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145A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1145A KR20100091145A KR1020100073487A KR20100073487A KR20100091145A KR 20100091145 A KR20100091145 A KR 20100091145A KR 1020100073487 A KR1020100073487 A KR 1020100073487A KR 20100073487 A KR20100073487 A KR 20100073487A KR 20100091145 A KR20100091145 A KR 201000911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ker
- drying
- ceiling
- rotating shaft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동시에 회전축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회전축을 따라 이동함으로 자중에 의하여 건조실 또는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을 스크레이핑 할 수 있는 레이커와, 건조실 또는 열매체 순환실의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용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천정용 레이커 및 피건조물 또는/과 열매체를 교반, 혼합 및 순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가 갖추어진 복수개의 건조실 또는 복수개의 건조실과 열매체 순환실이 상하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구성되고, 가열기와 상기 건조실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 또는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서 유출되는 열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쳐서 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열에너지가 회수되도록 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조실 내에서 피건조물의 원활한 교반 및 이송이 이루어지고 열효율이 우수하며 안전성이 개선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장치는 열풍, 과열증기, 전기 및 전자파 등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용제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 건조장치에서 건조될 수 있는 피건조물은 농수산물, 가공식품류, 습윤상태의 광물질류, 산업체의 최종제품, 음식폐기물, 축분 또는 슬러지 등이며, 그 외 다양한 종류의 피건조물들을 건조할 수 있다.
건조장치의 건조방식은 직접가열식과 간접가열식으로 구별되는데, 간접가열식이란 전도전열이나 복사전열 등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가열함으로써 피건조물과 열매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건조방법이며, 직접가열식이란 가열된 공기,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와 피건조물이 직접 접촉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방법을 의미한다.
종래의 건조장치는 스크류 건조기, 박막 건조기, 유동층 건조기, 회전식 건조기, 다단 복층 건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장치들이 있다. 그중 원통형의 드럼을 횡으로 설치하여 드럼 자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 내부에서 열매체와 피건조물이 직접 접촉하거나 간접 접촉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는 회전식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중량이 크고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실에 해당하는 드럼 자체를 회전시키므로, 구동부의 용량이 크고, 동력소요가 과다하며, 피건조물의 교반이 원활하지 못하다. 또한 드럼의 내면에 피고형물이 접착되어 접착된 피건조물이 과다 건조되고, 과다 건조된 피건조물은 쉽게 분진화되어 건조용 열풍과 혼합될 경우 폭발의 우려가 있으며, 간접 건조방식의 경우 드럼의 내면에 부착된 피고형물에 의하여 열전도 효율이 저하된다. 특히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길이가 긴 드럼을 횡방향으로 설치함으로 부지가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장치들 중에는 건조실 내부에 피건조물을 휘저어서 피건조물의 표면적을 넓게 하고 피건조물이 상하좌우로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수단을 설치하여 피건조물이 열매체와 직접 또는 간접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하여 열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건조장치들도 있다. 이와 같이 건조실 내부에 교반수단을 설치하는 방식은 건조실 자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식 건조기에 비교하여 구동부가 작고, 동력소요가 적으며, 교반효율이 좋은 특징이 있다.
그중 복수개의 건조실이 복층으로 중첩되어 구성된 다단 건조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건조실을 상하로 2실 이상 다단으로 설치하고 건조실의 내부에 각각 레이커를 설치하여 피건조물을 교반 및 건조하고 피건조물이 중력에 의하여 상부 건조실에서 하부 건조실로 낙하 이동하면서 건조되므로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회전형 건조기에 비교하여 부지가 작게 소요되므로 토지가 귀한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합하고 중량이 작은 교반수단에 의하여 교반이 이루어지므로 동력소요가 적고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다단 건조장치 등에서 피건조물의 교반 및 이송에 이용되는 레이커는 회전축과 레이커가 고정 설치된 구조이므로 레이커와 건조실의 바닥이 마모되면 레이커와 건조실 바닥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고, 이 틈새에 피건조물이 일부 부착되어 이송되지 못하고 고착되므로 수분이 과다하게 건조된 후에 분진화될 수 있고, 간접 건조방식에서는 건조실과 열매체 순환실 간의 열전도를 차단함으로 건조효율(단위 열량당 증발된 수분량)을 저하시키게 된다. 유기성의 피건조물이 과다 건조되고 분진화되어 고온의 열풍에 부유하면 폭발할 수 있어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또한, 천정면에 피건조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천정면에 부착된 피건조물은 과다 건조되어 분진화되고, 간접 건조방식의 경우 열전도율을 저하시키므로 주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해야 되는 관리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방식의 다단 건조장치중 건조실과 건조실 사이에 열매체 순환실이 설치된 간접 건조방식의 건조장치는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의 제거기능이 없으므로 가열 공기, 열수 또는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에 함유된 분진들이 장시간에 걸쳐서 점착 및 누적되거나, 증기 또는 열수에 의하여 스케일(Scale)이 부착되어 열전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조실 내부에서 피건조물의 교반 및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분진 발생이 적고 폭발의 위험이 경감되며, 열전도율과 건조효율이 우수하고, 건조 소요시간이 단축되며, 부지 소요면적과 동력소요가 작고, 오염물질의 배출이 잘 통제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물을 교반 및 이송하는 레이커, 상기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레이커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건조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과 레이커는 결합된 상태에서도 레이커가 회전축을 따라 이동(Sliding)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커 허브에 구비된 회전축 삽입구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이 레이커에 전달되어 레이커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삽입구와 회전축은 그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 각형, 치차형 등과 같은 비원형이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레이커의 블레이드에 의하여 피건조물을 교반 및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레이커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레이커의 블레이드가 건조실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에 이물질 또는 피건조물이 점착되지 않고 스크레이핑(Scraping)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건조실에 열을 전도하기 위하여 열매체가 순환되는 열매체 순환실의 내부에도 레이커를 설치하고 레이커의 자중에 의하여 레이커의 블레이드가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을 원활하게 스크레이핑 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열매체 순환실에서 건조실로 열전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레이커의 블레이드가 건조실 또는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에 더욱 밀착되고 바닥면이 강하게 스크레이핑(Scraping) 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커에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용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용 탄성체는 용수철 또는 판스프링 형상이며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레이커의 블레이드가 건조실 또는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에 더욱 밀착되고 바닥면이 강하게 스크레이핑 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커에 중량을 가하는 질량체를 더 포함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과 열매체순환실의 천정면을 스크레이핑 할 수 있는 천정용 레이커를 설치하고, 상기 천정용 레이커의 블레이드가 천정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천정용 레이커에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용 탄성체를 더 포함 함으로써 천정면으로부터 분진과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 또는 열매체를 교반 및 순환시키거나, 피건조물과 열매체를 혼합 및 순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 및 수직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블레이드는 상기 레이커, 상기 천정용 레이커, 상기 임펠러에 돌출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복수개의 건조실 또는 건조실과 열매체 순환실을 상하로 적층하여 구성된 다단 건조장치로 구성하여 건조효율을 개선하고 부지소요면적이 감소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상기 가열기는, 상기 건조실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 또는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서 유출되는 열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연소시키도록 하여 악취 원인물질과 분진을 연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실 또는 상기 가열기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 또는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서 유출되는 열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쳐서 오염물질이 제거되거나 열에너지가 회수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건조실에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을 상기 가열기에서 연소시킴으로써 건조용 열원의 조달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전술한 내용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건조실의 내부에서 피건조물의 교반 및 이송이 원활하고, 분진 발생이 적고 안전성이 개선되며, 열전도율과 건조효율이 우수하고, 건조 소요시간이 단축되며, 부지소요면적과 동력소요가 작고, 오염물질의 배출이 잘 통제될 수 있으며, 농수산물, 가공식품류, 습윤상태의 광물질류, 음식폐기물 또는 슬러지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들의 건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건조방식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건조방식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과 회전축 삽입구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용 탄성체 및 질량체가 배치되는 레이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6h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용 레이커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서의 피건조물, 열매체 및 배기가스의 흐름과 장치구성이 도시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건조방식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과 회전축 삽입구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용 탄성체 및 질량체가 배치되는 레이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6h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용 레이커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서의 피건조물, 열매체 및 배기가스의 흐름과 장치구성이 도시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프레임(10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의하여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고, 구획된 내부공간은 건조실(10)을 이루며, 상기 건조실(10)에는 외부와 연통되어 피건조물을 상기 건조실(1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구(130)와 건조된 피건조물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구(1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130)에는 피건조물을 건조실 내부로 투입하는 투입장치(400)가 연결 설치되며, 인출구(140)에는 건조된 피건조물을 건조실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장치(50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투입장치(400)와 상기 인출장치(500)는 건조실(10)의 기밀유지에 유리한 스크류 컨베이어 형태의 장치가 주로 사용되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투입 및 인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실(10)에는 열풍 또는 과열증기 등의 열매체가 공급되어 피건조물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열매체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유로가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0)은 외부의 열매체 가열기(300)와 연통되며, 상기 가열기(300)에서는 열매체를 가열시키고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켜서 건조실(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건조실(10)에는 피건조물을 교반 및 유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레이커(30) 또는 지지용 탄성체(50)로 지지되는 천정용 레이커(60)가 설치되고, 회전축(40)에 의하여 상기 레이커(30,60)들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회전축(40)은 구동부(20)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서 상기 건조실(1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레이커(30) 또는 천정면에 위치하는 천정용 레이커(6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부(20)는 주로 전기모터와 감속기(Reducer)가 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구동부(20) 및 회전축(40)은 선택에 따라 단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실(10)의 바닥면과 레이커(30)가 마모되어도 레이커의 블레이드와 건조실의 바닥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지 않고 레이커 자체의 무게, 상기 레이커에 추가된 질량체[도면 미표기] 또는 지지용 탄성체[도면 미표기]의 탄성에 의하여 레이커가 건조실의 바닥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건조실(10)의 천정면에도 천정용 레이커(60)를 설치하고 지지용 탄성체(50)의 탄성에 의하여 레이커를 천정면과 밀착시켜서 천정면이 스크레이핑(Scraping) 되도록 함으로써 천정면에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회전축(40)에는 교반용 임펠러(80)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열매체를 휘저어서 피건조물과 접촉하여 온도가 낮아진 열매체와 상부측의 온도가 높은 열매체가 교류되도록 하거나, 피건조물을 휘저어서 피건조물의 표면적을 넓게하여 수분증발 속도를 높게 하고, 상부 열매체와 접촉하여 건조가 이루어진 피건조물과 하부 바닥측의 수분함량이 높은 피건조물이 서로 교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효율이 증대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건조실(10)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 이상에는 열매체 순환실(70)을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 열풍, 열수 또는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를 순환시켜서 건조실(10)에 투입된 피건조물에 열이 전도되도록 하는 간접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상기 건조실(10)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임펠러(80), 레이커(30),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지지되는 천정용 레이커(6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 순환실(70)에는 바닥면과 천정면에서 분진과 스케일을 제거 및 이송할 수 있는 레이커(30)와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지지되는 천정용 레이커(6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제거된 분진과 스케일 부스러기 등은 상기 레이커(30)에 의하여 바닥면을 따라 수집 및 이송되고 바닥면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7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는 호퍼 또는 깔데기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집부를 두고 분진과 스케일 부스러기 등이 일정량 모여지면 배출용 밸브를 개방하여 간헐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상시 개방으로 인한 열매체의 과다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 순환실(70)에는 회전축에 임펠러(80)를 설치하여 열매체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건조실(10)에 전도되는 열량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이커(30) 및 천정용 레이커(60)와 회전축(40)의 구성은 이하 도 3a 내지 도 6h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 및 회전축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레이커(30)와 회전축(40)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이며, 도 3c는 레이커의 회전축 삽입구(32)에 회전축(40)이 삽입되어 결합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레이커(30)는 허브(31), 회전축 삽입구(32),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33)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33)는 자중에 의해 건조실(10)의 바닥면에 밀착되며 블레이드(33)는 소정의 질량을 가진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레이커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개수는 도 3a와 도 3c에서와 같이 2개로 구성하거나 도 3b 에서와 같이 1개가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블레이드가 하나의 레이커(30)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레이커는 도 3a 에서와 같이 2개의 블레이드(33)가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b 에서와 같이 하나의 허브(31)에 하나의 블레이드(33)가 구비된 편심형으로 제작된 레이커가 하나의 회전축(40)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하나의 허브(31)에 2개 이상의 블레이드(33)가 무게중심이 레이커의 중심부인 상기 허브(31)측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블레이드(33)가 허브(31)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 레이커(30)는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레이커가 기울어지게 제작된 경우 모든 블레이드 들이 균일하게 바닥면에 밀착되기는 어려운 구성이다. 반면에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허브(31)에 하나의 블레이드(33)가 설치되어 무게중심이 블레이드 측으로 편심된 레이커는 바닥면과 블레이드가 잘 밀착될 수 있고, 이러한 레이커를 하나의 회전축에 복수개 설치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레이커의 블레이드(33)들이 바닥면에 잘 밀착되어 바닥면을 원활하게 스크레이핑(Scraping)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이커의 상기 회전축 삽입구(32)가 회전축(40)에 압입, 용접,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하여 고정되어 결합된 경우 마모 등에 의하여 건조실의 바닥면과 블레이드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레이커는 회전축(40)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자중에 의하여 바닥면에 밀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레이커는 회전축(40)에 고정 결합되는 것보다는 회전축 삽입구(32)의 내주면과 회전축(40)의 외주면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약간 헐거워진 상태에서 레이커가 회전축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Sliding)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33)는 자중에 의해 바닥면에 밀착되어 마모가 발생되어도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적절한 하중으로 바닥면을 긁어주면서(Scraping) 피건조물을 교반 및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회전축 삽입구(32)의 내주면과 회전축(40)의 외주면이 이격되어 헐거워진 상태에서 상기한 회전축(40)과 회전축 삽입구(32)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회전축이 레이커를 회전시키지 못하고 회전축만 공회전하게 되므로 회전력의 전달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커의 회전축 삽입구와 상기 회전축은 각각 비원형이며 서로 대응하는 형태인 타원형, 다각형, 치차형 등 중에서 선택된 형상으로 성형하여 레이커가 회전축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은 가능하되 회전축과 레이커가 서로 헛돌지 않고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3b에서와 같이 레이커의 상부측의 회전축(40)에는 교반용 임펠러(80)를 설치함으로써 열매체 또는 피건조물을 교반 또는 혼합하여 건조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는 수직판재, 경사판재 또는 원심류형, 축류형, 사류형 등과 같은 기존의 교반기와 유체기계에 적용하는 형태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이하의 모든 실시예에서도 도면에의 표기 여부와는 무관하게 회전축에 임펠러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임펠러(80)의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하부로 돌출된 수직 블레이드(90)를 추가로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수직 블레이드는 임펠러의 상부면 또는 상하부면에도 구성할 수 있다. 도 3c는 레이커의 블레이드(33)에 하나 이상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블레이드(90)를 추가로 구성한 실시예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수직 블레이드들은 피건조물을 휘저어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게 하고 열매체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등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도면 표기 여부와는 무관하게 이하에 설명되는 모든 레이커의 상부면과 천정용 레이커의 하부면 및 임펠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상기 수직 블레이드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시에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블레이드(90)는 봉형, 각봉형, 판재형, 좁고 긴 판재를 꼬아서 만든 스크류형 등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4e는 회전축과 레이커 허브에 구비되는 회전축 삽입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회전축(40)은 단면의 형상을 기준으로 타원형(40a), 다각형(40b), 치차형(40c, 40d, 40e)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삽입구(32)는 상기 회전축(40)의 단면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인 타원형(32a), 다각형(32b), 치차형(32c,32d,32e)으로 성형된다. 또한 이하 도 6a 내지 도 6h 등에서 설명하는 천정용 레이커의 회전축 삽입구(62)도 회전축(40)의 형상에 따라 그 단면의 형상이 각각 타원형(32a), 다각형(32b), 치차형(32c, 32d, 32e)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 삽입구(32)와 회전축(4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도 4a 내지 도 4e의 도면에 예시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레이커(30)가 회전축(40)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고 동시에 회전축의 회전력이 레이커에 전달될 수 있는 비원형의 형상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천정용 레이커에서도 이와 같다.
도 5a, 도 5b, 도5c, 도 5d 및 도 5e는 지지용 탄성체 및 질량체가 배치되는 레이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소정의 부피와 질량을 가진 피건조물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레이커(30)의 자중만으로 바닥면을 원활하게 스크레이핑 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건조실의 바닥면에 보다 강하게 상기 레이커(30)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지지용 탄성체(50)의 탄성력을 이용하거나, 질량체(53)를 추가하여 상기 질량체의 하중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 에서는 이러한 지지용 탄성체(50) 또는 질량체(53)가 배치된 레이커(30)를 예시한 것이다.
지지용 탄성체(50)는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재료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용 탄성체(50)의 양측 끝 부분은 회전축과 레이커(30)에 각각 지지되거나, 또는 회전축(40)에 고정 설치된 지지용 부재(52)와 레이커(30)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이커의 자중에 상기 지지용 탄성체(50)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이 추가되므로 상기 블레이드(33)는 건조실의 바닥면에 보다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5a에서의 지지용 탄성체(50)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구성된 실시예이다.
도 5b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에 회전축(40)이 내삽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양단이 지지되므로 코일스프링이 휘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이다.
도 5c에서의 지지용 탄성체(50)는 판스프링(51)으로 구성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기본 개념은 도 5a에서와 같다.
도 5d는 회전축(40)에 고정된 임펠러(80)에 지지용 탄성체(50)를 지지한 것으로 상기 임펠러에 의하여 열매체 또는 피건조물을 휘저어 주거나 혼합할 수 있게 되고 별도의 지지용 부재도 생략될 수 있게 된다. 도면표기와 무관하게 이와 같이 레이커(30) 및 천정용 레이커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50)를 지지하는 지지용 부재(52)들을 임펠러(80)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실(10) 또는 열매체 순환실(70)의 천정고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지지용 탄성체(50)의 상측 끝 부분이 상기 건조실(10) 또는 열매체 순환실(70)의 천정면에 직접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e는 질량체(53)를 추가 구성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40)이 내삽되도록 설치된 질량체(53)에 의하여 상기 레이커(30)의 허브(31) 부분에 중력을 가하도록 한 것이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미조립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질량체는 상기 도 5e 에서와 같이 레이커(30)와 별도로 구성하거나, 레이커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31)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레이커(30)의 각개 블레이드(33)들의 상부에 설치하거나 도 3c 에서와 같이 수직 블레이드(90)와의 겸용으로 질량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량체(53)의 상부에 임펠러를 설치하여 임펠러의 하중이 추가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 질량체의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6e, 도 6f, 도 6g 및 6h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용 레이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레이커는 건조실 및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을 스크레이핑 하는 바닥용의 레이커(30)와 천정면을 스크레이핑 하는 천정용 레이커(60)로 이루어지며, 바닥용의 레이커(30)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천정용 레이커(60)가 회전축에 고정되어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면 레이커의 자중에 의한여 하부로 처짐이 발생되거나 천정면 또는 블레이드면이 마모되어 틈새가 벌어지게 되므로 블레이드가 천정면을 제대로 스크레이핑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천정용 레이커(60)의 허브(61)에도 상기한 바닥용의 레이커와 회전축 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심부에 회전축(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축 삽입구(6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삽입구(62)와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천정용 레이커가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고 동시에 회전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비원형으로 성형하였다. 이러한 회전축(40)과 회전축 삽입구(62)의 다양한 형상은 도 4a 내지 도 4e에 예시된 것과 같이 회전축(40)은 단면의 형상을 기준으로 타원형(40a), 다각형(40b), 치차형(40c, 40d, 40e)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정용 레이커의 회전축 삽입구(62)도 상기 회전축(40)의 단면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축 삽입구(62)와 회전축(40) 단면의 형상은 서로 슬라이딩 할 수 있고 동시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형상이면 도 4a 내지 도 4e에서 예시된 것 외에도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한 바닥용 레이커(30)는 자중에 의해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천정용 레이커(60)는 천정에 밀착될 수 없고 자중으로 인하여 오히려 바닥으로 추락하게 되므로 지지용 탄성체(50)의 탄성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천정면에 밀착시켜야 한다.
상기 지지용 탄성체(50)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용 탄성체(50)는 상측 끝부분이 천정용 레이커(60)를 지지하고, 하측 끝부분은 회전축(40)이나, 회전축에 결합된 지지용 부재(52), 회전축에 결합된 임펠러(80) 또는 바닥용의 레이커(30) 또는 바닥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a는 천정용 레이커(60)가 회전축(40)에 고정된 지지용 부재(52)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이 내삽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지지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6b는 회전축(40)에 고정 결합된 지지용 부재(52)에 지지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들에 의하여 상기 천정용 레이커(60)의 블레이드(63)가 각각 지지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6c는 바닥용의 레이커(30)에 지지되고 회전축(40)이 내삽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천정용 레이커(60)가 직접 지지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천정용 레이커의 블레이드 하부면에 수직 블레이드(90)의 설치를 예시하였으며 도면 표기에 관계없이 모든 천정용 레이커에는 수직 블레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d는 회전축(40)에 고정된 지지용 부재(52)에 지지된 판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천정용 레이커(60)가 지지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6e는 바닥용의 레이커(30)에 지지된 판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천정용 레이커(60)가 직접 지지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6f는 회전축(40)에 고정된 임펠러(80)의 허브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40)이 내삽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천정용 레이커(60)가 지지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6g는 회전축(40)에 고정된 임펠러(80)의 허브의 상하부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40)이 내삽된 2조의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천정용 레이커(60)가 지지되고, 바닥용의 레이커(30)는 상기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의 탄성에 의하여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다른 도면의 지지용 부재(52)들도 상기 도 6f와 도 6g에서와 같이 임펠러(80)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h는 상기 레이커(30)에 하중을 가하는 질량체(53)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40)이 내삽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용 탄성체(50)에 의하여 천정용 레이커(60)가 지지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질량체(53)의 하중과 지지용 탄성체(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바닥면과 상기 레이커(30)가 보다 잘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용 탄성체(50)는 건조작업 중에는 고온에 노출되고 건조작업이 중단될 경우 상온으로 냉각되는 가열과 냉각과정이 반복되며, 가동과 비가동시에 온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고, 재료의 피로도가 크다. 따라서 상온에서 변형이 되어도 고온에서 원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건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건조실은 도 1에서와 같이 단층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도 7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건조실을 상하로 중첩시켜서 다단 건조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투입장치(400)에 의하여 최상측 건조실(10a)에 피건조물을 투입하면 투입된 피건조물은 레이커(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최상층 건조실(10a) 바닥면 위에서 교반 및 이동되고 최상층 건조실(10a)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된 이송구(120)를 통하여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건조실(10b)로 단계적으로 낙하 및 측면 이동을 반복하면서 최하층 건조실(10f)을 거쳐서 인출구(140)에서 인출되어 전체적으로 플러그 흐름(Plug Flow) 형태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완전혼합형에 가까운 회전식 건조장치보다 건조실의 용량과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효율이 증대되며, 다단으로 높게 설치하면 좁은 면적에서도 건조실의 소요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부지소요면에서 경제적이다.
상기 건조실(10a,10b,10c,10d,10e,10f)에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레이커(30), 천정용 레이커(60), 회전축(40), 지지용 탄성체(50), 임펠러(80), 수직 블레이드(90)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 및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다단 건조장치는 하나의 구동부(20)와 회전축(4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건조실에 설치된 복수개의 레이커와 임펠러 등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면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최상층 건조실(10a)에 피건조물을 투입하여 최하층 건조실(10f)에서 인출한다. 또한 열풍,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는 최상층의 바로 아랫층 건조실(10b)로 유입시켜서 상기 최하층 건조실(10f)의 직상층 건조실(10e)에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최상층 건조실(10a)과 최하층 건조실(10f)에는 열매체가 직접 유입되지 않고 간접건조가 이루어지며 나머지 건조실(10b,10c,10d,10e)에서 직접건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기와 접촉하는 최외곽 프레임(100)의 최상부 천정면과 최하부 바닥면은 열매체가 직접 유입되지 않으므로 대기중으로 전도되는 열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외곽 프레임(100)의 단열기능을 충분하게 확보하면 상기 열매체는 최상층 건조실에 유입시키고 최하층 건조실에서 유출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직접 건조방식에 의한 다단 건조장치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도 2를 근간으로 하여 건조실과 건조실 사이에 열매체 순환실이 설치되는 간접 건조방식에 의한 다단 건조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7에서는 6단의 건조실을 중첩하여 다단 건조장치를 예시하고 3열의 회전축(40)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2단 이상의 건조실과 1열 이상의 회전축(40)을 조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다단 건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서의 피건조물, 열매체 및 배기가스의 흐름과 장치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운송수단 등을 통하여 반입된 피건조물은 투입장치(400)에 의하여 건조실(10)로 투입되고, 건조실에서 열매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건조된 피건조물은 인출장치(500)에 의하여 건조실에서 인출된 후에 외부로 반출되거나 연소가능한 피건조물의 경우 가열기(300)에서 연소되어 건조용 열원으로 이용됨은 물론 잉여분은 산업용, 난방용 등의 열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실에서 피건조물에 열을 전달하고 유출된 열풍,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는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가열기(300)에서 연소시켜서 상기 열매체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물 등이 소각 및 탈취되도록 하거나 연소용 공기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에서 유출된 열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가열기(300)에서 직접 가열되거나, 상기 가열기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기(70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재가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기(700)에는 열매체와 상기 가열기(30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퇴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매체와 상기 배기가스는 각각 사이크론(Cyclone) 등과 같은 집진기(600a,600b)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700)에서 우선적으로 열매체에 열을 전달한 상기 가열기의 배기가스에는 상당한 잔열이 존재함으로 열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 또한 열교환기(700a)를 추가 설치하여 상기 가열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예열에 이용할 수 있다.
열교환이 이루어진 상기 가열기(300)의 배기가스에는 분진과 악취 유발물질 및 기타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농수산물, 슬러지 등과 같은 유기물 등과 직접 접촉된 열매체를 연소시킨 가열기의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분진, 악취,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백필터(Bag Filter), 전기집진기 등과 같은 집진기(600), 물 또는 알카리성 용액 등과 같은 약액을 이용하여 배기가스를 세척하는 세정기(Gas Scrubber)(900), 또는 오염물질을 활성탄 등으로 흡착하는 흡착기(800) 등을 포함하여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직접 건조방식에 의한 피건조물과 열매체 및 가열기에서 배기된 가스의 흐름을 도시하여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집진기, 열교환기, 세정기, 흡착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가 구비된 다양한 흐름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간접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장치를 구성하거나, 가열기의 열풍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직접 또는 간접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10a,10b,10c,10d,10e,10f,...건조실 20..구동부
30...레이커 31, 61...허브
32, 62...회전축 삽입구 33, 63...블레이드
40...회전축 50...지지용 탄성체
52...지지용 부재 53...질량체
60...천정용 레이커 70...열매체 순환실
71...배출구 80...임펠러
90... 수직 블레이드 100...프레임
120...이송구 130...투입구
140...인출구 300...가열기
400...투입장치 500...인출장치
600,600a,600b...집진기 700,700a...열교환기
800...흡착기 900...세정기
30...레이커 31, 61...허브
32, 62...회전축 삽입구 33, 63...블레이드
40...회전축 50...지지용 탄성체
52...지지용 부재 53...질량체
60...천정용 레이커 70...열매체 순환실
71...배출구 80...임펠러
90... 수직 블레이드 100...프레임
120...이송구 130...투입구
140...인출구 300...가열기
400...투입장치 500...인출장치
600,600a,600b...집진기 700,700a...열교환기
800...흡착기 900...세정기
Claims (19)
-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물을 교반하는 레이커(30);
상기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레이커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0); 및
상기 건조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과 레이커는 결합된 상태에서도 레이커가 회전축을 따라 이동(Sliding)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커 허브(31)에 구비된 회전축 삽입구(32)와 상기 회전축(40)의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이 레이커에 전달되어 레이커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삽입구와 회전축은 그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이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레이커(30)의 블레이드(33)에 의하여 피건조물을 교반함과 동시에 상기 레이커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레이커의 블레이드가 건조실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을 스크레이핑(Scraping)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열매체가 순환되며 상기 건조실에 열이 전도되도록 하는 열매체 순환실(70);
상기 열매체 순환실 내부에 설치되며 바닥면을 스크레이핑(Scraping) 하는 레이커(30);
상기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레이커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0); 및
상기 열매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과 레이커는 결합된 상태에서도 레이커가 회전축을 따라 이동(Sliding)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커 허브(31)에 구비된 회전축 삽입구(32)와 상기 회전축(40)의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이 레이커에 전달되어 레이커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삽입구와 회전축은 그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이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레이커(3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레이커의 블레이드가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을 스크레이핑(Scraping)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하나 이상의 지지용 탄성체(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용 탄성체는, 상기 레이커(30)의 블레이드(33)가 상기 건조실(10) 또는 상기 열매체 순환실(70)의 바닥면에 더욱 밀착되어 바닥면이 스크레이핑(Scraping) 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커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하나 이상의 질량체(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질량체는, 상기 레이커(30)의 블레이드(33)가 상기 건조실(10) 또는 상기 열매체 순환실(70)의 바닥면에 더욱 밀착되어 바닥면이 스크레이핑(Scraping) 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커에 중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커(30)의 허브(31)에 구비된 회전축 삽입구(32) 및 상기 회전축(40)은 그 단면의 형상이 각각 타원형, 각형, 치차형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된 서로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는 천정용 레이커(60);
상기 천정용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천정용 레이커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0);
상기 건조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 및
상기 천정용 레이커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용 탄성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천정용 레이커(60)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천정용 레이커가 회전축(40)을 따라 이동(Sliding)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용 레이커의 허브(61)에 구비된 회전축 삽입구(62)와 상기 회전축(40)의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이 상기 천정용 레이커에 전달되어 레이커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삽입구와 회전축은 그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이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지지용 탄성체(50)는 상기 천정용 레이커의 블레이드(63)가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에 밀착되어 상기 건조실(10)의 천정면이 스크레이핑(Scraping) 될 수 있도록 상기 천정용 레이커(60)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열매체가 순환되며 상기 건조실에 열이 전도되도록 하는 열매체 순환실(70);
상기 열매체 순환실의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실의 천정면을 스크레이핑 하는 천정용 레이커(60);
상기 천정용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천정용 레이커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0);
상기 열매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 및
상기 천정용 레이커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용 탄성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천정용 레이커(60)는 상기 회전축(40)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천정용 레이커가 회전축을 따라 이동(Sliding)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용 레이커의 허브(61)에 구비된 회전축 삽입구(62)와 상기 회전축(40)의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이 상기 천정용 레이커에 전달되어 레이커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삽입구와 회전축은 그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이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지지용 탄성체(50)는 상기 천정용 레이커의 블레이드(63)가 상기 열매체 순환실의 천정면에 밀착되어 상기 열매체 순환실(70)의 천정면이 스크레이핑(Scraping) 될 수 있도록 상기 천정용 레이커(60)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용 레이커(60)의 허브(61)에 구비된 회전축 삽입구(62) 및 상기 회전축(40)은 그 단면의 형상이 각각 타원형, 각형, 치차형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된 서로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는, 피건조물 또는 열매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반, 혼합 및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수직 블레이드(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블레이드는, 상기 레이커(30) 또는 상기 천정용 레이커(60)에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열매체 또는 피건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복수개의 상기 건조실이 상하로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건조장치.
-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300)에서는, 상기 건조실(10)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집진기(600), 열교환기(700), 흡착시설(800) 및 세정기(9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실(10)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집진기(600), 열교환기(700), 흡착시설(800) 및 세정기(9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기(300)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10)에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을 상기 가열기(300)에서 연소시켜서 건조용, 산업용 및 난방용 등의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복수개의 상기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에 열이 전도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열매체 순환실이 상하층으로 교차하여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3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탄성체(50)는 용수철, 판스프링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3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탄성체(5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80)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 블레이드(90)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열매체 또는 피건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3487A KR101236331B1 (ko) | 2010-07-29 | 2010-07-29 | 건조장치 |
CN201110105869.9A CN102345972B (zh) | 2010-07-29 | 2011-04-22 | 干燥装置 |
JP2011096874A JP5400828B2 (ja) | 2010-07-29 | 2011-04-25 | 乾燥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3487A KR101236331B1 (ko) | 2010-07-29 | 2010-07-29 | 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1145A true KR20100091145A (ko) | 2010-08-18 |
KR101236331B1 KR101236331B1 (ko) | 2013-02-22 |
Family
ID=4275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3487A KR101236331B1 (ko) | 2010-07-29 | 2010-07-29 |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633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75555A (zh) * | 2014-06-30 | 2014-10-01 | 苏州锟恩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进出料高效微波干燥机 |
CN106766808A (zh) * | 2016-12-14 | 2017-05-31 | 武汉海德新能源投资有限公司 | 一种高效多炉膛耙式干燥炉 |
CN107166874A (zh) * | 2017-06-03 | 2017-09-15 | 颍上县锡安山米业有限公司 | 一种匀刷式大米节能烘干装置 |
CN110762979A (zh) * | 2019-10-28 | 2020-02-07 | 上海天汉环境资源有限公司 | 一种高效的真空耙式干燥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3940B1 (ko) * | 2019-03-15 | 2020-11-04 |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 축분 발효 건조기 |
KR102084481B1 (ko) * | 2019-07-02 | 2020-04-24 | (주)위시코 | 발효 건조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7194Y2 (ko) * | 1987-03-05 | 1993-09-20 | ||
JPH04281179A (ja) * | 1991-03-08 | 1992-10-06 | Masakumi Hiroe | レーキ駆動吊り下げ軸の漏れ止めスリーブ |
US5201263A (en) | 1992-06-12 | 1993-04-13 | Teng Andy C | Cooking utensil with built-in automatic stirring device |
JP3140359B2 (ja) * | 1996-02-01 | 2001-03-05 | アズ・キャリア株式会社 | 蒸気接触乾燥機における乾燥運転休止時の悪臭排除方法 |
-
2010
- 2010-07-29 KR KR1020100073487A patent/KR10123633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75555A (zh) * | 2014-06-30 | 2014-10-01 | 苏州锟恩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进出料高效微波干燥机 |
CN106766808A (zh) * | 2016-12-14 | 2017-05-31 | 武汉海德新能源投资有限公司 | 一种高效多炉膛耙式干燥炉 |
CN107166874A (zh) * | 2017-06-03 | 2017-09-15 | 颍上县锡安山米业有限公司 | 一种匀刷式大米节能烘干装置 |
CN110762979A (zh) * | 2019-10-28 | 2020-02-07 | 上海天汉环境资源有限公司 | 一种高效的真空耙式干燥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6331B1 (ko) | 2013-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00828B2 (ja) | 乾燥装置 | |
KR101236331B1 (ko) | 건조장치 | |
KR101037740B1 (ko) | 2단식 전열 볶음장치 | |
CN108431532A (zh) | 用于将工件受控输送通过流化床干燥器的方法和设备 | |
KR102234109B1 (ko) |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 |
KR101158906B1 (ko) | 유기물 건조장치 | |
EP4072694B1 (en) | Method for continuous thermal separation of a multi-component substance | |
KR101387011B1 (ko) |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 |
US5227026A (en) | Retort heat exchanger apparatus | |
JP2001324269A (ja) | 伝熱式竪型乾燥装置 | |
KR100409230B1 (ko) | 음식물쓰레기 초고속 유동 건조 및 발효장치 | |
JP4679336B2 (ja) | 生ごみ乾燥機 | |
CN204421572U (zh) | 一种回转烘干机 | |
JP2014055728A (ja) | 乾燥装置およびその乾燥方法 | |
KR101253999B1 (ko) | 건조장치 | |
JPH11263979A (ja) | 積層型加熱処理装置 | |
KR100251691B1 (ko) | 원심건조방식피건조물건조시스템및그방법 | |
KR100511196B1 (ko) | 슬러지 건조장치 | |
JP2010169324A (ja) | 横型回転式乾燥機 | |
KR100539160B1 (ko) | 슬럿지 건조장치 | |
AU766575B2 (en) | Batch sludge dehydrator | |
JP2010025524A (ja) | リジェネレイティブバーナー | |
KR101524856B1 (ko) | 건조 장치 | |
CN110997578A (zh) | 有机性废弃物的处理装置和处理方法 | |
JP2023504903A (ja) | 多成分物質の持続的熱分離のため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