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892A -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892A
KR20100095892A KR1020090014920A KR20090014920A KR20100095892A KR 20100095892 A KR20100095892 A KR 20100095892A KR 1020090014920 A KR1020090014920 A KR 1020090014920A KR 20090014920 A KR20090014920 A KR 20090014920A KR 20100095892 A KR20100095892 A KR 20100095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ing utensil
coupling
connection b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난기
Original Assignee
조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난기 filed Critical 조난기
Priority to KR102009001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892A/ko
Publication of KR2010009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구에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조작이 간단하고 쉽고, 상기 손잡이를 조리기구로부터 분리시키면 냄비를 보관하거나 전자레인지 등 좁은 공간에 넣을 경우에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편리하고, 장시간 조리기구를 가열시, 손잡이를 분리시켜 가열하게 됨으로써 손잡이가 뜨거워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있으며, 상기 손잡이를 분리시켜 크기가 각각 다른 냄비를 큰 냄비 안에 작은 냄비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다수개의 냄비를 보관하기 수월하고, 그로 인해 수납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손잡이, 조리기구, 냄비, 탈부착, 스프링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Handle of Cook-pot}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구에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조작이 간단하고 쉽고, 상기 손잡이를 조리기구로부터 분리시키면 냄비를 보관하거나 전자레인지 등 좁은 공간에 넣을 경우에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편리하고, 장시간 조리기구를 가열시, 손잡이를 분리시켜 가열하게 됨으로써 손잡이가 뜨거워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를 분리시켜 크기가 각각 다른 냄비를 큰 냄비 안에 작은 냄비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다수개의 냄비를 보관하기 수월하고, 그로 인해 수납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용기인 냄비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를 이동하기 위해 용기 본체의 바깥둘레면 상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 개구부에 안치하여 닫기 위한 뚜껑과, 상기 뚜껑을 개폐하기 위해 뚜껑의 중앙 상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음식물을 끓여서 조리하기 위한 대부분의 조리용기(냄비, 프라이팬 등)들은 가열기구에 안전하게 들어 올려놓거나 내려놓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가 냄비의 외주면 상측에 대칭방향으로 취부 고정되어 있으며,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는 비교적 긴 막대형상의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는 조리를 할 때 가열기구로부터 전도되는 열의 차단작용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조리용기의 손잡이는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상기 손잡이를 분리가 가능하도록 냄비에 결합시키는 기술은 등록 20-0166096 실용신안에 공개된 기술이 있다.
이 공보에 공개된 분리형 냄비 손잡이는 냄비 외부로 중앙에 구멍이 있는 'ㄷ'자 형상의 브라켓트가 부착되고, 이 브라켓트에 냄비 손잡이가 착탈되는데, 손잡이는 역유(u)자 형상의 고리가 전방에 형성되어서 냄비의 브라켓트에 손잡이 고리가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기구에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조작이 간단하고 쉽고, 상기 손잡이를 조리기구로부터 분리시키면 냄비를 보관하거나 전자레인지 등 좁은 공간에 넣을 경우에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편리한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조리기구를 가열시, 손잡이를 분리시켜 가열하게 됨으로써 손잡이가 뜨거워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를 분리시켜 크기가 각각 다른 냄비를 큰 냄비 안에 작은 냄비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다수개의 냄비를 보관하기 수월하고, 그로 인해 수납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결합대가 형성된 조리기구에 탈부착 되는 조리기구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와;
상기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수평단면상 "U" 형태를 취하는 결합 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조리기구의 결합대에 삽입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손잡이 본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어 결합되고, 일단면이 연결바의 결합부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바를 중앙부로 푸쉬해주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는 조리기구에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조작이 간단하고 쉽고, 상기 손잡이를 조리기구로부터 분리시키면 냄비를 보관하거나 전자레인지 등 좁은 공간에 넣을 경우에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조리기구를 가열시, 손잡이를 분리시켜 가열하게 됨으로써 손잡이가 뜨거워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를 분리시켜 크기가 각각 다른 냄비를 큰 냄비 안에 작은 냄비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다수개의 냄비를 보관하기 수월하고, 그로 인해 수납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결합대가 형성된 조리기구에 탈부착 되는 조리기구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와;
상기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수평단면상 "U" 형태를 취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조리기구의 결합대에 삽입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손잡이 본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어 결합되고, 일단면이 연결바의 결합부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바를 중앙부로 푸쉬해주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가 결합되는 조리기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40)는 결합대(2)가 형성된 조리기구(1)에 탈부착 용이한 손잡이로써, 손잡이 본체(10)와, 연결바(20), 버튼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 본체(10)는 도 1을 참고하여, 조리기구(1)의 가열에 의한 열이 전달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았을 때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하부에 미끄럼 방지 무늬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 본체(10)의 전체적인 형태는 조리기구(1)의 형태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본체(10)는 버튼부(30)가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지지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20)의 결합부(21) 양끝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단면에 관통홀(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12)은 관통 삽입되는 결합부(21)가 상호 안쪽으로 움직이도록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본체(10)의 내부는 연결바(20)가 결합되도록 중공되어 있 고, 상기 연결바(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 지지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렇듯, 상기 손잡이 본체(10)의 내부는 연결바(20)에 맞춰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바(20)는 도 2를 참고하여, 손잡이 본체(10)와 조리기구(1)를 연결해주는 장치로써, 결합부(21)와, 걸림부(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는 손잡이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수평단면상 "U" 형태를 취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가 상호 대응되는 내측에는 연결바(20)가 버튼부(30)에 의해 푸쉬됐을 때, 탄성적으로 다시 제자리에 돌아올 수 있도록 스프링(23)이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1)는 손잡이 본체(10)의 관통홀(12)을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형성된 결합부(21)의 상호 대응되는 면에는 버튼부(30)에 의해 연결바(20)가 푸쉬될 때, 너무 푸쉬되어 연결바(20)가 상호 부딛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돌기(24)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는 양측이 이어지는 중앙부에 리벳(26)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바(20)가 손잡이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리벳(26)은 결합부(21)의 중앙부를 지지하면서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리벳(26)에 걸고 손잡이 본체(10)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의 양끝단부에는 조리기구(1)의 결합대(2)에 삽입되도록 걸림부(22)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2)는 끝단부의 외주연에 조리기구(1)의 결합대(2)에 고 정되도록 역 직각삼각형 형태의 고정돌기(25)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22)는 결합부(21)의 끝단부에서 수직 단면상 "U" 형태로 형성되어 끝단부가 조리기구(1)의 결합대(2)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리기구(1)의 결합대(2)에는 고정돌기(25)에 맞춰 고정홀(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30)는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손잡이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홀(11)에 각각 결합 지지된다. 이렇듯, 상기 버튼부(30)는 손잡이 본체(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30)는 손잡이 본체(10)의 지지홀(11)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홀(1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손잡이 본체(1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다. 즉, 단면상 삼각형 형태와 유사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30)와 버튼부(30)가 대응되는 면은 연결바(20)의 결합부(21)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바(20)를 중앙부로 푸쉬해주는데, 상기 결합부(21)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결합부(21)의 형태와 동일하게 홈(31)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손잡이가 결합되는 조리기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본체 11 : 지지홀
12 : 관통홀 20 : 연결바
21 : 결합부 22 : 걸림부
23 : 스프링 24 : 안전돌기
25 : 고정돌기 26 : 리벳
30 : 버튼부 31 : 홈
40 : 손잡이

Claims (5)

  1. 결합대(2)가 형성된 조리기구(1)에 탈부착 되는 조리기구 손잡이(40)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0)와;
    상기 손잡이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수평단면상 "U" 형태를 취하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조리기구(1)의 결합대(2)에 삽입되는 걸림부(22)로 구성되는 연결바(20)와;
    상기 손잡이 본체(10)의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어 결합되고, 일단면이 연결바(20)의 결합부(21)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바(20)를 중앙부로 푸쉬해주는 버튼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본체(10)는 버튼부(30)가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지지홀(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의 양끝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단면에 관통홀(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0)의 걸림부(22)는 결합부(21)의 양끝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단면상 "U"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2)의 끝단부 외주연에는 조리기구(1)의 결합대(2)에 고정되도록 역 직각삼각형 형태의 고정돌기(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0)의 결합부(21) 내측에는 연결바(20)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스프링(23)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0)는 손잡이 본체(10)의 지지홀(11)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홀(1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손잡이 본체(1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KR1020090014920A 2009-02-23 2009-02-23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KR20100095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920A KR20100095892A (ko) 2009-02-23 2009-02-23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920A KR20100095892A (ko) 2009-02-23 2009-02-23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892A true KR20100095892A (ko) 2010-09-01

Family

ID=4300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920A KR20100095892A (ko) 2009-02-23 2009-02-23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347A (ko) * 2022-04-14 2023-10-23 주식회사 디스피스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347A (ko) * 2022-04-14 2023-10-23 주식회사 디스피스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8275C1 (ru) Кухонная посуд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крышку, имеющую ручку с опорой для кухон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US20140021213A1 (en) Universal pot l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KR20100095892A (ko)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기구 손잡이
EP3213664B1 (en) Cooking vessel having detachable handle
KR200264123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478961Y1 (ko) 다중구조냄비
KR101217604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110007035U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KR101146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427913Y1 (ko) 조리용기용 다점지지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CN208286850U (zh) 烹饪器具
JP2012225606A (ja) 調理装置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303451Y1 (ko) 냄비 손잡이
CN206137943U (zh) 用于烹饪器具的蒸笼及烹饪器具
KR102125481B1 (ko) 무쇠팬 조리 기구
CN216256815U (zh) 一种烹饪容器
CN211022170U (zh) 一种电火锅
KR101045824B1 (ko) 조리용기
KR20140004586U (ko)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CN209733560U (zh) 一种餐饮器皿
KR20130006920U (ko) 교환 국자
KR20130004595U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CN208551105U (zh) 养生壶
KR200302424Y1 (ko) 다용도 이중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