔틀콕(1)의 공기 저항 등의 특성이 크게 변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융착 고정부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1)의 융착 고정부(41)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셔틀콕의 융착 고정부(41)는, 평면 형상이 4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해당 융착 고정부(41)에서는 모서리부가 둥글게 되어 있다. 또한, 인공 깃털(3)에서의 융착 고정부(41)는, 축(7)에 따른 방향에서 길이가 L0인 깃털본체부(5)의, 축(7)에 따른 방향에서의 중앙부부터 베이스 본체(2)(도시 생략)측의 영역에 배치된다. 융착 고정부(41)가 배치된 영역의 축(7)에 따른 방향의 길이(L1)는, 상기 길이(L0)의 40% 이상 6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융착 고정부(41)의 적어도 일부는, 인공 깃털(3)의 축(7)에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에 있어서, 축(7)과 깃털본체부(5)의 단부(端部)(도 6의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축(7)과 대향하는 외주부중 가장 축(7)으로부터 떨러진 부분)와의 사이의 중간점보다 축(7) 가까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축(7)의 중심축(22)과,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축(7)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단부를 통과하고, 해당 중심축(22)에 평행한 선분(23)를 생각한다. 그리고, 이 중심축(22)와 선분(23) 사이의 중간점을 통과하고, 중심축(22)에 평행한 선분(24)를 규정하면, 융착 고정부(41)의 적어도 일부는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선분(24)과 축(7)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한 셔틀콕의 융착 고정부(41)는, 평면 형상이 장사각형 형상(또는 선형상(線狀))으로 되어 있다. 융착 고정부(41)는 축(7)에 따른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 축(7)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넓은 범위에 관해 깃털본체부(5)의 겹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셔틀콕의 융착 고정부(41)는, 평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융착 고정부(41)의 외주의 하나의 변(邊)은 축(7)에 따른 방향으로 연재되고, 또한, 융착 고정부(41)의 해당 축(7)에 따른 방향으로 연재된 변에 대향하는 모서리부는, 해당변의 중앙부보다 베이스 본체(2)(도시 생략)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융착 고정부(41)에 가하여지는 부하의 분산을 도모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셔틀콕의 융착 고정부(41)는, 복수의 도트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개개의 고정부의 평면 형상은, 원형 형상이지만, 다른 임의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부가 배치된 영역은 축(7)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나는 장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의 영역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실제로 융착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도트형상의 고정부의 합계 면적)를 작게 한 상태에서, 넓은 영역(도트형상의 고정부가 분포하고 있는 영역)에 관해 깃털본체부(5)의 겹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셔틀콕의 융착 고정부(41)는, 2개의 4각형 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개개의 고정부의 평면 형상은, 4각형 형상이지만, 다른 임의의 형상(예를 들면 엔, 타원, 다각형, 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개개의 고정부의 사이즈는 같게 하지 않고, 사이즈에 차가 있는 고정부를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복수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개개의 고정부중의 하나가 어긋나도 다른 고정부가 기능하여, 셔틀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셔틀콕의 질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깃털본체부(5)의 넓은 범위에 융착 고정부(41)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융착 고정부(41)의 형상은 예시이고, 융착 고정부(41)의 형상은 다른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설명한 융착 고정부(41)가 배치된 영역의 조건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융착 고정부(41)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을 구성한 인공 깃털(3)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을 구성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털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분(Ⅶ-Ⅶ)에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선분(Ⅷ-Ⅷ)에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선분(XⅣ-XⅣ)에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선분(XV-XV)에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을 구성하는 인공 깃털(3)은, 깃털본체부(5)와, 해당 깃털본체부(5)에 접속된 축(7)으로 이루어진다. 축(7)은, 깃털본체부(5)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깃축부(8)와, 깃털본체부(5)의 거의 중앙부에서 깃털본체부(5)와 접속된 고착축부(10)로 이루어진다. 깃축부(8)와 고착축부(10)는 동일선상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연속한 축(7)을 구성하고 있다.
깃털본체부(5)에는, 깃축부(8)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에서 지지되는 돌출부(12)가 접속되어 있다. 깃털본체부(5)와 돌출부(12)는, 하나의 시트형상 부재(9)를 구성한다.
축(7)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원(도 12의 우측 단부, 또는 깃축부(8)에 있어서 고착축부(10)와 접속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선단부(도 12의 좌측 단부, 또는 고착축부(10)에 있어서 깃축부(8)와 접속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그 지름이 작아진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은 4각형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름모형상이다. 또한, 축(7)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4각형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7)의 단면 형상으로서, 시트형상 부재(9)의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도 13에서의 종방향)의 길이가, 해당 시트형상 부재의 연재 방향(도 13에서 횡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타원 형상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축(7)에 관해, 도 12,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7)의 근원측에서는 시트형상 부재(9)가 축(7)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시트형상 부재(9)가 축(7)의 내부에서 원호형상의 단면 형상이 되도록 매설된 상태)이다. 그러나, 축(7)의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형상 부재(9)가 축(7)의 표면에 노출한 상태가 되어 있다(시트형상 부재(9)가 축(7)의 표면에 접촉, 고정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축(7)에 있어서의 시트형상 부재(9)의 배치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7)의 근원측에 있어서 시트형상 부재(9)가 축(7)의 내부에 매설되고, 축(7)의 중앙부 및 선단부측에서 축(7)의 표면에 시트형상 부재(9)가 노출한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가 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축(7)의 근원측 및 중앙부에 있어서 시트형상 부재(9)가 축(7)의 내부에 매설되는 한편, 축(7)의 선단부측에서 시트형상 부재(9)가 축(7)의 표면에 노출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축(7)의 근원측, 중앙부 및 선단부측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시트형상 부재(9)가 축(7)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가 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도 1, 도 2,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셔틀콕(1) 및 셔틀콕용의 인공 깃털(3)의 제조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의 인공 깃털(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 인공 깃털(3)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부직포 준비 공정(S10)을 실시한다. 이 공정(S10)에서 준비되는 부직포는, 임의의 형상의 시트형상 부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네모퉁이가 둥글게 성형된 개략 4각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는 부직포를 준비하여도 좋다. 해당 부직포의 두께는, 형성된 인공 깃털(3)의 공기 저항이나 질량 밸런스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등의 화학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포로서 단위면적당 파일사(絲)의 무게가 10g/㎡ 이상 90g/㎡ 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부직포로서 폴리에스테르 섬유제이고, 단위면적당 파일사의 무게가 30g/㎡ 이상 80g/㎡ 이하, 두께가 0.07㎜ 이상 0.13㎜ 이하, 라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제의 부직포로서, 바람직하게는 단위면적당 파일사의 무게가 40g/㎡ 이상 60g/㎡ 이하, 두께가 0.08㎜ 이상 0.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위면적당 파일사의 무게가 40g/㎡ 이상 50g/㎡ 이하, 두께가 0.09㎜ 이상 0.11㎜ 이하라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부직포에 대신하여, 견직물, 면 등의 천연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이른바 종이), 또한 그들에 수지 등을 코팅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부직포에 대신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PET 필름 등의 수지 필름(두께가 50㎛ 이상 100㎛ 이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직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부직포의 표면에, 피복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피복층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필름을 부직포에 래미네이트 한다는(공압출(共壓出) 성형하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 등의 피복층은, 부직포의 편면에 형성하여도 좋고, 양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피복층을 편면 또는 양쪽의 면의 특정한 부분만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금형의 내부에 부직포를 배치하는 공정(S20)을 실시한다. 이 공정(S20)에서는, 축(7)을 예를 들면 사출 성형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내부에, 상술한 공정(S10)에서 준비된 부직포를 배치한다.
다음에, 금형 세트 공정(S30)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부직포가 배치된 금형을, 해당 내부에 축(7)을 구성하는 수지를 주입 가능한 상태로 배치함과 함께, 금형의 온도 조건 등을 조정한다.
다음에, 수지 주입 공정(S40)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에 마련된 수지의 주입 구멍으로부터, 금형 내부에 수지를 주입한다. 이 결과, 금형 내부에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 부재(9)와 접촉 고정한 상태로 축(7)이 형성된다.
다음에, 후처리 공정(S50)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의 내부로부터 축(7)이 접속, 고정 고착된 시트형상 부재(9)를 취출한다. 이 때, 축(7)의 단면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있다. 즉, 축(7)은 그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시트형상 부재(9)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축(7)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7)의 근원측에서는 축(7)의 내부에 시트형상 부재(9)가 매설된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축(7)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시트형상 부재(9)는 축(7)의 표면에 노출한 상태가 된다. 특히, 축(7)의 선단측에서는, 축(7)의 표면에 시트형상 부재(9)가 고정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금형의 내부의 축(7)을 형성하기 위한 홈의 형상이나, 시트형상 부재(9)가 되는 부직포의 배치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후처리 공정(S50)에서는, 상기 부직포의 불필요부( 깃털본체부(5)가 되어야 할 부분 이외의 부분)를 절단 제거한다. 이 결과, 도 11에 도시한 인공 깃털(3)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한 셔틀콕(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셔틀콕(1)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준비 공정(S100)을 실시한다. 이 준비 공정(S100)에서는, 셔틀콕(1)의 베이스 본체(2) 및 인공 깃털(3) 등, 셔틀콕(1) 구성 부재를 준비한다. 베이스 본체(2)의 제조 방법은, 종래 공지인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공 깃털(3)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조립 공정(S200)을 실시한다. 해당 조립 공정(S200)에서는, 베이스 본체(2)의 평탄한 표면부에 상술한 인공 깃털(3)을 복수장 접속한다. 인공 깃털(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 형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해당 복수의 인공 깃털(3)의 깃축부(8)를 서로 목면 등으로 이루어지는 꿰매는 실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고, 상술한 조립 공정(S200)에서는, 또한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겹쳐진 영역에 관해, 웰더 등을 이용하여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셔틀콕(1)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2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셔틀콕의 접착 부재에 의해 고정된 접착 고정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2를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틀콕(1)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융착 고정부(41)가 아니라 접착 고정부(31)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즉,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 형상으로 배치된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가 적층한 부분에 있어서, 깃털본체부(5)의 중앙부보다도 베이스 본체(2)에 가까운측에서, 적층한 깃털본체부(5)의 사이에 접착 부재(33)를 배치한 접착 고정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착 고정부(31)에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부재(33)를 통하여 적층된 깃털본체부(5)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접착 고정부(31)의 평면 형상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융착 고정부(41)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형상(예를 들면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셔틀콕(1)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지만, 상술한 조립 공정(S200)에 있어서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하는 대신에 인공 깃털(3)의 소정의 위치에 접착 부재(33)를 배치하고, 인공 깃털(3)끼리를 해당 접착 부재(33)에 의해 접착 고정함에 의해 접착 고정부(3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셔틀콕을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3을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셔틀콕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한 셔틀콕의 중간실(中絲)이 배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한 셔틀콕의 속실이 배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3을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한 셔틀콕(1)은, 기본적으로는 도 15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의 적층부(겹침 부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방법이 다르다. 즉,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간실(15) 및 속실(17)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간실(15) 및 속실(1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 중간실(15) 및 속실(17)의 배치를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실(15)은, 인공 깃털(3)의 축(7)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인접하는 인공 깃털(3)에 있어서 적층한 상태가 되어 있는 깃털본체부(5)의 부분에서,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가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통과하도록(적층한 깃털본체부(5)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깃털본체부(5)가 적층한 부분에서, 적층한 깃털본체부(5)의 사이를 중간실(15)이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깃털본체부(5)의 적층순서가 셔틀콕의 사용중에 교체된다는(예를 들면 라켓에 의한 타격의 충격에 의해 깃털본체부(5)의 적층 순번이 교체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속실(17)은, 도 20에 도시한 중간실(15)과 마찬가지로 인공 깃털(3)의 축(7)의 주위를 주회한다. 그리고, 속실(17)은, 원환 형상으로 나열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내주측부터 인접하는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에 까지 도달하고, 해당 축(7)의 주위를 순차적으로 주회하여 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9 및 도 21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속실(17)은 원환 형상으로 나열한 인공 깃털(3)의 내주측에 따라 배치된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사용시에,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가 내주측(속실(17)이 위치하는 측)으로 굴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셔틀콕(1)의 공기 저항 등의 특성이 크게 변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중간실(15) 및 속실(17)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 형상으로 나열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전부를 서로 고정하도록, 원주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중간실(15) 및 속실(17)은, 예를 들면 작업자가 바늘(針) 등을 통하여 봉제함에 의해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치로 할 수 있다. 원주 형상으로 배치된 중간실(15) 및 속실(17)은, 그 꿰매기 시작의 일방 단부와 꿰매기 끝의 타방 단부가 묶여지고, 남은 실의 부분은 매듭 부근에서 컷트되어 제거된다. 해당 매듭에는 접착제 등을 도포함에 의해,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호층을 형성함에 의해, 셔틀콕(1)이 라켓에 의해 타격된 때에, 해당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떠한, 중간실(15) 및 속실(17)은 면이나 수지 등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제의 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실(15) 및 속실(17)은 셔틀콕(1)의 중심 등에 영향을 극력 주지 않기 위해, 가능한 한 경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실로서는 50번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실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중간실(15)로서 사용한 실의 질량은 약 0.02g이 된다. 이 정도의 질량이라면, 셔틀콕(1)의 중심 위치에 약간의 영향이 있는 것이지만, 비상 성능에는 거의 영향이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중간실(15) 및 속실(17)의 배치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2)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지만, 베이스 본체(2)로부터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이들의 중간실(15) 및 속실(17)을 배치하여도 좋다. 단, 인공 깃털(3)의 적층순을 고정함과 함께 강도 부재로서도 중간실(15) 및 속실(17)을 이용한 경우에는, 중간실(15) 및 속실(17)의 베이스 본체(2)로부터의 거리는 다른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가 내측으로 굴곡하는(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생각하면, 중간실(15)보다 속실(17)을 베이스 본체(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한 셔틀콕(1)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지만, 상술한 조립 공정(S200)에 있어서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하는 대신에 중간실(15) 및 속실(17)을 배치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중간실(15) 및 속실(17)은, 예를 들면 작업자의 봉제 작업에 의해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속실(17)이나 중간실(15) 등으로서는,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상술하였던 것처럼 면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를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셔틀콕(1)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셔틀콕의 겉실(外絲)이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1)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셔틀콕(1)은, 기본적으로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중간실(15), 속실(17)에 더하여, 또한 겉실(19)이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 및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즉, 겉실(19)은, 도 23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 깃털(3)의 축(7)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도 2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깃털(3)의 외주측을 통과하여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의 축(7)의 주위를 재차 주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가 외주측으로 굴곡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겉실(19)은, 상술한 중간실(15) 등의 같은 재료나 두께의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겉실(19)의 설치 방법도, 상술한 중간실(15) 등과 마찬가지로 작업자에 의한 봉제 작업 등에 의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4)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4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4를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셔틀콕(1)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의 구성이 다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에서는,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의 적층 상태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융착 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지만, 도 24에 도시하는 셔틀콕(1)에서는, 깃털본체부(5)의 베이스 본체(2)측의 위치에서 복수의 인공 깃털(3)이 고정용 실(21)에 의해 원주 형상으로 봉합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용 실(21)에 의해 복수의 인공 깃털(3)을 서로 봉합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셔틀콕의 고정용 실이 배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는, 기본적으로는 도 24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고정용 실(21)의 배치가 다르다. 즉,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셔틀콕(1)에서는, 인접하는 인공 깃털(3)에 관해 적층한 상태가 되어 있는 깃털본체부(5)의 부분에 있어서, 축(7)의 연재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고정용 실(21)이 적층된 2개의 깃털본체부(5)를 봉합하고 있다. 이 고정용 실(21)이 꿰매여 붙여진 영역은, 축(7)의 연재 방향에 거의 따르도록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셔틀콕(1)에 있어서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의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5를 도시하는 상면 모식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을 구성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털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5를 설명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셔틀콕(1)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인공 깃털(3)의 형상 및 인접하는 인공 깃털(3)끼리의 융착 고정부(41)의 배치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과 다르다. 즉,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셔틀콕(1)을 구성하는 인공 깃털(3)은, 기본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인공 깃털(3)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지만, 깃털본체부(5)의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1)을 구성한 인공 깃털(3)에서는,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연재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연재부(50)는 축(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구체적으로는 축(7)과 교차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된다.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1)에서는, 인공 깃털(3)의 해당 연재부(50)가, 인접하는 다른 인공 깃털(3)의 내주측에서, 해당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을 넘는 위치까지 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축(7)을 넘은 위치에서, 연재부(50)와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는 융착 고정부(41)에 의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융착 고정부(4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부재(43)를 연재부(50)와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와의 사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융착 고정부(41)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융착 고정부(41)의 배치에 관해서는, 적어도 일부가, 인공 깃털(3)의 축(7)(도 28 참조)에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에 있어서, 축(7)과 깃털본체부(5)(도 28 참조)의 단부(도 27의 깃털본체부에 있어서 축(7)과 대향하는 외주부중 더욱 축(7)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와의 사이의 중간점보다 축(7) 가까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즉, 도 27에 도시한 축(7)의 중심축(22)과, 깃털본체부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축(7)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단부를 통과하고, 해당 중심축(22)에 평행한 선분(23)를 생각한다. 그리고, 이 중심축(22)와 선분(23)과의 사이의 중간점을 통과하고, 중심축(22)에 평행한 선분(24)을 규정하면, 융착 고정부(41)의 적어도 일부는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선분(24)과 축(7)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깃털본체부에 있어서 축(7)과 대향하는 외주부란,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연재부(50)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의 외주부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도 1에 도시한 셔틀콕(1)과 마찬가지로,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의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융착 고정부(41)가 인접하는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을 넘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착 고정 분(41)이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보다 앞쪽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인공 깃털(3)의 형상의 자유도나 융착 고정부(41)의 배치의 자유도가 커진다. 이 때문에, 도 27에 도시한 구성으로 하면, 깃털본체부(5)의 중앙으로부터 선단측(베이스 본체(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단부측)에 있어도 인공 깃털(3)의 비틀림각을 소정의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융착 고정부(41)가 깃털본체부(5)의 외주에서 돌출한 연재부(5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인공 깃털(3)에 관해, 축(7)의 연재 방향에서 본 깃털본체부(5)끼리가 이루는 각도(비틀림각)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즉, 천연 셔틀콕의 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재부(50)의 형상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융착 고정부(41)의 사이즈를 충분히 크게 하기 위해, 연재부(50)의 선단부(축(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단부)의 폭이, 연재부(50)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축(7)에서 보아 일방측의 부분이 타방측의 부분보다 전체로서 크게 되어 있는(축(7)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부분의 폭이, 타방측의 부분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 일방측의 부분중 인접하는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을 넘은 위치까지 늘어나 있는 부분을 연재부(50)로 하여도 좋다. 또한, 융착 고정부(41)를 도 1에 도시하는 셔틀콕(1)과 마찬가지로 축(7)을 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 5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상면 모식도이다.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1)의 실시의 형태 5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29에 도시한 셔틀콕(1)은, 기본적으로는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지만, 속실(17)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속실(1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셔틀콕(1)에 설치된 속실(17)과 같은 배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1)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가 내주측(속실(17)이 위치하는 측)으로 굴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셔틀콕(1)의 공기 저항 등의 특성이 크게 변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9에서는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1)에 속실(17)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1)에, 도 18 등에 도시한 중간실(15)이나 도 22에 도시한 겉실(19)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중간실(15), 속실(17), 겉실(19)은 임의의 조합으로 도 27에 도시한 셔틀콕(1)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27 및 도 29에 도시한 셔틀콕(1)에서는, 연재부(50)와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와의 고정부로서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하였지만, 해당 고정부로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접착 부재(33)를 이용한 접착 고정부(31)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일부 중복하는 부분도 있지만, 본원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이하에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복수의 인공 깃털(3)을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다. 인공 깃털(3)의 깃털부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킨 후 응고시킴에 의해, 깃털부가 겹쳐진 부분을 고정하는 융착부로서의 융착 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7)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3)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융착부로서 작용하는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나 형상을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인공 깃털(3)이 변형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융착 고정부(41)는,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을 서로 고정하기 때문에, 강도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강도가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셔틀콕(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재응고시킴으로써, 접착제 등의 사전 배치 등을 행하는 일 없이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융착 고정부(41)의 적어도 일부는, 도 6이나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부의 축(7)에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에 있어서 축(7)과 깃털부의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점보다 축(7) 가까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본체부(5)에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연재부(5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융착 고정부(41)의 적어도 일부는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선분(24)과 축(7)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본체부(5)에 연재부(5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재부(50)에 형성되는 융착 고정부(41)의 적어도 일부는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도 27에 도시하는 선분(24)과 축(7)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융착 고정부(41)는 해당 축(7)과 선분(24)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에 있어서 융착 고정부(41)보다 외측의 깃털부의 부분이 충분한 넓이를 갖게 되어, 인공 깃털(3)의 비틀림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융착 고정부(41)는, 인접하는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에 깃털본체부(5)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깃털본체부(5)와 고착되어 있는 보강 부재(43)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두께가 얇아도, 보강 부재(43)를 배치합으로써 융착 고정부(41)의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보강 부재(43)는 용융한 후 응고됨에 의해 상기 깃털본체부(5)와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융착 고정부(41)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 원형 형상, 장원(長圓) 형상,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라도 좋다. 또한,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서는, 융착 고정부(41)의 평면 형상은 4각형 형상, 사다리꼴 형상, 삼각형 형상, 5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 그 밖에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평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인 융착 고정부(41)에 있어서, 모서리부는 곡면 형상이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장원 형상이란, 사각영의 대향하는 2개의 변에 각각 반원을 접속한 형상(육상경기의 트럭과 같은 형상)을 의미하고, 상기 사각형이 굴곡하고 있는 형상도 포함한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융착 고정부(41)는, 복수의 융착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서는, 융착 고정부(41)가 복수의 도트형상의 융착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복수의 인공 깃털(3)에 있어서의 깃털본체부(5)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하는 끈형상체(중간실(15), 속실(17), 및 겉실(19))를 또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끈형상체(중간실(15), 속실(17), 및 겉실(19))에 의해 인공 깃털(3)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함에 의해,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끈형상체로서 극히 가는 실(예를 들면 면의 실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제의 실) 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질량이나 점유 체적이 작은 끈형상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해당 끈형상체를 배치함에 의한 셔틀콕(1)의 중심(重心) 위치나 밸런스 등의 변화를 극력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끈형상체는, 복수의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축(7)(바람직하게는 고착축부(10))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실부재로서의 속실(17)을 포함한다. 이 경우, 복수의 인공 깃털(3)의 내주측에 따라 속실(17)이 배치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셔틀콕(1)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가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해당 속실(17)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이 깃털부의 절곡에 기인하여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인공 깃털(3)을 사용한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을 안정시킴과 함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인공 깃털(3)의 깃털부(구체적으로는 깃털부를 구성하는 깃털본체부(5))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부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부(구체적으로는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와 겹쳐지는 위치까지 연재되는 연재부(50)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융착 고정부(41)는, 연재부(50)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나 형상을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인공 깃털(3)의 변형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천연 셔틀콕에 있어서의 깃털이 비틀림각에게 가까운 비틀림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 특성을 천연 셔틀콕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도 27 또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재부(50)는, 깃털부의 외주부로부터 다른 인공 깃털의 축(7)을 넘은 위치까지 연재되어도 좋다. 융착 고정부(41)는, 연재부(50)에 있어서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인공 깃털(3)의 깃털부는,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인공 깃털의 축(7)을 넘은 위치까지 연재되는 연재부(50)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융착 고정부(41)는, 연재부(50)에 있어서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의 비틀림각을, 천연 셔틀콕에 있어서의 비틀림각과 같은 정도오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복수의 인공 깃털(3)을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깃털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다. 인공 깃털(3)의 깃털부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층(접착 부재(33))에 의해 접속한 접착부로서의 접착 고정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7)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3)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접착 고정부(31)를 형성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나 형상을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인공 깃털(3)이 변형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 고정부(31)는,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을 서로 고정하기 때문에, 강도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강도가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셔틀콕(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33)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접착 고정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접착 고정부(31)의 적어도 일부는, 깃털부의 축(7)에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에 있어서 축(7)과 깃털부의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점보다 축(7) 가까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에 있어서 접착 고정부(31)보다 외측의 깃털부의 부분이 충분한 넓이를 갖게 되어, 인공 깃털(3)의 비틀림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인공 깃털(3)의 깃털부(구체적으로는 깃털부를 구성하는 깃털본체부(5))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부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부(구체적으로는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와 겹쳐지는 위치까지 연재되는 연재부(50)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접착 고정부(31)는, 연재부(50)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천연 셔틀콕에 있어서의 깃털의 비틀림각에 가까운 비틀림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 특성을 천연 셔틀콕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도 27 또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재부(50)는, 깃털부의 외주부로부터 다른 인공 깃털의 축(7)을 넘은 위치까지 연재되어도 좋다. 접착 고정부(31)는, 연재부(50)에 있어서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인공 깃털(3)의 깃털부는,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인공 깃털의 축(7)을 넘은 위치까지 연재되는 연재부(50)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접착 고정부(31)는, 연재부(50)에 있어서 다른 인공 깃털(3)의 축(7)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의 비틀림각을, 천연 셔틀콕에 있어서의 비틀림각과 같은 정도로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복수의 인공 깃털(3)과, 끈형상체(중간실(15), 속실(17), 및 겉실(19)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깃털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다. 끈형상체(중간실(15), 속실(17), 및 겉실(19))는, 복수의 인공 깃털(3)에 있어서의 깃털부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7)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3)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끈형상체로서의 중간실(15)이나 속실(17) 등을 배치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나 형상을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실(15)이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인공 깃털(3)의 적층 순번이 교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내주측에 따라 속실(17)이 배치됨에 의해, 셔틀콕(1)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인공 깃털(3)의 깃털부가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속실(17)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인공 깃털(3)이 변형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끈형상체로서의 중간실(15) 및 속실(17)은,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의 축(7)을 서로 고정하기 때문에, 강도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강도가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셔틀콕(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끈형상체로서 극히 가는 실 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실(15)이나 속실(17) 등을 배치함에 의한 셔틀콕(1)의 중심 위치나 밸런스, 총질량 등의 변화를 극력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끈형상체는, 인공 깃털(3)의 깃털부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봉착함에 의해 봉착부(고정용 실(21)로 고정된 부분)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을 서로 봉착함(고정용 실(21)로 꿰매여 붙임)에 의해, 인공 깃털(3)의 적층 순번이나 배치가 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봉착부(고정용 실(21)로 고정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깃털부의 축(7)에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에 있어서 축(7)과 깃털부의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점보다 축(7) 가까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에 있어서 봉착은것보다 외측의 깃털부의 부분이 충분한 넓이를 갖게 되어, 인공 깃털(3)의 비틀림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로서의 베이스 본체(2)와, 복수의 인공 깃털(3)과, 적층 상태 고정부(중간실(15), 속실(17), 겉실(19), 고정용 실(21), 접착 고정부(31), 융착 고정부(41))를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부분적으로 적층되도록,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다. 적층 상태 고정부(중간실(15), 속실(17), 겉실(19), 고정용 실(21), 접착 고정부(31), 융착 고정부(41))는,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7)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3)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적층 상태 고정부를 형성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상태 고정부는,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보강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강도가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셔틀콕(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적층 상태 고정부는, 복수의 인공 깃털(3)의 깃털부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하는 끈형상체(중간실(15) 및 속실(17), 또는 겉실(19))를 포함한다. 이 경우, 끈형상체(중간실(15), 속실(17), 및 겉실(19))에 의해 인공 깃털(3)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함에 의해,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끈형상체로서 극히 가는 실(예를 들면 면의 실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제의 실) 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질량이나 점유 체적의 작은 끈형상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해당 끈형상체를 배치함에 의한 셔틀콕(1)의 중심 위치나 밸런스 등의 변화를 극력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끈형상체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축(7)(바람직하게는 고착축부(10))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인공 깃털(3)의 깃털부의 서로 겹쳐진 부분(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인공 깃털(3)이와 겹쳐지는 부분)에 있어서 대향하는 깃털본체부(5)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실부재로서의 중간실(15)을 포함한다. 이 경우, 중간실(15)이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인공 깃털(3)의 적층 순번이 교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끈형상체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축(7)(바람직하게는 고착축부(10))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실부재로서의 속실(17)을 포함한다. 이 경우, 복수의 인공 깃털(3)의 내주측(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의 내주 측)에 따라 속실(17)이 배치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셔틀콕(1)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인공 깃털(3)의 깃털부(깃털본체부(5))가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해당 속실(17)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이 깃털부의 절곡에 기인하여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인공 깃털(3)을 사용한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을 안정시킴과 함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적층 상태 고정부는,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봉착한 봉착부(고정용 실(21)로 고정된 부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을 서로 봉착함(고정용 실(21)로 꿰매여 붙임)에 의해, 인공 깃털(3)의 적층 순번이나 배치가 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용 실(21)로 고정된 부분은 인공 깃털(3)의 축(7)에 따라 연재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적층한 인공 깃털(3)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용 실(21)이, 축(7)에 따라 늘어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축(7)에 따라 늘어나는 깃털본체부(5)의 넓은 범위에 대해 봉착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3)의 적층 순번이나 배치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착부(고정용 실(21)로 고정된 부분)는 인공 깃털(3)의 축(7)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봉착부는,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공 깃털(3)중의 적어도 2장 이상, 바람직하게는 모든 인공 깃털(3)을 연결하도록,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착부는,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전부를 연결하도록, 2중 또는 3중 이상의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2장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모든) 인공 깃털(3)을 소정의 적층 순번으로 연결하는 봉착부를, 미싱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봉착부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부( 깃털본체부(5))에서의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베이스 본체(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라켓에 의한 셔틀콕(1)의 타격시에, 비교적 변형량이 커지는 깃털본체부(5)의 후단부( 깃털본체부(5)에서의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보다 베이스 본체(2)로부터 먼 영역)가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에 고정용 실(21)에 의한 봉착부를 형성함으로써, 타격시의 충격에 의해 봉착부가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타격시에 있어서의 깃털본체부(5)의 후단부의 변형이, 봉착부의 형성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을 천연의 셔틀콕에 가까운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적층 상태 고정부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깃털(3)의 깃털본체부(5)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층(접착 부재(33))에 의해 접속한 접착부(접착 고정부(31))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접착 고정부(31)는,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전부에 대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접착 부재(33)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접착 고정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접착 고정부(31)는 인공 깃털(3)의 축(7)에 따라 연재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적층한 인공 깃털(3)을 서로 고정하는 접착 고정부(31)가, 축(7)에 따라 늘어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축(7)에 따라 늘어나는 깃털본체부(5)의 넓은 범위에 관해 접착 고정부(31)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3)의 적층 순번이나 배치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접착 고정부(31)는, 깃털본체부(5)에서의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베이스 본체(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라켓에 의한 셔틀콕(1)의 타격시에, 비교적 변형량이 커지는 깃털본체부(5)의 후단부가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에 접착 고정부(31)를 형성함으로써, 타격시의 충격에 의해 접착 고정부(31)가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타격시에 있어서의 깃털본체부(5)의 후단부의 변형이, 접착 고정부(31)의 형성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을 천연의 셔틀콕에 가까운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적층 상태 고정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깃털(3)의 깃털부(깃털본체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킨 후 응고시킴에 의해, 인공 깃털(3)의 깃털부가 겹쳐진 부분을 고정한 융착부로서의 융착 고정부(41)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재응고시킴으로써, 접착제 등의 사전 배치 등을 행하는 일 없이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고정부(41)는 인공 깃털(3)의 축(7)에 따라 연재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적층한 인공 깃털(3)을 서로 고정하는 융착 고정부(41)가, 축(7)에 따라 늘어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축(7)에 따라 늘어나는 깃털본체부(5)의 넓은 범위에 대해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3)의 적층 순번이나 배치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에 있어서, 융착 고정부(4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털본체부(5)에서의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베이스 본체(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라켓에 의한 셔틀콕(1)의 타격시에, 비교적 변형량이 커지는 깃털본체부(5)의 후단부가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에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함으로써, 타격시의 충격에 의해 융착 고정부(41)가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타격시에 있어서의 깃털본체부(5)의 후단부의 변형이, 융착 고정부(41)의 형성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을 천연의 셔틀콕에 가까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로서의 베이스 본체(2)와, 복수의 인공 깃털(3)과, 실부재로서의 중간실(15) 및 다른 실부재로서의 속실(17)을 구비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깃털부 및 해당 깃털부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한다. 복수의 인공 깃털(3)은,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부분적으로 적층되도록,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다. 중간실(15)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축(7)(바람직하게는 고착축부(10))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인공 깃털(3)의 서로 적층된 부분에 있어서 대향하는 인공 깃털(3)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속실(17)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축(7)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 셔틀콕을 구성하는 물새의 깃털(천연의 깃털)보다 축(7)의 강성이나 강도가 낮은 인공 깃털(3)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적층 상태 고정부로서 작용하는 중간실(15) 및 속실(17)을 배치함에 의해, 해당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나 형상을 당초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중간실(15)이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인공 깃털(3)의 적층 순번이 교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털(3)의 내주측에 따라 속실(17)이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셔틀콕(1)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인공 깃털(3)의 깃털부가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속실(17)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가 교체되거나, 인공 깃털(3)이 변형하거나 하는 것에 기인하여 셔틀콕(1)의 비상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간실(15) 및 속실(17)은, 복수의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인공 깃털(3)의 축(7)을 서로 고정하기 때문에, 강도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이 때문에, 셔틀콕(1)의 강도가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셔틀콕(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실(15) 및 속실(17)로서 극히 가는 실 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실(15)이나 속실(17)을 배치함에 의한 셔틀콕(1)의 중심 위치나 밸런스, 총질량 등의 변화를 극력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서는, 융착 고정부(41)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43)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털(3)이 적층된 부분의 두께가 얇아도, 보강 부재(43)를 배치합으로써 융착 고정부(41)의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깃털(3)에 있어서, 축(7)은, 고착축부(10)와, 해당 고착축부(10)에 이어지는 깃축부(8)를 갖고 있어도 좋다. 깃털부을 구성한 부재인 시트형상 부재(9)는, 고착축부(10)와 접촉하고 고착축부(10)보다 폭이 넓은 깃털본체부(5)와, 깃털본체부(5)로부터 깃축부(8)에 돌출하는 돌출부(12)를 갖고 있어도 좋다. 돌출부(12)에 있어서 깃털본체부(5)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깃축부(8)를 구성하는 부재에 매설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고착축부(10)에 깃털본체부(5)가 접촉, 고정됨과 함께, 깃털부를 구성하는 부재인 시트형상 부재(9)의 돌출부(12)가 깃축부(8)를 구성하는 부재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깃털부와 축(7)과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깃축부(8)에 깃털부를 구성하는 시트형상 부재(9)의 돌출부(12)가 매설된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매설된 해당 돌출부(12)가 깃축부(8)의 보강 부재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깃털본체부(5)와 깃축부(8)와의 접합부 및 깃축부(8)의 내구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착축부(10)에 대해서도 깃털본체부(5)가 보강 부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해당 고착축부(10)의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높은 내구성을 갖는 셔틀콕용 인공 깃털(3)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천연의 물새의 새털을 이용한 셔틀콕용 깃털에 가까운 강도 및 내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천연의 셔틀콕용 깃털을 사용한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성능 및 내구성을 구비한 인공의 셔틀콕(1)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실험을 행하였다. 즉, 실시의 형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중간실 및 속실을 배치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에 관해, 이들의 중간실 및 속실을 설치하기 전(고정용 실 설치 전)의 상태와, 중간실 및 속실을 설치한 후(고정용 실 설치 후)에 관해 라켓으로 타격한 때의 셔틀콕의 비상 궤적, 비상 안정성, 및 비상시의 회전에 관해, 확인하였다. 또한, 타격후의 셔틀콕에 있어서 인공 깃털의 겹침 부분에 관해 교착(인접하는 인공 깃털의 중복 순번이 초기의 상태에서 변하고 있는(교체되어 었는) 상태)의 발생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pct00001
여기서, 시료 ID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하고, 고정용 실로서의 중간실 및 속실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시료 ID 7은, 비교예이고, 시료 ID 1, 2의 셔틀콕과 같은 부직포를 사용하여 인공 깃털을 형성하였지만, 중간실 및 속실는 설치하지 않았다. 또한, 비교를 위해, 천연의 깃털을 사용한 셔틀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비상 궤적, 비상 안정성 및 비상시의 회전에 관해 확인하였다.
시료 ID 1, 2에 대해서는, 인공 깃털을 구성한 부직포로서 같은 품목(품목 A)을 사용하였다. 해당 품목 A의 부직포의 소재는 폴리에스테르이고, 단위면적당 파일사의 무게는 45g/㎡이였다. 또한, 시료 ID 3, 4에 대해서는, 품목 B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해당 품목 B의 부직포의 소재는 폴리에스테르이고, 단위면적당 파일사의 무게는 60g/㎡이였다. 시료 ID 5, 6에 대해서는, 품목 C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해당 품목의 부직포의 소재는 폴리에스테르이고, 단위면적당 파일사의 무게는 60g/㎡이였다. 또한, 비교예로서의 시료 ID 7에 대해서는, 인공 깃털을 구성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품목 A를 사용하였다.
상술한 시료 ID 1 내지 6에 대해 고정용 실을 설치하기 전에 타격 시험을 행하고, 그 때의 셔틀콕의 회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으로서는, 고속 카메라에 의해 비상중의 셔틀콕을 촬영하고, 그 화상으로부터 회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시료 ID 7 및 천연의 깃털을 사용한 셔틀콕(천연 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비상중의 회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시료 ID 1 내지 6에 대해, 고정용 실을 설치한 후, 타격 시험을 행하고, 상술한 방법에 의해 회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20회 타격을 행한 후의 깃털부의 교착의 유무, 및 타격 시험중의 비상 궤적, 비상 안정성 및 비상시의 셔틀콕의 회전 상황에 관해, 천연구와 비교한 경우의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비교례로서의 시료 ID 7 및 천연구에 대해서도,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고정용 실로서는, 50번수(番手)의 폴리에스테르제 실을 이용하였다. 또한, 중간실의 설치 위치는, 인공 깃털의 축의 선단부(도 1에 도시하는 베이스 본체(2)에 접속된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45㎜의 위치로 하였다. 또한, 속실의 설치 위치는, 인공 깃털의 선단부에서 40㎜의 위치로 하였다.
표 1에서는, 상술한 비상 궤적, 비상 안정성 및 비상시의 회전에 관해, 평가 결과가 양호한 경우를 동그라미로, 약간 양호한 경우를 삼각으로, 불량(불안 점)에 있는 경우를 가위표로 나타내고 있다.
표 1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료 ID 1 내지 6에 있어서, 셔틀콕의 회전수는 중간실 및 속실(고정용 실)를 설치한 경우의 쪽이 약간 높아져 있지만, 깃털의 교착은 없고, 또한, 비상 궤적이나 비상 안정성, 또한 비상시의 회전의 상황 등은, 천연구와 거의 동등한 평가를 얻었다. 한편, 비교예의 시료 ID 7에 대해서는, 타격 시험에 의해 깃털의 교착이 발생하고, 그 결과 비상 궤적이나 비상 안정성, 또한 비상시의 회전이 천연구란 크게 다르고, 낮은 평가가 되었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한 경우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중간실(15) 및 속실(17)을 설치한 경우와의 대비를 행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같은 베이스 본체 및 인공 깃털을 사용하여, 본 발명례로서 2 종류의 시료(시료 ID 8 및 9)와, 비교예로서의 시료(시료 ID 10)를 작성하였다. 시료 ID 8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실(15) 및 속실(17)을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시료 ID 9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고정부(41)를 형성함에 의해, 인공 깃털(3)을 서로 고정하였다. 한편, 비교례로서의 시료 ID 1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융착 고정부 등을 형성하는 일 없이, 인공 깃털이 서로 독립한 상태로 하였다. 각 시료는 2개씩 준비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료 ID 8 내지 시료 ID 10에 대해, 하이 클리어 및 스매시를 행한 실타(實打)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클리어란, 배드민턴 코트의 중앙 내지 후방부터, 상대방의 코트의 후방에 셔틀콕을 크게 처내는 플라이트 전반을 말한다. 그리고, 하이 클리어란, 상기 클리어중 셔틀콕을 높게 처내여서 상대를 코트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클리어에는 드리븐 클리어라고 불리는 것도 있고, 해당 드리븐 클리어란 셔틀콕을 상대적으로 낮게 터내여, 상대의 머리 위를 벗겨내는 것을 의도한 공격적인 클리어인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스매시란, 어버헤드 스트로크로부터, 상대 코트에 대해 셔틀콕을 예각으로 처내는 플라이트를 말하고, 가장 공격적인 플라이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타 시험의 결과는, 이하와 같은 것이였다. 우선, 각 시료에 대해 하이 클리어를 행한 실험에 관해, 본 발명 예의 시료 ID 8 및 시료 ID 9는, 하이 클리어를 150타 행한 후에도, 인공 깃털의 깃털본체부에서 교착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셔틀콕의 비상시에 있어서의 셔틀콕의 회전도, 천연 셔틀콕과 거의 동등하고, 시험중 크게 변화하는 일은 없었다. 또한, 비상 상태는 상기 2개의 시료 모두 후술하는 비교예의 시료 ID 10보다 안정되어 있지만, 특히 시료 ID 9는 시료 ID 8보다도 비상 상태가 안정되어 있다.
다음에, 비교예의 시료 ID 10에 대해서는, 하이 클리어를 2타 행한 시점에서, 인공 깃털의 깃털본체부에서 교착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깃털본체부의 교착이 발생한 후는, 셔틀콕의 회전이 극단적으로 적어짐과 함께, 비상 상태도 불안정하게 되었다.
다음에, 각 시료에 대해 스매시를 행한 실험에 관해, 본 발명례의 시료 ID 8 및 시료 ID 9는, 스매시를 10타 행한 후에도, 인공 깃털의 깃털본체부에서 교착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타격 직후의 상태를 고속 카메라로 촬영하여 관찰한 결과, 시료 ID 8에서는 타격에 의해 셔틀콕이 찌부러진 상태가 된 후, 타격 전의 상태보다 인공 깃털이 약간의 벌어진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시료 ID 9에서는 타격에 의해 셔틀콕이 찌부러진 상태가 된 후, 타격 전의 상태와 거의 같은 정도밖에 인공 깃털은 벌어져 있지 않았다. 즉, 시료 ID 9의 쪽이 타격 직후의 인공 깃털의 벌어짐은 작았다.
한편, 비교예의 시료 ID 10에 대해서는, 스매시를 1타 행한 시점에서, 인공 깃털의 깃털본체부에서 교착이 발생하였다. 또한, 타격 직후의 상태를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카메라로 촬영하여 관찰한 결과, 시료 ID 10에서는 타격에 의해 셔틀콕이 찌부러진 상태가 된 후, 타격 전의 상태보다 인공 깃털이 크게(시료 ID 8보다도 크게) 벌어진 상태가 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교예의 시료 ID 10보다 본 발명 예의 시료 ID 8, 9의 쪽이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상 특성이라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례의 시료 ID 8, 9는 모두 비교예의 시료 ID 10보다 우수한데, 특히 시료 ID 9가 양호한 비상 특성을 가리키는 것을 알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배드민턴용 셔틀콕으로서, 특히 비상 성능을 초기의 상태 그대로 장기에 걸처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인공의 셔틀콕에 유리하게 적용된다.
1, 101 : 셔틀콕
2, 102 : 베이스 본체
3 : 인공 깃털
5, 105 : 깃털본체부
7, 107 : 축
8 : 깃축부
9 : 시트형상 부재
10 : 고착축부
12 : 돌출부
15 : 중간실
17 : 속실
19 : 겉실
21 : 고정용 실
31 : 접착 고정부
33 : 접착 부재
41 : 융착 고정부
43 : 보강 부재
50 : 연재부
103 : 천연 깃털
150 : 교착부

Claims (37)

  1.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깃털부(5) 및 상기 깃털부(5)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하고,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 복수의 인공 깃털(3)을 구비하고,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킨 후 응고시킴에 의해, 상기 깃털부(5)의 겹쳐진 상기 부분을 고정하는 융착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4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깃털부(5)의 상기 축(7)에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7)과 상기 깃털부(5)의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점보다 상기 축 가까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41)는 상기 인공 깃털(3)의 축(7)에 따라 연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41)는, 상기 깃털부(5)에서의 상기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보다 상기 베이스 본체(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41)는, 인접하는 상기 깃털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에서 상기 깃털부(5)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깃털부(5)와 고착되어 있는 보강 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41)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 원형 형상, 장원 형상,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41)는, 복수의 융착부 부분으로 되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8.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에 있어서의 상기 깃털부(5)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하는 끈형상체(17)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는, 상기 깃털부(5)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부(5)와 겹쳐지는 위치까지 연재되는 연재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41)는, 상기 연재부(5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재부(50)는, 상기 깃털부(5)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다른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을 넘은 위치까지 연재되고,
    상기 융착부(41)는, 상기 연재부(50)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는,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을 넘은 위치까지 연재되는 연재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41)는, 상기 연재부(50)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깃털(3)에 있어서, 상기 축(7)은, 고착축부(10)와, 상기 고착축부(10)에 연결된 깃축부(8)를 가지며,
    상기 깃털부(5)를 구성하는 부재(9)는, 상기 고착축부(10)와 접촉하고 상기 고착축부(10)보다 폭이 넓은 깃털본체부(5)와, 상기 깃털본체부(5)로부터 상기 깃축부(8)에 돌출하는 돌출부(1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12)에 있어서 상기 깃털본체부(5)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깃축부(8)를 구성하는 부재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3.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깃털부(5) 및 상기 깃털부(5)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하고,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상기 깃털부(5)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 복수의 인공 깃털(3)을 구비하고,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층(33)에 의해 접속한 접착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3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깃털부(5)의 상기 축(7)에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7)과 상기 깃털부(5)의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점보다 상기 축(7) 가까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31)는 상기 인공 깃털(3)의 축(7)에 따라 연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31)는, 상기 깃털부(5)에서의 상기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상기 베이스 본체(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는, 상기 깃털부(5)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인공 깃털(3)의 깃털부(5)와 겹쳐지는 위치까지 연재되는 연재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31)는, 상기 연재부(5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재부(50)는, 상기 깃털부(5)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다른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을 넘은 위치까지 연재되고,
    상기 접착부(31)는, 상기 연재부(50)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는,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을 넘은 위치까지 연재되는 연재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31)는, 상기 연재부(50)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깃털(3)에 있어서, 상기 축(7)은, 고착축부(10)와, 상기 고착축부(10)에 연결된 깃축부(8)를 가지며,
    상기 깃털부(5)를 구성하는 부재(9)는, 상기 고착축부(10)와 접촉하고 상기 고착축부(10)보다 폭이 넓은 깃털본체부(5)와, 상기 깃털본체부(5)로부터 상기 깃축부(8)에 돌출하는 돌출부(1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12)에 있어서 상기 깃털본체부(5)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깃축부(8)를 구성한 부재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3에 기재된 배드민턴용 셔틀콕(1).
  21.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깃털부(5) 및 상기 깃털부(5)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하고,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상기 깃털부(5)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 복수의 인공 깃털(3)과,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에 있어서의 상기 깃털부(5)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하는 끈형상체(15, 17, 19, 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체(15, 17, 19, 21)는,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상기 축(7)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상기 깃털부(5)의 서로 겹쳐진 부분에 있어서 대향한 상기 깃털부(5)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실부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체(15, 17, 19, 21)는,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상기 축(7)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의 깃털부(5)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실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체(21)는,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봉착함에 의해 봉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봉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깃털부(5)의 상기 축(7)에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7)과 상기 깃털부(5)의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점보다 상기 축(7) 가까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봉착부는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에 따라 연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봉착부는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축(7)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봉착부는, 상기 깃털부(5)에서의 상기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상기 베이스 본체(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깃털(3)에 있어서, 상기 축(7)은, 고착축부(10)와, 상기 고착축부(10)에 이어지는 깃축부(8)를 가지며,
    상기 깃털부(5)를 구성하는 부재(9)는, 상기 고착축부(10)와 접촉하고 상기 고착축부(10)보다 폭이 넓은 깃털본체부(5)와, 상기 깃털본체부(5)로부터 상기 깃축부(8)에 돌출하는 돌출부(1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12)에 있어서 상기 깃털본체부(5)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깃축부(8)를 구성하는 부재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0.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깃털부(5) 및 상기 깃털부(5)에 접속된 축(7)을 포함하고,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상기 깃털부(5)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된 복수의 인공 깃털(3)과,
    상기 인공 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층 상태 고정부(15, 17, 19, 21, 31, 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상태 고정부(15, 17, 19, 21, 31, 41)는,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하는 끈형상체(15, 17, 19, 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체(15, 17, 19, 21)는,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상기 축(7)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상기 깃털부(5)의 서로 겹쳐진 부분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깃털부(5)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실부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체(15, 17, 19, 21)는,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의 각각의 상기 축(7)의 주위를 주회함과 함께,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인공 깃털(3)의 깃털부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실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상태 고정부(15, 17, 19, 21, 31, 41)는,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봉착한 봉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상태 고정부(15, 17, 19, 21, 31, 41)는,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층(33)에 의해 접속한 접착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6.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상태 고정부(15, 17, 19, 21, 31, 41)는, 상기 인공 깃털(3)의 상기 깃털부(5)에 있어서의 서로 겹쳐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킨 후 응고시킴에 의해, 상기 깃털부(5)의 겹쳐진 상기 부분을 고정하는 융착부(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37.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깃털에 있어서, 상기 축(7)은, 고착축부(10)와, 상기 고착축부(10)에 이어지는 깃축부(8)를 가지며,
    상기 깃털부(5)를 구성하는 부재(9)는, 상기 고착축부(10)와 접촉하고 상기 고착축부(10)보다 폭이 넓은 깃털본체부(5)와, 상기 깃털본체부(5)로부터 상기 깃축부(8)에 돌출하는 돌출부(1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12)에 있어서 상기 깃털본체부(5)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깃축부(8)를 구성하는 부재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KR1020107013803A 2008-01-08 2009-01-07 배드민턴용 셔틀콕 KR101552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1452A JP4623434B2 (ja) 2008-01-08 2008-01-08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
JPJP-P-2008-001452 200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899A true KR20100100899A (ko) 2010-09-15
KR101552743B1 KR101552743B1 (ko) 2015-09-11

Family

ID=4085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803A KR101552743B1 (ko) 2008-01-08 2009-01-07 배드민턴용 셔틀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236176B1 (ko)
JP (1) JP4623434B2 (ko)
KR (1) KR101552743B1 (ko)
CN (1) CN101909704A (ko)
DK (1) DK2236176T3 (ko)
WO (1) WO20090880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21B1 (ko) * 2011-10-22 2012-05-03 김상웅 셔틀콕의 날개 제조방법 및 배드민턴 셔틀콕
WO2013058588A1 (ko) * 2011-10-22 2013-04-25 Kim Sang-Woong 셔틀콕용 날개 제조방법 및 셔틀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4821B2 (ja) * 2010-07-20 2014-11-12 ヨネックス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の製造方法
JPWO2012033068A1 (ja) * 2010-09-06 2014-01-20 ヨネックス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シャトルコック
WO2013058621A1 (ko) * 2011-10-22 2013-04-25 Kim Sang-Woong 셔틀콕
JP2014158603A (ja) 2013-02-20 2014-09-04 Yonex Co Ltd シャトルコック
JP5976907B1 (ja) * 2015-08-17 2016-08-24 株式会社コスモ精機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
CN106823326A (zh) * 2017-01-23 2017-06-13 金钟官 一种塑料羽毛球结构及羽毛球
TWI687254B (zh) * 2018-12-26 2020-03-11 勝利體育事業股份有限公司 人造羽毛球
TWI750995B (zh) * 2021-01-13 2021-12-21 勝利體育事業股份有限公司 人造羽毛球與毛片及其製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31234A (en) * 1938-07-14 1940-12-31 Ellen Fjelstrup Badminton shuttle-cock
US2338274A (en) * 1941-02-28 1944-01-04 Charles R Yancey Game missile
JPS5340335A (en) 1976-09-21 1978-04-12 Nippon Carbon Co Ltd Shuttle cock for badmington
JPS5737464A (en) 1980-08-14 1982-03-01 Shiyunkin Kigiyou Yuugenkoushi Shuttlecock for badminton and its manufacture
JPS5926676U (ja) 1982-08-13 1984-02-18 西村 嘉信 バドミントン競技用のシヤトルコツク
KR200211405Y1 (ko) 2000-07-14 2001-01-15 정병규 배드민턴의 셔틀콕
JP4045101B2 (ja) 2002-01-07 2008-02-13 美津濃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
KR200339081Y1 (ko) 2003-10-21 2004-01-16 김창호 배드민턴용 셔틀 콕
JP2005278784A (ja) * 2004-03-29 2005-10-13 Mizuno Technics Kk シャトルコ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21B1 (ko) * 2011-10-22 2012-05-03 김상웅 셔틀콕의 날개 제조방법 및 배드민턴 셔틀콕
WO2013058588A1 (ko) * 2011-10-22 2013-04-25 Kim Sang-Woong 셔틀콕용 날개 제조방법 및 셔틀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743B1 (ko) 2015-09-11
CN101909704A (zh) 2010-12-08
JP4623434B2 (ja) 2011-02-02
DK2236176T3 (da) 2012-09-17
EP2236176A4 (en) 2011-01-12
EP2236176B1 (en) 2012-08-29
WO2009088011A1 (ja) 2009-07-16
JP2009160267A (ja) 2009-07-23
EP2236176A1 (en)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0899A (ko) 배드민턴용 셔틀콕
WO2010038657A1 (ja)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シャトルコック用ベース本体
JP4651051B2 (ja)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2338576B1 (en) Badminton shuttlecock
WO2012033068A1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シャトルコック
TW407060B (en) Ball for ball game
JP5170459B2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593005B1 (ja)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27951A (ko) 셔틀콕용 인조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1357416B1 (ko)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
JP2004166997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6599454B2 (ja) マーキングを有する外科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
JP2014210132A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
JP5947249B2 (ja)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
EP2769754A1 (en) Shuttlecock
JP2015029845A (ja) シャトルコック、及び、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
JPS5828326A (ja) 高周波縫合可能な粗目農林土木建築用シ−トの接合部及び該接合部の使用法
JP5989035B2 (ja) シャトルコック
JP3224006B2 (ja) 管状体とその製造方法
JPH10237812A (ja) 人工芝生
JPS6319360Y2 (ko)
JPS5846170A (ja) 粗目シ−トのはとめ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