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492A -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 Google Patents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492A
KR20100098492A KR1020107004088A KR20107004088A KR20100098492A KR 20100098492 A KR20100098492 A KR 20100098492A KR 1020107004088 A KR1020107004088 A KR 1020107004088A KR 20107004088 A KR20107004088 A KR 20107004088A KR 20100098492 A KR20100098492 A KR 20100098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plant
main body
container
g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28003B1 (en
Inventor
아키노리 가지카와
다카시 쥬즈
가나코 고다마
Original Assignee
도호레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레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호레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8/06904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9084310A1/en
Publication of KR2010009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등의 녹화용(綠化用)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에 관한 것이며, 취급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벽면 등의 녹화의 시공도 매우 용이하고 또한 단기간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도 염가인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녹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pot)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such as a wall surface, and a greening method using the container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and easy to handle, and the construction of greening, such as a wall,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and in a short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which is also inexpensive, and a manufacturing cost, and a greening metho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unit body capable of accommodating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and the pot seedling plant, an opening for exposing the plant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to the outside is formed.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is provided.

Description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method using the container unit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본 발명은, 녹화용(綠化用)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구축물의 벽면 등의 앞면부 측에 설치함으로써, 그 벽면 등의 앞면부 측을 녹화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설치하여 벽면 등을 녹화하는 녹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a greening method using the container unit, and more specifically, a front unit side such as a wall surface by providing the container unit on a front surface side such as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or a structure.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a greening method for installing the container unit to record a wall or the like.

최근, 도시 녹화 등의 요청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도시 지역에 있어서의 각종 장소, 예를 들면, 공원, 보도 등의 장소에 인위적으로 수목(樹木)을 심는 등에 의해 녹화가 행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requests for urban greening have increased, and accordingly, greening has been performed by artificially planting trees at various places in urban areas, for example, parks, sidewalks, and the like.

특히, 건축물, 구축물 등이 나란히 서있는 것 같은 장소에서는, 자연목 등이 적기 때문에, 그와 같은 건축물, 구축물 등의 벽면의 녹화를 행하는 것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고, 그 녹화의 공법으로서 각종의 방법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re are few natural trees in places where buildings, structures, etc. are standing side by side, it is actively attempted to green the walls of such buildings, structures, and the like. .

이와 같은 벽면 녹화 기술로서, 본 발명에 근사(近似)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과 같은 특허 출원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관한 발명은, 건축물의 피녹화면을 따라 수열(數列), 수단(數段)으로 흙부대를 겹쳐 쌓고, 상기 흙부대의 앞면을, 원하는 형상의 틈을 전체면에 가지는 펜스(fence)에 의해 억제하고, 건축물 측면과 펜스 사이에 흙바닥을 구축하고, 흙부대 사이에는 식물의 뿌리부를 협지하여 뿌리를 부착시키고, 상기 식물은 펜스 밖으로 번무(繁茂)하게 하는 방법이다.As such a wall recording technique, as an approxim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patent applications such as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are disclosed.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Literature 1 is a fence having piled up soil bags along a green screen of a building by means of heat and means, and having a front surface of the soil bag having a gap having a desired shape on the entire surface. ), The soil floor is constructed between the side of the building and the fence, the roots of the plants are sandwiched between the soil bags, and the roots are attached to each other.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은, 흙부대 사이에 식물의 뿌리부를 직접 협지하여 시공이 되므로, 그와 같이 흙부대 사이에서 식물의 뿌리부를 직접 협지시키는 것은, 흙부대의 중량에 의해 식물의 뿌리를 압착할 우려가 있으므로, 식물의 생육(生育)에 있어 반드시 바람직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However, in the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root portion of the plant is directly sandwiched between the soil bags, so that the pinching of the root portion of the plant directly between the soil bags is performed by the weight of the soil bag. Since the roots may be squeezed, they are not necessarily desirable for the growth of plants.

한편, 특허 문헌 2에 관한 발명은, 적어도 포트(pot) 모종의 심기가 가능한 작업 개구를 적어도 앞면에 형성한 패널 프레임과, 이 패널 프레임의 바로 내측에 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작업 개구의 외측으로부터의 절개(切開) 작업이 가능하며, 흡수성 및 복원성을 가지는 백형(bag type) 매트재(mat material)와, 이 백형 매트재의 내측에 충전되어, 식생(植生) 식물을 생육시키기 위한 식생 베이스재 또는 이것을 충전한 입체 망형(網形) 매트에 의해 구성한 녹화 패널을 개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vention which concerns on patent document 2 is a panel frame which formed the work opening which can be planted at least a pot seedling at least in front, and is arrange | positioned just inside this panel frame, and is supported, A bag type mat material having a water absorption and resilience, and a vegetation base material which is filled inside the bag type mat material to grow vegetation plants, or The greening panel comprised by the three-dimensional mesh mat which filled this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에 관한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 개구의 외측으로부터의 절개 작업에 의해 백형 매트재에 커트인(절취선) 등의 절개 부분을 현장 등에서 형성하고, 그 절개 부분을 개구시키면서 포트 모종 등을 수납하는 작업을 행하므로, 그와 같은 절개 부분의 형성이나, 절개 부분을 개구시키면서 포트 모종 등을 수납하는 작업이 번잡해지므로, 시공의 작업성이 결코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Patent Document 2, as described above, a cut-out portion such as cut-in (cut line) is formed on the bag-shaped mat member by cutting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work opening in the field or the like, and the cut-off portion is opened. Since the work of storing the pot seedlings and the like is carried out while the work of storing the pot seedlings and the like while forming such a cut-out portion and opening the cut-out part becomes complicated, the workability of the construction was never good. .

원래, 상기 특허 문헌 2에 관한 발명은, 그 자체가 벽걸이 등의 장식물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의도하는 것이며, 장식성(裝飾性) 등도 의도하고 있으므로, 벽면 녹화에 필요한 시공의 작업성 등은 그다지 고려되고 있지 않은 것이다.Originally, the invention of Patent Document 2 is intended to be used in a decoration such as a wall hanging itself, and also intended to be decorative, so that workability of construction required for wall greening is very much considered. It is not going.

또한, 특허 문헌 3은, 가압 새시 바(press sash bar)에 의해 나누어진 개방창을 가지는 가압 커버와, 상기 가압 커버의 개구 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압 커버 내에 충전한 배토(培土)를 받는 받침 접시를 가지고, 상기 가압 커버 내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개방창 측에 노출되는 식물 재배 포트를 구비한 식물 재배 포트 트레이를 설치한 다목적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에 관한 것이다.Patent Document 3 further provides a press cover having an open window divided by a press sash bar, and a support receiving an open side of the press cover and receiving clay filled in the press cover.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having a dish and having a plant cultivation port tray provided with a plant cultivation port exposed to the open window sid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pressurized cover.

상기 특허 문헌 3의 다목적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특허 문헌 3의 도 10, 도 1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면 녹화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잔디 시트와도 병용할 수도 있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의 구조도 복잡하며, 가압 커버, 받침 접시, 식물 재배 포트 트레이, 그 외의 구성 부재를 필요로 하는 등, 부품수도 증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Although the multipurpos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of the said patent document 3 can also be used for wall greening, as described also in FIGS. 10 and 11 of the said patent document 3, it can also be used together with a grass sheet, As a result, the overall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also increased, such as requiring a press cover, a support plate, a plant cultivation pot tray, and other structural members.

따라서, 이와 같이 구조가 복잡하며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증대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increased.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1993-22784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227843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4-25455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4-254559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제3738321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No. 383832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식물의 뿌리부를 협지시켜 압착(壓搾)할 우려가 없고, 설치 후에 있어서도 식물을 바람직하게 생육시킬 수 있고,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모종 포트를 수용하기 위한 현장에서의 백형체의 커트인 형성에 의한 절개 작업이나, 그 커트인을 넓히는 것에 의한 모종 포트를 삽입하는 작업 등의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특허 문헌 3과 같이 구조가 복잡하거나, 부품수가 증대하지도 않고, 취급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벽면 등의 녹화의 시공도 매우 용이하고 또한 단기간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도 염가인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녹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here exists no possibility of crimping and crimping the root part of a plant like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said patent document 1, and a plant can be preferably grown even after installation. In addition, as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complicated work such as cutting work by cutting-in formation of a white body at the site for accommodating seedling ports, or inserting seedling ports by expanding the cut-in.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not complicated, the number of parts does not increase, the handling is simple and easy, and the construction of greening such as a wall surface is very easy and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as in Patent Document 3, and also the manufacturing cost It is a subject to provide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which is inexpensive, and a greening metho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at can accommodate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It is to provide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6 for exposing the plant 32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accommodated in 1) to the outside is formed.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와는 별도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를 용기 유닛 본체(1)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유닛 본체(1)의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가 더 구비된다. 용기 유닛 본체(1)에는, 또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를 지지하는 유지체(34)에 걸기 위한 괘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괘지부(掛止部)는, 예를 들면,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 측에 오목형으로 형성된다.Apart from the opening 6 capable of exposing the plant 32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to the outside, an opening 2 for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unit body ( It is preferable to form in 1). In this case, Preferably, the cover body 3 which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part 2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for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further provided.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can further be provided with a hanging portion for hooking the holder 34 supporting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said hanging part is formed in the recessed shape in the bottom face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for example.

또한,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에 대한 풍압(風壓)을 경감시키기 위한 후드부(hood member)를, 식물체(32)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의 주위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위쪽의 용기 유닛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으로 물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저면부(1e)와 상면부에, 도수공(導水孔)(12, 13)을 천설(穿設)할 수도 있다. 상면부에 형성되는 도수공(13)은,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오목부(11)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hood member for reducing the wind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plant 32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outside the part of the plant 32.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round the opening 6 which can be exposed. Moreover, when several container units are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the water supply hole 12, 13 is provided in the bottom face part 1e and the upper surface part so that water may be drawn in from the upper container unit to the lower container unit. You can also snowf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hole 13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art is formed in the recessed part 11 formed in the said upper surface part.

또한, 관수(灌水)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홈부(21)는, 커버체(3)의 오목부(11) 및 도수공(13)에 연통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유닛 본체(1)의 전체, 또는 용기 유닛 본체(1) 및 커버체(3)의 전체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groove part 21 which inserts a watering pipe for watering. It is preferable that this groove part 21 will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ssed part 11 and the press hole 13 of the cover body 3. The whol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r the whol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cover body 3 is comprised from synthetic resin, for example.

본 발명은, 또한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면에 개구부(2)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체(3)로 상면 개구부(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커버체(3)를 닫은 상태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적층시켰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도록,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커버체(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unit main body 1, which can accommodate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30 and a pot seedling plant 31, and has an opening 2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d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 cover seedling 3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pening 2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2,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pening 2 is closed by the cover body 3, a port seedling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opening part 6 which enables the part of the plant 32 of the plant 3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side part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several container unit with the cover body 3 closed. Is stacked vertically,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f the upper container unit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are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The bottom part 1e and the cover body 3 of 1) are formed, respectively. To provide a group unit.

또한, 본 발명은,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가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의 개구부(6)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어도 상하로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a port accommodated in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the one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which can accommodate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the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FIG.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having an opening 6 formed therein for exposing the plant 32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 31 to the outside are prepared, and the soil 30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is prepared. It accommodates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31, etc., and the plant 32 part of the said pot seedling plant 31 is external from the opening part 6 of one side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It is to provide a gree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that are exposed to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s 31 are installed at least up and down.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은, 상하뿐아니라, 좌우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 용기 유닛(20)의 용기 유닛 본체(1)의 괘지부를 유지체(34)에 걸어, 상기 유지체(34)에 용기 유닛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체(34)로서는, 예를 들면, 프레임을 상하 좌우에 설치한 대략 격자형의 것이 사용된다.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can be installed not only on the top and bottom but also on the left and right. Furthermore, the hanging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f the several container unit 20 which accommodated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hanged on the holding body 34, and the container is hold | maintained at the said holding body 34 It is possible to hold the unit. As the holder 34, for example, a substantially lattice-shaped one in which a frame is provid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is used.

또한, 본 발명은,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면에 개구부(2)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체(3)로 상면 개구부(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고,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의 개구부(6)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도록, 상하로 적층하는 동시에, 좌우에도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can accommodate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the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which the opening part 2 wa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a port hous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pening 2 is closed by the cover body 3. The opening part 6 which exposed the plant 32 part of the seedling plant 31 to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side part part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prepares the several container unit comprised, and the said several container A container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30 and a pot seedling plant 31 ar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of the unit, and the plant 32 portion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plac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pening 6 of the side portion of the The bottom part 1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f the upper container unit which adjoined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face the several container unit which accommodated the ash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together. It is to provide a greening method characterized by laminating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so as to be in a contact state, and installing and constructing from side to sid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 내에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 부분을,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이와 같이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이 수용되어 그 식물 부분이 외부에 노출된 용기 유닛을 다수 벽면 등의 앞면 측에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벽면 등의 녹화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xposes, to the outside, a plant portion of a pot seedling plan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to one side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and a port seedling plant. Since the opening part which can be made is formed, it accommodates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s, such as soil, in a container unit main body of such a container unit, and accommodates a pot seedling plant, and the plant part of the said pot seedling plant is one surface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The container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pening on the side, and the container unit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are accommodated and the plant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such as a plurality of walls. There is an effect that recording can be performed.

상기 결과, 시공 기간도 단축되고, 또한 시공을 위한 용구의 제조 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어, 간단하고 용이하게 벽면 녹화를 행할 수 있는, 이른바 조기형(早期型) 벽면 녹화인 종래의 것에 비하여,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ol for construction can be made low, and the cos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ype of so-called early wall recording, which can be wall-recorded simply and easily, can be reduced. The effect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 부분을,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일면 측의 개구부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함으로써, 뿌리가 뻗는 식물을 설치할 수 있고, 이로써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since the plant part of a pot seedling plan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pening part of one side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the plant which a root extends can be provided by making the opening part of one side of a side to some extent. This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outflow of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s such as soil.

또한, 용기 유닛이, 상기와 같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용기 본체를 컴팩트하게 함으로써, 시공뿐아니라 철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상의 포트 식물을 그대로 심는 것이 가능하므로, 특별한 양생(養生)이 불필요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트 식물의 생육(生育) 상태가 좋지 않은 용기 유닛을 부분적으로 바꾸는 등의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unit has the simpl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main body can be made compact, so that not only the construction but also the removal can be easily performed. Moreover, since normal pot plants can be planted as it is, there is an effect that a special curing is unnecessary.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such as partially changing the container unit in which the pot plant is in poor growth condition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 좌우에 설치하여 시공함으로써, 식물의 색이나 형상을 바꾸는 등에 의해, 벽면 녹화의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sign of wall greening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color and shape of the plant.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백형 매트재에 커트인을 형성하는 등의 작업 개구의 외측으로부터의 절개 작업을 현장에서 행할 필요도 없고, 또한 커트인 등의 절개 부분을 개구시키면서 포트 모종 등을 수납하도록 한 번잡한 작업도 불필요해지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벽면 녹화 공법에 비해 시공성이 현저하게 양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like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cut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work opening such as forming a cut in on the bag-shaped mat member in the field, and also a cut portion such as cut in. Since complicated work is unnecessary to accommodate pot seedlings and the like while opening the open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ability is remarkably goo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all recording method.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의 벽면 녹화 기술과 같이, 흙부대 사이에 식물의 뿌리부를 직접 협지하도록 하는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흙부대의 중량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압착될 염려도 없고, 식물의 생육을 저해시키게 될 염려도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과 같이 구조가 복잡화된, 부품수가 증대하지도 않고, 제조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지도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a method of directly pinching the roots of the plants between the soil bags as in the wall greening technique of the patent document 1, there is no fear that the roots of the plants are compressed by the weight of the soil bags, and the growth of the plants is prevented. There is no worry about inhibiting the effect. In addition, as in Patent Document 3,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number of parts does not increase, and the production cost does not increase.

또한,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와는 별도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용기 본체에 형성한 경우에는,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작업성이 보다 양호해진다.In addition, apart from the opening which can expose the plant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to the outside, when the plant body has an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rt seedling plant,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Workability for accommodating this becomes more favorable.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를 구비한 경우에는, 그 커버체에 의해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나 포트 모종 식물이 용기 본체로부터 뜻하지 않게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방지된다.Moreover, when the cover body which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part of a container main body for accommodating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is opened, the cover body causes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to be inadvertently removed from a container main body. Ejection is preferably prevented.

또한,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하기 위한 후드부를, 식물체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의 주위에 형성한 경우에는,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when the hood part for reducing the wind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plant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accommodated in a container unit main body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part which can expose a part of a plant outside, the port accommodated in a container unit main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wind pressure on the plant part of the seedling plants.

또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위쪽의 용기 유닛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으로 물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저면부와 상면부에, 도수공(導水孔)을 형성한 경우에는, 관수 등에 의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위쪽 용기 유닛 저면부의 도수공 및 아래쪽 용기 유닛 상면부의 도수공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도 도입되게 되므로, 상하로 설치된 복수 개 용기 유닛 상호 간에서의 물의 유통이 매우 양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re arranged up and down, when a water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face and the upper face so that water is drawn from the upper container unit to the lower container uni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ntainer unit is also introduced into the lower container unit through the ditches of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unit and the ditches of the lower container unit upper surface. This has the effect of becoming very good.

특히, 용기 유닛의 저면부와 상면부에 각각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 내에 상기와 같은 도수공을 형성한 경우에는, 관수 등에 의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상기 위쪽의 용기 유닛 내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등을 통과하고, 상기 위쪽 용기 유닛 저면부의 오목부 내에 바람직하게 집수되고, 그 오목부 내의 도수공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배출되는 동시에, 아래쪽 용기 유닛 상면부의 오목부 내에 바람직하게 집수되어, 그 오목부 내의 도수공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 내로 바람직하게 물을 끌어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 유닛의 저면부와 상면부에 각각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 내에 도수공을 형성함으로써, 그 도수공으로의 집수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recesses are formed in the bottom and upper surface portions of the container unit, and the above-mentioned water holes are formed in these recesses,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ntainer unit by watering or the like is used as the upper container unit. Passed through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etc. inside, is preferably collected in the recess of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unit,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water hole in the recess, and is preferably collected in the recess of the upper container unit of the lower container unit, Water is preferably drawn into the vessel unit below from the water hole in the recess. In this way, recesses are formed in the bottom and upper surface portions of the container unit, and the water holes are formed in these recesses, so that the water collec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또한, 관수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녹화 유닛에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여 다수 벽면 등의 앞면 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된 녹화 유닛 내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에 대한 관수를 바람직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를, 커버체의 오목부 및 도수공에 연통된 상태로 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연통 상태로 된 도수공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되어 상하로 설치된 복수 개 용기 유닛 상호 간에서의 물의 유통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groove portion for inserting the watering pipe for watering is formed, the greening is provided in the case where the planting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are accommodated in the greening unit as described above and installed on the front side such as a plurality of wall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ing of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in the unit can be carried out preferably and easily. In addition, when the groove part into which the above watering pipe is inserted is made into the state which communicated with the recessed part of a cover body, and a water hole, as mentioned abov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ntainer unit is in the communication state. It is possible to reliably obtain the effect that the flow of water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provided up and down and introduced into the lower container unit through the ball becomes good.

또한, 용기 유닛 본체의 전체, 또는 용기 유닛 본체 및 커버체의 전체를 합성 수지로 구성한 경우에는, 용기 유닛 전체가 경량화되어, 용기 유닛의 취급이나 작업성, 나아가서는 녹화 시공의 작업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체가 경량으로 되므로, 용기 유닛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하면, 식물이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를 심은 상태에서도, 한 손으로 취급할 수 있어, 그 결과, 설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hole container unit main body or the whole container unit main body and the cover body are comprised from synthetic resin, the whole container unit becomes light weight, and the handling and workability of a container unit, and also the workability of greening construction are more favorable. Become. And since the whole becomes light in this way, if the container unit is made compact in size, even if a plant and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re planted, it can be handled with one hand, and as a result,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의 괘지부를 유지체에 걸어, 상기 유지체에 용기 유닛을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용기 유닛 본체의 괘지부를 유지체에 거는 것에 의해,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 또는 좌우에 설치하는 작업을, 그와 같은 유지체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또한 신속히 행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녹화 시공의 작업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anging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of the several container unit which accommodated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is hold | maintained by the holding body and hold | maintains a container unit to the holding body, the holding part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is hold | maintained. By hanging on a sieve, the work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by using such a holding body, and further, the workability of greening construction is further improved. .

특히, 유지체로서 프레임을 상하 좌우에 설치한 대략 격자형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상하 좌우에 대한 배치를, 보다 규칙적이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의 괘지부를 유지체에 걸어 유지하므로, 안전하고 간단한 시공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괘지부를 용기 유닛 본체의 저면 측에 오목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괘지부를 유지체에 걸기 위한 작업을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substantially lattice type in which a frame is provid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as a holde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can be performed more regularly and accurately. Moreover, since the hanging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is hold | maintained by the holding body, safe and simple construction can be implement | achieved. In addition, when the rubbing portion is formed concave on the bottom face side of the container unit body, the operation for hanging the rubbing portion to the holding body can be performed more simply and easi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도 1은 일실시예의 녹화용의 용기 유닛의 개구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반재(半裁) 즉 반자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용기 유닛 본체의 공간부 내에 소정의 높이까지 토양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용기 유닛 본체의 공간부 내에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후에, 용기 유닛 본체의 공간부 내에 토양을 재차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버체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커버체를 닫은 상태의 반재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수의 용기 유닛을 유지하는 유지체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유지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유지체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수의 용기 유닛을 유지체에 유지시킨 상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는 다수의 용기 유닛을 유지체에 유지시킨 상태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5는 용기 유닛을 적층시킨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용기 유닛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의 유지체의 배치 태양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의 유지체의 배치 태양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의 유지체의 배치 태양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opening state of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that is, a half cut stat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il is stor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space portion of the container unit body.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pot seedling plant in the space part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7 is a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soil is again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container unit body after accommodating the pot seedling plant.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tate which closed the cover body.
It is a half section sectional drawing of the state which closed the cover body.
10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holder for holding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1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holder.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said holding body.
It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state which hold | maintained many container units in the holder.
It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tate which hold | maintained many container units in the holding body.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of the stat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container unit.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container unit of another embodiment.
17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holder of another embodiment.
18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holder of another embodiment.
19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holder of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녹화용의 용기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t seedling plant that is hous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unit body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and a pot seedling plant. Openings are formed to expose the plant part to the outside.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와는 별도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용기 본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는, 식물체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일면과는 다른 용기 유닛 본체의 면에 형성되지만, 특히 용기 유닛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용기 유닛 본체에 형성됨으로써,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의 용기 유닛 본체 내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Apart from the opening which can expose the plant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to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n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pot seedling plant in the container body. The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body different from one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for exposing a part of the plant to the outside is formed, but particular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body. It is preferably formed. This is because an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is form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so that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rt seedling plant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유닛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체는, 예를 들면, 힌지부를 통하여 용기 본체에 연장 설치된다. 커버체가 힌지부를 통하여 용기 본체에 연장 설치됨으로써, 커버체의 개폐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힌지부를 통하여 커버체를 용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커버체 용기 본체가 일체로 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용기 유닛 본체에는, 또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를 유지하는 유지체에 걸기 위한 괘지부가 형성된다. 이 괘지부는, 예를 들면, 용기 유닛 본체의 저면 측에 오목형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cover body which further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for accommodating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is further provided. The said cover body is extended and installed in a container main body through a hinge part, for example. Opening and closing workability of a cover body becomes favorable because a cover body is extended to a container main body through a hinge part. Moreover, by attaching a cover body to a container main body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through a hinge part, the container in which the cover body container main body was integrated can be provided.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ging portion for hanging on the holder holding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This hanging part is formed in concave shape, for example in the bottom face side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또한,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하기 위한 후드부를, 식물체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의 주위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후드부는, 용기 유닛 본체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커버체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식물체의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시키기 위해, 용기 유닛 본체와 커버체의 양쪽에 후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hood part for reducing the wind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plant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accommodated in a container unit main body around the opening part which can expose a part of a plant to the outside. Such a hood portion may be formed only in the container unit body, but when the cover body is provided, the hood portion is provided on both the container unit body and the cover body in order to reduce the wind pressure on the part of the plant exposed from the opening. It is preferable.

또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위쪽의 용기 유닛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으로 물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저면부와 상면부에, 도수공을 천설할 수도 있다. 저면부와 상면부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 내에 상기와 같은 도수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용기 유닛 본체의 상부에 커버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수공이나 오목부는 커버체에 형성되게 된다.Moreover, when arrange | positioning a some container unit up and down, a water hole can also be installed in a bottom part and an upper surface part so that water may be drawn in from an upper container unit to a lower container unit. It is preferable to form a recessed part in a bottom face part and an upper surface part, and to form the above-mentioned water hole in the recessed part. For example, when the cover body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the said water hole and the recessed part are formed in the cover body.

또한, 관수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홈부는, 상면측에 형성되는 도수공이나 오목부에 연통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기 유닛 본체의 상부에 커버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홈부도 도수공이나 오목부와 함께 커버체에 형성되게 된다.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groove part which inserts a watering pipe for watering. It is preferable that this groove part will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hole and recessed part formed in the upper surface side. Therefore, when the cover body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the said groove part will also be formed in a cover body with a water hole and a recessed part.

용기 유닛 본체의 전체, 또는 용기 유닛 본체 및 커버체의 전체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합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범용성의 합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후성(耐候性)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hole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or the whole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and a cover body is comprised from synthetic resin, for example. Although the kind of synthetic resi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General purpose synthet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 polystyrene, and polyester, can be used preferably.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weather resistant polypropylene.

또한, 본 발명의 녹화 공법은,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 내에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어도 상하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다.Moreover, according to the greening method of this invention, the plant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accommodated in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one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which can accommodate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and a pot seedling plant.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re formed which have openings formed therein, and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and the pot seedling plants ar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nd the plant portion of the pot seedling plants is It exposes to the exterior from the opening part of one side of a container unit main body, and installs the some container unit which accommodated the said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at least up and down.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은, 상하뿐아니라, 좌우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의 괘지부를 유지체에 걸어, 상기 유지체에 용기 유닛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프레임을 상하 좌우에 설치한 대략 격자형의 것이 사용된다.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can be installed not only on the top and bottom but also on the left and right. Moreover, it is possible to hold the container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of the several container unit which accommodated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on a holder, and hold a container unit in the said holder. As the retainer, for example, a substantially lattice type in which a frame is provid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is used.

상기 유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강재(鋼材)로 구성된 것이 사용되고, 또한 합성 수지나 목재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aid holding body, what consists of steel materials is used, for example, It can also be comprised by synthetic resin, a wood, etc.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토양이 사용되고, 그 토양으로서는, 인공 토양과 천연 토양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의 소재는, 요점은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것이면 토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폼, 섬유재, 매트재 등도 사용할 수 있다.As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for example, soil is used, and as the soil, any of artificial soil and natural soil can be used. In addition, the raw material of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is not limited to soil as long as a plant can grow a plant,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foam, a fiber material, a mat material, etc. can also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pecific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본 실시예의 녹화용 용기 유닛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개구형의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유닛 본체(1)와 커버체(3)는, 힌지부(4)를 통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기 유닛 본체(1), 커버체(3), 및 힌지부(4)는, 전체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용기 유닛 본체(1), 커버체(3), 힌지부(4)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범용성의 합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후성(耐候性)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of this embodiment is a cover which enables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f an upper surface opening type | mold, and the upper surface opening part 2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as shown in FIGS. It consists of the sieve 3.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cover body 3 extend through the hinge part 4. And this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cover body 3, and the hinge part 4 are comprised by the synthetic resin integrally by the whole. Although the kind of synthetic resin which comprises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cover body 3, and the hinge part 4 is not specifically limited, General purpose synthet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 a polystyrene, polyester, are preferable. Can be use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polypropylene with good weather resistance.

용기 유닛 본체(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면 개구형의 것이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방의 측면부(1a, 1b, 1c, 1d)와 저면부(1e)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방의 측면부(1a, 1b, 1c, 1d)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약간 경사 내측을 향하는 테이퍼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above-mentioned,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of an upper surface opening type, Comprising: It is comprised from the four sides side parts 1a, 1b, 1c, 1d, and the bottom face part 1e as shown in FIGS. have. And the four side parts 1a, 1b, 1c, and 1d are formed so as to become a taper shape toward a slightly inclined inner sid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용기 유닛 본체(1)의 내부에는,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이 수용되는 공간부(5)가 형성되어 있다.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토양(30)이 사용되고, 이와 같은 토양(30)으로서 인공 토양, 천연 토양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포트 모종 식물(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물의 뿌리를 매설하고 있는 뿌리 받침(根鉢)(33)의 부분과, 상기 뿌리 받침(33)으로부터 세워설치되는 식물체(32)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서는, 포트 모종 식물(31)은 옆쪽으로 수납된다.Inside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space part 5 in which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s, such as soil, and a pot seedling plant are accommodated is formed. As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for example, the soil 30 to be described later is used, and any of artificial soil and natural soil can be used as the soil 30.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a part of the root support 33 in which the root of the plant is embedded, and a part of the plant 32 which is installed from the root support 33 as described later.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stored sideways.

그리고, 옆쪽으로 수납된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용기 유닛 본체(1)의 외측에 노출시키는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의 개구부(6)는,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1a)의 상에지부로부터 만곡된 대략 U자형으로 되도록 잘라내어져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1a)를 대략 U자형으로 잘라내어 형성한 개구부(6)의 주위 에지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양쪽의 견부(肩部)(6b, 6b)와, 측에지부(6a)와, 바닥 에지부(6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을 잘라내어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면 개구부(2)와 연통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면의 개구부(6)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을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커버체(3)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개구부라기보다는 오히려 커팅부이지만, 커버체(3)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의 상에지부에 커버체(3)가 맞닿으므로, 개구부의 형태로 된다. And the opening part 6 which exposes the plant 32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stored sideways to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 The opening part 6 of this side surface is cut out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U shape curv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ide part 1a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is formed. Thus, the peripheral edge part of the opening part 6 which cut out the side part 1a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substantially U shape, and is formed, as shown in FIG. 2, shoulders 6b and 6b of both upper parts. ), Side edge portion 6a, and bottom edge portion 6c.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cut out and formed in this way, and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aid upper surface opening part 2. Thus, since the opening part 6 of the side surface is formed by cutting out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t is a cutting part rather than an opening part in the state which opened the cover body 3 like FIG. In the state which closed the cover body 3, as shown in FIG. 8 and FIG. 9, since the cover body 3 abu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t becomes a form of an opening part.

개구부(6)의 주위 에지부의 바닥 에지부(6c)의 배면 측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유지체(34)에 거는 괘지부(28)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괘지부(28)는, 개구부(6)를 가지는 측면부(1a) 측에 형성된 것이지만, 상기 측면부(1a)와 대면하는 측면부(1c) 측에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34)에 거는 괘지부(29)가 형성되어 있다.The back side of the bottom edge part 6c of the peripheral edge part of the opening part 6 is formed in concave shape, as shown in FIG. 3, and is formed as the hanging part 28 hanging on the holding body 34 as mentioned later. . Although the said locking part 28 was formed in the side surface part 1a side which has the opening part 6, but also in the side surface part 1c side which faces the said side surface part 1a, as shown in FIG. The hanging part 29 is formed.

그리고, 상기 측면의 개구부(6)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 측에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에 대하여 풍압을 경감시키기 위한 후드부(7)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드부(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면부(7a, 7b)와 저면부(7c)와의 3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와 같은 방향으로, 커버체(3)에도 후드부(8)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체(3)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의 양 측면부(7a, 7b) 및 저면부(7c)와 커버체(3)의 후드부(8)에 의해 사방이 포위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용기 유닛 본체(1) 및 커버체(3)의 후드부(7, 8)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멍(9)이 다수 천설되어 있다. 이 구멍(9)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열로 정렬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which the opening part 6 of the said side was formed, the hood part 7 for reducing wind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plant 32 part of the said pot seedling plant 31 is an outward direction. It protrudes and is formed. As shown in FIG. 1, the hood portion 7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ree surfaces of both side portions 7a and 7b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7c. Moreover, the hood part 8 also protrudes and is formed also in the cover body 3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od part 7 of this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in the state which closed the cover body 3, as shown in FIG. 9, the both side parts 7a and 7b of the hood part 7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bottom face part 7c, and the cover body ( All sides are surrounded by the hood part 8 of 3).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holes 9 are formed in the hoods 7 and 8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cover body 3. As shown in Fig. 1, the holes 9 are arranged in two rows at equal intervals.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의 대략 중앙에는,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측이 약간 오목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하면 측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돌출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오목부(11)가, 도 4와 같이 커버체(3)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recessed part 10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bottom face part 1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is recessed part 10 is formed so that an upper surface side may become slightly concave, Therefore, the lower surface side is formed so that it may become slightly projected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recessed part 11 which can insert the recessed part 10 of this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cover body 3 like FIG.

상기 커버체(3)의 오목부(11)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체(3)의 오목부(11)가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결과, 후술하는 도 15와 같이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층시켰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용기 유닛 중, 위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용기 유닛 본체(1) 저부의 오목부(10)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의 오목부(11)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된다.The recessed part 11 of the said cover body 3 is formed with the diameter larger than the recessed part 10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us, when the recessed part 11 of the cover body 3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recessed part 10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when several container unit was laminated | stacked like FIG. 15 mentioned later, The recessed part 10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the upper container unit is inserted in the recessed part 11 of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among the two container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It is put in the state.

또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와 커버체(3)의 오목부(11)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의 복수 개의 도수공(12, 13)이 각각 천설되어 있다.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에 있어서의 도수공(12)과, 커버체(3)의 오목부(11)에 있어서의 도수공(13)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층시켰을 때,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의 도수공(12)과,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커버체(3) 오목부(11)의 도수공(13)이, 약간 이격되면서도 대략 연통된 상태로 되도록, 각각의 오목부(10, 1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cave portion 10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and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cover body 3, as shown in FIG. Each is snowed. As shown in FIG. 15, the hydraulic hole 12 in the recessed part 10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hydraulic hole 13 in the recessed part 11 of the cover body 3 are shown. When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re stacked, the water hole 12 of the recessed portion 10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in the upper container unit adjacent up and down and the cover body in the lower container unit ( 3) The raceway 13 of the recessed part 11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recessed part 10 and 11 so that it may be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lightly.

또한, 커버체(3)의 배면 측의 소정 위치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4)는, 커버체(3)를 닫았을 때,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 개구부(6)를 형성하는 주위 에지부(6a) 중, 후술하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비교적 위쪽의 주위 에지부(6b)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의 저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용의 구멍(23)이 천설되어 있다.Moreover, the protrusion part 14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 body 3, as shown to FIG. 2 and FIG. This protrusion part 14 is the same as FIG. 8 and 9 mentioned later among the peripheral edge parts 6a which form the side opening part 6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when the cover body 3 is closed, It is formed so as to contact the relatively upper peripheral edge portion 6b. As shown in FIG. 4, the hole 23 for drainage is laid in the bottom part of the protrusion part 14.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단부 주위 에지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15)가 약간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5)에는,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구멍(16)이 천설되어 있고, 상기 구멍(16)에 삽입 가능한 돌기(17)가, 커버체(3)의 배면 측에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flange 15 protrudes slightly outward in the edge portion around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flange 1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16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and projections 17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16 are form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 body 3. It is.

또한, 측면의 개구부(6)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1a)와 대면하는 측면부(1c)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긴 구멍(18)이 천설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18)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2열로 정렬하여 설치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2, several long hole 18 is laid in the side part 1c which faces the side part 1a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which the side opening part 6 was formed. The elongate holes 18 are arranged in two rows, vertically and vertically,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측면의 개구부(6)가 형성된 측면부(1a) 및 긴 구멍(18)이 형성된 측면부(1c)와 인접하는 길이 방향의 측면부(1b, 1d)의 외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세로 방향에 리브(19)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2, outside the side part 1a in which the opening part 6 of the said side surface was formed, and the side part 1b, 1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the side part 1c in which the long hole 18 was form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Ribs 19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커버체(3)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수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21)는, 상기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의 오목부(11)와 연통 상태로 되도록, 나아가서는 도수공(13)과도 연통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4, the cover part 3 is provided with the groove part 21 for inserting a watering pipe. As shown in FIG. 1 and FIG. 4, the groove portion 21 is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cover body, and furthermore,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hole 13 as well.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의 하부 선단 에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체(3)의 비교적 측부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적층시켰을 때, 도 15와 같이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돌기(27)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 오목부(22)에 삽입되도록, 돌기(27)와 오목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22)의 저부에는, 배수용의 구멍(24)이 천설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3)의 사방 주위에는, 하강편(25)이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27 is formed in the lower front edge of the hood part 7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the downward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recessed part 22 is formed in the comparative side part of the cover body 3, as shown in FIG. 1 and FIG. 4, and when several container unit is laminat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 The projection 27 and the recessed part 22 are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27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may be inserted in the recessed part 22 of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In the bottom of the recess 22, a hole 24 for drainage is laid. Moreover, the falling piece 25 protrudes downward about the four sides of the cover body 3.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녹화 공법의 일실시예인 벽면 녹화를 행하는 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3)를 열어 상면 개구부(2)를 개구시킨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로서의 토양(30)을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에 수용한다. 토양(30)으로서 인공 토양과 천연 토양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경우, 용기 유닛 본체(1) 측면 개구부(6)의 주위 에지부(6a)에 있어서의 하부 에지부(6c)의 위치까지 토양(30)을 수용한다. 이것은, 측면의 개구부(6)로부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고, 그 때, 식물체(32)의 위치가 측면의 개구부(6)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포트 모종 식물(31)을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설치하는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이다.Next, a method of wall record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gree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1 and FIG. 2, in the state which opened the upper surface opening part 2 by opening the cover body 3, as shown in FIG. 5, the soil 30 as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is a container unit main body. It accommodates in the space part 5 of (1). As the soil 30, any of artificial soil and natural soil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oil 30 is accommodated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edge portion 6c 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6a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side opening 6. This needs to expose the plant 32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from the side opening 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lant 32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opening 6 on the side, It is for adjusting the height which installs the pot seedling plant 31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s shown in FIG.

다음에, 포트 모종 식물(31)을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에 수용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양(30) 상에 탑재한다. 이 때, 도 6과 같이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측면의 개구부(6)로부터 노출시킨다. 따라서, 토양(30) 상에 탑재되는 것은,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 부분이다.Next,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5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mounted on the soil 30 as shown in FIG. 6. At this time, the plant 32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exposed from the side opening 6 as shown in FIG. Therefore, what is mounted on the soil 30 is the root support 33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토양(30)을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에 수용하고, 이미 수용되고 있는 토양(30) 상에 탑재되어 있었던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의 부분을 매설한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soil seedling plant 31 is further accommodated in the space 5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and mounted on the soil 30 that is already accommodated. The part of the root support 33 of the () is buried.

그 후,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3)를 닫는다. 이 경우, 힌지부(4)를 통하여 커버체(3)를 회동시키고, 커버체(3)의 돌기(17)를 용기 유닛 본체(1)의 플랜지(15)의 구멍(16)에 삽입함으로써, 커버체(3)를 닫은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8 and FIG. 9, the cover body 3 is closed. In this case, the cover body 3 is rotated through the hinge portion 4, and the projection 17 of the cover body 3 is inserted into the hole 16 of the flange 15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3 is closed is reliably maintained.

이같이 하여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토양(30) 및 포트 모종 식물(31)이 수용된 용기 유닛(20)을 다수 준비하고, 이미 설치된 벽면의 앞면 측에 종횡으로 배치한다. 이 경우,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격자형의 유지체(34)를 준비하고, 그 유지체(34)를 사용하여 용기 유닛(20)을 벽면의 앞면 측에 종횡으로 배치한다. 이 유지체(34)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체가 덩굴성 식물 즉 만성(蔓性) 식물(35)의 등반(登攀)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을 교차하여 형성한 앞면부(38)와 후면부(39)로 구성된 것이다. 앞면부(38)와 후면부(39)에는, 소정 간격마다 가설 프레임(40)이 가설되어 있다. 이들 세로 프레임(36), 가로 프레임(37), 가설 프레임(40)은, 본 실시예에서는 강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합성 수지나 목재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way, the container unit 20 in which the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wer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prepared, and it arrange | positions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in the front side of the wall surface already installed. In this case, a lattice holder 34 as shown in Figs. 10 and 11 is prepared, and the container unit 20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ll using the holder 34.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holder 34 can itself be used for climbing of vines, that is, chronic plants 35, as shown in Figs. Likewise, the front part 38 and the rear part 39 formed by crossing the vertical frame 36 and the horizontal frame 37 are formed. In the front part 38 and the back part 39, the temporary frame 40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though the vertical frame 36, the horizontal frame 37, and the temporary frame 40 are comprised with steel materials in a present Example, it can also be comprised with synthetic resin, a wood, etc.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34)의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 사이에 형성되는 각 스퀘어(square)마다 용기 유닛(20)이 배치되도록,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유지체(34)에 설치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부(38)와 후면부(39)의 가로 프레임(37) 부분에,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형의 괘지부(28, 29)를 거는 것에 의해, 용기 유닛(20)을 유지체(34)에 설치할 수 있다.13 and 14,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20 are arranged for each squar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36 and the horizontal frame 37 of the holder 34. As shown in FIG. The container unit 20 is installed in the holder 34.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5, by hanging the recessed part 28 and 29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the horizontal frame 37 part of the front part 38 and the back part 39. FIG. The container unit 20 can be installed in the holder 34.

이같이 하여, 다수의 용기 유닛(20)의 괘지부(28, 29)를, 도 15와 같이 유지체(34)의 가로 프레임(37)에 건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상기 유지체(34)의 각 스퀘어에 대응하여, 그 스퀘어의 약간 아래쪽에 1개씩 배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는,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용기 유닛(20)이 적층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접촉 상태로 되어, 안정된 상태로 용기 유닛(20)이 상하로 적층되게 된다.In this manner, the holding portions 28 and 29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20 are fastened to the horizontal frame 37 of the holding body 34 as shown in FIG. 15, and the holding bodies as shown in FIGS. 13 and 14. Corresponding to each square of 34, one is disposed slightly below the square, and the container units 2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us, in the stat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several container unit up and down, the bottom face part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ainer is in a surface contact state, and the container units 20 are stacked up and down in a stable state.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의 대략 중앙에 오목부(10)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0)의 아래로 향한 돌출형 부분이 끼워 넣어지는 오목형 부분을 상면에 가지는 오목부(11)가 커버체(3)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었을 때,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면부(1e)의 오목부(10)가 커버체(3)의 오목부(11) 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고, 그 결과, 상하로 적층되는 용기 유닛(20)의 적층 상태가 한층 안정되게 되어, 덜거덕거림 등도 방지되게 된다.Moreover, in this case, the recessed part 10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bottom part 1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recessed part which the protrusion part facing down of the said recessed part 10 is fitted. Since the recessed part 11 which has a mold part i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cover body 3, the bottom face part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and the lower container unit 20 as mentioned above. When the cover body 3 is brought into a surface contact state, as shown in FIG. 15, the recessed portion 10 of the bottom face portion 1e is fit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1 of the cover body 3. As a result, the stacked state of the container units 20 stacked up and down is further stabilized, and rattling and the like are also prevented.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의 오목부(10)와, 커버체(3)의 오목부(11)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의 복수 개의 도수공(12, 13)이 각각 천설되어 있고, 복수 개 용기 유닛(20)을 적층시켰을 때,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에 있어서의 도수공(12)과, 커버체(3)의 오목부(11)에 있어서의 도수공(13)이, 약간 이격되면서도 대략 연통된 상태로 되므로, 관수(灌水)를 행하여,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그 물은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고 있는 토양(30)이나,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의 부분에 침투하는 동시에 상기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의 오목부(10) 내에 바람직하게 집수되고, 그 오목부(10) 내의 도수공(1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배출되고,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의 오목부(11) 내에 바람직하게 집수되게 된다. 그리고, 커버체(3)의 오목부(11) 내에 집수된 물은, 그 오목부(11) 내의 도수공(13)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20) 내에 바람직하게 물을 끌어들이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recessed part 10 of the bottom face part 1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recessed part 11 of the cover body 3, several thin-shaped rectangular-shaped water holes 12 and 13, respectively, are provided. When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20 are stacked, the water holes 12 in the recesses 10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recesses 11 of the cover body 3 are laid. Since the water supply hole 13 in the state is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in communication while being slightly spaced apart, when water is introduced an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unit body 1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the water is It penetrates into the soil 30 contain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r the part of the root support 33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and at the same time, the recess of the bottom part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It is preferably collected in the portion 10,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water hole 12 in the recess 10, and in the recess 11 of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It is to be recommended to the collect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recess 11 of the cover body 3 preferably draws water into the container unit 20 below from the water hole 13 in the recess 11.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도수공(12, 13)의 부분을 통하여, 위쪽의 용기 유닛(20)에 도입된 물이, 차례로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에 도입되게 되고, 관수된 물은,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된 다수의 용기 유닛(20) 내에 수용된 토양(30) 등에 남김없이 골고루 미치게 되고, 벽면의 앞면 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용기 유닛(20)의 전체에서의 투수성(透水性)이 유지되게 된다.In this way,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ntainer unit 20 is sequentially introduced into the lower container unit 20 through the portions of the above-mentioned ditches 12 and 13, and the water to be watered is up and down It spreads evenly without leaving the soil 30 etc. accommodated in the several container unit 20 arrange | positioned by the stack, and the water permeability in the whole of the several container unit 20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a wall surface Will be maintained.

또한, 관수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가 커버체(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에 대한 관수를 바람직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홈부(21)가 커버체(3)의 오목부(11) 및 도수공(13)에 연통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연통 상태로 된 도수공(12, 13)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되어 적층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 상호 간에서의 물의 유통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groove part 21 which inserts the watering pipe for watering is formed in the cover body 3, watering to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can be performed preferably and easily, and a groove part Since 2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ditches 13 of the cover body 3,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vessel unit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 It is possible to reliably obtain the effect that the circulation of water between a plurality of stacked container units introduced and stacked in the lower container units through 12, 13 becomes good.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방 측면부(1c)에는 긴 구멍(18)이 천설되어 있으므로, 투수성뿐아니라, 용기 유닛 본체(1) 내의 통기성도 유지되게 된다.Moreover, since the long hole 18 is laid in the rear side part 1c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not only water permeability but also the breathability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re maintained.

또한, 개구부(6)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 측에는, 양 측면부(7a, 7b)와 저면부(7c)와의 3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후드부(7)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와 같은 방향으로, 커버체(3)에도 후드부(8)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커버체(3)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의 양 측면부(7a, 7b) 및 저면부(7c)와 커버체(3)의 후드부(8)로 사방이 포위된 상태로 되므로, 이와 같이 사방이 포위된 후드부(7, 8)에 의해,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에 수용되어 있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측면의 개구부(6)로부터 앞면 측으로 돌출된 식물체(32)의 부분에 대한 풍압이 바람직하게 경감되게 된다.Moreov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which the opening part 6 was formed, the hood part 7 formed so that the three surfaces of the both side parts 7a and 7b and the bottom face part 7c may be protruded outwards, Moreover, since the hood part 8 also protrudes in the cover body 3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od part 7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the state which closed the cover body 3, FIG. 8 and FIG. As shown in FIG. 9, the four sides are surrounded by both side portions 7a and 7b and the bottom portion 7c of the hood portion 7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and the hood portion 8 of the cover 3. Since it is in the state, the opening part 6 of the side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accommodated in the space part 5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by the hood parts 7 and 8 which were surrounded in all directions in this way. The wind pressure on the part of the plant 32 which protrudes from the front side to the front side is preferably reduced.

또한, 용기 유닛 본체(1) 및 커버체(3)의 후드부(7, 8)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멍(9)이 다수 천설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후드부(7, 8)에 의해 식물체(32)의 부분에 대한 풍압이 경감되는 한편, 투수성이 불량으로 되지도 않는다.Moreover, since many substantially rectangular holes 9 are laid in the hood parts 7 and 8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cover body 3, as mentioned above, in the hood parts 7 and 8, As a result, the wind pressure on the part of the plant 32 is reduced, while the water permeability is not deteriora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유지체(34)에 걸면서,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커버체(3)와의 면접촉 상태로 상하로 적층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포트 모종 식물(31)을 이용한 벽면 녹화를, 간단한 시공법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20 are placed on the holding body 34 while in the surface contact state between the bottom face 1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cover body 3. By laminating | stacking up and down, it can install easily and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wall greening using the pot seedling plant 31 by a simple construction method.

또한, 각각의 용기 유닛 본체(1)에 대한 포트 모종 식물(31)의 수용 작업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면 개구부(2)로부터 토양(30)을 먼저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의 소정 위치의 높이까지 수용하고, 다음에, 그 토양(30) 상에 포트 모종 식물(31)을 탑재하고, 측면의 개구부(6)로부터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측에 노출시키고, 그 후에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의 부분을 덮도록 토양(30)을 재차 수용하여, 공간부(5) 내를 대략 가득한 상태로함으로써, 토양(30)이나 포트 모종 식물(31)의 수용 작업 자체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시공성도 양호해진다.In addition, the storage operation | work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with respect to each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also the space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first before the soil 30 from the upper surface opening part 2 as mentioned above. 5) It accommodates to the height of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inside, Next,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mounted on the soil 30, and the plant 32 of the said pot seedling plant 31 is opened from the opening part 6 of a side surface. By exposing the part to the outside and then receiving the soil 30 again so as to cover the part of the root support 33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the space 5 is approximately filled, thereby making the soil ( 30) and the receiving operation itself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can also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Therefore, workability also improves by that much.

이와 같이, 다수의 용기 유닛(20)이 설치된 벽면의 앞면 측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 유닛(20)에 수용된 포트 모종 식물(31)에 의한 벽면 녹화가 행해지게 되지만, 한편,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걸어 유지시키고 있는 유지체(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재로 이루어지는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을 종횡으로 교차, 배치하여 구성된 것이며, 만성(蔓性) 식물(35)의 등반(登攀)에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만성 식물(35)을 유지체(34)의 앞면부(38)에 따라 등반시킴으로써, 포트 모종 식물(31)과 만성 식물(35)과의 양쪽에 의한 벽면 녹화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In this way, on the front side of the wall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20 are installed, wall greening is performed by the pot seedling plants 31 housed in the container unit 20.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container units 20 The holding body 34 which hangs) is comprised by crossing and arrange | positioning the vertical frame 36 and the horizontal frame 37 which consist of steel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mentioned above, and the chronic plant 35 Since it can also be used for climbing, by climbing the chronic plant 35 along the front part 38 of the retainer 34, both the pot seedling plant 31 and the chronic plant 35 Wall recording can also be performed.

이와 같이, 만성 식물(35)을 사용한 녹화를, 상기와 같은 포트 모종 식물(31)에 의한 녹화와 병용하는 경우, 그 만성 식물(3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지체(34)를 등반시키면서 시공할 수 있는 외에, 유지체(34)의 상부 측으로부터 수하(垂下)되도록 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Thus, when the greening using the chronic plant 35 is used together with the greening by the above-mentioned pot seedling plant 31, the chronic plant 35 climbs the holding body 34 a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o th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an also be carried ou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body 34.

(실시예 2)(Example 2)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의 용기 유닛(20)을 사용하고 있지만,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유지체(34)에 건 상태에서,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용기 유닛(20)이,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적층되지 않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소한 간극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점에서,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어 있었던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상위하다.In the present Example 2, although the container unit 20 of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said Example 1 is used, the container unit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mutually in the state which attached the many container unit 20 to the holding body 34 is mentioned. As shown in FIG. 16, the cover 20 of the bottom face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lower container unit 20 are not laminated | stacked like Example 1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16, the sieve 3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slight gap. In this regard, the bottom surface portion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cover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iffer

이와 같이, 근소한 간극을 두고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각각의 용기 유닛(20)의 괘지부(28, 29)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34)의 가로 프레임(37)에 걸려 상기 유지체(34)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각 용기 유닛(20)이 유지체(34)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Thus, even if the bottom part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are spaced apart by the slight clearance gap of each container unit 20, As shown in FIG. 16, the hanging parts 28 and 29 are caught by the horizontal frame 37 of the holding body 34, and are reliably held by the holding body 34, so that each container unit 20 is held. There is no deviation from the sieve 34.

따라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각 용기 유닛(20)은, 유지체(34)의 각 스퀘어에 대응하여 1개씩 배치되게 된다. 즉, 유지체(34)의 스퀘어의 치수의 설정에 의해, 용기 유닛(20)의 괘지부(28, 29)를 유지체(34)의 가로 프레임(37)에 걸었을 때, 본 실시예 2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이격된 상태로 되는 것이 있으면,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어, 상하의 용기 유닛(20)이 적층된 상태로 되는 경우도 있다.Therefore, also in this Embodiment 2, each container unit 20 is arrange | positioned one by one corresponding to each square of the holding body 34.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when the hanging portions 28 and 29 of the container unit 20 are hooked to the horizontal frame 37 of the holder 34 by setting the dimensions of the square of the holder 34,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if the bottom portion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pper container unit ( The bottom face part 1e of 20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may be in surface contact, and the upper and lower container units 20 may be laminated | stacked.

어느 것으로 해도, 각각의 용기 유닛(20)의 괘지부(28, 29)가 유지체(34)의 가로 프레임(37)에 걸려 상기 유지체(34)에 확실하게 유지된 상태로 되므로,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어, 상하의 용기 유닛(20)이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는, 각각의 용기 유닛(20)이 안정된 상태로 종횡으로 다수 배치되는 것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은 없다.In any case, the hanging portions 28 and 29 of the respective container units 20 are caught in the horizontal frame 37 of the holder 34 so as to be securely held by the holder 34. Whether the bottom face part 1e of the container unit 20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are in a surface contact state, and whether the upper and lower container units 20 are in a stacked state is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ainer unit 20 being arranged in a number of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in a stable state.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지 않아, 근소한 간극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1에 비하면,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커버체(3)에 형성된 도수공(12, 13)은 이격된 상태로 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face portion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do not come into surface contact, thus providing a slight gap. Sinc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said Embodiment 1, compared with Example 1, the bottom part 1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water flow holes 12 and 13 formed in the cover body 3 become spaced apart.

그러나,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의 도수공(12)과 커버체(3)의 도수공(13)은, 각각 오목부(10, 11)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근소한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었다고 해도,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에 형성된 도수공(12)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에 형성된 오목부(11)에 용이하게 집수되게 된다.However, also in the present Example 2, the hydraulic hole 12 of the bottom face part 1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hydraulic hole 13 of the cover body 3 are each in the recessed part 10, 11, respectively. Since it is formed, even if the bottom part 1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were spaced apart by the slight gap,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unit 20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hole 12 formed in the portion 1e is easily collected by the recess 11 formed in the cover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20.

따라서, 오목부(11) 내에 집수된 물은, 그 오목부(11)에 형성된 도수공(13)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용이하게 도입되게 된다. 이 결과,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관수를 행하여,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그 물은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고 있는 토양(30)이나,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의 부분에 침투하는 동시에 위쪽의 용기 유닛(20)에 도입된 물은, 도수공(12, 13)의 부분을 통하여, 차례로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에 도입되게 되고, 관수된 물은,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용기 유닛(20) 내에 수용된 토양(30) 등에 남김없이 골고루 미치게 된다.Therefore, the water collected in the recess 11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f the container unit 20 below from the water supply hole 13 formed in the recess 11. As a result, 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embodiment, water is contained in the soil 30 contain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 And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ntainer unit 20 while penetrating the portion of the root support 33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are sequentially lowered through the portions of the ditches 12 and 13.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unit 20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soil 30 and the lik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20 arranged up and down.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관수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가 커버체(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에 대한 관수를 바람직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홈부(21)가 커버체(3)의 오목부(11) 및 도수공(13)에 연통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도수공(12, 13)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 상호 간에서의 물의 유통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Moreover, also in the present Example 2, since the groove part 21 which inserts the watering pipe for watering is formed in the cover body 3, watering to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a pot seedling plant is preferable and easy. In addition, since the groove portion 21 is in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the recess 11 and the water hole 13 of the cover body 3,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ntainer unit The effect that water can be reliably distribut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disposed up and down by being introduced into the lower container unit through the water holes 12 and 13 can be reliably obtained.

본 실시예 2의 용기 유닛(20)의 구성 자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같고, 또한 그 외의 작용은 상기 실시예 1과 공통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mentioned above, the structure itself of the container unit 20 of this Embodiment 2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and since the other operation is common with the said Embodiment 1,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예 3)(Example 3)

본 실시예 3은, 용기 유닛(20)의 배치 태양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유지체(34)의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 사이에 형성되는 각 스퀘어의 모두에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지 않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의 스퀘어에는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지 않아, 스퀘어의 공간부(41)를 유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This third embodiment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units 20.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ntainer unit 20 is not disposed in all of the square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36 and the horizontal frame 37 of the holder 34 shown in FIGS. 12 to 14, As shown in FIG. 17, the container unit 20 is not arrange | positioned in some square and it is in the state which hold | maintained the space part 41 of a square.

본 실시예 3에서는, 종횡으로 다수의 스퀘어를 가지는 유지체(34)의 전체에 있어서, 도 17과 같이, 좌우 2열씩의 스퀘어에 공간부(41)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41)가, 유지체(34)의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의 좌측 위쪽으로부터 우측 아래쪽에 걸쳐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된 공간부(41) 이외의 각 스퀘어의 부분에는,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점에서, 모든 스퀘어의 부분에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었던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상위하다.In the third embodiment, in the entirety of the holder 34 having a plurality of squar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17, the space portions 41 are formed in squares of two left and right columns, and the space portions 41 ar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inclined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in the front view of the holding body 34. As shown in FIG. And the container unit 20 is arrange | positioned in each square part other than the space part 41 arrange | positioned obliquely in this way. This differs from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container unit 20 is disposed in all square portions.

본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모든 스퀘어의 부분에 용기 유닛(20)을 배치하지 않고, 일부의 스퀘어에 공간부(4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용기 유닛(20)이 배치된 스퀘어의 부분에 있어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식물이 생육하여, 그 생육한 식물에 의해 유지체(34)의 앞면 측이 장식된 상태로 되지만, 공간부(41)가 형성된 스퀘어에 있어서는, 생육한 식물이 앞면 측에 출현되어 있지 않고, 이와 같이 유지체(34)의 앞면 측의 소정 위치에 공간부가 배치되었으므로, 전체적으로 독자적인 장식성(裝飾性)을 얻을 수 있게 된다.In Example 3, since the space part 41 is formed in some squares, without having arrange | positioned the container unit 20 in every square part, in the square part where the container unit 20 was arrange | positioned, The plant grows with time, and the front side of the holding body 34 is decorated by the grown plant, but in the square in which the space portion 41 is formed, the grown plant appears on the front side. Since the space portion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front face side of the holding body 34 in this manner, an original decorative property can be obtained as a whole.

그리고, 본 실시예 3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2열씩의 스퀘어에 공간부(41)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41)가, 유지체(34)의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의 좌측 위쪽으로부터 우측 아래쪽에 걸쳐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공간부(41)가 형성되는 위치는 본 실시예 3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공간부(41)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벽면 녹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thir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portions 41 are formed in the squares of the left and right two rows, and the space portions 41 are in the upper left corn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holder 34. Although it wa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inclined from the right lower side from the inside, the position in which the space part 41 is formed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3, It can change arbitrarily. By arbitrari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pace portion 41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alize wall recording with high design freedom.

용기 유닛(20)의 구성 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etc. of the container unit 20 are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Example 1,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예 4)(Example 4)

본 실시예 4는, 용기 유닛(20)의 배치 태양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도, 각 스퀘어의 모두에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용기 유닛(20)을 설치한 스퀘어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스퀘어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유닛(2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스퀘어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42)이 끼워넣어져 있다.This fourth embodiment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units 20. Also in this Embodiment 4, the container unit 20 is not arrange | positioned in all the squares, The square which provided the container unit 20, and the square which is not provided are alternately arrange | positioned. And as shown in FIG. 18, the panel 42 is fitted in the square in which the container unit 20 is not provided.

이와 같은 패널(42)이 끼워넣어져 있는 점에서, 단지 공간부(41)로 되어 있었던 실시예 3과 상위하고, 또한 각 스퀘어의 모두에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 1과도 상위하다.Since this panel 42 is fitted, it differs from Example 3 which was only the space part 41, and also differs from Example 1 in which the container unit 20 is arrange | positioned in all the squares. Do.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용기 유닛(20)을 설치한 스퀘어과 패널(42)을 끼워넣은 스퀘어를 교호적으로 배치하였으므로, 용기 유닛(20)이 설치된 스퀘어의 부분에 있어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식물이 생육하고, 그 생육한 식물에 의해 유지체(34)의 앞면 측이 장식된 상태로 되지만, 패널(42)이 끼워넣어진 부분에 있어서는, 그 패널(42)에 의한 장식성이 출현되어, 식물체와 패널(42)에 의해, 독자적인 장식성을 출현할 수 있다.In Example 4, since the square which installed the container unit 20 and the square which inserted the panel 42 were alternately arrange | positioned, in the part of the square in which the container unit 20 was installed, a plant with time progresses. Although the front side of the holding body 34 is decorated by this growing and growing plant, in the part which the panel 42 was inserted, the decorative property by the panel 42 appears, and the plant body By the panel 42, original decorativeness can be exhibited.

용기 유닛(20)의 구성 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etc. of the container unit 20 are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Example 1,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예 5)(Example 5)

본 실시예 5는, 유지체(34) 구성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9는 본 실시예 5의 유지체(34)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 5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을 교차시켜 앞면부(38)와 후면부(39)로 구성된 스퀘어를 가지는 격자형의 프레임을,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43) 측뿐아니라, 양 측면(44, 44) 측 및 배면(45) 측에도 설치하여, 사방으로부터 용기 유닛(20) 내의 식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지체(34)가 구성되어 있다.The fifth embodiment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holder 34, and 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the holder 34 of the fifth embodiment. In the fifth embodiment, a lattice-shaped frame having a square composed of the front part 38 and the rear part 39 by crossing the vertical frame 36 and the horizontal frame 37 as shown in Fig. 12 is shown in Fig. 19. As shown, the holding body 34 is comprised not only in the front 43 side but also in the both side 44, 44 side, and the back 45 side, and can appreciate the plant in the container unit 20 from all directions. .

이와 같이, 스퀘어를 가지는 격자형의 프레임이 사방으로 설치되고, 사방으로부터 용기 유닛(20) 내의 식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지체(34)가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일방향만으로부터 용기 유닛(20) 내의 식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지체(34)가 구성되어 있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와 상위하다.Thus, since the frame | skeleton-shaped frame which has a square is provided in all directions, and the holding body 34 is comprised so that the plant in the container unit 20 can be seen from all directions, the container unit 20 is only from one direction. It differs from the case of the said Example 1-Example 4 in which the holding body 34 is comprised so that the plant in there may be enjoyed.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유지체(34)는, 벽면 녹화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벽면의 앞면 측에 유지체(34)가 설치되고, 그 유지체(34)의 스퀘어 내에 설치되는 용기 유닛(20) 내의 식물이 앞면 측으로부터만 감상할 수 있으면 충분한 데 대하여, 본 실시예 5의 유지체(34)는, 식물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3)가, 각각 사방의 프레임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도록, 각 프레임에 용기 유닛(20)이 설치되게 되므로, 실내 측 녹화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holder 34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is used for wall recording, the holder 3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wall, and is provided in a square of the holder 34. It is enough that the plants in the unit 20 can appreciate only from the front side. As for the holding body 34 of the fifth embodiment, the openings 3 exposing the plant parts have an outer side in each frame. Since the container unit 20 is provided in each frame so as to face, it can be used for indoor side greening.

용기 유닛(20)의 구성 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etc. of the container unit 20 are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Example 1,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그 외의 실시예)(Other Examples)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 유닛 본체(1)가, 사방으로 측면부(1a, 1b, 1c, 1d)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사각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용기 유닛 본체(1)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또한 다른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요점은,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그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6)가 형성된 형태의 것이면 된다. 단, 측면의 개구부(6)의 형성의 용이함, 종횡으로 배치하는 경우의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바닥이 있는 사각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was formed in the bottomed square cylinder shape which has side parts 1a, 1b, 1c, 1d in all directions, the shap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the said implementa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the bottomed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another form. The point is that the plant 32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at can accommodate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the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What is necessary is just the form in which the opening part 6 to expose is formed.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formation of the side opening 6, workability in the case of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ranged,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bottomed rectangular cylinder like the above embodiment.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방의 측면부(1a, 1b, 1c, 1d)가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약간 경사 내측을 향하는 테이퍼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와 같이 사방의 측면부를 경사 내측을 향하는 테이퍼형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Moreover,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side part parts 1a, 1b, 1c, 1d of four sides were formed so that it might become a taper type toward a slightly inclined inner side from the upper side to a downward side, in this way, the tapered type which inclined the side surface parts of all four sides inclined inside It is not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is invention to form so that it may becom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측면의 개구부(6)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 측에 후드부(7)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와 같은 방향으로, 커버체(3)에도 후드부(8)를 돌출시켰으므로, 사방이 포위된 후드부(7, 8)에 의해,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와 같은 후드부(7, 8)를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while the hood part 7 protrudes outward at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which the opening part 6 of the side was formed, the hood part 7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was carried out. Since the hood part 8 was also protruded also to the cover body 3 in the same direction as (), the hood parts 7 and 8 surrounded by four sides were used to cover the plant 32 part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Although the preferable effect which can reduce a wind pressure was acquired, forming such hood parts 7 and 8 is also not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is invention.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면 개구부(2)를 커버체(3)로 닫은 상태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층시켰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에, 각각 오목부(10, 11)를 형성하였으므로, 저면부(1e)의 오목부(10)가 커버체(3)의 오목부(11) 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고, 상하로 적층된 용기 유닛에 덜거덕거림이 생기지 않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와 같은 오목부(10, 11)를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said Example, when the several container unit was laminated | stacked in the state which closed the upper surface opening part 2 with the cover body 3,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the upper container unit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Since the recessed parts 10 and 11 were formed in the cover body 3 of the bottom face part 1e and the lower container unit, respectively, the recessed part 10 of the bottom face part 1e is the recessed part of the cover body 3 ( 11) A preferable effect of being embedded in the container unit and having no rattling in the container units stacked up and down was obtained, but forming such recesses 10 and 11 is not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에, 도수공(12, 13)을 천설하였으므로, 관수 등에 의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도수공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도 도입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 용기 유닛 전체의 물의 유통이 매우 양호하게 되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와 같은 도수공(12, 13)을 천설하는 것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said Example, when a some container unit is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the bottom face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in the upper container unit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mutually Since the water holes 12 and 13 are lai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ntainer unit by watering or the like is also introduced into the lower container unit through the water hole, so that the flow of water of the entire plurality of the container units arranged up and down is prevented. Although the favorable effect which becomes very favorable was acquired, it is not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is invention to install such a waterworks 12 and 13, too.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재질도 상기 실시예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의 범용성의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합성 수지 이외의 소재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not limited to general-purpose synthetic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olystyrene of the said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thing of materials other than synthetic resin.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격자형으로 형성된 유지체(34)의 모든 스퀘어마다 용기 유닛(20)을 설치했지만, 유지체(34)의 모든 스퀘어마다 용기 유닛(20)을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용기 유닛(20)을 설치하지 않고 공간부(41)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실시예 4와 같이 패널(42)을 끼워넣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said Example 1, although the container unit 20 was provided in every square of the holder 34 formed in the grid | lattice form,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install the container unit 20 in every square of the holder 34. As in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orm the space portion 41 without providing the container unit 20, and the panel 42 can also be fitte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격자형으로 형성된 유지체(34)를 사용하여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종횡으로 배치하였으나, 이와 같은 유지체(34)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20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using the holding body 34 formed in such a lattice shape, but the use of such holding body 34 is also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그리고, 본 발명의 녹화용의 용기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면의 앞면 측의 종횡으로 다수 설치하여 벽면 녹화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주안(主眼)으로 하는 것이지만, 그 용도는 벽면 녹화용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실내 측 녹화용 등, 다른 녹화용의 용도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uses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installations on the front side of the wall to be used for wall greening, but its use is not limited to wall greening. Instea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other recording purposes, such as for indoor recording as in the fifth embodiment.

1: 용기 유닛 본체
2: 개구부
3: 커버체
5: 공간부
6: 개구부
7: 후드부
8: 후드부
12: 도수공
13: 도수공
20: 용기 유닛
21: 홈부
28: 괘지부
29: 괘지부
31: 포트 모종 식물
32: 식물체
1: container unit body
2: opening
3: cover body
5: space part
6: opening
7: hood
8: hood
12: Monk
13: Monk
20: container unit
21: home
28: hanging branch
29: hanging branch
31: pot seedlings plants
32: plant

Claims (20)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pot)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pot seedling pla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at can accommodate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the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The opening part 6 which can expose the plant 32 part of (31) to the outside is formed,
Container unit for gre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가,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상기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와는 별도로 용기 유닛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2 for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separate from the opening 6 capable of exposing the plant 32 portion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to the outside.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를 더 포함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which further includes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2)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for accommodating the said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said pot seedling plant (3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를 유지하는 유지체(34)에 걸기 위한 괘지부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wherein a hanging portion for hanging on a holding body (34) holding the container unit body (1) is form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괘지부는,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 측에 오목형으로 형성된,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wherein the hanging portion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상기 식물체(32) 부분에 대한 풍압(風壓)을 경감시키기 위한 후드부(hood member)가, 상기 식물체(32)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hood member for reducing the wind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said plant 32 part part of the said pot seedling plant 31 accommodated in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a part of the said plant 32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provided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opening part 6 which can expose the outside to the outsid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위쪽의 용기 유닛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으로 물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저면부(1e)와 상면부에, 도수공(導水孔)(12, 13)이 천설(穿設)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re arranged up and down, waterworks 12, 13 are installed in the bottom face 1e and the upper face so that water can be drawn from the upper container unit to the lower container unit. (Iv) A container unit for green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도수공(13)은,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오목부(11) 내에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is formed in the recessed part (11) formed in the said upper surface par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수(灌水)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가 더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groove part 21 which inserts the watering pipe for water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는, 상면부의 오목부(11) 및 도수공(13)에 연통 상태로 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roove part (21) into which the said water pipe is inserte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ssed part (11) and the water hole (13) of an upper surface part,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전체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is comprised from the synthetic resin.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및 상기 커버체(3)의 전체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0,
The container unit for greening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the said cover body (3) is comprised from synthetic resin.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면에 개구부(2)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체(3)로 상면 개구부(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3)를 닫은 상태에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적층시켰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도록,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커버체(3)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which can accommodate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the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and the opening part 2 wa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pening part 2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pot seedling plant 31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in the state which closed the upper surface opening part 2 with the cover body 3, and is comprised by the cover body 3 which enables opening / closing). An opening 6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so that the plant 32 part of the plant 32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re stacked up and down while the cover body 3 is closed. When the bottom surface 1e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of the upper container unit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cover body 3 of the lower container unit are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e part 1e and the cover body 3 are provided, respectively.
Container unit for greening.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가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의 개구부(6)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어도 상하로 설치하여 시공하는,
녹화 공법.
The pot seedling plant 31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that can accommodate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the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Prepare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formed by the opening 6 is form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plant 32 to the outside,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30 and a pot seedling plant 31 ar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nd the plant 32 portion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held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pening part 6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Installing and installing at least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Greening techniqu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 및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와는 별도로 용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녹화 공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opening 2 for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a container separate from the opening 6 capable of exposing the plant 32 portion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to the outside. The greening method formed in the main body (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 및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1)의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가 더 포함되어 있는, 녹화 공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cover (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2) of the container body (1) for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 좌우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녹화 공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A greening method,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re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20)의 용기 유닛 본체(1)의 괘지부를 유지체(34)에 걸어, 상기 유지체(34)에 용기 유닛을 유지시키는, 녹화 공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7,
The hanging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of the several container unit 20 which accommodated the said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said pot seedling plant 31 hangs on the holding body 34, and a container is hold | maintained at the said holding body 34 Greening technique to keep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34)는, 프레임을 상하 좌우에 설치한 대략 격자형의 것인, 녹화 공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said holding body (34) is a substantially grid-like method which provided the frame in the up, down, left, right.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면에 개구부(2)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체(3)로 상면 개구부(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의 개구부(6)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도록, 상하로 적층하는 동시에, 좌우에도 설치하여 시공하는,
녹화 공법.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which can accommodate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the soil 30,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and the opening part 2 wa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pening part 2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opening 2 is closed by the cover body 3. The opening part 6 in which the part of the plant 32 was exposed to the outside prepares the some container unit comprised in the side part of the said container unit main body 1, and was comprised,
A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such as soil 30 and a pot seedling plant 31 ar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nd the plant 32 portion of the pot seedling plant 31 is stored in the container unit body 1.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pening part 6 of the side part of the container unit main body 1,
A plurality of container units accommodating the plant cultivation base member and the pot seedling plant 31 are provided with the bottom face portion 1e of the container unit body 1 of the upper container unit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cover body of the lower container unit ( 3) is laminated up and down, and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in a surface contact state,
Greening technique.
KR1020107004088A 2007-12-27 2008-10-21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KR1012280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6563 2007-12-27
JP2007336563 2007-12-27
JP2008242422A JP5368041B2 (en) 2007-12-27 2008-09-22 Container unit for greening
JPJP-P-2008-242422 2008-09-22
PCT/JP2008/069043 WO2009084310A1 (en) 2007-12-27 2008-10-21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492A true KR20100098492A (en) 2010-09-07
KR101228003B1 KR101228003B1 (en) 2013-02-01

Family

ID=4102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088A KR101228003B1 (en) 2007-12-27 2008-10-21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68041B2 (en)
KR (1) KR101228003B1 (en)
CN (1) CN101909426A (en)
TW (1) TWI41349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4942B (en) * 2010-05-11 2013-02-11 Long Wei Technology Co Ltd Stable plant nurture container
JP5633964B2 (en) * 2010-10-26 2014-12-03 ダイトウテクノグリーン株式会社 Greening surface materials
GB201113714D0 (en) * 2011-08-09 2011-09-21 Seddon Alan M Plant container with channels
JP5899362B1 (en) * 2015-07-22 2016-04-06 孝己 伊藤 flower pot
JP6799309B1 (en) * 2020-08-05 2020-12-16 川田工業株式会社 Planting container unit and greening method using i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931U (en) * 1979-07-30 1981-02-26
JPS5697007A (en) * 1979-12-31 1981-08-05 Mitsumoto Kasei Kk Tree-planting device in bank
JPS5929166U (en) * 1982-08-19 1984-02-23 須田 和笑 upside down ornamental pot
JPH049554U (en) * 1990-05-17 1992-01-28
JP2603489Y2 (en) * 1993-11-08 2000-03-13 有限会社ワイダー Ornamental flowerpot
JPH07213176A (en) * 1994-01-29 1995-08-15 Nakajima Shoji Kk Container for cultivating plant
JP3549130B2 (en) * 1995-06-30 2004-08-04 株式会社淺沼組 Planting wall and planting container used for it
JPH1080232A (en) 1996-09-09 1998-03-31 Yukihiro Funai Plant raising vessel
JPH11243783A (en) * 1998-02-27 1999-09-14 Kazuhiko Kitagawa Flowering container rack and flowering container supporter
JP2000209952A (en) * 1999-01-25 2000-08-02 Inoue Sudare Kk Cultivation basket blade of bamboo
JP2002027829A (en) * 2000-07-11 2002-01-29 Tomohiro Manabe Wall surface greening apparatus of lightweight thin plate
JP2004283070A (en) * 2003-03-20 2004-10-14 Toho Leo Co Greening mat, greening unit and method for greening building surface
JP2005160381A (en) * 2003-12-02 2005-06-23 San Rail:Kk Wall surface greening device
JP2005229882A (en) * 2004-02-19 2005-09-02 Daikichi Suematsu Moss vegetating pot
JP4112539B2 (en) * 2004-08-23 2008-07-02 協和株式会社 Rooftop greening equipment
JP3117360U (en) * 2005-10-05 2006-01-05 弘二 岩野 Nursery pot with lid with seeds
JP3121520U (en) * 2006-02-27 2006-05-18 五男 井上 Crop cultivation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3496B (en) 2013-11-01
CN101909426A (en) 2010-12-08
JP5368041B2 (en) 2013-12-18
KR101228003B1 (en) 2013-02-01
JP2009171953A (en) 2009-08-06
TW200939946A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475B1 (en) Plant cultivating unit and plant cultivating container
KR100676993B1 (en) Plant cultivation mat and method for laying the same
KR101228003B1 (en)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CA2771773C (en) Modular support for plants
EP2306805A1 (en) Post or wall mounted stackable plant pot
EP2341187B1 (en) Wall for a buiding built up from a plurality of building blocks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KR101471062B1 (en) Block for greening wall and wall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479212B1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1203135B1 (en) planter apparatus and method for wall afforestation
KR101638985B1 (en) Prefabricated planting module
JP2009165400A (en) Planting unit, greening planting unit using the planting unit, and system for the greening planting unit
KR200402616Y1 (en) Wall Greening Construction Structure
JP2004254559A (en) Greening panel
KR101046650B1 (en) Planting structure, Revetment having the Planting structure and building method of the Revetment
WO2006041292A1 (en) Sound-damping screen covered with growth, comprising panels covered with plants and a support construction
WO2009084310A1 (en)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KR101877024B1 (en) Civil Block for Vegetation
CN111820035A (en) Multifunctional combined planting container
CN215165857U (en) Gardens grass planting check well lid
JP4226296B2 (en) Greening container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CN212813009U (en) Multifunctional combined planting container
JP6799309B1 (en) Planting container unit and greening method using it
JP4747135B2 (en) Planting mat and its laying method
KR100777386B1 (en) Outer wall of a buikding with tree plan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