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946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946A
KR20100094946A KR1020100014201A KR20100014201A KR20100094946A KR 20100094946 A KR20100094946 A KR 20100094946A KR 1020100014201 A KR1020100014201 A KR 1020100014201A KR 20100014201 A KR20100014201 A KR 20100014201A KR 20100094946 A KR20100094946 A KR 20100094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nnector
insulator
driving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789B1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지
마사히데 와타나베
다카미쓰 나카지마
히로키 가마타
아키라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11Safety, e.g. electrical disconnection required before opening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제2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록 위치와 언록 위치의 사이에서 구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록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언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분리방향으로의 상기 록 구동부의 이동을 확보하고,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록 구동부의 상기 분리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여 상기 결합상태를 록 하도록 구성된 록 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록 구동부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록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2개의 커넥터(connector)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로서 2개의 커넥터 결합상태를 록(lock) 하는 록 기구(lock 機構)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 조립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7977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는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7977호 공보에는, 각진 C자 형상의 풀 바(pull bar)를 구비하는 플러그측 커넥터(plug側 connector)와, 기판측 커넥터(基板側 connector)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쌍이 개시되어 있고, 플러그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측 커넥터에 기판측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풀 바의 선단(先端) 부분이 기판측 커넥터에 설치된 피결합부(被結合部)와 결합함으로써 양쪽 커넥터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797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에 결합상태를 록 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는 사용자의 육안(肉眼)에 의할 수밖에 없지만, 최근의 커넥터 외형 크기의 소형화에 따라 결합상태를 록 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육안으로 판단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외형 크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르면서, 결합상태의 록을 사용자가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제1커넥터(first connector)와,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제2커넥터(second connector)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를 제공한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록 위치(lock position)와 언록 위치(unlock position)의 사이에서 상기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구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록 구동부(lock 驅動部)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언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결합방향의 역방향(逆方向)인 분리방향으로의 상기 록 구동부의 이동을 확보하고,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록 구동부의 상기 분리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여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록 구동부와 함께 상기 결합상태를 록(lock) 하도록 구성된 록 작동부(lock 作動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록 구동부에 의하여 가압(加壓)됨으로써,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록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detection switch)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다음의 최선 실시예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하여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도3은 도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도3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V-V선을 따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Ⅷ-Ⅷ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일부 절단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결합상태가 록 되어 있지 않다.
도9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Ⅸ-Ⅸ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일부 절단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결합상태가 록 되어 있다.
도10은 감지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1은 결합상태가 록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도10의 감지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결합상태가 록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10의 감지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감지 스위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4는 결합상태가 록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도13의 감지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는 결합상태가 록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13의 감지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은 감지 스위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7은 결합상태가 록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도16의 감지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결합상태가 록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16의 감지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여기에서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100)는, 기판(基板)(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고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제1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Z방향(결합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제2커넥터)(3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300)에는 케이블(cable)(400)이 접속되어 있다.
도3 내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복수의 콘택트(contact)(210)와, 콘택트(210)를 지지하는 인슐레이터(insulator)(제1인슐레이터)(220)와, 인슐레이터(220)를 부분적으로 덮는 셀(shell)(230)과, 인슐레이터(220)에 구비되는 감지 스위치(detection switch)(240)를 구비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20)는, 플러그 커넥터(300)의 결합부를 받아들이는 장소를 규정하는 수용부(受容部)(222)와, 수용부(222)를 X방향(구동방향)에 있어서 삽입하도록 설치된 측부(側部)(224)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224)에는, 감지 스위치(240)를 지지하는 스위치 지지부(switch 支持部)(226)가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셀(230)은, 한 장의 금속판(金屬板)을 펀치 프레스 가공(punch press 加工)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스위치 지지부(226)를 덮는 록 작동부(lock 作動部)(232)를 구비하고 있다. 록 작동부(232)는, X방향 및 Z방향의 쌍방으로 경사지는 면(面)을 구비하는 가이드부(guide portion)(2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록 작동부(232)는, 록 작동부(232)를 X방향에 있어서 관통하는 구멍(2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셀(230)에는, 복수의 납땜부(solder portion)(2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납땜부(238)가 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 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기판에 고정된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감지 스위치(240)는, 인슐레이터(220)에 지지된 피고정부재(被固定部材)(250)와 가동부재(可動部材)(260)를 포함하고, 통상의 상태에서는 오프(off)이다.
상세하게는, 피고정부재(250)는, 제1접점부(第一接點部)(252)와 납땜부(254)를 구비하고 있고, 제1접점부(252)가 스위치 지지부(226) 내에 있어서 위치고정(位置固定)되도록 스위치 지지부(226)의 전단벽(前端壁)(226a)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가동부재(260)는, 제2접점부(262)와, 피지지부(被支持部)(264)와, 피가압부(被加壓部)(266)와, 납땜부(268)를 구비하고 있고, 피지지부(264)가 스위치 지지부(226)의 후단벽(後端壁)(226b)에 지지됨으로써 스위치 지지부(226) 내에 있어서 제2접점부(262)가 Z방향을 따라 변위(變位)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2접점부(262)는, 가동부재(260)에 있어서 피지지부(264)로부터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프링(spring) 모양의 부위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피고정부재(250)의 제1접점부(252)와 Z방향에 있어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가압부(266)는, Y방향에 있어서 제2접점부(262)와 피지지부(26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부재(260)의 주된 부분은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커넥터 조립체(100)의 저배화(低背化)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면, 가동부재(260)의 주된 부분은 Z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피가압부(266)는,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지지부(264)가 스위치 지지부(226)의 후단벽(226b)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X방향 및 Z방향의 쌍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가압부(266)는, 셀(230)의 가이드부(234) 아래로부터 수용부(22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가압부(266)가 제2접점부(262)와 피지지부(264)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압부(266)의 약간의 변위에 의하여 제2접점부(262)를 크게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피가압부(266)가 X방향 및 Z방향의 쌍방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압부(266)가 X방향을 따르는 힘을 받는 경우에도 또한 Z방향을 따르는 힘을 받는 경우에도 가동부재(260)의 제2접점부(262)를 Z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피가압부(266)에 힘이 가하여져서 제2접점부(262)가 변위되어 제1접점부(252)에 접촉되면, 가동부재(260)의 납땜부(268)로부터 피고정부재(250)의 납땜부(254)까지 도통(導通)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도통·비도통(導通·非導通)을 록 상태의 감지에 이용하고 있다.
도6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00)는, 복수의 콘택트(310)와, 콘택트(310)를 지지하는 인슐레이터(제2인슐레이터)(320)와, 인슐레이터(320)의 상부를 덮는 어퍼 셀(upper shell)(330)과, 인슐레이터(320)의 하부를 덮는 로어 셀(lower shell)(340)과, 록 부재(lock 部材)(350)를 구비하고 있다. 어퍼 셀(330)과 로어 셀(340)은 금속제(金屬製)이다. 록 부재(350)는 금속제의 막대를 구부려서 형성한 것이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20)는, 콘택트(310)를 지지하는 주부(主部)(322)와, 주부(322)를 X방향에 있어서 삽입하도록 설치된 수용부(324)와, 수용부(324)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블록(retainer block)(326)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블록(326)에 있어서 수용부(324)측의 면(面)에는 캠부(cam portion)(3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블록(326)에는, 지지블록(326)을 관통하도록 X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구멍(retainer hole)(328)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구멍(328)은, 수용부(324)와 지지블록(326)의 외측 단면(端面)(326a)을 X방향에 있어서 연결하고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350)는, 선단에 록 구동부(lock 驅動部)(352)를 구비하고 또한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피지지부(354)와, 피지지부(354)로부터 연장되는 캠팔로워부(cam follower portion)(356)와, 캠팔로워부(356)로부터 피지지부(35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주부(358)를 구비하고 있다. 피지지부(354)는 지지구멍(328)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지지부(354)는 지지구멍(328)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피지지부(354)의 선단인 록 구동부(352)는 X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록 구동부(352)는, 록 부재(350)가 눕혀져 있는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지지블록(326)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도6 참조). 캠팔로워부(356)는 수용부(324)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어, 주부(358)가 조작되어 록 부재(350)가 기립(起立)되면, 주부(358)의 조작에 의하여 캠부(327) 상을 따라 이동한다. 이 캠팔로워부(356)가 캠부(327)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록 구동부(352)는 X방향을 따라 지지블록(326)의 내측을 향하여 변위된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00)가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더라도 록 구동부(352)가 지지구멍(328)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록 작동부(232)는 록 구동부(352)의 -Z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로부터 -Z방향(분리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도8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3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결합상태는 록 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록 구동부(352)의 위치를 언록 위치(unlock position)라고 한다.
한편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00)가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로서 록 구동부(352)가 록 작동부(232)의 구멍(236)을 통하여 스위치 지지부(226)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록 작동부(232)는 록 구동부(352)의 -Z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00)에 -Z방향을 향하는 힘을 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00)로부터 분리하려고 하여도 분리할 수 없다. 즉 양자의 결합상태는 록 되어 있다. 이러한 록 구동부(352)의 위치를 록 위치(lock position)라고 한다.
도8을 참조하면, 록 구동부(352)가 언록 위치에 있을 때에 록 구동부(352)는 피가압부(266)를 가압하고 있지 않고, 가동부재(260)의 제2접점부(262)는 피고정부재(250)의 제1접점부(252)와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고정부재(250)의 납땜부(254)와 가동부재(260)의 납땜부(268) 사이는 오픈(open) 되어 있다. 한편 도9를 참조하면, 록 구동부(352)가 록 위치에 있을 때에 록 구동부(352)가 피가압부(266)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재(260)의 제2접점부(262)가 변위되어 피고정부재(250)의 제1접점부(252)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고정부재(250)의 납땜부(254)와 가동부재(260)의 납땜부(268) 사이는 쇼트(short) 된다. 따라서 피고정부재(250)의 납땜부(254)와 가동부재(260)의 납땜부(268) 사이의 전기적인 상태를 감시하고 있으면, 록 구동부(352)의 위치 즉 록 위치에 있는 것인가 언록 위치에 있는 것인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감지 스위치(240)는, 록 구동부(352) 자체에 의하여 온·오프 되는 것이고, 록 구동부(352) 및 록 작동부(232)로 이루어지는 록 기구와 일체(一體)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록 기구와 감지 스위치(240)를 별체(別體)로 설치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스위치(240)의 가동부재(260)는 결합방향인 Z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저배화의 요구에 반하지 않고 감지 스위치(240)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X방향 및 Z방향의 쌍방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부(234)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지지블록(326)으로부터 록 구동부(352)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3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결합시키려고 하면, 가이드부(234)에 의하여 록 구동부(352)가 일시적으로 지지블록(326)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그 후에 지지블록(326)으로부터 구멍(236) 내를 향하여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블록(326)으로부터 록 구동부(352)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3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결합시키려고 하여도, 록 구동부(352)가 플러그 커넥터(3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결합에 방해가 되는 경우는 없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접점부(252)가 대응하는 제2접점부(262)와 Z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대응하는 록 구동부(352)가 록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2접점부(262)가 Z방향으로 변위되어 제1접점부(252)에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0 내지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접점부(2621)를 X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10 내지 도12에 나타나 있는 예에 있어서, 셀(2301)의 록 작동부(2321)에는 구멍(2361)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2361)에는 록 부재(350)의 록 구동부(352)가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201)의 측부(2241)에는 스위치 지지부(2261)가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 지지부(2261)에는 피고정부재(2501)와 가동부재(2601)로 이루어지는 감지 스위치(2401)가 수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고정부재(2501)는 제1접점부(2521)와 납땜부(2541)를 구비하고 있고, 제1접점부(2521)가 스위치 지지부(2261) 내에 있어서 위치고정되도록 인슐레이터(2201)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가동부재(2601)는, 제2접점부(2621)와, 피지지부(2641)와, 피가압부(2661)와, 납땜부(2681)를 구비하고 있고, 스위치 지지부(2261) 내에 있어서 제2접점부(2621)가 X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인슐레이터(2201)에 지지되어 있다. 또 도11 및 도12에 있어서는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셀(2301)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350)가 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록 구동부(352)가 가동부재(2601)의 피가압부(2661)를 가압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접점부(2621)는 제1접점부(2521)와 비접촉(非接觸)이고, 따라서 납땜부(2541)와 납땜부(2681) 사이는 오픈 되어 있다.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350)를 눕히면, 록 구동부(352)가 구멍(2361)을 지나서 스위치 지지부(2261) 내로 삽입되어 피가압부(2661)를 X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접점부(2621)도 X방향으로 변위되어 제1접점부(2521)에 접촉된다. 이 제2접점부(2621)와 제1접점부(2521)의 접촉에 의하여 납땜부(2541)와 납땜부(2681)의 사이는 쇼트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납땜부(2541)와 납땜부(2681) 사이의 쇼트를 검출함으로써 록 구동부(352)에 의한 록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1 내지 도9를 사용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스위치(240)는 피고정부재(250)와 가동부재(260)의 2개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3 내지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재를 생략하여 셀(2302)의 일부에 피고정부재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13 내지 도15에 나타나 있는 예에 있어서, 셀(2302)의 록 작동부(2322)에는 구멍(2362)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2362)에는 록 부재(350)의 록 구동부(352)가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202)의 측부(2242)에는 스위치 지지부(2262)가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 지지부(2262)에는 가동부재(2602)와 셀(2302)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감지 스위치가 수용되어 있다. 셀(2302)의 일부는, 스위치 지지부(2262) 내에 있어서 위치고정되어 제1접점부(2522)로서 기능을 한다. 한편 가동부재(2602)는, 제2접점부(2622)와, 피지지부(2642)와, 피가압부(2662)와, 납땜부(2682)를 구비하고 있고, 스위치 지지부(2262) 내에 있어서 제2접점부(2622)가 X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인슐레이터(2202)에 지지되어 있다. 또 도14 및 도15에 있어서는,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셀(2302)과 피고정부재로서 기능을 하는 부위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350)가 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록 구동부(352)가 피가압부(2662)를 가압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접점부(2622)는 제1접점부(2522)와 비접촉이고, 따라서 납땜부(238)와 납땜부(2682) 사이는 오픈 되어 있다.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350)를 눕히면, 록 구동부(352)가 구멍(2362)을 지나서 스위치 지지부(2262) 내로 삽입되어 피가압부(2662)를 X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접점부(2622)도 X방향으로 변위되어 제1접점부(2522)에 접촉된다. 이 제2접점부(2622)와 제1접점부(2522)의 접촉에 의하여 납땜부(238)와 납땜부(2682) 사이는 쇼트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납땜부(238)와 납땜부(2682) 사이의 쇼트를 검출함으로써 록 구동부(352)에 의한 록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등에 있어서 감지 스위치는 노멀 오프 타입(normal off type)의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16 내지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멀 온 타입(normal on type)의 감지 스위치(2403)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16 내지 도18에 나타나 있는 예에 있어서 셀(2303)의 록 작동부(2323)에는 구멍(2363)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2363)에는 록 부재(350)의 록 구동부(352)가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203)의 측부(2243)에는 스위치 지지부(2263)가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 지지부(2263)에는 피고정부재(2503)와 가동부재(2603)로 이루어지는 감지 스위치(2403)가 수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고정부재(2503)는 제1접점부(2523)와 납땜부(2543)를 구비하고 있고, 제1접점부(2523)가 스위치 지지부(2263) 내에 있어서 위치고정되도록 인슐레이터(2203)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가동부재(2603)는, 제2접점부(2623)와, 피지지부(2643)와, 피가압부(2663)와, 납땜부(2683)를 구비하고 있고, 스위치 지지부(2263) 내에 있어서 제2접점부(2623)가 X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인슐레이터(2203)에 지지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피가압부(2663)가 피고정부재(2503)를 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가동부재(2603) 중 피가압부(2663) 이외의 부위는 X방향에 있어서 피고정부재(2503)보다 록 구동부(352)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도18 참조). 이 점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피고정부재에 록 구동부(352)가 지나는 것이 가능한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을 통하여 록 구동부(352)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피가압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당해 위치에 피가압부가 있는 경우에 가동부재 전체를 피고정부재보다 록 구동부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도17 및 도18에 있어서는,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셀(2303)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다.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350)가 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록 구동부(352)가 가동부재(2603)의 피가압부(2663)를 가압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접점부(2623)는 제1접점부(2523)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납땜부(2543)와 납땜부(2683)의 사이는 쇼트 되어 있다.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350)를 눕히면, 록 구동부(352)가 구멍(2363)을 지나서 스위치 지지부(2263) 내로 삽입되어 피가압부(2663)를 X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접점부(2623)도 X방향으로 변위되고, 제2접점부(2623)는 제1접점부(2523)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양자는 비접촉이 된다. 이 때문에 도면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는, 납땜부(2543)와 납땜부(2683) 사이는 오픈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예에 있어서는, 납땜부(2543)와 납땜부(2683) 사이의 오픈을 검출함으로써 록 구동부(352)에 의한 록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3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결합시킨 후에 록 부재(350)를 회전시킴으로써 록 구동부(352)를 언록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이동시켰지만, 도6에 나타나 있는 상태 즉 록 구동부(352)가 지지블록(326)의 단면(326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록 구동부(352)가 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300)를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3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결합동작에 따라 록 구동부(352)가 가이드부(234)로 가이드 됨으로써, 록 구동부(352)가 일시적으로 지지블록(326)의 내측을 향하여 인입되도록 록 부재(350)가 탄성변형(彈性變形)된 후에, 다시 록 구동부(352)가 지지블록(326)으로부터 돌출되어 록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3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결합상태가 록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록 작동부와 함께 결합상태를 록 가능한 록 구동부가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그 록 구동부 자체에 의하여 가압되는 감지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의 크기를 대형화 하지 않으며 높은 신뢰성을 구비하여 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감지 스위치를 피고정부재와 가동부재의 2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가동부재를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커넥터의 저배화에 반하지 않고 감지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9년 2월 19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037246호에 의거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의 일부는 상기의 내용을 참조하였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로서,
    제1커넥터(first connector)와,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제2커넥터(second connector)로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록 위치(lock position)와 언록 위치(unlock position)의 사이에서 상기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구동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록 구동부(lock 驅動部)를 구비한 제2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i)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언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결합방향의 역방향(逆方向)인 분리방향으로의 상기 록 구동부의 이동을 확보하고,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록 구동부의 상기 분리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여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록 구동부와 함께 상기 결합상태를 록(lock) 하도록 구성된 록 작동부(lock 作動部)와,
    (ii)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록 구동부에 의하여 가압(加壓)됨으로써,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록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detection switc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구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작동부에 인접하도록 하여 형성된 스위치 지지부(switch 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감지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지지부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 구동부는,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스위치 지지부 내에 설치된 상기 감지 스위치를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 작동부는, 상기 구동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부재이고,
    상기 록 구동부는,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록 작동부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감지 스위치를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스위치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인슐레이터(first insul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록 구동부를 구비하는 록 부재(lock 部材)와,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구동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록 부재를 지지하는 제2인슐레이터(second insulator)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셀(shell)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 작동부는, 상기 셀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슐레이터는, 캠부(cam portion)와 상기 구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지지블록(retainer block)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 부재는 금속제(金屬製)이고, 선단(先端)에 상기 록 구동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구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구멍에 의하여 지지된 피지지부(被支持部)와, 상기 피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캠팔로워부(cam follower portion)와, 상기 캠팔로워부로부터 상기 구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부(主部)로서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캠팔로워부를 상기 캠부로 가압하는 주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부가 조작되면, 상기 캠팔로워부가 상기 캠부 상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록 구동부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언록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는, 커넥터 조립체가 상기 결합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구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를 삽입하도록 하여 위치하는 측부(側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위치 지지부는, 적어도 일방(一方)의 상기 측부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스위치는, 제1접점부를 구비하는 피고정부재(被固定部材)와, 제2접점부를 구비하는 가동부재(可動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재는, 상기 제1접점부가 상기 스위치 지지부 내에 있어서 위치고정(位置固定)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록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제2접점부가 상기 스위치 지지부 내에 있어서 변위(變位)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언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떨어져 있고,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언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촉되어 있고, 상기 록 구동부가 상기 록 위치에 있을 때에는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결합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구동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상기 록 구동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가압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제2접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결합방향과 상기 구동방향의 쌍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결합방향과 상기 구동방향의 쌍방으로 경사지는 면(面)을 구비하는 가이드부(guide portion)로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결합할 때에 상기 록 구동부를 상기 록 위치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작동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00014201A 2009-02-19 2010-02-17 커넥터 조립체 KR101136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7246A JP4704477B2 (ja) 2009-02-19 2009-02-19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09-037246 2009-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946A true KR20100094946A (ko) 2010-08-27
KR101136789B1 KR101136789B1 (ko) 2012-04-19

Family

ID=4256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01A KR101136789B1 (ko) 2009-02-19 2010-02-17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5324B2 (ko)
JP (1) JP4704477B2 (ko)
KR (1) KR101136789B1 (ko)
CN (1) CN101814675B (ko)
TW (1) TWI389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887B2 (ja) * 2009-01-22 2011-04-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704477B2 (ja) *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JP5631074B2 (ja) *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182334B2 (ja) * 2010-08-02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86395B2 (ja) * 2010-09-21 2014-09-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TW201238167A (en) * 2011-03-04 2012-09-16 Ant Prec Industry Co Ltd Thin plug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02856682A (zh) * 2011-06-27 2013-01-02 艾恩特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缆线连接器及其制作方法
US8535087B1 (en) * 2012-03-13 2013-09-1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detection switch
JP6005575B2 (ja) * 2013-04-11 2016-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112302B2 (en) * 2013-05-02 2015-08-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5747950B2 (ja) * 2013-06-20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6156641B2 (ja) * 2013-09-03 2017-07-05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6260364B2 (ja) * 2014-03-11 2018-01-17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KR101630766B1 (ko) 2014-10-17 2016-06-15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JP2016143497A (ja) * 2015-01-30 2016-08-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CN109193200B (zh) 2018-06-08 2024-01-23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带旋转锁杆的线端连接器、连接器组件及其使用方法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CN209016312U (zh) * 2018-07-31 2019-06-21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111600155B (zh) * 2020-05-29 2021-10-22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8290A (en) * 1929-03-06 1931-08-11 Pyle National Co Combined switch and terminal block
US1947634A (en) * 1932-05-27 1934-02-20 Appleton Electric Co Switch box with plug-in cable connection
US3908103A (en) * 1973-05-21 1975-09-23 Larry L Gyurka Combined outlet and safety switch unit with adapter
US4345122A (en) * 1981-04-27 1982-08-17 Clairol Incorporated Detachable cord
JPS6390092A (ja) * 1986-10-01 1988-04-20 Tokyo Electric Co Ltd Icカ−ドの着脱防止機構
JPH0636381B2 (ja) * 1988-03-23 1994-05-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US5077722A (en) * 1989-01-06 1991-12-31 Convex Computer Corporation Disk drive insertion and removal interlock
JPH0350776A (ja) 1989-07-18 1991-03-05 Sharp Corp 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H0755832Y2 (ja) * 1989-09-22 1995-12-2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嵌合確認装置
JPH03226813A (ja) * 1990-01-31 1991-10-07 Toshiba Corp 携帯可能電子装置
JPH0770337B2 (ja) * 1990-03-23 1995-07-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US5311397A (en) * 1992-08-06 1994-05-10 Logistics Management Inc. Computer with modules readily replaceable by unskilled personnel
JPH06283233A (ja) * 1993-03-27 1994-10-07 Sumitomo Wiring Syst Ltd 嵌合検知機能付きコネクタ
JPH07227377A (ja) * 1994-02-17 1995-08-29 Machida Endscope Co Ltd 半導体用制御装置
US5949652A (en) * 1997-10-24 1999-09-07 Dell U.S.A., L.P. Computer power supply inser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053756A (en) * 1998-05-04 2000-04-25 Applied Materials, Inc. Interlock safety device
JP2004327321A (ja) * 2003-04-25 2004-11-18 Jst Mfg Co Ltd コネクタ
US6830478B1 (en) * 2003-12-10 2004-12-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cro coaxi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ans
JP3976273B2 (ja) 2004-03-17 2007-09-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JP4175657B2 (ja) * 2006-01-17 2008-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43515B2 (ja) 2007-06-01 2012-10-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嵌合検知コネクタ
JP4522440B2 (ja) * 2007-07-26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JP4704477B2 (ja) *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792517B2 (ja) * 2009-07-07 2011-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5324B2 (en) 2011-12-13
CN101814675B (zh) 2013-03-27
TW201037918A (en) 2010-10-16
JP4704477B2 (ja) 2011-06-15
TWI389398B (zh) 2013-03-11
KR101136789B1 (ko) 2012-04-19
US20100210130A1 (en) 2010-08-19
JP2010192345A (ja) 2010-09-02
CN101814675A (zh)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789B1 (ko) 커넥터 조립체
US7381069B2 (en)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ing member with which a cam follower and a locking member are integrally coupled
US8322245B2 (en) Shift lever apparatus
JP5433653B2 (ja) コネクタ
EP1986284A2 (en)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KR20130105531A (ko) 커넥터
JP4678887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07073411A (ja) 可撓性導体用コネクタ
KR101032878B1 (ko) 커넥터 조립체
US8894450B2 (en) Connector having a terminal retainer with pressing means
KR20100109482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796028B1 (ko) 커넥터 록킹구조
KR101159462B1 (ko) 커넥터
JP4575423B2 (ja) コネクタ
CN102332649B (zh) 具有结合检测单元的连接器
JP4707610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1471503B (zh) 接触部件及电连接器
US8425248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latch
KR20130105529A (ko) 커넥터
JP496879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3903885B2 (ja) 検知部材付きコネクタ
JP4933994B2 (ja) コネクタのインジケータ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5594163B2 (ja) コネクタ
JP4916845B2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403511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