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224A - 유체계측장치 - Google Patents

유체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224A
KR20100099224A KR1020107014407A KR20107014407A KR20100099224A KR 20100099224 A KR20100099224 A KR 20100099224A KR 1020107014407 A KR1020107014407 A KR 1020107014407A KR 20107014407 A KR20107014407 A KR 20107014407A KR 20100099224 A KR20100099224 A KR 2010009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gas
exhaust gas
concentra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5534B1 (ko
Inventor
켄지 무타
마사즈미 타노우라
아츠시 타키타
다이시 우에노
타다시 아오키
미츠노부 세키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0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 G01F1/708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01F1/712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using auto-correlation or cross-correlation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0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0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 G01F1/704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using thermal trac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0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 G01F1/708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0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 G01F1/708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01F1/7084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using thermal detec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10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 G01M15/102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by monitoring exhaust gases
    • G01M15/108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by monitoring exhaust gases using optical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0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 G01F1/708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01F1/7086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using optical dete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유체의 유속을 상세하게 계측 가능한 유체계측장치가 제공된다. 유체계측장치(10)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22) 상에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복수 설치되고 유체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검출부(30, 40)와, 1세트의 검출부가 검출한 파라미터 변화의 시간상의 차이(ΔT) 및 이 1세트의 검출부의 관로에 따른 거리(L)에 기초하여 유체의 유속을 연산하는 연산부(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계측장치{FLUID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등의 유체의 유속 등을 계측하는 유체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저연비화, 저에미션화를 위해서는 엔진의 1회 연소 사이클을 상세하게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연소 가스)의 온도나 농도 등의 변화를 상세하게 측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종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연소 가스의 온도 및 농도를 상세하게 검출할 수 있는 계측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1. 일본 특허 3943853호 공보
배기 가스의 가스 농도 및 유속을 알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각 가스의 시간당 질량 또는 모드 주행당 총 배출량 등을 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의 저연비화, 저에미션화를 위해서는, 배기 가스의 온도, 농도의 변화, 그리고, 배기 가스의 유속을 상세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고온의 배기 가스의 유속이나 유량을 상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제시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유체의 유속을 상세하게 계측할 수 있는 유체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응되는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관로(22) 상에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유체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검출부(30, 40)와, 1세트의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파라미터 변화의 시간상의 차이(ΔT) 및 이 1세트의 검출부의 상기 관로에 따른 거리(L)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의 유속을 연산하는 연산부(50)를 포함하는 유체계측장치(10)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유체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유체의 유속과 상기 관로(22)의 단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의 유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10)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유체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파라미터에는, 상기 유체의 온도, 상기 유체에 포함되는 물질의 농도 및 상기 물질에 의해 흡수·착란·발광된 광의 강도 중 적어도 한 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10)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30, 40)는, 상기 유체 중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부(31, 41)와, 상기 유체 중을 투과 또는 착란한 상기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수광부(32, 42)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부가 조사하는 조사광과 상기 수광부가 수광하는 투과광의 강도비에 기초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10)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1세트의 검출부(30, 40)가 검출한 파라미터의 변화에 기초한 파형신호들을 대비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 변화의 시간상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10)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1세트의 검출부(30, 40)가 검출한 파라미터 변화의 상관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 변화의 시간상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10)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30, 40, 60)는 3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3개 이상 설치된 검출부 중 2개의 조합을 상기 유체의 유속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110)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내연기관(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이며,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검출부(30, 40)의 출력신호로부터 수득된 상기 배기 가스의 온도 또는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가스의 가스 농도를 주파수 해석한 파워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10)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흐르는 관로(22) 상에서 상기 검출부(30, 40)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에 포함되는 물질의 농도를 증감시키는 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210)이다.
한편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 구성은 적절히 개량할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일부를 다른 구성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계측장치는, 유체 상태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파라미터를 1세트의 검출부에서 각각 검출하고, 상류측의 검출부가 검출한 파라미터의 변화와 하류측의 검출부가 검출한 파라미터 변화의 시간상의 차이(time lag)에 기초하여 유속을 구하므로, 유체의 유속을 상세하게 계측할 수 있다.
(2) 유체의 유속과 더불어 유체의 유량을 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3) 검출부는, 레이저광의 조사광과 투과광의 강도비 등에 기초하여 유체에 관한 파라미터를 계측하는 고속응답형 센서이므로, 유체의 파라미터 변화를 상세하게 측정할 수 있고, 유체의 유속을 상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고온이어도 파라미터의 변화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4) 3개 이상의 검출부를 설치하고, 검출부간 거리의 변화값을 늘렸으므로, 유체의 유속에 관계없이 그 유속을 상세하게 계측할 수 있다.
(5) 배기 가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파워 스펙트럼과, 내연기관의 연소 사이클의 파워 스펙트럼의 피크 주파수가 대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내연기관의 회전속도를 추정하므로, 회전속도계로도 기능할 수 있어 편리하다.
(6) 유체 자체의 파라미터 변화가 작은 경우나 파라미터의 변화가 없는 경우, 또는, 파라미터의 변화가 규칙적이어서 시간상의 차이를 특정하는 것이 곤란할 경우에도, 유체에 포함되는 물질의 농도를 증감시켜 기점을 만듦으로써, 시간상의 차이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유속계와 엔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유속계에 구비된 계측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엔진 회전속도가 2400 min-1시의 계측 셀로부터의 출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엔진 회전속도가 3600 min-1시의 계측 셀로부터의 출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엔진 회전속도가 2400 min-1시의 계측 셀들의 파형 데이터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엔진 회전속도가 3600 min-1시의 계측 셀들의 파형 데이터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스 온도, H2O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2400 min-1)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CO2 농도, CO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2400 min-1)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CH4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2400 min-1)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가스 온도, H2O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3600 min-1)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CO2 농도, CO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3600 min-1)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CH4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3600 min-1)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유속계와 엔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3 실시예의 유속계와 엔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유속을 상세하게 계측할 수 있는 유체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배기 가스의 온도 및 농도를 계측하는 1세트의 계측 셀의 출력신호의 시간상의 차이 및 1세트의 계측 셀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 배기 가스의 유속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설치함으로써 해결하였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유체계측장치의 제 1 실시예인 유속계(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유속계(10)에 의한 계측 대상물의 유체는, 내연기관인 4사이클 가솔린 엔진(20)(이하, 단지 엔진(20)이라 함)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이다.
도 1은, 실시예의 유속계(10)와 엔진(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유속계(10)에 구비된 계측 셀(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엔진(20)은, 가솔린과 공기의 혼합기를 실린더 내에서 연소시켜서 구동력을 얻는 것이며, 그 배기 가스에는 수증기(H2O), 일산화탄소 가스(CO), 이산화탄소 가스(CO2), 메탄 가스(CH4) 등의 각종 가스가 포함되어 있다.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매니폴드(21)를 통해서 배기관(22)에 도입되고, 배기관(22)을 통과하여 대기 중에 배기된다.
유속계(10)는, 배기관(22)의 도중에 설치된 1세트의 계측 셀(30, 40)과, 이 1세트의 계측 셀(30, 40)의 출력신호의 시간상의 차이 및 1세트의 계측 셀(30, 40)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배기 가스의 유속을 연산하는 연산부(50)를 포함하고 있다. 계측 셀(30)은, 계측 셀(40)에 대하여 배기 가스의 배출 방향의 상류측(엔진(20)측)에 설치된다.
검출부인 계측 셀(30, 40)은, 배기 가스 중에 특유한 파장의 레이저광을 조사한 경우, 분자의 진동 회전 천이 등에 의해 레이저광이 흡수되는 특성(레이저 흡수 분광법)을 이용하는 것이며, 입사광과 투과광의 강도비에 기초하여 가스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계측 셀(30, 40)은, 예를 들면 H2O 농도에 기초하여 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의 흡수 계수는, 배기 가스의 온도와 배기 가스의 압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압력을 계측할 필요가 있는데, 배기 가스의 압력은 유로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압력 센서에 의해 계측한다. 이하, 도 1에서, 배기관(22) 방향에 따른 1세트의 계측 셀(30, 40)간의 거리에 부호 'L'을 붙여서 설명한다.
계측 셀(30, 40)은, 그 배치 위치가 다르다는 것 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이하, 계측 셀(3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 셀(30)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부(31)와, 조사부(31)로부터 조사되어 배기 가스 중을 투과한 레이저광(투과광)을 수광하는 수광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조사부(31) 및 수광부(32)의 선단부는 각각 관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기관에 설치된 구멍부를 통해서 배기관(22) 내에 삽입된다. 이 관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퍼지 가스가 공급되고, 배기 가스가 유입됨으로써 조사창 및 수광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계측 셀(30)은, 조사부(31)가 송광(送光)용 광학계(33)를 통해서 발진 타이밍이 다른 복수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이 레이저광은 배기 가스 중을 투과하고, 이 투과광을 수광부(32)가 수광용 광학계(34)를 통해서 검출한다. 수광부(32)는, 수광한 레이저광을 전기신호(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회로(35)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전기신호는 연산부(50)에 입력된다. 연산부(50)는, 이 전기신호를 A/D변환하여 파형 데이터(후술)를 생성한다.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엔진(20)의 연소 사이클에 대응하여 거의 일정한 사이클로 온도 및 가스 농도 등이 맥동(脈動)한다. 본 실시예의 계측 셀(30, 40)은, 예를 들면 1ms 이하의 응답성을 갖고 있어, 맥동하는 배기 가스의 가스 농도 및 온도 변화를 상세하게 계측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실제 사용하는 차에 탑재된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속을 계측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배기 가스의 유속 계측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엔진(20) 단독(엔진 벤치 시험)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유속계(10)에 의한 유속의 계측 수법에 대해, 시험 데이터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험은 단기통의 4사이클 엔진을 이용하여 2400 min-1(2400 rpm) 및 3600 min-1(3600 rpm)의 두 가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도 3은, 회전속도가 2400 min-1시의 계측 셀(3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로, (a)는 4초간 계측 결과, (b)는 1초간 계측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회전속도가 3600 min-1시의 계측 셀(3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로, (a)는 4초간 계측 결과, (b)는 0.6초간 계측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가스의 가스 온도, CO2 농도, H2O 농도, CO 농도는 각각 거의 일정한 주기로 맥동한다. 또, 이들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CH4 농도도 마찬가지로 맥동한다. 예를 들면 엔진(20)의 회전속도가 2400 min-1시, 가스 온도, H2O 농도는, 각각 1초간 20회 맥동하고 있으며(도 3(b) 참조), 그 맥동 주기는 0.05초(50ms)가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계측 셀(30, 40)은, 1ms 이하의 응답 속도를 갖고 있어, 가스 온도, H2O 농도가 1사이클만큼 변화할 때에, 약 50회 이상의 데이터 샘플링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스 농도 등의 파라미터 변화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엔진의 회전속도가 3600 min-1시, 맥동 주기는 33.3ms가 되는데, 이 경우에도 충분히 가스 농도 등의 파라미터 변화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엔진 회전속도가 2400 min-1시의 계측 셀(3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와, 계측 셀(4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를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a)는 가스 온도를, (b)는 H2O 농도를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엔진 회전속도가 3600 min-1시의 계측 셀(3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와, 계측 셀(4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를 대비하여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가스 온도를, (b)는 H2O 농도를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연산부(50)는, 계측 셀(3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와, 계측 셀(4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를 대비함으로써, 이들 파형의 시간상의 차이를 구한다. 또,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 셀(30, 4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는, 가스 온도나 H2O 이외의 가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맥동하므로, 시간상의 차이를 구할 때, 다른 가스의 가스 농도의 파형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계측 셀(30)과 계측 셀(4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도 5, 도 6의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온도, H2O 농도를 나타내는 파형신호는 거의 동일한 파형이 된다. 다만, 계측 셀(40)은, 계측 셀(30)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계측 셀(30)의 출력과, 계측 셀(40)의 출력 사이에 시간상의 차이(위상차(ΔT))가 발생한다. 연산부(50)는, 이들 파형 데이터로부터 위상차(ΔT)를 평가하고, 이 위상차(ΔT)와 계측 셀(30, 40)간의 거리(L)에 기초하여 배기 가스의 속도를 연산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속계(10)는, 미리 측정해 둔 배기관(22)의 단면적과, 배기 가스 유속에 기초하여 연산부(50)가 시간당 흐르는 배기 가스의 체적(유량)을 구하므로, 유량계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예를 들면 CO2 가스 등의 시간당 배출 질량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계측 셀(30, 40)의 출력의 시간상의 차이를 평가하는 수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신호의 파형 데이터를 대비하는 수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계측 신호의 상호 상관을 해석 계산하는 수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계측 셀(3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SA(t1), 계측 셀(4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SB(t2)라고 하면, 이들 상호 상관을 나타내는 수학식 1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pct00001
또한, 본 실시예의 유속계(10)는, 계측 셀(30)(또는 계측 셀(40))의 출력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하여 구한 가스 온도 또는 가스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엔진(20)의 회전속도를 추정할 수 있어, 엔진 회전계로서의 기능도 가진다.
도 7 내지 도 9는, 가스 온도 또는 가스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2400 min-1)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b)는, 각각 가스 온도, H2O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 (b)는, 각각, CO2 농도, CO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CH4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가스 온도 또는 가스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3600 min-1)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b)는, 각각 가스 온도, H2O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a), (b)는, 각각 CO2 농도, CO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CH4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과 엔진의 회전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을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온도의 파워 스펙트럼의 피크가 출현하는 주파수(대략 20Hz)와, 엔진(20)의 연소 주기의 파워 스펙트럼의 피크가 출현하는 주파수(대략 20Hz)는 대응되고 있어, 가스 온도의 파워 스펙트럼의 피크에 의해 엔진의 회전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측 셀(30)의 출력으로부터 가스 온도의 피크 주파수가 대략 20Hz인 것을 안다면, 가령 엔진 회전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이 불분명해도, 엔진 회전속도의 피크 주파수도 대략 20Hz인 것을 추정할 수 있다. 4사이클 엔진은 1 연소 사이클당 크랭크축이 2 회전하므로, 엔진(20)의 연소 사이클(연소 주기)을 구할 수 있으면, 엔진(20)의 회전속도도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소 사이클이 20Hz이므로, 엔진 회전속도는 매분 2400회전(2400 min-1)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가스 온도에 기초하여 엔진 회전속도를 추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측 셀(30)이 검출 가능한 각종 가스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의 피크로부터, 마찬가지로 엔진(20)의 연소 사이클을 추정할 수 있다. 도 7의 (b),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 셀(30)의 출력에 기초하여 구한 H2O 농도, CO2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의 피크는, 가스 온도와 마찬가지로 거의 20Hz에 출현한다. 따라서, 이들 가스 농도로부터도 엔진 회전속도(2400 min-1)를 추정할 수 있다.
엔진 회전속도가 3600 min-1인 경우에도, 계측 셀(30)로부터의 출력(가스 온도, 가스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으로부터 엔진 회전속도를 추정할 수 있음은 도 10 내지 도 12에서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온도의 파워 스펙트럼의 피크가 거의 30Hz이면, 가령 엔진 회전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이 불분명해도, 엔진 회전속도의 피크 주파수도 거의 30Hz인 것을 추정할 수 있으며, 엔진 회전속도가 3600 min-1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회전속도가 2400 min-1인 경우, CO 농도, CH4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은, 그 피크 주파수를 특정하기 곤란하므로, 엔진(20)의 회전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라미터는, 예상되는 엔진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히 종류를 선별하면 된다. 예를 들면 2400 min-1에서도, H2O 농도, CO2 농도의 파워 스펙트럼에는 명확한 피크가 출현하므로 엔진 회전속도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유속계(10)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유속계(10)는, 1세트의 계측 셀(30, 40)의 출력에 시간상의 차이가 있는 것에 착안하였다. 계측 셀(30, 40)은, 각각 배기 가스의 가스 온도 및 가스 농도의 변화를 상세하게 검출할 수 있는 고응답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연산부(50)는, 이들 출력의 시간상의 차이로부터 직접 배기 가스의 유속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유속을 상세하게 계측할 수 있다.
(2) 예를 들면,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배기관 내에 열전대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배기 가스의 흐름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어, 배기 가스 유속의 정확한 측정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계측 셀(30, 40)은, 배기 가스 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타입이므로, 배기 가스의 저항이 되지 않으며, 정확하게 배기 가스의 유속을 계측할 수 있다.
(3)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각 가스의 농도와 밀도에 기초하여 배기 가스의 질량을 구할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의 유속으로부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CO2 등의 시간당 배출량을 질량 베이스로 구할 수 있다.
(4) 배기 가스의 온도변화, 농도변화에 기초하여, 엔진(20)의 회전속도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유체계측장치의 제 2 실시예인 유속계(110)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에 통일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이나 도면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유속계(110)와 엔진(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예의 유속계(10)가 배기관(22)의 도중에 2개의 계측 셀(30, 40)을 포함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제 2 실시예의 유속계(110)는 배기관(22)의 도중에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3개의 계측 셀(30, 40, 60)이 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계측 셀(30)과 계측 셀(40)은 거리(L1)를 두고 배치되고, 계측 셀(40)과 계측 셀(60)은 거리(L1)보다도 긴 거리(L2)를 두고 배치된다. 또한, 계측 셀(30)과 계측 셀(60) 간의 거리(L1 + L2)에 부호 'L'를 붙여서 설명한다. 연산부(50)는, 이들 계측 셀(30, 40, 60) 중 2개를 조합시키고, 선택된 2개의 계측 셀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배기 가스의 유속을 측정한다.
이하, 3개의 계측 셀(30, 40, 60)을 설치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산부(50)는, 1세트의 계측 셀의 출력을 나타내는 파형들을 대비하여 배기 가스의 유속을 구한다. 예를 들면, 배기 가스 유속이 저속일 경우에는, 상류측의 계측 셀(30)의 출력이 1사이클 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류측 계측 셀(40)의 출력파형이 상승하지 않아 파형 데이터들의 비교가 곤란해져, 유속 측정의 정밀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불량은, 1세트의 계측 셀을 접근시킴으로써 해소할 수 있으나, 계측 셀의 시간 분해능이 일정한 경우에 계측 셀들을 극단적으로 접근시키면, 마찬가지로 유속 측정의 정밀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엔진(20)과 계측 셀(40)의 거리는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편이 좋다.
이와 같이, 1세트의 계측 셀(40)의 거리는, 측정 대상이 되는 배기 가스의 속도에 따라 지나치게 떨어져 있어도 너무 가까워도 유속 계측이 곤란해질 수 있다. 그래서, 본 제 2 실시예의 유속계(110)는, 배기관(22)의 도중에 3개의 계측 셀(30, 40, 60)을 설치하고, 1세트의 계측 셀들의 거리에 3개의 변화값(L1, L2, L3)을 갖게 했다. 측정자는, 예상되는 배기 가스의 속도에 따라 계측 셀(30, 40, 60)중 어느 것을 선택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유속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의 유속계(110)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의 유속계(10)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하여, 배기 가스의 유속에 관계없이 상세하게 배기 가스의 유속을 계측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유체계측장치의 제 3 실시예인 유속계(2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 3 실시예의 유속계(210)와 엔진(20)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3 실시예의 유속계(21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기관(22)의 도중에 2개의 계측 셀(30, 4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유속계(210)는, 배기관(22) 내에, 계측 셀(30)의 상류측(엔진(20)측)에 불활성 가스인 헬륨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장치(70)를 포함하고 있다. 가스공급장치(70)는 헬륨 가스가 충전된 용기(71)를 포함하고 있고, 이 용기(71)와 배기관(22)을 연결하는 배관의 도중에는 전자 밸브(72)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공급장치(70)는 전자 밸브(72)의 개폐 타이밍을 제어하는 밸브 타이밍 콘트롤러(73)(이하, 콘트롤러(73)라 함)를 포함하고, 이 콘트롤러(73)에는, 엔진(20)의 회전 주기에 동기된 신호 및 일정주기 신호발생기(74)가 발신하는 주기적인 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콘트롤러(73)는 이들 신호에 따라 전자 밸브(72)를 제어하고, 헬륨 가스의 배기 가스에 대한 공급/비공급을 일정 주기로 전환한다.
제 3 실시예의 유속계(210)에서는, 배기관(22)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에 대하여 헬륨을 공급함으로써,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H2O, CO, CO2 가스 등의 가스 농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된다. 그리고, 헬륨 가스의 공급/비공급이 주기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가스 농도의 변동도 주기적이 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유속계(210)는, 헬륨 가스를 변동 마커(marker) 가스로서 배기 가스에 공급하므로, 가령 배기 가스에 관한 파라미터(온도 및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가스 농도) 변화의 정도가 작을 경우나 파라미터 변화가 실질적으로 없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유속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 데이터가, 예를 들면 정현파에 가까운 가지런한 파형인 경우, 시간상의 차이를 판정하기 곤란할 가능성이 있지만, 헬륨 가스를 일정 주기로 공급함으로써 파형이 흐트러지므로, 용이하게 시간상의 차이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계측 셀에서 CO2 가스 등의 가스 농도의 변동을 검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헬륨 가스 자체의 주기적인 농도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1세트의 계측 셀의 출력의 시간상의 차이로부터 상세하게 배기 가스의 유속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유속계(10)에 대하여 가스공급장치(70)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구성이나, 제 2 실시예의 유속계(110)에 대하여 가스공급장치(7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러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며, 이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본 발명의 유체계측장치의 계측 대상은, 실시예에서는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나, 화력발전소의 터빈에 공급하는 수증기 등, 다른 유체일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의 유체는 기체(가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체일 수 있다.
(2) 실시예는 검출부로서 레이저 흡수 분광법을 이용한 계측 셀을 이용하였으나, 검출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지된 박막 온도센서나 레이저 이외의 광을 이용한 흡수 분광법·착란 분광법·발광 분광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센서의 출력(온도변화 등)에 기초하여 유체의 유속 및 유량을 계측할 수 있다.
(3) 실시예는 계측 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 데이터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유속을 계측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측 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직접 유속을 계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출의 응답성이 향상되므로, 엔진 회전속도가 실시예보다도 높고, 배기 가스의 유속이 보다 고속인 경우에도, 상세하게 유속을 계측할 수 있다.
(4) 제 2 실시예는, 3개의 계측 셀을 설치하였으나, 계측 셀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4개 이상일 수 있다.
(5) 제 3 실시예에서는, 불활성 가스를 배기 가스 내에 공급함으로써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가스 농도를 상대적으로 저하시켰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가스와 동일한 가스를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가스 농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10: 유속계
20: 엔진
30: 계측 셀
40: 계측 셀
50: 연산부

Claims (9)

  1. 유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유체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1세트의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파라미터 변화의 시간상의 차이 및 상기 1세트의 검출부의 상기 관로에 따른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의 유속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유체의 유속과 상기 관로의 단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의 유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파라미터에는, 상기 유체의 온도, 상기 유체에 포함되는 물질의 농도 및 상기 물질에 의해 흡수·착란·발광된 광의 강도 중 적어도 한 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유체 중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상기 유체 중을 투과 또는 착란한 상기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부가 조사하는 조사광과 상기 수광부가 수광하는 투과광의 강도비에 기초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1세트의 검출부가 검출한 파라미터의 변화에 기초한 파형신호들을 대비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 변화의 시간상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1세트의 검출부가 검출한 파라미터 변화의 상관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 변화의 시간상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3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3개 이상이 설치된 검출부 중 2개의 조합을 상기 유체의 유속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이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검출부의 출력신호로부터 구한 상기 배기 가스의 온도 또는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가스의 가스 농도를 주파수 해석한 파워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서 상기 검출부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에 포함되는 물질의 농도를 증감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측장치.
KR1020107014407A 2008-01-17 2008-12-03 유체계측장치 KR101205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8457 2008-01-17
JP2008008457A JP2009168688A (ja) 2008-01-17 2008-01-17 流体計測装置
PCT/JP2008/071938 WO2009090805A1 (ja) 2008-01-17 2008-12-03 流体計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224A true KR20100099224A (ko) 2010-09-10
KR101205534B1 KR101205534B1 (ko) 2012-11-27

Family

ID=4088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407A KR101205534B1 (ko) 2008-01-17 2008-12-03 유체계측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106397A1 (ko)
EP (1) EP2239545B1 (ko)
JP (1) JP2009168688A (ko)
KR (1) KR101205534B1 (ko)
CN (1) CN101910803A (ko)
AT (1) ATE544051T1 (ko)
RU (1) RU2452922C2 (ko)
WO (1) WO2009090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655A (ja) * 2006-06-16 2007-12-27 Ono Sokki Co Ltd ガス分析装置
JP2009204586A (ja) * 2008-02-29 2009-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流体計測装置、流体計測方法
CN102639983A (zh) * 2009-12-04 2012-08-15 西门子公司 用于在管道气体监控系统中确定光学测量路径长度的方法
JP5590875B2 (ja) * 2009-12-18 2014-09-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量測定装置及び流速測定装置
JP5523908B2 (ja) * 2010-04-13 2014-06-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量測定装置及び流速測定装置
WO2012067281A1 (ko) * 2010-11-16 2012-05-24 박정익 가스 유속 측정 장치 및 가스 유속 측정 방법
KR101393227B1 (ko) * 2013-02-25 2014-05-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배기가스 유량 측정방법 및 장치
KR101605638B1 (ko) * 2014-12-22 2016-03-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 속도 측정 장치
JP6322864B2 (ja) * 2014-12-22 2018-05-16 インテクバイオ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流体速度測定装置
DE102015116525A1 (de) * 2015-09-29 2017-03-30 Abb Schweiz Ag Messung der Geschwindigkeit eines Gasstroms unter Nutzung von Partikeln
CN105571663A (zh) * 2016-02-16 2016-05-11 安徽理工大学 一种基于烟雾粒子运移的瓦斯抽采钻孔单孔小流量测试装置
JP6724815B2 (ja) 2017-02-22 2020-07-15 株式会社デンソー 排気シミュレーション評価方法
JP6879850B2 (ja) * 2017-07-14 2021-06-02 株式会社堀場エステック 流体測定装置、流体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20056485A1 (en) 2018-09-21 2020-03-26 Tenova Goodfellow Inc. In situ apparatus for furnace off-gas constituent and flow velocity measurement
EP3812712B1 (en) * 2019-10-21 2024-04-24 Universität der Bundeswehr München Fluid flow analysis
EP4339562A1 (en) * 2022-09-15 2024-03-20 BDR Thermea Group B.V. Flow rate measuring method for a gas boil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69A (en) * 1977-06-10 1979-01-12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Corelation flow speed and rate meter
JPS5948621A (ja) * 1982-09-11 1984-03-19 Horiba Ltd 流量測定方法
JPS59173715A (ja) * 1983-03-24 1984-10-01 Kawasaki Steel Corp 相関型流速計
JPS60148927U (ja) * 1984-03-15 1985-10-03 日本電子機器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入空気流量測定装置
US5303168A (en) * 1991-10-31 1994-04-12 Ford Motor Company Engine operation to estimate and control exhaust catalytic converter temperature
JPH05302935A (ja) * 1992-04-27 1993-11-16 Yamatake Honeywell Co Ltd 流速測定装置
US5741979A (en) * 1995-11-09 1998-04-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strator Particle velocity measuring system
US6112574A (en) * 1997-01-25 2000-09-05 Horiba Ltd Exhaust gas analyzer and modal mass analysis method by gas trace process using the analyzer thereof
US7261002B1 (en) * 1999-07-02 2007-08-28 Cidra Corporation Flow rate measurement for industrial sensing applications using unsteady pressures
JP3943853B2 (ja) 2001-03-22 2007-07-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レーザ計測システム
RU2215267C2 (ru) * 2001-12-03 2003-10-27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Туполева Корреляционный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объемного расхода жидкости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820500B2 (en) * 2002-07-10 2004-11-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mall pipe bore ultrasonic flowmeter detector
CA2456457A1 (en) * 2002-08-01 2004-02-12 Wetmaster Co., Ltd. Restriction flowmeter
JP2004170357A (ja) * 2002-11-22 2004-06-17 Toyota Motor Corp 排ガス流量計測装置及び排ガスの流量計測方法
DE102006027422B4 (de) * 2006-06-13 2014-02-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Abgasturboladers
JP2007333655A (ja) * 2006-06-16 2007-12-27 Ono Sokki Co Ltd ガス分析装置
JP2009204586A (ja) * 2008-02-29 2009-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流体計測装置、流体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9545A1 (en) 2010-10-13
ATE544051T1 (de) 2012-02-15
RU2010133713A (ru) 2012-02-27
US20110106397A1 (en) 2011-05-05
JP2009168688A (ja) 2009-07-30
EP2239545A4 (en) 2011-01-12
KR101205534B1 (ko) 2012-11-27
RU2452922C2 (ru) 2012-06-10
WO2009090805A1 (ja) 2009-07-23
EP2239545B1 (en) 2012-02-01
CN101910803A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534B1 (ko) 유체계측장치
KR101191975B1 (ko) 유체계측 장치 및 유체계측 방법
EP1965194B1 (en) Method for analyzing exhaust gas and apparatus for analyzing exhaust gas
EP1405989B1 (en) Vehicle-installed exhaust gas analyzing apparatus
US7926332B2 (en) Exhaust gas analyzer and exhaust gas analyzing method
EP1387999B1 (en) Venturi flowmeter for use in an exhaust sampling apparatus
US8208143B2 (en) Exhaust gas analyzer
JP4390737B2 (ja) 排気ガス測定装置および排気ガス測定方法
JP6791512B2 (ja) リアルタイム流体種質量流量計
Tagawa et al. Simultaneous measurement of velocity and temperature in high-temperature turbulent flows: a combination of LDV and a three-wire temperature probe
Zhang et al. Fast hybrid sensor for soot of production CI engines
WO2012115150A1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レーザ計測装置
Abdullah et al. A temperature measuring of combustion machinery systems using light absorbing of gas
Holmberg et al. Wall-jet turbulent boundary layer heat flux, velocity, and temperature spectra and time scales
Nix et al. Experiments on the Physical Mechanism of Heat Transfer Augmentation by Freestream Turbulence at a Cylinder Stagnation Point
Mielke et al. Molecular Rayleigh Scattering Techniques Developed for Measuring Gas Flow Velocity, Density, Temperature, and Turbulence
Sommer et al. Application of the LI²SA-Soot-Sensor for the characterisation of modern low emission engines
Hiereth et al. Instrumentation for recording the operating data of supercharged engines on the engine test 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