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254A - 누진안과용렌즈 - Google Patents

누진안과용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254A
KR20100091254A KR1020107015277A KR20107015277A KR20100091254A KR 20100091254 A KR20100091254 A KR 20100091254A KR 1020107015277 A KR1020107015277 A KR 1020107015277A KR 20107015277 A KR20107015277 A KR 20107015277A KR 20100091254 A KR20100091254 A KR 20100091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ference point
wearer
diopters
sub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시 엘렌 드
나탈리아 도브레스퀴
사라 마리
Original Assignee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filed Critical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Publication of KR2010009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사람이 착용하는데 적합한 누진안과용렌즈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는 원시부가 확대되고, 주변 시야가 이격되어 있으며, 평균 구면 기울기가 완만하다. 이러한 종류의 누진렌즈가 착용자에 배치되면, 상기 렌즈는 처방된 값과 대략 동일한 가입도 값 또는 상기 처방된 값모다 적은 가입도 값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누진안과용렌즈{Progressive Ophthalmic Lens}
본 발명은 스포츠 활동을 하기에 적합한 누진안과용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확인된 착용자용으로 의도된 이러한 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활동시 시력의 사용은 일상생활동안 지배적인 특징들과는 다른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많은 스포츠들을 할 때 원거리 시야와 지면 시야가 매우 크게 사용되는 반면, 근거리 시야는 매우 조금 또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인용될 수 있는 예로는 골프, 조깅, 테니스, 싸이클 등이다. 가능하게는, 근거리 시야는 제한된 주기에, 예컨대, 휴대폰을 찾거나, 지도를 읽거나 자신의 골프 점수를 적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운동선수는 그저 필요한 정보를 읽기에 충분할 정도로 짧은 주기 동안만 휴대폰이나 지도에 응시를 고정한다.
따라서, 매우 많은 스포츠들은 운동선수들이 넓은 시야를 둘러보도록 요구한다. 예컨대, 골프선수는 공의 이동을 따라갈 수 있어야 하며, 싸이클 선수는 시야의 주변지역에 나타날 수 있는 광학적 왜곡에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운동선수는 고품질의 동적 주변시야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알려진 바와 같이, 누진안경렌즈는 원거리 시력용 렌즈를 착용한 사람의 시력을 교정한다. 따라서, 이런 렌즈는 착용자가 원거리 물체 또는 근거리 물체를 보는지 간에 영구적으로 적합한 안과교정을 제공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렌즈는 원시 및 근시에 각각 전용인 상기 렌즈의 두 영역들 사이에 연속으로 변하는 광도수(optical power)을 갖는다. 그러나, 광도수에서의 이런 변화는 애초 측면으로 렌즈의 원시부와 근시부를 제한하는 원치않는 비점수차를 야기한다. 이 때문에, 이런 원치않는 비점수차를 유발할 수 있는 어떤 장애를 줄이기 위해 착용자의 주요 활동에 따라 누진렌즈의 설계를 맞추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어떤 이는 컴퓨터 스크린으로 일하는데 더 적합한 반면 다른 이는 차량 주행에 더 적합한 몇몇 누진렌즈 설계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스포츠들 중 하나와 같은 스포츠를 하는 것은 누진렌즈 설계의 다른 맞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가 스포츠 활동에 보다 특히 맞는 상업용 누진렌즈들이 이미 제안되었다. 이들 렌즈는 특히 확대된 원시부를 갖는다. 그러나, 몇몇 스포츠들을 할 때 이는 여전히 넓은 원거리 시계와 지면의 양호한 시야에 대한 필요와 관련하여서는 불충분하다.
참조문헌 US 7 033 022는 매우 넓은 원시부를 갖는 누진안과용 렌즈의 특별한 설계를 기술하고 있다. 이 확장부는 또한 중간 시야 전용이므로, 착용자가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도 1미터 이상 떨어져 위치된 물체들을 명확히 관찰하게 한다. 그러나, 이런 렌즈는 광굴절률이 렌즈의 하부에서 하부 가장자리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근시부를 갖는다. 동시에, 상기 문헌에 기술된 렌즈는 원시부와 렌즈의 하부 사이에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갖는 원치 않는 비점수차가 없는 영역을 갖는다. 이런 이유로, 이런 누진안과용 렌즈의 설계를 "깔대기(funnel)" 설계라 한다. 따라서, 이런 렌즈가 제공되는 근시 조건들은 매우 편안하지는 않는데, 이는 특히 착용자에게 근거리 물체에 대한 선명한 시력을 제공하는 렌즈상의 지점을 찾는데 어려움을 착용자가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몇몇 특별한 상황들은 만족스러운 근거리 시야를 얻기 위해 심지어 착용자가 통증과 피로한 자세를 취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
본 출원인명의 참조문헌 EP 1 744 202는 복잡한 표면, 프리즘 기준점 및 십자선(fitting cross)을 구비하는 누진안과용 렌즈를 제공하며, 상기 렌즈는 렌즈를 통해 착용자의 시선의 스캔이 표면을 교차하는 시선의 자취에 해당하는 자오선을 정의하는 식으로 착용자의 눈의 정면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자오선은 원시 기준점, 십자선, 프리즘 기준점 및 근시 기준점을 지나며 렌즈의 상부 가장자리를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한다. 십자선과 근시 기준점은 상기 프리즘 기준점 위의 4㎜에 그리고 상기 기준점 아래 14㎜에 각각 위치해 있다. 복합면은 원시 및 근시 기준점 사이에 가입도와 아래의 양들, 즉, 가입도로 정규화된 원주; 상기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의 리바운드(rebound); 누진길이(progression length)에 대한 제한된 값을 갖는다. 본 출원에 대해, 상기 가입도로 정규화된 값이란 그 고려하는 바로는 이 값을 가입도로 나눈 결과로 발생한 몫을 뜻한다.
한 지점에서 평가된 복합면의 평균 구면 및 원주는 하기의 식으로 각각 주어진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여기서, n은 해당 지점에서 광굴절률 또는 렌즈재료의 굴절률이고, R1 및 R2는 동일 지점에서 복합면의 최대 및 최소 반경을 나타내며, 이들은 2개의 직각방향에서 측정된다. 더욱이, 누진길이는 평균 구면이 원시 기준점에 대해 85%의 가입도 차이를 갖는 자오선상의 한 지점과 십자선 사이에서 렌즈의 복합면에 수직으로 측정된 거리로서 정의된다.
그러나, EP 1 744 202에 기술된 바와 같이 렌즈에 의해 제공된 시각적 편안함은 이 렌즈를 착용한 사람이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을 때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을 때 누진안과용 렌즈를 착용한 사람에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합면이
·상기 렌즈의 전체 복합면 위로 1.0 미만의 가입도로 정규화된 원주값과,
·프리즘 기준점상의 중심에 있는 반경 20㎜의 원에 전혀 리바운드가 없는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과,
·15㎜ 이하의 누진길이를 구비하고,
상기 평균 구면은 상기 프리즘 기준점과 원시 기준점 사이의 자오선의 임의의 부분에서 0.08 이하의 상기 가입도로 정규화된 변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안과용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첫번째 이점은 자오선을 따라 복합면의 평균 구면에서의 변화로 인해 발생된다. 프리즘 기준점과 원시 기준점 사이가 작은 이 변화로 인해, 원시부가 렌즈 아래로 더 뻗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심지어 중간 거리에 위치된 원거리 물체들에 대해서도 원시에 맞는 교정 혜택을 본다. 따라서, 렌즈의 아래 레벨에서 누진을 시작함으로써 착용자가 지면을 쉽게 보게 한다. 이런 식으로, 렌즈 착용자는 지면 상의 골프공에 대한 만족스런 시야를 갖거나, 보행시 정확하게 착용자 바로 앞에 있는 경로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두번째 이점은 렌즈의 전체 면에 대한 제한된 값을 갖는 복합면의 원주로 인해 발생된다. 이들 낮은 원주값으로 인해, 심지어 주변 가장자리에 가까운 렌즈의 측면 부분들에 대해서도 원치않는 렌즈의 비점수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착용자는 전체 렌즈를 통해 만족스런 시야로 인한 혜택을 본다. 다르게 말하면, 렌즈 착용자는 좌우측 수평으로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아래방향으로도 열려 있는 렌즈를 통해 원거리 시력을 갖는다. 추가로, 프리즘 기준점상에 중심에 있는 반경 20㎜의 원사의 평균 구면에서 리바운드의 부재로 광굴절도수에서의 변화가 렌즈의 측면부에서 주변시야를 교란시키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이러한 개방 원시품질과 양호한 주변시력 품질은 착용자에게 양호한 역동적 시력을 더 제공한다. 특히, 렌즈를 통해 착용자가 시선을 바꿀 때 느낄 수 있는 어떤 어질어질한 느낌이 매우 크게 감소되거나 심지어 완전히 없어진다.
세번째 이점은 제한된 누진길이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오히려 짧은 누진길이로 인해, 렌즈는 십자선 아래 더 멀리 위치해 있지 않은 자오선상의 점들에서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에 맞는 광도수를 갖는다. 다르게 말하면, 착용자의 근시를 교정하기에 적합한 렌즈의 영역은 렌즈에서 너무 아래에 위치해 있지 않다. 따라서, 근시부가 착용자에게 편하고 빠르게 이용될 수 있는 한편, 불편한 자세를 취하게 강요하지 않고도 여전히 착용자가 중간시력 영역을 통해 지면을 보게 한다.
본 발명의 향상에 따르면, 평균 구면은 적어도 길이가 5 밀리미터이며 근시 기준점으로부터 렌즈의 하부 가장자리를 향해 뻗어 있는 자오선의 일부분에서 0.25 디옵터 미만인 절대값 변화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렌즈는 착용자에게 수직하게 뻗어 있는 근시부를 제공하고, 상기 근시부에서 광도수는 실제로 상수이다. 이는 근거리 시력의 편안함을 좋게 하는데, 특히 착용자의 근시에 맞는 시력 조건들을 여전히 보유하면서 착용자가 시선을 바꿀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편안함은 착용자가 장애 없이 휴대폰 스크린을 수직으로 스캔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확인된 착용자용으로 의도된 상술한 바와 같은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1) 상기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원시용 광도수값과 가입도 값을 얻는 단계와,
(2) 상기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가입도 빼기 0.75 디옵터와 1.25 디옵터 사이의 값과 같은 감소된 가입도를 얻는 단계와,
(3) 상기 처방된 원시 광도수값과 상기 감소된 가입도 값을 기초로 렌즈 설계를 결정하는 단계와,
(4) 상기 결정된 설계에 따라 렌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런 방법은 초기에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가입도 값에 대한 가입도 감소 단계를 포함한다. 그런 후 착용자는 적어도 짧거나 중간 기간의 주기동안 가까운 물체를 보게 하는 근시부를 여전히 갖는 한편 훨씬 더 개방된 원거리 시력의 혜택을 본다. 렌즈를 통해 근시 조건들은 착용자가 시계의 시간을 보거나 휴대폰 스크린을 볼 수 있게 하는데 충분히 양호하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아래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해진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1.0 디옵터의 누진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안과용 렌즈에 대한 평균 구면와 원주 맵이다.
도 2a 내지 도 5a 및 도 2b 내지 도 5b는 1.5 디옵터, 2.0 디옵터, 2.5 디옵터 및 3.0 디옵터의 누진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누진안과용 렌즈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를 위한 해당 리바운드 량을 도시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는 전면과 후면이 있다. 이들 양면 사이에, 주로 균일한 투명 굴절매질이 있다. 이는 완성된 렌즈 유리일 수 있으며, 그 양면은 명확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이는 한 쌍의 안경에 대한 프레임의 렌즈 하우징의 치수로 절단된 렌즈 유리일 수 있다. 대안으로, 일면만이 명확한 형태를 가지며 타면은 착용자의 처방에 따라 실제로 기계가공되도록 의도된 반제품 렌즈 유리일 수 있다. 주로, 반제품 렌즈 유리의 전면은 명확한 표면이며 후면은 연이어 기계가공 되도록 되어 있다. 본 특허출원에서, "안과용 렌즈"라는 용어는 완제품 렌즈 유리 및 반제품 렌즈 유리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절단되지 않았다면, 렌즈는 예컨대 직경이 60㎜(밀리미터)인 원형인 외주 가장자리를 주로 갖는다. 따라서, 렌즈의 전면 및 후면은 한 쌍의 안경 프레임에 끼워지고 착용자의 얼굴에 배치된 후 렌즈가 착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그 위치와 관련하여 지정된다.
본 설명에 대하여, 고려되는 누진렌즈의 전면은 복합 표면형태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다르게 말하면, 이 표면 위에 연이어 변하는 평균 구면을 갖는다.
하기의 지점들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렌즈의 전면에서 정의된다:
- 렌즈의 프리즘 값에 대해 O로 표시된 프리즘 기준지점;
-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대한 렌즈의 위치를 수직으로 조절하도록 역할을 하는 FC로 표시된 십자선;
- 일반적으로 착용자로부터 2미터 이상 위치되어 있는, 물체를 볼 때 착용자 시력을 교정하는데 적합한 광도수 값에 대한 FV로 표시된 원시 기준점;
- 일반적으로 착용자 눈으로부터 약 40센티미터에 위치되어 있는, 근거리 물체를 볼 때 착용자 시력을 교정하는데 적합한 광도수 값에 대한 NV로 표시된 근시 기준점.
이들 기준 및 식별지점들은 렌즈 제조업체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지점들은 렌즈가 제공된 전단에 있는 제조업체가 전할 수 있거나 영구적으로 새겨지거나 렌즈에 대한 임시 투사로 표시될 수 있다.
본문의 나머지에서, "상", "밑", "위", "아래", 및 "측면"이라는 용어는 착용자가 사용한 렌즈의 기준위치에 대하여 렌즈의 부분 또는 지점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위치는 렌즈가 끼워지는 프레임이 제공된 착용자의 머리가 수직으로 유지되는 위치에 해당한다.
그런 후, 렌즈의 전면은 밀리미터로 표현된 2개의 직각좌표축, 즉, 수평축에 대한 X와, 수직축에 대한 Y로 식별되며, Y 축의 양의 방향은 위쪽으로 지향되어 있다. 주로, 0점은 이 좌표 시스템의 중심이며, FC 지점은 좌표가 X=0, Y=4㎜이며, 근시 지점(NV)은 수직좌표 Y=-14㎜이다. 따라서, FV는 0위의 수직선상에 위치해 있고, NV는 0아래이나, FV에 대하여 (X축에 평행하게) 측면으로 오프세트되어 있다. NV의 오프세트는 우측 렌즈와 좌측 렌즈 사이에서 바뀐다. 주 자오선이라는 선(ML)은 점 FV, FC, O, 및 NV를 연결한다. 이는 착용자가 가변 높이와 가변 거리에서 착용자 앞에 위치된 물체들을 연속으로 관찰할 때 시선의 렌즈에 대한 추적에 해당한다.
그런 후, 렌즈의 가입도는 점(NV 및 FV)에서 전면의 평균 구면 값들 간의 차로서 정의된다.
도 1a, 도 2a, 도 3a, 도 4a 및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안경렌즈의 전면의 평균 구면 맵들이다. 이들 각각의 맵은 해당 렌즈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고, 이 렌즈의 전면에 있는 각 점에 대한 평균 구면의 값들을 나타낸다. 이들 맵에 표시된 선들은 등구선(iso-sphere line)이며, 주어진 평균 구면값에 해당하는 각 렌즈의 전면에 있는 지점들을 연결한다. 이 값은 이들 라인의 일부에 대한 디옵터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도 1b, 도 2b, 도 3b, 도 4b 및 도 5b는 원주 맵들이다. 이들 맵에 표시된 선들은 등원주선(iso-cylinder lines)이며, 주어진 평균 원주값에 해당하는 각 렌즈의 전면에 있는 지점들을 연결한다.
상기 표시된 수학식 1a 및 1b는 평균 구면와 원주에 대한 수학적 표현이다.
원주 맵(1b-5b)은 각 렌즈에 대해 이 렌즈의 누진 값으로 나눈 그 전면에 있는 임의의 지점에서 원주 값이 1.0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b에서, 1.0 디옵터 가입도 렌즈의 원주값은 모두 디옵터가 1 미만이고, 도 2b에서, 1.5 디옵터 가입도 렌즈의 원주값은 모두 1.5 디옵터 미만이며, 도 3b, 도 4b 및 도 5b에 대해서도 그렇다.
더욱이, 원(C)은 도 1a-5a의 평균 구면 맵들에 그려져 있으며, 상기 원은 중심으로서 점(O)이 있고 반경은 20㎜이다. 상기 원(C)에 나타난 평균 구면 값들은 렌즈 하부(Y<0)에서의 자오선(ML)과 이 원의 교차점으로부터 렌즈 상부(Y>0)에서의 자오선(ML)과 상기 동일한 원의 교차점까지 일정하게 감소된다. 다르게 말하면, 평균 구면은 자오선의 일측의 원(C)상에 전혀 리바운드가 없으므로, 렌즈의 광학적 특징들이 완만하게 그리고 균일하게 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주변의 동적 시력을 좋게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리바운드가 원(C)에 있을 때 렌즈의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에서의 리바운드가 우측 또는 좌측 측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렌즈의 측면 모두에 나타나는 것을 독자에게 상기시킨다. 리바운드 높이는 원(C)상의 평균 구면의 절대 최대값 및 절대 최소값 사이에 위치된 평균 구면의 2개의 국지적 극점(local extrema)에서 각각 얻은 평균 구면 값들 간의 가입도로 나눈 차로서 계산된다.
도 6은 어떻게 이런 리바운드가 결정되는 지에 대한 원리를 예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에 배제된다. 이 도면은 원(C)을 따라 복합 표면의 평균 구면에서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그래프의 수평축은 수직 반축(half-axis)으로부터 정의되고 렌즈의 상부 가장자리를 향해 지향된 고도(polar angle)(α)의 값을 통해 원(C)상의 변위를 좌표로 나타낸 것이다. 평균 구면은 원시부에 해당하는α의 0값에 대한 절대 최소값을 갖는다. 이는 180도에 가까우나 오프세트된 α 값에 대해 절대 최대값을 가지며 근시부에 해당한다. 평균 구면의 국지적 최소값 및 국지적 최대값은 loc.min 및 loc.max로 각각 표시되며, 이러한 α 값들 사이에 있다. Δ는 이 국지적 최소값 및 이 국지적 최대값에서 각각 얻은 평균 구면값들 간의 차이다. 가입도에 정규화된 평균 구면에서의 리바운드는 Δ를 복합면의 가입도로 나눈 몫이다.
아래 표는 점(O) 및 점(FV)에 해당하는 첨부도면의 전면의 평균 구면값을 제공한다:
가입도 구(FV) 구(O) Δ구/가입도
1a 1 디옵터 4.74 4.76 0.02
2a 1.5 디옵터 4.74 4.77 0.02
3a 2 디옵터 4.74 4.78 0.02
4a 2.5 디옵터 4.74 4.79 0.02
5a 3 디옵터 4.74 4.79 0.017
이 표에서 주어진 수치는 굴절률(n)이 1.591인 동일한 투명한 균일재료로 제조된 렌즈에 해당한다.
상기 표에서 마지막 열은 점(O 및 FV) 사이에서 계산된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에서의 변화 즉, Δ구/가입도 = |구(O)-구(FV)|/가입도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는 절대값을 나타낸다. 이 양은 모든 경우에서 0.08 미만이다. 이는 또한 평균 구면을 결정하기 위해 점(O 및 FV) 사이의 자오선(ML)을 따라 고려된 점들 쌍에 무관하게 0.08 미만인 채로 유지된다. 이점적으로, Δ구/가입도 양은 점(O 및 FV) 사이에서 상기 자오선(ML)을 따라 그리고 또한 이들 점 사이에 포함된 이 선의 임의의 부분에서 0.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이다.
마지막으로, 도 1a-5a에 도시된 평균 구면 맵은 해당 렌즈들이 15㎜ 미만인 누진길이를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렌즈 착용자의 동적 시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여전히 양호한 근시 접근성을 유지하면서 렌즈 유리의 몇몇 부분들에서 공간적 변화를 제한하도록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에 대해 이점적일 수 있다. 따라서,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은 자오선을 따라 0.09㎜-1 및 0.11㎜-1 사이에서 최대 기울기 및/또는 원(C)을 따라 0.9㎜-1 이하의 구면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시부와 근시부의 일반적인 형태는 원주맵(도 1b-5b)으로부터 시각화될 수 있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렌즈의 경우, 자오선(ML)의 각 면상에 있는 주어진 원주값에 대한 2개의 등원주선들이 점(O 및 FV) 사이에서 제한을 이룬다. 다르게 말하면, 등원주선들은 점(NV) 주위로부터 렌즈의 하부로 증가되는 누진산포를 갖는 모래시계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 프로파일은 렌즈의 하부를 통해 가까운 물체를 볼 때 양호한 편안함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정도로 근시부가 충분히 넓은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첨부도면에 도시된 각 렌즈의 원시부는 십자선(FC)에서 52㎜ 보다 더 큰 폭(WF)를 가질 수 있다. 이 폭(WF)은 자오선(ML)의 각 측면에 위치된 2개의 등원주선들 사이의 십자선(FC)을 지나고 가입도의 1/2인 원주값에 해당하는 수평 직선을 따라 측정된 거리와 같다. 바람직하기로, 원시부의 폭(WF)은 십자선(FC)에서 56㎜ 보다 더 클 수 있다.
실제로, 양호한 주변 시력을 제공하는 넓은 원시부와 원만한 기울기를 얻기 위해, 근시부의 폭(WN)을 줄임으로써 복합면의 설계를 조절하는 것이 이점적일 수 있다. 따라서, 근시부의 폭(WN)은 이점적으로 근시 기준점(NV) 아래 5㎜에 위치된 자오선상의 점(B)에서 14㎜ 미만이다(도 1b-5b의 맵 참조). 상기 폭(WN)은 자오선(ML)의 각 면에 위치한 2개의 등원주선들 사이의 점(B)을 지나고 가입도의 1/2인 원주값에 해당하는 수평 직선상에서 측정된 거리이다. 더 이점적으로, 상기 폭(WN)은 12㎜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5㎜ 사이이다. 원시부는 자오선(ML)의 각 면으로부터 렌즈의 바닥을 향해 더 뻗어 있어 특히 더 클 수 있다.
초기에 확인된 착용자에 대해 상술한 렌즈를 할당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설명한다. 먼저, 선택적으로 난시 특징과 누진값과 함께 특히 원시용 평균 광학 도수값을 명시하는 착용자용의 광학 처방이 얻어진다. 이들 값 및 특징들은 착용자에서 발견되는 하나 이상의 시각적 결함들에 대해 수립된다. 그런 후 렌즈는 일련의 이용가능한 모델들로부터 선택되고 다양한 가입도 값에 따라 반제품 렌즈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반제품 렌즈 유리를 선택하는 유용한 방법에 따르면, 이는 복합면을 갖도록 선택되며, 상기 복합면의 가입도는 대략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가입도와 같다. 그런 후, 반제품 렌즈유리의 후면은 원시 시점에서 원시용으로 처방된 광학적 도수와 또한 가능한 난시처방 교정을 얻도록 기계가공된다. 이 경우, 착용자에 제공된 렌즈는 근시 시력결함을 보상하는 근시 지점에서의 광도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대안적인 방법에 따르면, 착용자에 제공된 렌즈는 가입도 값을 줄임으로써 처방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 감소된 가입도가 착용자에 대해 계산되고, 이는 처방된 가입도 빼기 0.75 디옵터와 1.25 디옵터 사이로 구성된 값과 같다. 예컨대, 감소된 가입도는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가입도 빼기 1.0 디옵터와 같을 수 있다. 이는 특히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가입도 값에 따라 다른 추가 교정을 적용함으로써 더 복잡한 방식으로도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소된 가입도는 처방된 가입도가 1.5 디옵터 이상인 경우 아래의 식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Add_red = α×Add_presc-β, 여기서, Add_red는 감소된 가입도를 나타내고, Add_presc는 처방된 가입도를 나타내며, α는 0.90 디옵터 내지 1.05 디옵터 사이에 포함된 제 1 상수이고, β는 0.75 디옵터 내지 0.85 디옵터 사이에 포함된 제 2 상수이다. 더욱이, 처방된 가입도가 1.5 디;옵터 미만이면, 감소된 가입도는 0.5 디옵터와 0.75 디옵터를 포함해 그 사이에 포함된 상수 값을 가질 수 있다. 감소된 가입도 값이 사용되면, 착용자는 처방된 가입도 값을 갖는 렌즈에 대해 렌즈의 상부에서 더 큰 원시부를 갖는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용자가 근거리 물체를 관찰할 수 있는 렌즈의 하부에 시각 교정을 여전히 갖는다.
대략 처방된 가입도와 같거나 이에 대해 감소된 렌즈의 가입도를 선택하는 방법에 무관하게, 렌즈 설계는 원시용으로 처방된 광도수 값과 처방되거나 감소된 가입도 값으로부터 결정된다. 이 렌즈 설계는 특히 착용자의 행동 특성 및/또는 렌즈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방식을 기술하는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착용자의 행동 특성은 특히 다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볼 때 머리보다 눈을 돌리는 착용자의 성향일 수 있다. 렌즈가 어떻게 착용되는지를 정의하는 특성은 특히 착용자가 선택한 안경 프레임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특성은 렌즈의 후면과 눈의 동공 사이 거리, 전경각(pantoscopic ang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후, 렌즈는 공지된 방식으로 예컨대 착용자용으로 선택된 설계와 처방되거나 감소된 가입도에 해당하는 반제품 렌즈유리의 후면을 기계가공함으로써 생산된다.
물론, 첨부도면들은 5개 가입도 값에 대해 본 발명을 도시한 것이나, 본 발명은 임의의 가입도 값들로 실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원시 기준점에서 광도수 값 또는 난시 값을 맞춤으로써 근시 착용자 및 원시 착용자 또는 난시 착용자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복합면, 프리즘 기준점(O), 및 십자선(FC)을 구비하고, 렌즈를 통한 착용자 시선의 스캔이 표면과 상기 시선의 교차점의 자취에 해당하는 자오선(ML)을 정의하도록 착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기에 적절하며,
    상기 자오선은 원시 기준점(FV), 십자선, 프리즘 기준점 및 근시 기준점(NV)을 지나며 렌즈의 상부 가장자리를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시키고,
    상기 십자선(FC)은 상기 프리즘 기준점(O) 위로 4㎜에 위치해 있고, 근시 기준점(NV)은 상기 프리즘 기준점(O) 아래 14㎜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복합면은 원시 기준점(FV)과 근시 기준점(NV) 사이의 굴절 가입도와,
    (ⅰ) 상기 렌즈의 전체 복합면 위로 1.0 미만의 가입도로 정규화된 원주값과,
    (ⅱ) 프리즘 기준점(O)상에 중심에 있는 반경 20㎜의 원에 전혀 리바운드(rebound)가 없는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과,
    (ⅲ) 평균 구면이 원시 기준점에 대해 가입도의 85% 차를 갖는 상기 자오선상의 한 지점과 상기 십자선(FC) 사이에 수직으로 측정된 거리인 15㎜ 이하의 누진길이를 갖는 누진안과용렌즈로서,
    (ⅳ) 상기 복합면의 평균 구면은 상기 프리즘 기준점(O)과 원시 기준점(FV) 사이의 자오선(ML)의 임의의 부분에서 0.08 이하의 상기 가입도로 정규화된 변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안과용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의 평균 구면은 상기 프리즘 기준점(O)과 상기 원시 기준점(FV) 사이의 자오선(ML)의 임의의 부분에서 0.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의 상기 가입도로 정규화된 변화를 갖는 누진안과용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에 대해 상기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은 상기 자오선(ML)을 따라 0.09㎜-1 내지 0.11㎜-1 사이의 최대 기울기를 갖는 누진안과용렌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에 대해 상기 가입도로 정규화된 평균 구면은 상기 프리즘 기준점(O)에 중심을 둔 20㎜ 반경의 원을 따라 0.09㎜-1 이하의 기울기를 갖는 누진안과용렌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의 평균 구면은 적어도 5㎜ 길이로 상기 자오선(ML)의 부분에서 0.25 디옵터 미만의 절대값 변화를 갖고 상기 근시 기준점(NV)에서 상기 렌즈의 하부 가장자리를 향해 뻗어 있는 누진안과용렌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은 근시 기준점(NV) 아래 5㎜에 위치된 자오선상의 점(B)에서 14㎜ 보다 적은 근시부 폭을 가지며, 상기 점(B)에서 근시부의 폭은 상기 자오선(ML)의 각 면에 위치한 2개의 등원주선(iso-cylinder line) 사이의 점(B)을 지나고 가입도의 1/2인 원주값에 해당하는 수평 직선상으로 측정된 거리인 누진안과용렌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B)에서 상기 복합면의 근시부의 폭은 12㎜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5㎜ 사이인 누진안과용렌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은 십자선(FC)에서 52㎜ 보다 큰 원시부 폭을 가지며, 상기 십자선에서 원시부의 폭은 상기 자오선(ML)의 각 면에 위치한 2개의 등원주선 사이의 상기 십자선을 지나고 가입도의 1/2인 원주값에 해당하는 수평 직선을 따라 측정된 거리인 누진안과용렌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의 원시부의 폭은 상기 십자선(FC)에서 56㎜ 보다 큰 누진안과용렌즈.
  10. 확인된 착용자용으로 의도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과용렌즈 제조방법으로서,
    (1) 상기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원시용 광도수값과 가입도 값을 얻는 단계와,
    (2) 상기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가입도 빼기 0.75 디옵터와 1.25 디옵터 사이의 값과 같은 감소된 가입도를 얻는 단계와,
    (3) 상기 처방된 원시 광도수값과 상기 감소된 가입도 값을 기초로 렌즈 설계를 결정하는 단계와,
    (4) 상기 결정된 설계에 따라 렌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렌즈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설계는 다른 방향으로 연속으로 볼 때 착용자가 머리보다는 눈을 돌리는 성향, 눈의 동공과 렌즈의 전면 사이 거리, 및 전경각(pantoscopic angle)으로 인해 선택된 특성들을 고려함으로써 상기 단계(3)에서 결정되는 안과용렌즈 제조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가입도는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가입도 빼기 1.0 디옵터인 안과용렌즈 제조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가입도는 하기의 식을 적용함으로써,
    Add_red = α×Add_presc-β,
    상기 처방된 가입도가 1.5 디옵터 이상인 경우; 및
    상기 감소된 가입도에 대해 0.5 디옵터와 0.75 디옵터를 포함해 그 사이에 포함된 상수 값을 취함으로써, 상기 처방된 가입도가 1.5 디옵터 미만인 경우,
    착용자용으로 처방된 가입도로부터 얻어지며,
    여기서, Add_red는 감소된 가입도를 나타내고, Add_presc는 처방된 가입도를 나타내며, α는 0.90 디옵터 내지 1.05 디옵터 사이에 포함된 제 1 상수이고, β는 0.75 디옵터 내지 0.85 디옵터 사이에 포함된 제 2 상수인 안과용렌즈 제조방법.
KR1020107015277A 2007-12-11 2008-12-09 누진안과용렌즈 KR20100091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9715A FR2924825B1 (fr) 2007-12-11 2007-12-11 Lentille ophtalmique progressive.
FR0759715 2007-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254A true KR20100091254A (ko) 2010-08-18

Family

ID=3952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277A KR20100091254A (ko) 2007-12-11 2008-12-09 누진안과용렌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86829B2 (ko)
EP (1) EP2220535A2 (ko)
JP (1) JP5450440B2 (ko)
KR (1) KR20100091254A (ko)
AU (1) AU2008339801B2 (ko)
CA (1) CA2708516C (ko)
FR (1) FR2924825B1 (ko)
WO (1) WO20090809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4824B1 (fr) * 2007-12-05 2010-03-26 Essilor Int Lentille progressive de lunettes ophtalmiques ayant une zone supplementaire de vision intermediaire
FR2956223B1 (fr) * 2010-02-09 2012-04-13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progressive
JP6360290B2 (ja) * 2013-10-29 2018-07-18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累進屈折力レンズ
CN107003542B (zh) * 2014-09-22 2019-08-13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渐进屈光力镜片、其设计方法及制造方法
US10048512B2 (en) * 2016-10-08 2018-08-14 eyeBrain, Medical, Inc. Low-convergence spectacles
EP3352001B1 (de) 2017-01-20 2023-03-29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Gleitsicht-brillenglas mit variablem brechungsindex und verfahren zu dessen entwurf und herstellung
WO2019141386A1 (de) * 2018-01-19 2019-07-25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Gleitsicht-brillenglas mit variablem brechungsindex und verfahren zu dessen entwurf und herstellung
EP3598213A1 (de) * 2018-07-20 2020-01-22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Gleitsicht-brillenglas mit räumlich variierendem brechungsindex
EP3599499A1 (en) 2018-07-24 2020-01-29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cal criterion for a design of a sport-adapted optical lens
WO2020072939A1 (en) * 2018-10-04 2020-04-09 Eric Rhea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ened corridor progressive lenses with superior distance vision area
USD945876S1 (en) 2019-04-22 2022-03-15 Fgx International Inc. Eyeglass display box
USD935879S1 (en) 2019-06-28 2021-11-16 Fgx International, Inc Eyewear packaging
USD972407S1 (en) 2020-10-30 2022-12-13 Fgx International Inc Eyewear package
USD1002248S1 (en) 2021-01-27 2023-10-24 Fgx International Inc. Display case
CA3163596A1 (en) 2021-06-17 2022-12-17 Fgx International Inc. Eyewear case and packaging system having improved hang tab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2241A1 (fr) 1982-02-22 1983-08-26 Thomson Csf Procede de fabrication de transducteurs polymeres piezoelectriques par forgeage
GB2146791B (en) * 1983-09-16 1987-01-28 Suwa Seikosha Kk 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JPH03109522A (ja) * 1990-09-14 1991-05-09 Seiko Epson Corp 累進多焦点レンズ
JP4088941B2 (ja) * 1996-10-14 2008-05-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選択方法及び選択装置
EP0880046B1 (en) * 1996-10-14 2010-03-17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progressive multifocal lens
JP4096978B2 (ja) * 1996-10-14 2008-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累進多焦点レンズの製造方法
FR2769999B1 (fr) * 1997-10-16 1999-12-31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DE10059023A1 (de) 2000-11-28 2002-06-06 Rodenstock Optik G Progressives Brillenglas für große und mittlere Objektentfernungen
FR2820515B1 (fr) * 2001-02-02 2003-05-16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progressive a variation de puissance rapide
FR2871248B1 (fr) * 2004-06-03 2006-09-08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FR2884325B1 (fr) * 2005-04-08 2007-06-01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FR2888344B1 (fr) * 2005-07-11 2007-09-14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FR2893151B1 (fr) 2005-11-08 2008-02-08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FR2898194B1 (fr) * 2006-03-01 2008-05-02 Essilor Int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progressive.
FR2924824B1 (fr) * 2007-12-05 2010-03-26 Essilor Int Lentille progressive de lunettes ophtalmiques ayant une zone supplementaire de vision intermedi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339801B2 (en) 2014-02-20
WO2009080979A2 (fr) 2009-07-02
JP5450440B2 (ja) 2014-03-26
US8186829B2 (en) 2012-05-29
EP2220535A2 (fr) 2010-08-25
US20100321633A1 (en) 2010-12-23
WO2009080979A3 (fr) 2009-08-20
CA2708516A1 (fr) 2009-07-02
CA2708516C (fr) 2016-10-04
FR2924825A1 (fr) 2009-06-12
FR2924825B1 (fr) 2010-08-20
AU2008339801A1 (en) 2009-07-02
JP2011507021A (ja) 2011-03-03
WO2009080979A9 (fr)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1254A (ko) 누진안과용렌즈
US4606622A (en) Multi-focal spectacle lens with a dioptric power varying progressively between different zones of vision
KR101902372B1 (ko) 누진 안경 렌즈
JP5535933B2 (ja) 中間視力のための付加的なゾーンを有する眼科用眼鏡のためのプログレッシブレンズ
US8807747B2 (en) Spectacle eyeglass for myopic child
US7159983B2 (en) Multifocal lenses for pre-presbyopic individuals
US5812238A (en) 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pair
JP6377080B2 (ja) 1対の累進眼科用レンズ(1、2)を提供する方法
CN101331421B (zh) 用于确定眼镜片的方法
EP3430468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lens adapted to a locomotion parameter
JP2007241276A (ja) 累進焦点眼鏡レンズの決定方法
AU2015213612B2 (en) Quasi progressive lenses for eyewear
WO1997011401A1 (fr) Verre a foyer progressif a indice de gradient
JP2008501990A (ja) 眼用レンズ
US9759931B2 (en) Pair of progressive ophthalmic lenses
US20150378173A1 (en) Pair of progressive ophthamlic lenses
CN106461975B (zh) 具有放大的中距离视区的渐变多焦点镜片
US11726350B2 (en) Progressive addition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2736266A (zh) 渐进屈光力镜片的设计方法
JPH08234146A (ja) 累進多焦点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
US8333471B2 (en) Series of progressive ophthalmic lenses
US8092012B2 (en) Single vision spectacle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