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679A -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 Google Patents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679A
KR20100092679A KR1020090011927A KR20090011927A KR20100092679A KR 20100092679 A KR20100092679 A KR 20100092679A KR 1020090011927 A KR1020090011927 A KR 1020090011927A KR 20090011927 A KR20090011927 A KR 20090011927A KR 20100092679 A KR20100092679 A KR 2010009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ain body
drug
integral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769B1 (ko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현 filed Critical 김남현
Priority to KR102009001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7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72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med by arranging one flexible container within an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포를 내장하고 그 약포를 간단하게 천공 도는 절단하여 그 약포의 내용물을 수액과 혼합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약포 및 약품누출기를 일체로 구비한 수액용기를 제공한다. 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는 정면부와, 주변이 상기 정면부와 일체로 접하여 수액을 내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배면부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배면부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저면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걸이구;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배출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내장되고, 상기 본체 내의 수액에 혼합가능한 약품을 내포하며, 천공 또는 절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약포; 및 상기 약포를 천공 또는 절단하여 약품을 누출시켜 상기 본체내의 수액과 혼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는 약품누출기로 구성된다.
수액용기, 약포, 약품누출기, 프레임

Description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A Solution Receptacle Integrated with Medicine Bag}
본 발명은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포를 내장하고 그 약포를 간단하게 천공하거나 절단하여 그 약포의 내용물을 수액과 혼합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약포 및 약품누출기를 일체로 구비한 수액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들 중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주사 또는 약물 복용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주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일회용 주사기 또는 인젝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대량의 약물을 투여하거나 장시간의 투여를 요하는 경우에는 분말 또는 액상의 약제를 식염수와 같은 수액에 용해시켜 농도를 유지하여 주사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액용기를 이용한 주사방법은, 기본적으로 용해된 약제가 수용된 용기와 용해액이 들어있는 용기를 양두침 또는 연결관 등의 접속용구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용해된 약제가 들어있는 용기를 기울여 그 내부의 용해된 약제를 용해액이 들어있는 용기에 삽입하여 혼한 한 후 라인에 연결된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주사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조작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오염될 염려가 있어 감염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는 바, 이와 같은 시도 중 하나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569223호가 있다.
상기 특허 제10-569223호는 일체형 수액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약제용기와 연통되는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타단에 내부의 약액을 주사하기 위하여 배출하는 배출구가 설치되는 가소성용기;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약제용기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인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내삽 또는 외삽되어 그 내부의 공간을 변경할 수 잇는 이동캡과, 상기 고정캡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플랜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이동캡에 고정되어 이동캡과 고정캡이 형성하는 공간을 확정하는 이동플랜지를 구비하는 보호용캡부; 및 상기 약제용기 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 약제용기의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가소성용기와 약제용기를 연통시키는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연통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무균과 멸균공정이 간단,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고, 약제용기와 가소성 용기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어 용해액의 누출과 오염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가소성용기 내의 용해액 등이 이동이 원활하고 약제용기 내의 약제와 용해액의 혼합을 단시간에 할 수 있는 등의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체형 수액용기는 약액용기와 가소성용기가 별도로 제조되어 연결, 고정되어 일체를 이룸으로써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약액용기와 가소성용기가 종방향으로 또는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연결고정됨으로써 그 길이가 과도하여 보관,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용에 있어서 가소성용기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통침을 가압해야 하므로 고도의 숙련과 과도한 힘이 요구되어 그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구조가 콤팩트하여 보관,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한 약포 및 약포 약품누출기를 일체로 구비한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은, 정면부와, 그 정면부와 대향하고 주변이 그 정면부와 일체로 접하며 수액을 내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면부와, 정면부와 배면부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면부와, 정면부와 배면부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저면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 그 본체의 상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걸이구; 본체의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배출구; 본체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내장되고, 본체 내의 수액에 혼합가능한 약품을 내포하며, 천공 또는 전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약포; 및 그 약포를 천공 또는 전단하여 약품을 누출시켜 본체내의 수액과 혼합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는 약품누출기를 포함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에 의하면, 수액이 수용된 본체에 약포가 내재되고, 그 약포를 천공하거나 절단하기 위한 전단기 또한 수액 용기 내에 내설되어 있으므로 제한된 사이즈로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지니며, 그 같은 콤팩트함으로 인해 취급,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라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약포를 파쇄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보관, 운송 또는 취급시와 같은 미사용 상태에서는 본체는 물론 약포가 전단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어 수액의 누출 또는 약포내의 약제의 누출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수액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또한, 그 본체(10)는 외주변이 상호 접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실제적으로 수액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호 대향하며 이격되는 정면부(12) 및 배면부(14)를 구비한다. 그 정면부(12) 및 배면부(14)의 상부에는 이들 각각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면부(16)가 일체로 구비되며, 그 정면부(12) 및 배면부(14)의 하부에는 이들 각각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저면부(18)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정면부(12), 배면부(14), 상면부(16) 및 저면부(18)로 형성되는 본체(10)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소화 폴리에스텔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에틸렌초산 비닐공중합체 등과 같이 가소성이 풍부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10)가 정면부(12), 배면부(14), 상면부(16) 및 저면부(18)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수액을 저장하거나 충전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 본체(10)의 상부, 즉 그 본체(10)의 상면부(16)에는 후술되는 프레임의 꺾임 또는 파단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중앙부에 접힘부(162)가 횡방향으로 형 성될 수 있다. 그 접힘부(162)는 연속 또는 불연속 접힘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그 상면부(16)의 중앙에는 본체(10)를 수액용기 스탠드(미도시)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이구(20)가 일체적으로 구비된다. 그 걸이구(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이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체(10)의 하부, 즉 그 본체(10)의 저면부(18)의 중앙부에는 수액용기의 사용시 약제가 혼합된 약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0)가 일체적으로 구비된다. 그 배출구(30)는 다양한 구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배출구(30) 또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에 수용된 수액에 용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약제를 포함하거나 수용하는 약포(40)가 설치된다. 그 약포(40)는 물론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본체(10)의 수용된 수액에 의해 변질되지 않음은 물론 방수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 약포(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체로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그 약포(40)는 그 상부변이 본체(10)의 상부면(18)에 접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본체(10)의 전방면(12) 또는 후방면(14)의 상부에 약포(40)의 상부변이 일체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실제적으로, 그 약포(40)는 본체(10)의 제조 또는 형성시 그 본체(10)와 일체 적으로 제조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본체(10)에는 약포(40)를 천공, 전단하거나 파열시켜 그 내부의 약제를 누출시켜 본체(10)내의 수액에 혼합시키기 위한 약품누출기(50)가 설치된다.
그 약품누출기(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약품누출기(50)는 압침(5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그 압침(52)은 본체(10)의 전방면(12)의 내측면의 적정위치, 예컨대 약포(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부착판(522)과, 그 부착판(521)으로부터 약포(40)를 향해 연장되는 쐐기(524)와, 그 쐐기(524)의 전방단에 약포(40)를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실제적으로 약포(40)를 파쇄하거나 전단시키기 위한 침(526)을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그 약품누출기(50)는 커터(54)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커터(54)는 본체(10)의 전방면(12)의 내측면의 약포(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부착편(542)과, 그 부착편(542)에 일체로 형성되며 약포(40)를 향해 역삼각형의 날을 이루는 절단날(544)을 일체로 구비한다.
또, 그 약품누출기(50)는 가위(56)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위(56)는 본체(10)의 전방면(12)의 내측면의 적정위치에 부착되는 제1부착편(562) 및 그 제1부착편(562)에 단부가 고정되며 절단날(564a)이 약포(40)를 향하는 제1절단부재(564)와, 본체(10)의 후방면(14)의 내측면의 적정위치에 부착되는 제2부착편(566) 및 그 제2부착편(566)에 단부가 고정되며 절단날(566a)이 약포(40)를 향하는 제2절단부재(568)로 구성된다. 물론, 제1절단부재(564)와 제2절단부재(568)는 각각의 절단날(564a;566a)이 약포를 향해 회동되어 그 약포(40)를 절단할 수 있도록 회동핀(57)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전술된 약품누출기(50)가 사용상태를 제외한 상태, 즉 보관, 운반, 취급 등과 같은 상태에서는 약포(40)와 약품누출기(50)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약포(40)가 손상되거나, 천공 또는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프레임(60)을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0)은 본체(10)의 상부, 즉 그 본체(10)의 상면부(16)에 설치된다. 그 프레임(60)은 상면부(16)의 일측변, 즉 본체(10)의 정면부(12)의 상부변에 접하는 변에 횡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부재(62)와, 그 제1프레임부재(62)에 대응하며 상면부(16)의 타측변, 즉 본체(10)의 배면부(14)의 상부변에 접하는 변에 횡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재(64)와,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양단이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에 연결되는 지지부재(66)를 일체로 구비한다. 그 지지부재(66)는 안정성을 위해 2개가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지지부재(66)의 개수는 수액용기의 사이즈 또는 용량에 따라 적정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그 지지부재(66)는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안전성을 유지하는 반면,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사용시 사용자의 강제력 또는 가압에 의해 꺾여지거나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지지부재(66)의 대체로 중앙부에는 절곡부(6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 절곡부(662)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를 서로를 향해 강제하거나 압력을 가하는 경우 대체로 용이하게 꺾이거나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본체(10)에 구비된 약품누출기(50)로 하여금 약포(40)에 쉽게 접하게 하여 그 약포(40)를 용이하게 파쇄하거나 전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0)은 약품누출기(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적정위치, 즉 약품누출기(50)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60)은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사용상태를 제외한 상태에서는 약품누출기(50)가 약포(40)에 접근하거니 그 약포(40)를 전단시킬 수 없도록 약품누출기(50)가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그 프레임(60)은 본체(10)의 정면부(12)의 대체로 상부에 횡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부재(62')와, 그 제1프레임부재(62')에 대응하며 본체(10)의 배면부(14)에 횡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재(64')와,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양단이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에 연결되는 지지부재(66')를 일체로 구비한다. 특히,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간의 간격을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는 그 중앙부가 서로를 향해 반대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며, 또한 각각의 지지부재(66')는 각각의 프레임부재(62';64')의 양단부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각의 지지부재(66')는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임의로 힘을 가하거나 압박하는 경우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지지부재(66')의 중앙부에도 절곡 부(6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관, 운반, 취급하는 상태에서는 일정폭을 유지하여 약품누출기(50)가 약포(40)에 접근하거나 그 약포(40)를 전단할 수 없도록 하는 반면, 사용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거나 강제하면 수축하여 약품누출기(50)가 약포(40)를 파쇄하거나 전단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면부(16)에는 그 상면부(16)를 수축 가능하게 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된 주름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전술된 약품누출기(50)가 압침(52)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커터(54)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미사용시는 물론, 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사용시 그 압침(52) 또는 커터(54)로 하여금 약포(40)를 향해 가압되게 하는 경우 그 압침(52)의 침(526) 또는 커터(54)의 절단날(544)이 약포(40)를 관통하여 본체(10)의 후방면(14)을 천공하거나 손상시켜 수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내부에 차단부재(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 차단부재(70)는 본체(10)를 전방에서 볼 때 약포(40)의 후방에 설치되거나 또는 본체(10)의 배면부(14)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그 차단부재(70)는 압침(52) 또는 커터(54)와 같은 약품누출기(50)가 용이하게 관통될 수 없도록 비교적 강성을 유지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보관, 운반 또는 취급시 약포(40)를 약품누출기(50)로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부재(80)를 더 포함한다. 그 보호부재(8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 약포(40)와 압침(52) 또는 커터(54)와 같은 약품누출기(50) 사이에 설치된다. 물론, 이와 같은 설치를 위해 보호부재(80)의 상단이 본체(10)의 상면부(16)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사용방법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정상상태, 즉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는 본체(10)의 정면부(12) 및 배면부(14)가 프레임(60)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약품누출기(50)가 약포(40)에 접근하거나 접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호부재(80)가 구비된 경우에는 약포(40)가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10)내에 보호부재(80)가 설치된 경우에는 압침(52) 또는 커터(54)와 같은 약품누출기(50)가 약포(40)에 대한 접근 또는 접촉을 완전 차단할 수 있어, 약포(4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 및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상태에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10) 내에 구비된 약품누출기(50)를 가압하거나 강제하여 약포(40)를 천공하거나 파쇄 또는 전단하여 그 약포(40)내의 약품(P)을 누출시켜 본체(10)내의 수액(W)과 혼합시킨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그 약품누출기(50)가 압침(52)인 경우에는 본체(10)의 전방면(12)에 부착된 압침(52)의 부착판(522)을 가압하여 침(526)으로 하여금 약포(40)를 천공하거나 파쇄토록 하여 그 약포(40)내의 약품(P)을 누출시켜 본 체(10)내의 수액과 혼합시킨다.
그리고 그 약품누출기(50)가 커터(54)인 경우에는 본체(10)의 전방면(12)의 내측에 부착된 부착편(542)을 가압하여 절단날(544)로 하여금 약포(40)를 천공하거나 파쇄토록 하여 그 약포(40)내의 약품을 누출시켜 본체(10)내의 수액과 혼합시킨다.
또한, 약품누출기(50)가 가위(56)로 형성된 경우에는 본체(10)의 정면부(12)의 내측면에 부착된 제1부착편(562)과 본체(10)의 배면부(14)의 내측면에 부착된 제2부착편(566)을 동시적으로 가압하여 제1부착편(562)에 고정된 제1절단부재(564)의 절단날(564a)과 제2부착편(566)에 고정된 제2절단부재(568)의 절단날(568a)로 하여금 약포(40)를 전단케 하여 그 약포(40)내의 약품을 누출시켜 본체(10)내의 수액과 혼합시킨다.
한편, 약품누출기(50)가 사용 상태를 제외한 상태, 즉 보관, 운반, 취급등과 같은 상태에서는 임의로 작동될 수 없도록 약포(40)와 약품누출기(50)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60)이 형성된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프레임(60)을 파단하거나 절곡시킨 후 전술된 바와 같이 약품누출기(50)를 이용하여 약포(40)를 천공, 파쇄 또는 전단하여 약품(P)을 수액(W)과 혼합시킨다.
즉, 사용자는 프레임(60)의 제1프레임부재(62;62')와, 제2프레임부재(64;64')를 서로를 향해 가압하거나 강제하여 지지부재(66)의 파단부(662)를 파단시키거나 꺾은 후 전술된 바와 같이 약품누출기(50)를 이용하여 약포(40)를 천공 또는 전단하여 약품을 수액과 혼합시킨다.
또한, 본체(10)의 상면부(16)가 주름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상면부(16)를 가압하여 압축시킨 후, 전술된 바와 같이 약품누출기(50)를 가압하여 약포(40)를 파쇄하거나 전단시켜 약품을 수액과 혼합시킨다.
한편, 본체(10)에 차단부재(70)가 구비된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압침(52) 또는 커터(54)와 같은 약품누출기(50)를 이용한 약포(40)의 천공 또는 전단 중 압침(52) 또는 커터(54)가 악포(40)를 관통하여 본체(10)의 배면부(14)에 손상을 주거나 절단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내의 수액(W)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술된 바와 같이 약포(40)를 전단시켜 누출된 약품(P)을 본체(10)내의 수액(P)과 혼합한 후에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걸이구(20)를 이용하여 스탠드(미도시)에 걸어 고정시킨 후, 배출구(30)에 주사라인(미도시)을 연결시켜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는 약포의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보관, 운송 또는 취급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본체내의 약포를 간단하게 천공, 파쇄 또는 절단하여 간단하게 약품을 수액과 혼합하여 편리하게 주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에 따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걸이구
30: 배출구 40: 약포
50: 약품누출기 60: 프레임
70: 차단부재 80: 보호부재

Claims (10)

  1. 정면부와, 주변이 상기 정면부와 일체로 접하여 수액을 내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배면부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배면부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저면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걸이구;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배출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내장되고, 상기 본체 내의 수액에 혼합 가능한 약품을 내포하며, 천공 또는 절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약포; 및
    상기 약포를 천공 또는 절단하여 약품을 누출시켜 상기 본체내의 수액과 혼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는 약품누출기를 포함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는, 인체에 무해한 방수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상단부가 일체로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비사용 상태(보관, 운송, 취급)에서 상기 약품누출기와 상기 약포간의 이격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약포가 파손 또는 절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상면부의 일측변에 횡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대응하며 상기 본체의 상면부의 타측변에 횡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재와,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양단이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에 연결되며 사용시 파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정면부에 횡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대응하며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횡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재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양단이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일체로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약포와 상기 약품누출기간의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를 향해 반대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지지부재는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단부측에 절곡 또는 파단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부에는 절단 또는 절곡가능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누출기는
    상기 약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정면부에 부착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으로부터 상기 약포를 향해 연장되는 쐐기와, 상기 쐐기의 전방단에 상기 약포를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약포를 천공 또는 절단시키기 위한 침을 일체로 구비하는 압침과,
    상기 약포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정면부에 부착되는 부착편과, 상기 부착편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약포를 향해 역삼각형의 날을 이루는 절단날을 일체로 구비하는 커터와,
    상기 본체의 전방면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1부착편 및 상기 제1부착편에 단부가 고정되며 절단날이 약포를 향하는 제1절단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방면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2부착편 및 상기 제2부착편에 단부가 고정되며 절단날이 약포(40)를 향하고 상기 제1절단부재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절단부재로 구성되는 가위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누출기가 상기 압침 또는 커터인 경우, 상기 압침 또는 커터가 상기 약포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후방면을 천공하거나 손상시켜 수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의 보관, 운반 또는 취급시 상기 약포를 상기 약품누출기로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약포와 약품누출기 사이에 설치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를 보관, 운반, 취급 상태에서는 일정폭을 유지하여 상기 약품누출기가 상기 약포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사용상태에서는 압력을 가하거나 강제하면 수축하여 상기 약품누출기가 상기 약포를 천공하거나 절단시킬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KR1020090011927A 2009-02-13 2009-02-13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KR10111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927A KR101118769B1 (ko) 2009-02-13 2009-02-13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927A KR101118769B1 (ko) 2009-02-13 2009-02-13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679A true KR20100092679A (ko) 2010-08-23
KR101118769B1 KR101118769B1 (ko) 2012-03-20

Family

ID=4275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927A KR101118769B1 (ko) 2009-02-13 2009-02-13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757B1 (ko) 2016-01-07 2018-01-09 김동진 필러액 보관 및 투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830B1 (ko) * 1992-05-03 1999-07-15 오쯔카 아끼히코 다수의 챔버를 갖는 저장용기
JP4476435B2 (ja) * 1999-07-22 2010-06-09 株式会社細川洋行 仕切部材、複室輸液容器および薬剤入り複室輸液容器の製造方法
KR20040110122A (ko) * 2003-06-18 2004-12-31 장명관 수용성 분말과 액체의 동시 저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769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1226B1 (en) Container and closure
US10434034B2 (en) Medical vial access device with pressure equalization and closed drug transfer system and method utilizing same
US4883473A (en) Single use injection device
US11786661B2 (en) Single use delivery device
TW200404511A (en) Fluid transfer device and drug bottle for use in an infusio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transfer in such a system
KR101095961B1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제조용 안전소켓 및 수액 키트
WO2017080522A1 (zh) 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JP2011508634A (ja) 患者への治療剤の投与に適したディスペンサおよび治療用パッケージ
JPH06502335A (ja) 多室バイアル
JP2002539891A (ja) 医療用液体をパックする容器
JP2008539843A (ja) 無菌のための保護を備えた注入針を有する複数回の投薬のためのシリンジ
US10220156B2 (en) Single use injector
JP2016517742A (ja) 注射器
JP4452903B2 (ja) 医療用薬液混注用バッグ
KR101118769B1 (ko)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JP2000005275A (ja) 輸液用容器
CA2940167C (en) Aspirating valve device
CN215385961U (zh) 一种输液用混药式聚丙烯双接口
KR101939858B1 (ko) 천자 바늘 일체형 어댑터
US20130269827A1 (en) Two compartment syringe accessible package and method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JP4658570B2 (ja) 輸液チューブ、薬液投与セット及び連結用アダプタ
WO2000002618A1 (en) A system for administration of infusion and irrigation liquids and a device incorporated in the system
US20190083700A1 (en) Disposable Infusion System Enclosure
JPH077965Y2 (ja) 輸液バッグ
JP2001087388A (ja) 薬液パック一体型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