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117A - Steel pipe for reinforcing foundation, method of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inforc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Steel pipe for reinforcing foundation, method of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inforc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117A
KR20100093117A KR1020107015640A KR20107015640A KR20100093117A KR 20100093117 A KR20100093117 A KR 20100093117A KR 1020107015640 A KR1020107015640 A KR 1020107015640A KR 20107015640 A KR20107015640 A KR 20107015640A KR 20100093117 A KR20100093117 A KR 2010009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ground
concave portion
recessed part
reinforcing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모히로 나까지
유끼 모떼기
다쯔야 야마모또
데쯔 사또오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1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5/00Straightening, lifting, or lowering of foundation structures or of constructions erected on found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은, 지반에 타설되고, 이 지반 내에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한 지반 강화용 강관이며, 그 외주면에 배치된 오목부 및 평활부와, 상기 오목부 혹은 상기 평활부에 있어서,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의 내외로 통하는 복수의 통공을 갖는다.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which is poured into the ground and injects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ground, wherein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smoothed portion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recessed portion or the smoothed portion, It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assing through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Description

지반 강화용 강관 및 그것을 사용한 지반 강화 방법 및 구조체의 강화 방법{STEEL PIPE FOR REINFORCING FOUNDATION, METHOD OF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INFORCING STRUCTURE}STEEL PIPE FOR REINFORCING FOUNDATION, METHOD OF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INFORCING STRUCTURE}

본 발명은, 터널 공사 등에 있어서의 포어폴링 공법이나 굴삭 벽면의 보강 공법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지반 강화용 강관 및 그것을 사용한 지반 강화 방법 및 콘크리트 기초 등의 구조체를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suitable for use in a pore polling method, tunnel reinforcement method, and the like in tunnel construction, a grou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structure such as a concrete foundation.

본원은, 2008년 01월 1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00957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8-009570 for which it applied to Japan on January 18, 2008, and uses the content here.

예를 들어, 연약한 지반에 있어서의 터널 공사에서는,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강관을 매설하는 포어폴링 공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공법에서는, 선단부에 비트를 장착한 드릴 로드에, 강관을 외부 끼움하여 천공을 행한다. 그리고 소정 깊이의 천공을 행하면, 강관을 그대로 남기고 드릴 로드를 빼내고, 강관의 내부에 모르타르 등의 주입재를 주입한다. 강관의 몸통부에는, 내외로 통하는 다수의 통공(通孔)이 천공되어 있다. 내부에 주입된 주입재는, 그 통공을 통해 지반에 침투하여 고화된다. 이에 의해, 연약한 지반이 강화된다. 포어폴링 공법에 대해서는, 다수의 특허 출원이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For example, in a tunnel construction in a soft ground, the fore polling method which embeds steel pipes in order to reinforce the ground is often adopted. In this method, the steel pipe is externally fitted to the drill rod provided with the bit at the distal end and drilled. Then, when the drilling of the predetermined depth is carried out, the drill rod is removed while leaving the steel pipe intact, and an injection material such as mortar is injected into the steel pipe. In the body part of a steel pipe, many through-holes which penetrate in and out are perforated.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ed therein penetrates into the groun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solidified. As a result, the soft ground is strengthened. A lot of patent applications are made about the pore-polling metho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상기 포어폴링 공법에 사용되는 강관은, 지반에 매설된다. 그로 인해, 비교적 저렴하고 강도가 큰 재질의 강관이 사용된다. 주입재의 주입시에는, 상기 통공을 통해 유출되는 주입재가 지반에 충분히 침투하고, 또한 지반과 강관의 간극에 조밀하게 충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매설된 강관이 강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는, 이 강관과 그 외주부의 주입재의 층이 강고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el pipe used for the pore-polling method is embedded in the ground. Therefore, steel pipes of relatively inexpensive and high strength materials are used. At the time of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flowing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sufficiently penetrates into the ground and needs to be densely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ground and the steel pipe. Moreover, in order for the embedded steel pipe to be firmly fix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of this steel pipe and the injection material of the outer peripheral part is firmly integrated.

그러나 종래의 강관은, 외면이 평활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주입재의 층과의 걸림이 없어, 양자가 확실히 고정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이것을 개량하기 위해, 강관의 외면에 샌드블라스트 처리 등을 실시하여, 면을 거칠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그 나름의 밀착 효과가 얻어졌지만, 강관을 지반에 강고하게 고정한다고 하는 면에서는 아직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teel pipe is formed as a smooth surface on the outside, there is no jamming with the layer of the external injection material, and both cannot be fixed securely. In order to improve this, there is a method of roughening the surface by sandblasting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However, this method had its own close contact effect, but has not been satisfied in terms of firmly fixing the steel pipe to the ground.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지반 강화용 강관으로서, 외주부에 나선 형상의 볼록조가 형성되고, 이 나선 형상 볼록조의 간격부에, 주입재를 강관의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내외로 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지반 강화용 강관이 개시되어 있다.Further, in Patent Document 3, as a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a spiral convex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a grou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into and out of the steel pipe at a gap portion of the spiral convex groove. Reinforcing steel pipes are disclosed.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0487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04870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02065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020657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2250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022501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3에 개시되는 강관에서는, 강관의 외주면에 볼록부가 있으므로, 강관을 타설할 때의 방해가 된다. 또한, 강관의 외표면측으로부터 토사를 배출할 때에, 이 볼록부가 방해가 된다. 그로 인해, 볼록부를 큰 형상으로 할 수 없어, 충분한 밀착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강관의 외주면에 볼록부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강관을 제조한 후에, 별도의 공정으로 볼록부를 부여하는 가공이 필요해진다. 그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steel pipe disclosed by the said patent document 3, since the convex part exists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steel pipe, it becomes an obstacle when placing a steel pipe. In addition, this convex portion is obstructed when the soil is discharged from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steel pipe. Therefore, a convex part cannot be made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ensure sufficient adhesiveness. Moreover, in order to provide a convex par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steel pipe, after manufacturing a steel pipe, the process which provides a convex part by a separate process is needed. Therefore, there exist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falls and cost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제조 비용을 높이는 일 없이, 지반에 매설할 때에는 저항이 작고, 또한 보강재를 흘려 넣을 때에는, 강관과 그 주변이 확실히 강고하게 밀착되는 지반 강화용 강관 및 그것을 사용한 지반 강화 방법 및 구조물의 강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the resistance is small when embedded in the ground, and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poured,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and the ground that the steel pipe and its surroundings are firmly adhered firmly and using the same It is aimed at providing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and the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This invention employ | adopts the following means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and achieve this objective.

(1)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은, 지반에 타설되고, 이 지반 내에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한 지반 강화용 강관이며, 그 외주면에 배치된 오목부 및 평활부와, 상기 오목부 혹은 상기 평활부에 있어서,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의 내외로 통하는 복수의 통공을 갖는다.(1)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which is poured into the ground and injects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ground, the recess and the smooth portion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recess or the smooth portion. It has a some through-hole through and out of this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2)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강관의 외경을 (D)로 하였을 때에,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005D 내지 0.2D이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이 0.015D 내지 2D이고,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폭을 (B),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H)로 하였을 때에, B/H=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2)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has a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of 0.005D to 0.2D and a width of the recessed portion of 0.015D to 2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is set to (D). It is preferable that B / H = 3-20 when a shape is triangular shape, and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B) and the depth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H).

(3)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강관의 외경을 (D)로 하였을 때에,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005D 내지 0.2D이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이 0.015D 내지 2D이고,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폭을 (B),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H)로 하였을 때에, B/H=4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3)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has a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of 0.005D to 0.2D and a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of 0.015D to 2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is (D). It is preferable that B / H = 4-20 when a shape is square shape and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B), and the depth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H).

(4)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강관의 외경을 (D)로 하였을 때에,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005D 내지 0.2D이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이 0.015D 내지 2D이고,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 혹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폭을 (B),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H)로 하였을 때에, B/H=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4)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has a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of 0.005D to 0.2D and a width of the recessed portion of 0.015D to 2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is set to (D). It is preferable that B / H = 3-20 when a shape is semi-circle shape or a trapezoid shape, and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B) and the depth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H).

(5)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동일 원주 상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5)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on the same circumference of the said steel pipe.

(6)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동일 원주 상을 피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6)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aid steel pipe, and the said recessed part which opposes at least mutually mutually is formed avoiding the same circumferential image of the said steel pipe.

(7)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축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7)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multiple in the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 shaft of the said steel pipe.

(8)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8)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axis | shaft of the said steel pipe.

(9) 상기 오목부가, 상기 오목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원 형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9)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in a circular shape, when the said recessed part is seen from the front.

(10) 상기 강관의 표면에 도금, 혹은 수지 피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10) It is preferable that plating or resin coating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said steel pipe.

(11) 본 발명의 지반 강화 방법은, 지반 강화시에, 지반을 굴삭하면서 상기 (1)에 기재된 지반 강화용 강관을 타설하고,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을 타설 후,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공을 통해 상기 지반 강화용 강관의 외부로 주입재를 주입한다.(11)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ground reinforcement, excavates the ground while placing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described in the above (1), and after pouring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he insid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outsid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상기 지반 강화용 강관의 최소 내경이, 상기 지반을 굴삭할 때에 사용하는 내측 비트의 외경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12)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side bit used when digging the ground.

(13) 상기 지반 강화용 강관의 최대 외경이, 상기 지반의 굴삭에 사용하는 외측 비트의 외경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13)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aid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side bit used for excavation of the said ground.

(14) 본 발명의 구조체의 강화 방법은,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구조체의 강화시에, 이 구조체를 굴삭하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지반 강화용 강관을 타설하고,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을 타설 후,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공을 통해 상기 지반 강화용 강관의 외부로 주입재를 주입한다.(14)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inforcing the structure including concrete, pours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according to claim 1 while excavating the structure, and after pouring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he ground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from the inside of the reinforcing steel pipe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1)에 기재된 지반 강화용 강관은, 강관의 외주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반에의 매설시에는 이 오목부가 저항이 되지 않는다. 또한, 강관의 외주면에 주입재를 흘려 넣었을 때에는, 오목부에도 주입재가 충전되어, 지반과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시공시의 매설 개수의 삭감이 가능해져, 시공 비용 및 시공 기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Since the recessed part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steel pipe as described in said (1), this recessed part will not become resistance at the time of embedding in the ground. In addition,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pour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the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adhesion to the ground is improved. As a result, the number of embedding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can be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지반 강화용 강관은, 외주면에 오목부를 형성할 뿐이므로, 예를 들어 강관을 조관 후, 그대로 볼록부를 가진 롤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그로 인해, 생산 능률도 저하되지 않고, 제조 비용도 종래 방법에 비교하여 저감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as described in said (1) only forms a recessed part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t can manufacture, for example, just passing a steel pipe between rolls which have a convex part as it is after piping. Therefore, production efficiency does not fall, and manufacturing cost can also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지반 강화용 강관을 사용하면, 예를 들어 건조물의 콘크리트 기초 등의 구조물의 보강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해, 저비용이며 강고한 보강이 가능하다.Moreover, if 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of said (1) is used, it can apply similarly to reinforcement of structures, such as a concrete foundation of a building, for example, and low cost and firm reinforcement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h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i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j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k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오목부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오목부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오목부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오목부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의 오목부의 폭과 깊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통상의 단접 강관의 제조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을 제조하는 단접 강관의 제조 라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 강관의 제조에 사용하는 롤의 개념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 강관의 제조에 사용하는 롤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을 제조하는 단접 강관의 제조 라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비트가 장착된 드릴 로드를 삽입한 지반 강화용 강관의 선단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a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밀착력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밀착력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효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is invention.
2B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2D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2E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of this invention.
2G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pecific example of the recessed part of 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pecific example of the recessed part of 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pecific example of the recessed part of the steel pipe for soil reinforcement of this invention.
3D is a view showing another specific example of the recess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 variety and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of the steel pipe for soil reinforce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roduction line of a conventional single welded steel pipe.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oduction line of the single-piece steel pipe to manufacture the ground pipe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oll used for manufacture of the steel pipe of this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oll used for manufacture of the steel pipe of this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oduction line of a single welded steel pipe for producing a ground pipe reinforcing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inserted with a drill rod equipped with a bi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valuation method of adhesive force in an Exampl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valuation method of adhesive force in a comparative example.
11 is a diagram comparing effects in the examples.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by drawing.

도 1에, 본 발명에 관한 지반 강화용 강관(5)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지반 강화용 강관(5)은, 강관(1)의 외주부에, 일정 간격으로 주상(周狀)으로 오목부(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에 의해, 강관(1)과 지반 혹은 콘크리트 등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In FIG. 1,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5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shown typically. In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the recessed part 2 is formed in the column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steel pipe 1. By this recessed part 2,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teel pipe 1, a ground, concrete, etc. can be raised.

또한, 강관(1)의 주위면 전체면에, 강관(1)의 내외를 통하는 복수의 통공(3)이 배치되어 있다. 강관(1)의 내부에 주입된 주입재는, 이들 통공(3)을 통해 강관 외면으로 유출된다. 이 주입재의 일부는, 지반과 강관(1) 사이에 충전되어, 지반과 강관(1)을 고정한다. 또한, 다른 일부는 지반에 침투하여 고화되어, 이 지반을 강화한다. 이때, 오목부(2)는, 고화된 주입재의 층에 매립된 상태가 되어, 양자가 강고하게 일체화된다. 이로 인해, 강관(1)에 축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이 오목부(2)와 주입재층의 결합에 의해 걸림 저항이 발생하여 강관(1)의 이동이 방지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1 are disposed on the entire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1 flows ou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hrough these through holes 3. A part of this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steel pipe 1, and fixes the ground and the steel pipe 1 to it. In addition, the other part penetrates and solidifies the ground, thereby strengthening the ground. At this time, the recessed part 2 is in the state embedded in the layer of the solidified injection | pouring material, and both are firmly integrated. For this reason, even if an axial force acts on the steel pipe 1, the engagement resistance will be generated by the coupling of the recessed part 2 and the injection material layer, and the movement of the steel pipe 1 will be prevented.

이상으로부터, 주입재 본 실시 형태의 지반 강화용 강관(5)에서는, 강관(1)과 지반의 밀착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보다 강고하게 강관(1)과 지반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 중, 부호 4는 외측 비트를 나타낸다.As mentioned above, in the ground material reinforcing steel pipe 5 of this embodiment, the adhesiveness of the steel pipe 1 and the ground is aimed at, and the steel pipe 1 and the ground can be fixed more firmly. In FIG. 1, the code | symbol 4 represents an outer bit.

이 지반 강화용 강관(5)의 제조 방법은, 강관 제조 라인에서 강관(1)을 조관 후, 열간 혹은 온간으로, 압박 수단에 의해 강관(1)의 표면에 오목부(2)를 부여할 뿐이다. 그로 인해, 생산성은 통상의 조관 공정과 거의 변함없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only gives the recessed part 2 to the surface of the steel pipe 1 by pressing means hot or warm after piping the steel pipe 1 in a steel pipe manufacturing line. . Therefore, productivity is hardly changed with the usual piping process.

도 2a 내지 도 2k는, 오목부(2)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구체예를 도시한다.2A to 2K show specific examples showing different shapes of the recesses 2.

도 2a, 도 2b, 도 2c는, 어느 강관(1)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부(2A 내지 2C)를 갖고, 이 오목부(2A 내지 2C)가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2a의 지반 강화용 강관(5)은, 오목부(2A)를 강관(1)의 동일 원주 상에 복수(도면에서는 대향하여 2개) 형성한 예이다. 도 2b의 지반 강화용 강관(5)은, 오목부(2)를 압연롤이 아닌, 강관(1A)에 대해, 근접, 퇴피 가능한 왕복식 압박 장치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오목부(2B)가, 강관(1)의 원주 상에서 거의 동일한 깊이로 되어 있다. 도 2c의 지반 강화용 강관(5)은, 오목부(2C)는 강관(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이들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2C)가 동일 원주 상에는 존재하지 않는 예이다.2A, 2B, and 2C have recesses 2A to 2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certain steel pipe 1, and a plurality of recesses 2A to 2C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5 of FIG. 2A is an example in which 2 A of recesses were formed on the same circumference of the steel pipe 1 (two in the figure opposing).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of FIG. 2B forms the recessed part 2 by the reciprocation | compression-type press apparatus which can approach and retract with respect to the steel pipe 1A rather than a rolling roll. The recessed part 2B has almost the same depth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teel pipe 1. In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of FIG. 2C, a plurality of recesses 2C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 and at least one of the recesses 2C facing each other does not exist on the same circumference. .

도 2c의 강관(1)과 같이,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2C)가 동일 원주 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지그재그 배치로 함으로써, 도 2a의 강관(1)에 비해, 오목부(2C)가 배치된 위치의 강관(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c에 도시하는 강관(1)은, 지반 강화용 강관(5)의 강도, 특히 오목부(2)가 배치된 부분의 강도가 보다 높게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오목부(2C)의 지그재그 배치의 예에서는, 오목부(2C)의 대향하는 부분의 전체 폭이 랩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the steel pipe 1 of FIG. 2C, the position where the recessed parts 2C are arrange | positioned compared with the steel pipe 1 of FIG. 2A by making a zigzag arrangement so that mutually opposing recessed parts 2C may not exist on the same circumference is shown. The strength of the steel pipe 1 can be improved. The steel pipe 1 shown in FIG. 2C is suitable for the case where the strength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in particular, the str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2 is disposed is required to be higher. In the example of zigzag arrangement | positioning of recessed part 2C, it is preferable to form so that the whole width of the opposing part of recessed part 2C may not wrap.

도 2d 내지 도 2g는, 강관(1)의 축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긴 변을 갖는 오목부(2D 내지 2G)를 형성한 강관(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h 및 도 2i는, 강관(1)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긴 변을 갖는 오목부(2H, 2I)를 형성한 강관(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j 및 도 2k는, 둥근 스폿 형상(원 형상)의 오목부(2J, 2K)를 형성한 강관(1)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폿 형상의 오목부(2J, 2K)는, 형성 용이성 등으로부터 타원이나 다각형 등으로부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2D 내지 2G)를 동일 원주 상에 배치할지 혹은 교대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할지 등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2D to 2G are diagrams showing the steel pipe 1 in which the concave portions 2D to 2G having long sides in the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teel pipe 1 are formed. 2H and 2I are views showing the steel pipe 1 in which the recesses 2H and 2I having long side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teel pipe 1 are formed. 2J and 2K are diagrams showing the steel pipe 1 in which the recesses 2J and 2K having a rounded spot shape (circular shape) are formed. The spot-shaped recesses 2J and 2K can be freely selected from ellipses, polygons and the like from the ease of formation.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reely select whether the recesses 2D to 2G are arranged on the same circumference or alternate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여기서, 오목부(2D 내지 2G)의 형상의 제약은 높이 뿐이며, 강관(1)의 내면을 굴삭 비드가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을 확보하면 된다.Here, the restriction of the shape of the recesses 2D to 2G is only a height, and it is sufficient to secure a space enough for the excavation beads to pass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간 혹은 온간으로 오목부(2)를 형성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강관(1)의 두께가 2㎜ 이상이라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꺼운 지반 강화용 강관(5)을 제조하고, 이 지반 강화용 강관(5)을 예를 들어 지반에 회전시키면서 매입할 때에, 이 지반 강화용 강관(5)에 비틀림력이 작용하여, 굴곡되거나, 선단부가 찌부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지반 강화용 강관(5)으로서 실용 가능한 외경 50㎜ 이상인 것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5 of this invention forms the recessed part 2 hot or warm as mentioned later. Therefor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1 is 2 mm or more, it can manufacture easily, for example. Therefore, when a thick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is manufactured and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is embedded while being rotated in the ground, for example, a torsional force acts on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resulting in bending. The tip is not crushed. Moreover, the thing with the outer diameter of 50 mm or more which can be practical as the steel pipe 5 for ground reinforcement can be manufactured easily.

본 발명에 관한 지반 강화용 강관(5)을, 특히 내식성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부(2)를 구성한 강관(1)의 표면에, 도금, 혹은 수지 피복을 실시하여, 양호한 내식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the steel pipe 5 for ground reinforce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especially for the use for which corrosion resistance is calculated | required, plating or resin co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teel pipe 1 which comprised the recessed part 2 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and to exhibit favorable corrosion resistance.

강관(1)의 오목부(2)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인 경우와, 단면 사각 형상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반원 형상 및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는, 대략 삼각형과 동등하다고 생각해도 좋다. 어느 경우도, 오목부(2)의 깊이(가장 깊은 부분의 깊이를 가리킴)(H)는, 강관(1)의 주위면과 지반 혹은 콘크리트 등의 마찰력을 얻기 위해, 0.005×D(단, D : 강관 외경) 이상은 필요하다. 그러나 0.2×D 초과에서 마찰력 향상의 효과도 포화되어 버리므로, 오목부(2)의 깊이(H)는 0.005×D 내지 0.2×D로 한다. 또한 오목부(2)의 폭(B)은, 상기 마찰력을 얻기 위해서는 0.015×D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2×D 초과에서는, 마찰력 향상 효과가 작으므로 2×D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As for the recessed part 2 of the steel pipe 1, as shown to FIG. 3A-FIG. 3D, the case where a cross-sectional shape is a triangular shape and the case where a cross-sectional square shape is basically possible can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a semicircle shape and a trapezoidal shape, you may think that it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a triangle. In any case, the depth (representing the depth of the deepest portion) H of the concave portion 2 is 0.005 × D in order to obtain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l pipe 1 and the ground or concrete. : Steel pipe outer diameter) However, since the effect of a frictional force improvement also becomes saturated above 0.2xD, the depth H of the recessed part 2 shall be 0.005xD-0.2xD.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the said frictional force, the width | variety B of the recessed part 2 requires 0.015 * D or more. However, in more than 2xD, since the frictional force improvement effect is small, it is necessary to be 2xD or less.

또한, 상기한 전제를 기초로, 오목부(2)의 형상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면에서, 하기의 사항을 규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오목부(2)의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일 때, B/H=3 내지 20이다. 오목부(2)의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일 때, B/H=4 내지 20이다. 오목부(2)의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 혹은 사다리꼴 형상일 때, B/H=3 내지 20이다.Moreover, it is important to prescribe the following matters from the viewpoint of optimizing the shape of the recessed part 2 based on the said premise. That is,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ed part 2 is triangular shape, B / H = 3-20.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ed part 2 is rectangular shape, B / H = 4-20.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ed part 2 is a semicircle shape or a trapezoid shape, B / H = 3-20.

이하, 상기한 B/H의 관계가 도출된 경위를,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제로서, 오목부(2)에서의 파괴 모드는, 오목부(2)의 외측, 즉, 도 4 중의 삼각형의 저변[오목부(2)의 폭(B)]에서의 소일 시멘트의 전단 강도와, 오목부(2)의 내부에서의 소일 시멘트의 지압 강도(bearing strength)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파괴 모드가 다른 쪽에 대해 명백하게 선행하면, 그 파괴 모드로 강도가 결정되므로, 강도는 저하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오목부(2)의 최적 형상을 고려하는 면에서는, 상기한 2개의 파괴 모드가 동시에 발생하는 형상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해진다.Hereinafter, the process from which the above-mentioned B / H relationship was derived is demonstrated using FIG. As a premise, the failure mode in the concave portion 2 is determined by the shear strength of the soil cement at the outer side of the concave portion, that is, at the bottom of the triangle (the width B of the concave portion 2) in FIG. 4. , Shall be determined by any one of the bearing strength of the soil cement in the recess 2. At this time, if any one of the breakdown modes is apparently preceded by the other, the strength is determined by the breakdown mode, so the strength is considered to be lowere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optimum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 it is necessary to find a shape in which the two failure modes described above occur simultaneously.

그 결과, 오목부(2)의 최적 형상에 있어서는, 지압 강도를 부여하는 지압력(P)과, 전단 강도를 부여하는 전단력(S)은 이하의 [식 1]의 평형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요구된다.As a result, in the optimum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 it is required that the bearing pressure P imparting the acupressure strength and the shear force S imparting the shear strength satisfy the equilibrium conditional expression of the following [Equation 1]. do.

[식 1][Equation 1]

S=PcosθS = Pcosθ

단, θ : 강관(1)의 표면과 오목부(2)의 입구측면이 이루는 각도이다.I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steel pipe 1 and the inlet side of the recess 2.

여기서, 전단력(S)은, 전단력이 작용하는 면적×전단력으로 정의된다. 그로 인해, 전단력(S)은 이하의 [식 2]로 정식화된다. 여기서는, 오목부(2)는 강관(1)의 주위 전체 둘레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전단 면적은, 강관(1)의 둘레 길이(πD)와, 오목부(2)의 폭(B)(삼각형의 저변 부분)의 곱으로 나타내어진다.Here, the shear force S is defined as the area x shear force on which the shear force acts. Therefore, the shear force S is form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Here, it is assumed that the recesses 2 are dispos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teel pipe 1. The shear area is represented by the product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πD of the steel pipe 1 and the width B of the concave portion 2 (the base of the triangle).

[식 2][Equation 2]

S=τㆍBㆍπㆍDS = τ, B, π, D

한편, 지압력(P)은, 지압 응력에 작용하는 면적을 곱한 것으로서, 이하의 [식 3]으로 정식화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aring pressure P is multiplied by the area acting on the bearing stress, and is form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식 3][Equation 3]

P=HㆍσbㆍcosθㆍπㆍDP = H · σb · cosθ · π · D

τ : 전단 응력, D : 강관 외경, σb : 지압력(지압 응력, 힘/면적의 차원) [식 1]에 [식 2], [식 3]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이하의 [식 4], [식 4']가 도출된다.τ: shear stress, D: outer diameter of steel pipe, σb: bearing pressure (pressure stress, force / area dimension) Substituting [Equation 2] and [Equation 3] into [Equation 1], the following [Equation 4] , [Equation 4 '] is derived.

[식 4][Equation 4]

τㆍB=(Hㆍσbㆍcosθ)cosθτ · B = (H · σb · cosθ) cosθ

[식 4'][Equation 4 ']

∴ B/H=σbㆍcos2θ/τ∴ B / H = σb · cos 2 θ / τ

[식 4']는, 최적 형상을 부여할 때의 힘의 평형 조건식 [식 1]을 변형한 것이다. 여기서는, 오목부(2)의 측면, 즉, 도 4의 삼각형의 경사면과, 강관(1)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θ)가 45도인 경우(이것을 이하, 삼각 형상으로 함)와, 90도인 경우(이것을 이하, 사각 형상으로 함)에 관하여 푸는 것으로 한다.[Equation 4 '] is a modification of the equilibrium condition equation [Equation 1] of the force at the time of providing the optimum shape. Here, when the angle (theta)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2, i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iangle of FIG. 4, and the surface of the steel pipe 1 forms is 45 degree | times (this is hereafter referred to as a triangular shape), and 90 degree | times, It shall be solved about (hereinafter, it shall be set as square shape).

θ=90°[오목부(2)가 사각 형상]로 하면,When θ = 90 ° [the concave portion 2 has a square shape],

[식 5][Equation 5]

B/H=σb/τB / H = σb / τ

가 된다. 예를 들어, 소일 시멘트의 지압 강도(σb)=1N/㎟와, 전단 강도(τ)=0.1N/㎟를 [식 5]에 대입하면, B/H=10[오목부(2)의 폭이 높이의 10배]이 되어, 오목부(2)의 형상은, 긴 변 10H, 높이 H인 직사각형이 된다.Becomes For example, substituting acupressure strength (σb) = 1 N / mm 2 and shear strength (τ) = 0.1 N / mm 2 of small cement into [Equation 5], B / H = 10 [width of concave portion 2] 10 times this height], and the shape of the recessed part 2 becomes a rectangle with a long side 10H and a height H. FIG.

한편, 최종적인 오목부(2)의 형상이 삼각 형상이고, 또한 그 삼각형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하면, B, H, θ에는 하기의 관계식 [식 6]이 성립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hape of the final concave portion 2 is a triangular shape and the triangle is an isosceles triangle,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Equation 6) is established in B, H, and θ.

[식 6][Equation 6]

tanθ=2ㆍH/Btanθ = 2 · H / B

이것을 [식 4']에 대입하면,Substituting this into [Equation 4 '],

[식 7][Equation 7]

2/(sinθㆍcosθ)=σb/τ2 / (sinθcosθ) = σb / τ

가 된다. 이 [식 7]에, 소일 시멘트의 지압 강도(σb)=1N/㎟, 전단 강도(τ)=0.1N/㎟을 대입하면,Becomes Substituting the pressure strength (σb) = 1 N / mm 2 and shear strength (τ) = 0.1 N / mm 2 of the small cement into this [Formula 7],

[식 8][Equation 8]

sinθㆍcosθ=1/5sinθ · cosθ = 1/5

[식 8'][Equation 8 ']

sin2θ=2/5=0.4sin2θ = 2/5 = 0.4

∴θ=11.8∴θ = 11.8

이 된다.Becomes

소일 시멘트(콘크리트)의 지압 강도(σb)와 전단 강도(τ)의 관계를The relationship between acupressure strength (σb) and shear strength (τ) of soil cement (concrete)

1/20≤τ/σb≤2/9로 하면(통상은, τ/σb=1/10 정도),When 1 / 20≤τ / σb≤2 / 9 (typically, τ / σb = 1/10),

(a) 오목부(2)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오목부(2)의 폭(B)과 깊이(H)의 관계는 [식 5]에 의해,(a) In the case where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 is a quadrang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B and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 is expressed by Equation 5,

4.5≤B/H≤20.04.5≤B / H≤20.0

(b) 오목부(2)의 형상이 삼각형인 경우, 적정한 θ의 범위는 [식 7]에 의해(b) In the case where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 is a triangular shape, an appropriate range of θ is expressed by [Equation 7].

5.8≤θ≤31.45.8≤θ≤31.4

이때, 오목부(2)의 폭(B)과 깊이(H)의 관계는, [식 6]에 의해At this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B and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 is expressed by [Expression 6].

3.3≤B/H≤19.83.3≤B / H≤19.8

이 된다.Becomes

여기서, 도 2d 내지 도 2k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강관(1)의 축방향으로 경사, 평행, 혹은 스폿 형상의 오목부(2)의 경우에 대해서도, 도 2d의 A-A 단면, 도 2h의 H-H 단면, 도 2j의 C-C 단면에 대해 상기 식을 적용하면 된다.Here, also in the case of the inclined, parallel, or spot-shaped recesses 2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 as shown in Figs. 2D to 2K, the AA cross section in Fig. 2D, the HH cross section in Fig. 2H,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pply the said formula to the CC cross section of FIG. 2J.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는 B/H를 하기와 같이 규정하였다.In view of the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 / H is defined as follows.

(1) 오목부(2)의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일 때, B/H=3 내지 20(1)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 is triangular, B / H = 3 to 20

(2) 오목부(2)의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일 때, B/H=4 내지 20(2)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ed part 2 is square shape, B / H = 4-20

(3) 오목부(2)의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 혹은 사다리꼴 형상일 때, B/H=3 내지 20(3)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 is a semicircle shape or a trapezoidal shape, B / H = 3 to 20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지반 강화용 강관(5)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5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의 a), b), c), d)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이라도 적용 가능하지만, 단접 강관의 제조 라인을 대표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y of the following steps a), b), c) and d) can be appl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 production line of a single welded steel pip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 전봉 강관 제조 라인에서, 전봉 용접 후, 이 강관을 가열하고, 압박 수단에 의해 그 표면을 압박한다.a) In an electroplating steel pipe manufacturing line, after electroplating welding, this steel pipe is heated and the surface is pressed by a pressing means.

b) 열간 혹은 온간 용접 강관 제조 라인에서, 용접 후, 압박 수단에 의해 그 표면을 압박한다.b) In the hot or warm welded steel pipe production line, after welding, the surface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ans.

c) 단접 강관 제조 라인에서, 충합(衝合) 후, 압박 수단에 의해 그 표면을 압박한다.c) In a single-piece steel pipe manufacturing line, after the welding, the surface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ans.

d) 시임리스 강관 제조 라인에서, 조관 후, 압박 수단에 의해 그 표면을 압박한다.d) In the seamless steel pipe production line, after the pipe is pressed, the surface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ans.

도 5는 통상의 단접관의 제조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roduction line of a normal single weld pipe.

원하는 폭으로 슬릿된 강대(鋼帶)(10)를 롤(21)에 의해 단면 원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후, 롤(22)에 의해 그 양단부를 고열로 가열하고, 압접하여, 충합한다. 충합된 관을 그 이후의 롤(23 내지 34)에 의해 소정의 치수로 직경 축소하기 위해 좁힌다. 그리고 절단기(38)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이후의 롤(35 내지 37)에 의해 형상을 정렬하여 단접관(11)[강관(1)]이 제조된다.The steel strip 10 slit to a desired width is shape | molded by the roll 21 to circular shape of cross section. Thereafter, both ends of the roll 22 are heated at high temperatures, press-bonded, and fused together. The joined tube is narrowed by the subsequent rolls 23 to 34 to shrink in diameter to a predetermined dimension. And it cut | disconnects to predetermined length with the cutter 38, the shape is aligned with the subsequent rolls 35-37, and the single welded pipe 11 (steel pipe 1) is manufactured.

도 6은 단접관 제조 라인의 일 실시예이다.6 is one embodiment of a single-tube production line.

종래의 제조 라인에 대해, 절단기(38) 앞의 스퀴즈 롤의 최종 롤(34)만을 변경하고 있다. 이 롤(34)은, 도 7a 및 도 7b와 같이, 롤(34)의 주위면에, 롤 축 방향으로 1개소 혹은 복수 개소에 볼록부(α)를 설치하고 있다. 이 볼록부(α)를 압박 수단으로 하고 있다. 이 볼록부(α)를 설치한 롤(34)을 상하 양쪽 혹은 편측에 사용한다. 도 6, 도 7a 내지 도 7b에서는, 상하 2기의 롤(34a, 34b)로 도시하고 있지만, 1세트가 3기 이상인 롤이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볼록부(α)를 가진 롤(34)에 의해, 고온의(약 1200 내지 1300℃ 정도) 단접관(11)에 압력을 가한다. 그로 인해, 그 볼록부(α)가 닿는 단접관(11)의 부분은 용이하게 오목부(2)가 형성된다. 또한 냉간에 의한 가공에 비교하여 오목부(2)의 형상은, 롤(34)의 볼록부(α)의 형상에 의거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보다 예각인 오목부(2)가 얻어진다. 그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정형되어, 오목부(11a)가 형성된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5)이 완성된다.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line, only the final roll 34 of the squeeze roll in front of the cutter 38 is changed.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rolls 34 are provided with convex portions α at one or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ll 34. This convex part (alpha) is used as a press means. The roll 34 in which this convex part (alpha) was provided is used for both up and down or one side. In FIG. 6 and FIG. 7A-FIG. 7B, although it shows with the upper and lower rolls 34a and 34b, one set may be three or more rolls. By the roll 34 which has such convex part (alpha),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about 1200-1300 degreeC) short junction pipe 11. Therefore, the recessed part 2 is easily formed in the part of the single joint pipe 11 which the convex part (alpha) touche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recessed part 2 is formed in the shape based on the shape of the convex part (alpha) of the roll 34 compared with the process by cold. Therefore, a more sharp recess 2 is obtained. Thereafter,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shaped, and has a recessed portion 11a, is completed.

여기서, 단접관(11) 상의 오목부(2)의 높이, 폭, 피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는, 롤(34)의 볼록부(α)의 형상이나 피치를 변경하면 된다. 또한, 상하의 롤(34a, 34b) 양쪽에 볼록부(α)를 설치하고, 단접관(11) 상의 오목부(2)의 위치를 동일한 위치에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하의 롤(34a, 34b)의 볼록부(α)의 위치를 초기에 맞추어 두고, 예를 들어 상하의 롤(34a, 34b)을 하나의 구동원 및 유니버설 조인트 등을 통해 연결하고, 동기시켜 상하의 롤(34a, 34b)을 구동하면 된다.Here, in the case where the height, width, and pitch of the concave portion 2 on the single weld pipe 11 are to be changed, the shape and pitch of the convex portion α of the roll 34 may be changed. In addition, when the convex part (alpha) is provided in both the upper and lower rolls 34a and 34b, and the position of the recessed part 2 on the single joint pipe 11 is to be formed in the same position, the upper and lower rolls 34a and 34b The position of the convex part (alpha) of 1 may be made into the initial stage,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rolls 34a and 34b may be connected through one drive source, a universal joint, etc., and it may synchronize and drive the upper and lower rolls 34a and 34b. .

롤(34)에 형성하는 볼록부(α)의 형상은,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34)의 중심부를 높게 하고, 롤(34)의 단부에 향함에 따라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34)의 중심부와 단부에서는, 주속(周速)이 다르다. 그로 인해, 직경이 큰 단부의 쪽이, 주속이 커진다. 따라서, 통과하는 관보다도 빠르게 롤(34)의 회전이 진행되므로, 단접관(11)에 대해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필요 이상의 변형이나 왜곡을 단접관(11)에 부여해 버린다.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hape of the convex part (alpha) formed in the roll 34 as high as the center part of the roll 34, and toward the edge part of the roll 34, as shown in FIG. 7B. At the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of the roll 34, a circumferential speed is different. For this reason, the peripheral speed is larger at the end of the larger diameter. Therefore, since the rotation of the roll 34 advances faster than the tube which passes, unnecessary force is applied to the single weld pipe 11. As a result, more than necessary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are provided to the single joint pipe 11.

도 8은 다른 단접관 제조 라인의 예이다.8 is an example of another short pipe production line.

본 예에서는, 스퀴즈 롤(34)과 절단기(38) 사이에, 전용의 단접관(11)[강관(1)]에의 가압 장치(압박 수단)(39)를 설치한 예이다. 가압 장치(39)로서는, 전술한 볼록부(α)를 가진 롤(34)이라도 좋고, 또한 상하로부터 끼워 넣는 형태로 단접관(11)에 가압하는 타입의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이 가압 장치(39)는, 단접관(11)에 대해 진퇴, 혹은 단접관(11)의 진행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xample, it is an example which provided the pressurization apparatus (pressing means) 39 to the exclusive single welded pipe 11 (steel pipe 1) between the squeeze roll 34 and the cutter 38. As shown in FIG. As the pressurization apparatus 39, the roll 34 which has the above-mentioned convex part (alpha) may be sufficient, and the thing of the type which presses on the single weld pipe 11 in the form of being pinched from top and bottom may be sufficien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is pressurization apparatus 39 has the mechanism which can advance and retreat with respect to the end weld pipe 11 or advancing and advanci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end weld pipe 11.

가압 장치(39)가, 단접관(11)에 대해 근접, 퇴피 가능함으로써, 단접관(11)의 임의의 위치에 오목부(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2)의 피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라도, 롤(34)의 교환 등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 기능에 의해, 미리 단접관(11)의 절단 위치를 제어부가 인식해 두고, 이 절단 위치에 오목부(2)가 위치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단접관(11)의 단부에 오목부(2)가 오면, 단접관(11)마다 단부면의 직경이나 형상이 다르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단접관(11)끼리의 접속이 곤란해진다.Since the pressurization apparatus 39 can approach and retract with respect to the single welded pipe 11, the recessed part 2 can be formed in the arbitrary position of the single welded pipe 1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even when it is going to change the pitch of the recessed part 2,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 exchange the roll 34. Moreover, by this function, the control part recognizes the cutting position of the short weld pipe 11 beforehand, and it become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recessed part 2 may not be located in this cutting position. When the recessed part 2 comes to the edge part of the short weld pipe 11, the diameter and shape of an end surface will become different for every short weld pipe 1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for example, connection of the single welded pipes 11 becomes difficult.

또한, 가압 장치(39)를 단접관(11)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단접관(11)의 진행과 동조하여 직경 축소부의 형성 장치를 이동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롤(34)의 중심부와 단부의 주속의 차에 의한 단접관(11)에의 불필요한 왜곡 등이 발생하지 않고, 오목부(2)의 형상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by making the pressurizing device 39 moveable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ingle welded pipe 11, it can move with the advancing of the single welded pipe 11, and can move the formation apparatus of a diameter reduction part. Thereby, unnecessary distortion etc. to the single joint pipe 11 by the difference of the peripheral speed of the center part and the edge part of the roll 34 mentioned above do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and the shape of the recessed part 2 can be formed freely.

이상, 전용 장치에 있어서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기능을 기존의 최종 스퀴즈 롤에 볼록부(α)를 설치한 롤(34)에 갖게 해도 좋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demonstrated in the exclusive apparatus, you may have these functions in the roll 34 which provided the convex part (alpha) in the existing final squeeze roll.

전술한 바와 같이, 조관 방법은, 전봉에 의한 조관 방법, 열간 혹은 온간으로 용접하는 조관 방법, 단접에 의한 조관 방법, 시임리스 조관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조관 중, 혹은 조관 후에 가열 등을 하여, 온간 혹은 열간의 상태에서 압박 수단에 의해 그 조관된 표면을 압박하면 되어, 온라인에 의한 오목부(2)가 형성된 강관(1)의 제조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ubing method may be any one of a tubing method by an electric rod, a tubing method by welding hot or warm, a tubing method by a single joint, and a seamless tube method. Heating or the like in the tube or after the tube can be performed by pressing means to press the surface of the tube in a warm or hot state, whereby the steel tube 1 with the concave portion 2 formed online can be manufactured.

그리고 이들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강관(1)은, 열간으로 오목부(2)가 형성되므로, 강관(1)의 두께가 2㎜ 이상이라도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강관 말뚝으로서 지반에 회전시키면서 매입할 때에, 강관(1)은 두껍기 때문에, 강관(1)에 비틀림력이 작용하여, 이 강관(1)이 굴곡되거나, 선단부가 찌부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지반 강화용 강관(5)으로서 실용 가능한 외경 50㎜ 이상인 것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생산 능률은, 통상의 단접 강관을 제조할 때와 동일하다.And since the recessed part 2 is formed hot in the steel pipe 1 manufactured by these manufacturing methods,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1 is 2 mm or more, it can be manufactured easily. For example, when the steel pipe 1 is thick while being embedded in the ground as a steel pipe pile, a torsion force acts on the steel pipe 1 so that the steel pipe 1 is not bent or the tip end is crushed. . In addition, the steel pipe 5 for ground reinforcement can also be easily manufactured having a practical outer diameter of 50 mm or more. Moreover, production efficiency is the same as when manufacturing a normal single welded steel pipe.

이상과 같은 강관의 제조 방법에 의해 통상의 강관의 제조 라인에서, 돌기를 부여한 전용 롤로 제관함으로써, 강관 제조와 동시에 오목부(2)를 연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전용 롤(34)의 돌기부(α)의 형상의 변경에 의해, 임의로 자유로운 형상, 간격, 배치의 오목부(2)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정에 의한 가공의 필요가 없어, 매우 저렴하게 오목부(2)가 형성된 강관(1)을 제공할 수 있다.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teel pipe as mentioned above, in the manufacturing line of a normal steel pipe, the concave part 2 can be provided continuously at the same time as steel pipe manufacture by producing into a dedicated roll which provided the processus | protrusion. In addition,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projection α of the exclusive roll 34, the recess 2 of a free shape, spacing, and arrangement can be arbitrarily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processing by a separate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teel pipe 1 in which the recesses 2 are formed at a very low cost.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5)에서는, 이와 같이 강관(1)의 외표면측이 아니라, 내표면측에 볼록 형상[즉, 오목부(2)]을 부여함으로써, 강관(1)의 타설시에, 이 오목부(2)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충분한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큰 오목부(2)를 갖는 지반 강화용 강관(5)을,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일 없이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In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x shape (that is, the concave portion 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side instead of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steel pipe 1 in this way, so that the steel pipe 1 is placed. At the time, this recessed part 2 does not interfere. Moreover, the steel pipe 5 for ground reinforcement which has the large recessed part 2 which can ensure sufficient adhesiveness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without reducing productivity.

그리고 오목부(2)를 형성한 강관(1)에, 복수의 통공(3)을 천공한다. 통공(3)은, 강관(1)의 둘레 상의 오목부(2)라도 좋고, 오목부(2) 이외의 평활부에 형성해도 좋다. 혹은 어느 쪽에 형성해도 좋다. 통공(3)의 직경이나 배치는, 주입재가 전체 길이에 걸쳐 구석구석까지 고루 미치는 것이면 좋고, 주입하는 강화제의 성상이나 주입하는 지반의 상태에 따라 임의로 결정하면 된다.Th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 are drilled in the steel pipe 1 in which the recesses 2 are formed. The through hole 3 may be a recess 2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teel pipe 1 or may be formed in a smooth portion other than the recess 2.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on either side. The diameter and arrangement of the through hole 3 may be evenly distributed to every corner over the entire length, and may be arbitrari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reinforcing agent to be injected and the state of the ground to be injected.

도 9는 굴삭용 비트(4, 7)와 지반 강화용 강관(5)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외측 비트(4)는, 로드(6) 및 내측 비트(7)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방의 지반 등을 굴삭한다. 외측 비트(4)의 후방에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5)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반 강화용 강관(5)의 외경은, 외측 비트(4)의 외경보다도 작으면 좋다.9 shows the positions of the excavation bits 4, 7 and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The outer side bit 4 excavates the ground and the like while rotating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rod 6 and the inner side bit 7. Behind the outer bit 4,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herefore, the outer diameter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side bit 4.

또한, 지반 강화용 강관(5)의 내측은, 로드(6)와 내측 비트(7)가 통과한다. 그로 인해, 강관(1)의 최소 내경은, 내측 비트(7)의 최대 외경보다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강관 1바퀴상의 오목부(2)의 깊이를 크게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d 6 and the inner bit 7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1 larg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inner side bit 7. As long as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2 on one round of steel pipes can be taken large.

이 지반 강화용 강관(5)의 사용시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내측 비트(7)를 장착한 드릴 로드(6)를, 이 강관(1) 내에 삽입 관통하여, 선단부의 내측 비트(7)가 강관(1)의 외측 비트(4)보다도 돌출되도록 하여, 이 드릴 로드(6)와 강관(1)의 후단부를 착암기(도시를 생략)에 접속한다. 그리고 드릴 로드(6)와 강관(1)에 착암기로부터 타격과 회전과 추력을 부여하면서 천공을 행한다. 천공 중에는, 착암기로부터 물 또는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외측 비트(4)의 선단부로부터 토출된다. 천공에 의해 발생하는 슬라임(slime)은, 대부분이 강관(1)의 내측을 통해 배출되지만, 일부는 강관(1)의 외측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다.When using this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5, as shown in FIG. 9, the drill rod 6 which attached the inner side bit 7 to the front end part is inserted through this steel pipe 1, and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nd part is inserted. The bit 7 protrudes from the outer bit 4 of the steel pipe 1, and the rear end of the drill rod 6 and the steel pipe 1 is connected to a rock drill (not shown). Then, the drill rod 6 and the steel pipe 1 are drilled while giving blow, rotation and thrust from the rock drill. During drilling, water or compressed air is supplied from the rock drill and discharged from the tip end of the outer bit 4. Slimes generated by the perforation are mostly discharg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1, but some are discharged backward through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1.

소정 깊이의 천공이 종료되어 강관(1)이 지반 중에 매설되면, 드릴 로드(6)를 내측 비트(7)와 함께 강관(1)으로부터 후방으로 빼낸다. 그 후, 강관(1)의 후단부에 주입 장치(도시를 생략)를 장착하여, 주입재를 강관(1) 내에 압입한다. 이 주입재는, 강관(1) 내에 가득 채워져, 이 강관(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통공(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강관(1)의 외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지반 내에 침투하여 고화된다. 이에 의해, 지반이 강화된다.When the drilling of the predetermined depth is completed and the steel pipe 1 is embedded in the ground, the drill rod 6 together with the inner bit 7 is pulled backward from the steel pipe 1. Thereafter, an injection device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steel pipe 1 to press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steel pipe 1. This injection | pouring material fills up in the steel pipe 1, and flows out through the many through-holes 3 formed in this steel pipe 1 to the outside. And while it flow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 it penetrates and solidifies in the ground. This strengthens the ground.

이 강관(1)은, 그 외주부에 오목부(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오목부(2)가 고화된 주입재의 층에 매립된 상태로 되어, 양자가 강고하게 일체화된다. 이로 인해, 강관(1)에 축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이 오목부(2)와 주입재층의 결합에 의해 걸림 저항이 발생하여 강관(1)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강관(1)이 강고하게 지반 중에 고정된다. 오목부(2)는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주입재나 슬라임의 유동성과 일탈 방지를 위한 걸림 저항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recessed part 2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is steel pipe 1, this recessed part 2 will be in the state embedded in the layer of the injection material which solidified, and both are firmly integrated. For this reason, even if an axial force acts on the steel pipe 1, the engagement resistance will be generated by the coupling of the recessed part 2 and the injection material layer, and the movement of the steel pipe 1 will be prevented. In this way, the steel pipe 1 is firmly fixed in the ground. Since the concave portion 2 has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fluidity of the injection material or the slime and the locking resistance for preventing deviation.

상기 오목부(2)는, 통상 압연 롤에 의해 형성된다. 그로 인해, 그 단면 형상은, 에지부나 코너부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슬라임이나 주입재가 원활하게 유동하여, 부분적으로 막힘이나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슬라임의 배출 상태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주입재와 강관(1)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지반 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비트로서, 강관(1)의 선단부에 고착한 링 형상의 외측 비트(4)와, 드릴 로드(6)의 선단부에 장착된 내측 비트(7)의 조합을 채용하였지만, 구경을 확장 수축 가능한 신축 비트를 사용하여, 천공시에는 구경을 강관(1)의 외경보다도 커지도록 확장하여 천공을 행하고, 천공 종료시에는 강관(1)의 내경보다도 작아지도록 구경을 수축하여 후방으로 빼내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강관(1)의 선단부에 링 비트(외측 비트)(4)를 고착해 둘 필요가 없다.The said recessed part 2 is normally formed of a rolling roll.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shape becomes a smooth shape without an edge part or a corner part. Therefore, the slime or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smoothly, and no clogging or voiding occurs partially. As a result, not only the discharge state of the slime is good, but also the adhesion between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steel pipe 1 is improved, and excellent ground reinforcement can be achieved. In the above description, a combination of a ring-shaped outer bit 4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steel pipe 1 and an inner bit 7 mounted to the distal end of the drill rod 6 is employed as the bit, but the aperture is expanded. By using the retractable expansion and contracting bits, the drilling may be performed by expanding the aperture so as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1 at the time of drilling, and shrinking the aperture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1 at the end of the drilling. .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fix the ring bit (outer bit) 4 to the distal end of the steel pipe 1.

실시예Example

다음에, 이하의 수준으로 밀착력을 비교하였으므로 그것을 설명한다. 수준은 표 1의 3수준으로 하였다. 사이즈 : 76.3㎜φ×3.2㎜t×6mL, 규격 STKNext, since the adhesive force was compared on the following levels, it demonstrates. The level was made into three levels of Table 1. Size: 76.3mmφ × 3.2mmt × 6mL, standard STK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밀착력의 평가 방법은, 도 10a,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일 시멘트(100) 중에 지반 강화용 강관(5)을 매설하고, 상부(101)로부터 하중을 가하여 최대 하중을 계측하였다(최대 하중으로 밀착도를 평가하였음). 도 10a는, 본 발명의 지반 강화용 강관(5)을 매설하였을 때의 평가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제2 비교예로서 볼록부(103)가 배치된 강관(102)을 매설하였을 때의 평가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0A and 10B,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dhesive force embedded the steel pipe 5 for ground reinforcement in the soil cement 100, applied the load from the upper part 101, and measured the maximum load (maximum load). Adhesion was evaluated). FIG. 10: A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evaluation method at the time of embedding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5 of this invention. FIG. 10: B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evaluation method at the time of embedding the steel pipe 102 in which the convex part 103 was arrange | positioned as a 2nd comparative example.

소일 시멘트(100)는, 흙과 고화제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흙은 점성토와 사질토인 것의 2예로 실시하였다. 점성토의 입경은 0.001 내지 0.005㎜, 사질토의 입경은 0.074 내지 2.000㎜이다. 그 결과,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은 다른 비교예에 비해 천공 하중이 큰, 즉 밀착력이 큰 것이 확인되었다.As the soil cement 100, a mixture of soil and a hardener was used. At this time, the soil was carried out in two cases of clay and sandy soil.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lay is 0.001 to 0.005 mm, and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sandy soil is 0.074 to 2.000 mm.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1,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hat the punching load is large, that is, the adhesion is large compared with other comparative examples.

본 발명의 오목부가 형성된 지반 강화용 강관은, 제조 비용은 제1 비교예의 직관의 제조 비용과 거의 동일 레벨이다. 한편, 제2 비교예의 볼록부 형성 강관은, 조관 비용에, 볼록부를 형성하기 위한 덧댐 용접 비용이 추가된다. 그로 인해, 고비용이 된다. 이와 같이 비용면에서도 본 발명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ground reinforced steel pipe in which the recessed part of this invention was formed is about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traight pipe of a 1st comparative example.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x part forming steel pipe of a 2nd comparative example, the cost of the additional welding for forming a convex part is added to piping cost. Therefore, it becomes expensive. Thus, it turns out that this invention is excellent also in cost.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지반 강화용 강관은, 종래의 강관의 외주면에 오목부를 형성한 것이며, 터널 공사 등에 있어서의 지반 강화 혹은 콘크리트 기초 등의 구조체의 강화를 저비용으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s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nventional steel pipe, and can effectively perform ground reinforcement in tunnel construction or a structure such as a concrete foundation at low cost. have.

1 : 강관
2 : 오목부
3 : 통공
4 : 외측 비트
5 : 지반 강화용 강관
1: steel pipe
2 recess
3: through-hole
4: outside bit
5: ground reinforcement steel pipe

Claims (14)

지반에 타설되고, 이 지반 내에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한 지반 강화용 강관이며,
그 외주면에 배치된 오목부 및 평활부와,
상기 오목부 혹은 상기 평활부에 있어서,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의 내외로 통하는 복수의 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
It is poured on the ground, and it is a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for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ground,
Recesses and smooth portion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or the smooth portion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at pass through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강관의 외경을 (D)로 하였을 때에,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005D 내지 0.2D이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이 0.015D 내지 2D이고,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폭을 (B),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H)로 하였을 때에,
B/H=3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is 0.005D to 0.2D and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is 0.015D to 2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is (D).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 is triangular, and the width of the recess is (B) and the depth of the recess is (H),
B / H = 3 to 20,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강관의 외경을 (D)로 하였을 때에,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005D 내지 0.2D이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이 0.015D 내지 2D이고,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폭을 (B),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H)로 하였을 때에, B/H=4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is 0.005D to 0.2D and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is 0.015D to 2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is (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square shape, B / H = 4-20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set to (B), and the depth of the said recessed part is set to (H), The ground reinforcement steel pip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강관의 외경을 (D)로 하였을 때에,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005D 내지 0.2D이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이 0.015D 내지 2D이고,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 혹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폭을 (B),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H)로 하였을 때에, B/H=3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is 0.005D to 0.2D and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is 0.015D to 2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is (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is semicircular or trapezoidal, and when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is set to (B) and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is set to (H), the ground reinforc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B / H is 3 to 20. Dragon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동일 원주 상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cesses are formed on the same circumference of the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동일 원주상을 피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aid steel pipe,
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which at least the said recessed part opposing each other is formed avoiding the same columnar shape of the said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축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cesses are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강관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cesses ar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axis of the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오목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원 형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cesses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the recesses are viewed from the fro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표면에 도금, 혹은 수지 피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강관.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lating or resin coating is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pipe. 지반 강화시에, 지반을 굴삭하면서 제1항에 기재된 지반 강화용 강관을 타설 하고,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을 타설 후,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공을 통해 상기 지반 강화용 강관의 외부로 주입재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방법.
In the case of ground reinforcement, while laying the ground, the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of Claim 1 is poured,
And after pouring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an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from the insid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 강화용 강관의 최소 내경이, 상기 지반을 굴삭할 때에 사용하는 내측 비트의 외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방법.The ground strengthen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bit used when digging the groun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 강화용 강관의 최대 외경이, 상기 지반의 굴삭에 사용하는 외측 비트의 외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방법.The ground strengthen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bit used for excavation of the ground.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구조체의 강화시에, 이 구조체를 굴삭하면서 제1항에 기재된 지반 강화용 강관을 타설하고,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을 타설 후, 이 지반 강화용 강관의 내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공을 통해 상기 지반 강화용 강관의 외부로 주입재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강화 방법.
At the time of reinforcement of the structure including concrete,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according to claim 1 is poured while excavating the structure,
And after pouring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an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from the insid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reinforcing steel pipe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KR1020107015640A 2008-01-18 2009-01-16 Steel pipe for reinforcing foundation, method of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inforcing structure KR2010009311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9570 2008-01-18
JP2008009570A JP2009167752A (en) 2008-01-18 2008-01-18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and method of ground reinforcement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117A true KR20100093117A (en) 2010-08-24

Family

ID=4088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640A KR20100093117A (en) 2008-01-18 2009-01-16 Steel pipe for reinforcing foundation, method of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inforcing structur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167752A (en)
KR (1) KR20100093117A (en)
CN (1) CN101910560A (en)
WO (1) WO200909104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679B (en) * 2010-12-29 2012-07-04 西安建筑科技大学 Method for consolidating existing building foundation
CN102226338A (en) * 2011-04-12 2011-10-26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reinforcing bearing platform foundation with soil bearing capacity less than 0.1Mpa
JP5965778B2 (en) * 2012-08-16 2016-08-10 エスティ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Long mirror bolt method
JP6221512B2 (en) * 2013-08-27 2017-11-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Roll stand for forming recess in stepped steel pipe, roll drawing mill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pped steel pipe
JP6515325B2 (en) * 2015-02-26 2019-05-22 日本製鉄株式会社 Reinforcement structure of reinforced steel pipe and concrete structure
JP6460835B2 (en) * 2015-02-26 2019-01-3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Reinforcing structure of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of reinforcing the same
JP6307136B2 (en) * 2016-09-27 2018-04-04 植村 誠 Open shield method
JP6307135B2 (en) * 2016-09-27 2018-04-04 植村 誠 Open shiel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200U (en) * 1985-07-23 1987-02-07
JPH0540935Y2 (en) * 1988-06-06 1993-10-18
JPH025500U (en) * 1988-06-17 1990-01-16
JPH0765478B2 (en) * 1990-02-26 1995-07-19 大成建設株式会社 Driving method such as lock bolt
JPH11280394A (en) * 1998-03-27 1999-10-12 Tokai Rubber Ind Ltd Resin-made lock-bolt and its manufacture
JP2997237B2 (en) * 1998-05-19 2000-01-11 株式会社ケー・エフ・シー Rock bolt
JP2002081300A (en) * 2000-09-07 2002-03-22 Masato Yamada Lock bolt fixing method of mountain tunnel and water stop packing therefor
JP2005061002A (en) * 2003-08-11 2005-03-10 Nisshin Steel Co Ltd Spill-proof method for steel pipe expansion type lock bolt
JP4502730B2 (en) * 2004-07-06 2010-07-14 株式会社奥村組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JP2006106085A (en) * 2004-09-30 2006-04-20 Brother Ind Ltd Karaoke system and program
JP4109698B2 (en) * 2005-08-24 2008-07-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pipe pile with d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67752A (en) 2009-07-30
CN101910560A (en) 2010-12-08
WO2009091041A1 (en)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3117A (en) Steel pipe for reinforcing foundation, method of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inforcing structure
JP5335200B2 (en) Spiral steel pipe pile
JP2006307593A (en) Grout pipe and grouting in cast-in-place concrete pile
US20110038675A1 (en) Steel pipe for reinforcing ground, method of reinforcing ground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inforcing structure
JP2006312825A (en) Rotational penetration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5040699B2 (en) Synthetic friction pile
RU2296833C2 (en) Method for culvert laying under road embankment
JP4502730B2 (en) Steel pipe for ground reinforcement
CN111188462A (en) Splicing type grouting sleeve for connecting reinforcing steel bars and manufacturing method
JP4608327B2 (en) The tip structure of a steel pipe pile used in the medium digging method.
JP4085492B2 (en) Winged screw pile
JP4988068B2 (en) Steel pipe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791211B1 (en) Helix steel pipe pile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ement of buckling
JP2009024436A (en) Mechanical joint of steel pipe pile
JP3676799B2 (en) Shear force reinforcement method
CN103205974B (en)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at pregroove stake is combined with mixing pile
JP4918014B2 (en)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927763B2 (en) Rotating penetrating steel pipe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H0583684B2 (en)
JP6515325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reinforced steel pipe and concrete structure
KR200349108Y1 (en) Anchor-nail Device for Slope-reinforcement-construction
JP6508981B2 (en) Ground improvement method
JP2022127221A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masonry wall, and tubular reinforcement member
JP2010242464A (en) Foundation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50065129A (en) Self-extending pil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