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310A - 프로파일 연결구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310A
KR20100100310A KR1020090019130A KR20090019130A KR20100100310A KR 20100100310 A KR20100100310 A KR 20100100310A KR 1020090019130 A KR1020090019130 A KR 1020090019130A KR 20090019130 A KR20090019130 A KR 20090019130A KR 20100100310 A KR20100100310 A KR 20100100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bolt
tightening
connecting pla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봉영
Original Assignee
맹봉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봉영 filed Critical 맹봉영
Priority to KR102009001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0310A/ko
Publication of KR2010010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프로파일이 연결되는 가로 또는 세로 프로파일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고정볼트를 조여 보강프로파일이 가로 또는 세로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게 한 프로파일 연결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프로파일 연결구는 가로프로파일과 세로프로파일으로 구성되는 프로파일 구조물에 보강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고 나사구멍이 형성된 연결판과 ;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보강프로파일의 단부 중앙에 조여지며, 볼트머리에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볼트와 ;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나사부가 보강프로파일측으로 돌출되고, 볼트머리에는 상기 고정볼트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조임볼트와 ; 상기 조임볼트의 나사부에 고정결합되는 조임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파일, 연결, 조임볼트, 고정볼트, 조임너트

Description

프로파일 연결구{Profile Connector Set}
본 발명은 프로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종,횡 프로파일로 구성된 구조물의 프로파일들 사이의 중간에 설치되는 보강프로파일을 보다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게 한 프로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보강프로파일이 연결되는 가로 또는 세로 프로파일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고정볼트를 조여 보강프로파일이 가로 또는 세로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게 한 프로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파일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자동화 설비를 제작하기 위한 구조물을 구성하는 봉체의 하나로 이러한 프로파일로 구성된 구조물은 LCD/반도체 장비제작, 또는 산업용 기구/장치 등을 제작할 때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구조물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로 구성된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육면체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은 상부와 하부의 가로프로파일(10, 20)의 양단 사이에 세로프로파일(30)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장비가 대형일 경우에는 장비의 무게를 지탱 하거나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가로프로파일(10, 20) 사이 또는 세로프로파일(30)들 사이의 중간 부분에 보강프로파일(40)을 더 설치하여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가로프로파일(10, 20) 사이에 보강프로파일(40)을 설치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세로프로파일(30)들 사이에 보강프로파일(40)을 설치하는 부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보강프로파일(40)을 가로프로파일(10, 20)들 사이에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프로파일(4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연결판(51)과 고정볼트(52)로 구성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51)이 가로프로파일(10)에 형성된 결합홈(10a)에 끼워지도록 고정볼트(52)를 보강프로파일(40)의 단부에 조여 연결판(51)과 보강프로파일(40)의 단부 사이에 가로프로파일(10)에 형성된 결합날개(10b)가 고정되게 함에 의해 가로프로파일(10)과 보강프로파일(40)이 연결된다.
이렇게 가로프로파일(10)에 보강프로파일(40)을 연결시키는 과정은 가로프로파일(10, 20)들 사이의 양단에 세로프로파일(30)을 고정시켜 사면체, 육면체 등 다양한 다면체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보강프로파일(40)을 좌우로 이동시켜 고정 위치를 조절하면서 보강프로파일(40)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이때 위치가 정렬된 후 고정볼트(52)를 조임으로서 보강프로파일(40)이 가로프로파일(10, 20)들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정볼트(52)를 조이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 와 같이, 가로프로파일(10)에 볼트조임구멍(10c)을 형성하여야 고정볼트(52)의 볼트머리를 회전시켜 고정볼트(52)를 조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번 고정된 보강프로파일(4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볼트조임구멍(10c)을 형성하여야 하며, 이렇게 보강프로파일(40)의 고정 위치가 변경된 구조물은 볼트조임구멍(10c)이 남아 있게 되어 강도가 약해질 뿐만 아니라 이렇게 볼트조임구멍(10c)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의 가루가 날려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LCD/반도체 제조 장비 등은 고 청정을 요구하며, 이렇게 고청정을 요구하는 공간에서 위와 같이 프로파일 가루가 날릴 경우 이를 수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써, 보강프로파일이 연결되는 가로 또는 세로 프로파일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고정볼트를 조여 보강프로파일이 가로 또는 세로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게 한 프로파일 연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보강프로파일의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고정된 보강프로파일의 위치를 변경하여도 가로 또는 세로프로파일에 흠이 생기지 않는 프로파일 연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파일 연결구는 가로프로파일과 세로프로파일으로 구성되는 프로파일 구조물에 보강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가로 또는 세로 프로파일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고 나사구멍이 형성된 연결판과 ;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보강프로파일의 단부 중앙에 조여지며, 볼트머리에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볼트와 ;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나사부가 보강프로파일측으로 돌출되고, 볼트머리에는 상기 고정볼트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조임볼트와 ; 상기 조임볼트의 나사부에 고정결합되는 조임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프로파일 연결구에서, 상기 조임볼트(22)가 연결판(1)의 나사구멍(1b)을 관통하고, 조임볼트(22)의 나사부에 조임너트(3)가 부분적으로 고정결합되어 연결판(1)과 조임볼트(22)-조임너트(3)가 유격있게 조립되어 있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보강프로파일측으로 노출된 조임볼트를 조임에 의해 보강프로파일의 단부에 조여지는 고정볼트가 조여지게 함으로써 고정볼트를 용이하게 조거나 풀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조임볼트를 돌려 고정볼트를 조이므로 고정볼트를 조이기 위해 가로 또는 세로프로파일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구멍을 형성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프로파일 가루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가로 또는 세로프로파일에 보강프로파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멍이 형성되지 않음으로 보강프로파일의 고정 위치 변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강프로파일의 고정 위치가 변경되어도 가로 또는 세로프로파일에 고정구멍에 의한 흠이 발생되지 않고 이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프로파일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보강 프로파일 연결 부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5의 C-C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를 보강프로파일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D-D단면도, 도 11은 다른 일예의 연결구로 연결된 도 8의 D-D단면도이다. 도면 및 그 설명에는 세로로 보강되는 프로파일 연결에 관해서만 도시/설명되어 있지만, 가로로 보강되는 프로파일 연결에도 동일함은 당연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구는 가로프로파일(10,20)과 세로프로파일(30)으로 구성되는 프로파일 구조물에 보강프로파일(40)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로파일(10, 20)에 형성된 결합홈(10a)에 끼워지고 나사구멍(1a, 1b)이 형성된 연결판(1)과 ; 상기 연결판(1)을 관통하여 보강프로파일(40)의 단부 중앙에 조여지며, 볼트머리에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볼트(21)와 ; 상기 연결판(1)을 관통하여 나사부가 보강프로파일(40)측으로 돌출되고, 볼트머리에는 상기 고정볼트(21)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조임볼트(22)와 ; 상기 조임볼트(22)의 나사부에 고정결합되는 조임너트(3)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1)은 도 5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폭은 프로파일(10, 20, 30, 40)에 형성된 결합홈의 폭보다 작으나 결합날개들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게 형성되어 있어 결합홈의 내부에 끼워졌을 때 결합홈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한다.
상기 연결판(1)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나사구멍(1a, 1b)이 형성되어 있어 일측의 나사구멍(1a)은 고정볼트(21)가 관통하고, 다른 하나의 나사구멍(1b)은 조임볼트(22)가 관통한다. 상기 연결판(1)이 고정볼트(21)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가로프로파일(10, 20)과 보강프로파일(40)을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판(1), 고정볼트(21), 조임볼트(22), 조임너트(3)은 각각 별개로 관리되어 사용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연결판(1)과 조임볼트(22) 및 조임너트(3)를 유격있게 일체화하여 고정시킨 부분(도 6 및 도 7에서 P로 표시된 부분)과 고정볼트(21)로 파트화하여 관리/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즉,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21)가 보강프로파 일(40)의 단부에 조여지면 연결판(1)과 보강프로파일(40)의 단부 사이의 가로프로파일(10, 20)에 형성된 결합날개(10a)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볼트(21)는 연결판(1)을 매개로 가로프로파일(10, 20)과 보강프로파일(40)을 결합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고정볼트(21)는 조임볼트(22)와 조임너트(3)에 의해 보강프로파일의 말단에 조임/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21)의 볼트머리에 형성된 기어치와 조임볼트(22)의 볼트머리에 형성된 기어치가 서로 치합된 상태가 되게 가고정(假固定)하고 보강프로파일(40)을 이동시켜 위치를 정한 후 조임너트(3)를 조이면 조임볼트(2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고정볼트(21)도 조여져 연결판(1)이 보강프로파일(40)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프로파일 연결구를 구성하는 연결판(1)의 일측단부에는 보강프로파일(40)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보강날개(1c)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날개(1c)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프로파일(40)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보강프로파일의 결합 강도를 강화 및 조임시 회전측으로 프로파일이 틀어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판(1), 고정볼트(21), 조임볼트(22), 조임너트(3)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프로파일(40)에 형성된 결합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조임너트(3)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조임너트(3)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너트(3)는 결합홈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이를 회전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임너트(3)의 머리부에 예를 들면, 별/ 육각/사각홈 등을 형성하여 별/육각/사각 렌지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보강프로파일(40)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가로프로파일(10, 20)과 세로프로파일(30)의 연결은 통상의 프로파일 구조물에서 동일 유사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두 개의 가로프로파일(10)과 가로프로파일(20)의 일측 단부에 통상의 방법으로 세로프로파일(30)을 고정시킨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프로파일(40)의 양단에 연결구를 설치한다.
먼저 연결판(1)의 나사구멍(1b)에 조임볼트(22)를 끼우고 조임볼트(22)의 나사부에 조임너트(3)를 부분적으로 결합/고정하여 연결판(1)과 조임볼트(22)-조임너트(3)를 유격있게 조립한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조립되어 있는 부분품(도 6 및 도 7에서 P로 표시된 부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연결판(1)의 나사구멍(1a)을 관통하여 고정볼트(21)를 보강프로파일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구멍(40a)에 부분적으로 조여 결합시킨다.
이렇게 보강프로파일(40)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판(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프로파일(40)의 단부와의 사이에 틈이 남아 있게 되고 이 틈은 가로프로파일(10, 20)에 형성된 결합날개(10b)가 끼워지기에 충분한 간격을 갖게 하며, 이렇게 틈이 남아있는 보강프로파일(40) 단부와 연결판(1) 사이에 가로프로파일(10, 20)의 결합날개를 끼운다.
원하는 만큼의 보강프로파일(40)을 위와 같은 과정으로 가로프로파일(10, 20)들 사이에 가설(假設)한 후 나머지 하나의 세로프로파일(30)을 가로프로파일(10, 20)들의 다른 단부에 고정한 후, 보강프로파일(40)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다.
보강프로파일(40)의 위치가 정해지면 조임너트(3)를 조여 조임볼트(22)가 회전하고, 이렇게 조임볼트(22)가 회전하면 조임볼트(22)의 볼트머리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된 볼트머리를 갖는 고정볼트(21)가 회전하여 조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파일 연결구는 보강프로파일을 연결하기 위해 가로프로파일 또는 세로프로파일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고정볼트를 조여 보강프로파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프로파일로 구성된 지지구조물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보강 프로파일 연결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보강 프로파일 연결 부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5의 C-C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를 보강프로파일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는 도 8의 D-D단면도
도 11은 다른 일예의 연결구로 연결된 도 8의 D-D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연결판
1a, 1b : 나사구멍 1c : 보강날개
10, 20 : 가로프로파일 30 : 세로프로파일
10a : 결합홈 10b : 결합날개 10c : 볼트조임구멍
21 : 고정볼트 22 : 조임볼트
3 : 조임너트
40 : 보강프로파일
40a : 나사구멍
51 : 연결판 52 : 고정볼트

Claims (4)

  1. 가로프로파일(10,20)과 세로프로파일(30)으로 구성되는 프로파일 구조물에 보강프로파일(40)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10, 20, 30)에 형성된 결합홈(10a)에 끼워지고 나사구멍(1a, 1b)가 형성된 연결판(1)과 ;
    상기 연결판(1)의 나사구멍(1a)를 관통하여 보강프로파일(40)의 단부에 조여지며, 볼트머리에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볼트(21)와 ;
    상기 연결판(1)의 나사구멍(1b)를 관통하여 나사부가 보강프로파일(40)측으로 돌출되고, 볼트머리에는 상기 고정볼트(21)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조임볼트(22)와 ;
    상기 조임볼트(22)의 나사부에 고정결합되는 조임너트(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22)가 연결판(1)의 나사구멍(1b)을 관통하고, 조임볼트(22)의 나사부에 조임너트(3)가 부분적으로 고정결합되어 연결판(1)과 조임볼트(22)-조임너트(3)가 유격있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의 일측단부에는 보강프로파일(40)에 형성된 결합홈(40a)에 끼워지는 보강날개(1c)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연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3)는 보강프로파일(40)에 형성된 결합홈(40a)의 내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연결구.
KR1020090019130A 2009-03-06 2009-03-06 프로파일 연결구 KR20100100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30A KR20100100310A (ko) 2009-03-06 2009-03-06 프로파일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30A KR20100100310A (ko) 2009-03-06 2009-03-06 프로파일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10A true KR20100100310A (ko) 2010-09-15

Family

ID=4300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30A KR20100100310A (ko) 2009-03-06 2009-03-06 프로파일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03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646B1 (ko) * 2014-03-31 2014-11-07 (주)이솔이엔지 프로파일 조립용 기어볼트클립
KR20210004395A (ko) 2019-07-04 2021-01-13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646B1 (ko) * 2014-03-31 2014-11-07 (주)이솔이엔지 프로파일 조립용 기어볼트클립
KR20210004395A (ko) 2019-07-04 2021-01-13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0577B2 (ja) 挟締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部材の固定構造
EP2093343B1 (en) Tension device for connection and tensioning of means connected to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tension device
KR20100100310A (ko) 프로파일 연결구
JP5476527B2 (ja) ブレース取付装置
KR20150119571A (ko) Pc 부재 결합용 오차 흡수 조인트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결합방법
KR20090003924U (ko) 일체형 거푸집
JP2014136916A (ja) 縦庇式太陽電池モジュールユニット
CN106437446A (zh) 一种型材框门窗的牢固快装角码及其使用方法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JP3201829U (ja) ブレース
JP6114054B2 (ja) ブレース金具、天井構造
JP6727090B2 (ja)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JP2017141542A (ja) 枠構造体、および枠構造体組立方法
CN207079719U (zh) 一种土木工程桁架式预制构件
KR20100013913A (ko)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한 아케이드용 철골구조물
JP6587111B2 (ja) ブレースおよびブレース取付構造
US10294659B1 (en) Multidirectional aluminum extrusion connection device
KR101013075B1 (ko) 멀티비전용 브라켓 장치
CN112962835A (zh) 用于幕墙装配结构的连接组件及连接方法
JP3779181B2 (ja) 型枠コーナー部の角締め方法
JP5571896B2 (ja) ブレース材
US10358839B1 (en) Cross-bracing arrangement for structures
CN109028532B (zh) 高效外装配隔冷热空调风机箱体
JP2000087455A (ja) 仮柱構造、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