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304A - 복호 장치, 복호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복호 장치, 복호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304A
KR20100090304A KR1020107014955A KR20107014955A KR20100090304A KR 20100090304 A KR20100090304 A KR 20100090304A KR 1020107014955 A KR1020107014955 A KR 1020107014955A KR 20107014955 A KR20107014955 A KR 20107014955A KR 20100090304 A KR20100090304 A KR 20100090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circuit
image data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히꼬 스즈끼
가즈히로 이시가야
요이찌 야가사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9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3Run-length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가 8×8 직교 변환 계수를 서브 블록 데이터로 분할한다.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직류 성분으로부터 먼 서브 블록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를, O을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에 짧은 비트 길이의 부호화 코드를 할당하는 변환표 데이터를 선택하여 부호화한다.

Description

복호 장치, 복호 방법 및 기록 매체{DECODING DEVICE, 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직교 변환 계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및 그 프로그램과, 그것을 복호하는 복호 방법, 복호 장치 및 그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데이터 디지털로서 취급하고, 그 때, 효율이 높은 정보의 전송, 축적을 목적으로 하며, 화상 정보 특유의 용장성을 이용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 등의 직교 변환과 움직임 보상에 의해 압축하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방식에 준거한 장치가, 방송국 등의 정보 배신, 및 일반 가정에서의 정보 수신의 쌍방에서 보급되고 있다.
MPEG2, 4 방식에 이어 MPEG4/AVC(Advanced Video Coding)로 불리는 부호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MPEG4/AVC 방식의 부호화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4×4 블록 사이즈의 블록 데이터를 단위로 하여 부호화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진 블록 데이터의 변환 계수 중 비0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42개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과 그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각각이 규정하는 복수의 대응 관계 데이터(VLC 테이블)에 기초하여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대응 관계 데이터는, 0을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비트 길이가 서로 다르고, 0을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비트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해당 대응 관계 데이터에서 이용하는 부호화 코드의 최대 비트 길이가 길어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호화 장치는,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부호화 대상의 4×4 블록 데이터 주위의 블록 데이터의 변환 계수 중 O 및 1 이외의 변화 계수의 수가 커짐에 따라, 0을 나타내는 상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에 긴 비트 길이의 부호화 코드를 할당한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런데, 전술한 부호화 장치에서는, 8×8의 블록 사이즈의 블록 데이터(8×8 블록 데이터)를 단위로 하여 직교 변환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대응 관계 데이터는, 42개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에만 대응하고 있어, 8×8 블록 데이터를 직교 변환하여 얻어지는 82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부호화 코드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1 블록 사이즈의 복수배의 제2 블록 사이즈의 화상 블록 데이터를 직교 변환하여 얻어진 변환 계수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에 적합한 대응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호화하는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및 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 복호 장치 및 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호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호 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처리를 행하게 하는 루틴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루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루틴과, 상기 선택 루틴의 실행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루틴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루틴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복호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으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호 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선택 공정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루틴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루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선택하는 선택 루틴과, 상기 선택 루틴의 실시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루틴의 실시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루틴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블록 사이즈의 복수배의 제2 블록 사이즈의 화상 블록 데이터를 직교 변환하여 얻어진 변환 계수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에 적합한 대응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호화하는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및 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 복호 장치 및 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부호화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가역 부호화 회로의 구성도.
도 4a, 도 4b는 도 3에 도시하는 스캔 회로가 4×4 블록 데이터의 직교 변환을 스캔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스캔 회로가 8×8 블록 데이터의 직교 변환을 스캔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런·레벨 계산 회로가 4×4 블록 데이터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도 7b는 도 3에 도시하는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가 4×4 블록 데이터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하는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가 8×8 블록 데이터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하는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가 8×8 블록 데이터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하는 가역 부호화 회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복호 장치의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가역 복호 회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의 관계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4×4 블록 사이즈가 본 발명의 제1 블록 사이즈에 대응하고, 8×8 블록 사이즈가 본 발명의 제2 블록 사이즈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가 본 발명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우측의 숫자가 본 발명의 부호화 코드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가 본 발명의 대응 관계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가 본 발명의 서브 블록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스텝 ST17, ST18이 본 발명의 제1 공정에 대응하고, 스텝 ST19가 제2 공정에 대응하며, 스텝 ST21, ST22가 제3 공정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스텝 ST13이 본 발명의 제4 공정에 대응하고, 스텝 ST14, ST15가 제5 공정에 대응하며, 스텝 ST16이 제6 공정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스캔 변환 회로(51),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가 본 발명의 할당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런·레벨 계산 회로(53)가, 본 발명의 생성 수단에 대응하고,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가 본 발명의 부호화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가 본 발명의 결정 수단에 대응하고,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가 본 발명의 생성 수단에 대응하며, 블록 복원 회로(115)가 본 발명의 취득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의 대응 관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은, 송신측에 설치된 부호화 장치(2)와, 수신측에 설치된 복호 장치(3)를 갖는다.
부호화 장치(2)가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부호화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1)에서는, 송신측의 부호화 장치(2)에서, 이산 코사인 변환이나 카루넨-뢰베 변환 등의 직교 변환과 움직임 보상에 의해 압축한 프레임 화상 데이터(비트 스트림)를 생성하고, 해당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변조한 후에, 위성 방송파, 케이블 TV망, 전화 회선망, 휴대 전화 회선망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송신한다.
수신측에서는, 복호 장치(3)에서 수신한 화상 신호를 복조한 후에, 상기 변조 시의 직교 변환의 역변환과 움직임 보상에 의해 신장한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해 이용한다.
또한, 상기 전송 매체는,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라도 무방하다.
<부호화 장치(2)>
이하, 도 1에 도시하는 부호화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부호화 장치(2)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호화 장치(2)는, 예를 들면, A/D 변환 회로(22), 화면 재배열 회로(23), 연산 회로(24), 직교 변환 회로(25), 양자화 회로(26), 가역 부호화 회로(27), 버퍼 메모리(28), 역양자화 회로(29), 역직교 변환 회로(30), 프레임 메모리(31), 레이트 제어 회로(32), 가산 회로(33), 인트라 예측 회로(41),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 및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를 갖는다.
이하, 부호화 장치(2)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A/D 변환 회로(22)]
A/D 변환 회로(22)는 입력된 아날로그의 휘도 신호 Y, 색차 신호 Pb, Pr로 구성되는 원화상 신호 S10을 디지털의 픽처 데이터 S22로 변환하고, 이것을 화면 재배열 회로(23)에 출력한다.
[화면 재배열 회로(23)]
화면 재배열 회로(23)는 A/D 변환 회로(22)로부터 입력된 픽처 데이터 S22 내의 프레임 데이터를, 그 픽처 타입 I, P, B로 이루어지는 GOP(Group Of Pictures) 구조에 따라, 부호화하는 순서대로 재배열한 원화상 데이터 S23을 연산 회로(24),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 및 인트라 예측 회로(41)에 출력한다.
[연산 회로(24)]
연산 회로(24)는 원화상 데이터 S23과, 인트라 예측 회로(41) 또는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로부터 입력된 예측 화상 데이터와의 차분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S24를 생성하고, 이것을 직교 변환 회로(25)에 출력한다.
[직교 변환 회로(25)]
직교 변환 회로(25)는 화상 데이터 S24에 이산 코사인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이나 카루넨-뢰베 변환 등의 직교 변환을 실시하여 변환 계수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예를 들면 DCT 계수) S25를 생성하고, 이것을 양자화 회로(26)에 출력한다.
직교 변환 회로(25)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에 의해 지정된 직교 변환 사이즈로, 연산 회로(24)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S24에 직교 변환을 실시하여 변환 계수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S25를 생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직교 변환 사이즈로서 4×4, 8×8의 블록 사이즈가 이용된다.
[양자화 회로(26)]
양자화 회로(26)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와, 레이트 제어 회로(32)로부터 입력된 양자화 스케일 QS를 기초로, 화상 데이터 S25(양자화 전의 변환 계수)를 양자화하여 양자화 후의 변환 계수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S26을 생성하고, 이것을 가역 부호화 회로(27) 및 역양자화 회로(29)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직교 변환 회로(25)에서 4×4와 8×8 중 한쪽이 선택되어 정수 정밀도의 직교 변환이 행해지는 경우에, 양자화 회로(26)에서 정규화 처리에 이용하는 적절한 계수는, 4×4와 8×8에서는 서로 다르다. 그 때문에, 양자화 회로(26)는 레이트 제어 회로(32)로부터 입력된 양자화 스케일 QS를,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나타내는 직교 변환 사이즈에 따라 보정하고, 보정 후의 양자화 스케일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 S25를 양자화한다.
[가역 부호화 회로(27)]
가역 부호화 회로(27)는 화상 데이터 S26을 가변 길이 부호화한 화상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28)에 저장한다.
이때, 가역 부호화 회로(27)는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벡터 MV 혹은 그 차분 움직임 벡터, 참조 화상 데이터의 식별 데이터, 및 인트라 예측 회로(41)로부터 입력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헤더 데이터 등에 저장한다.
가역 부호화 회로(27)는 4×4 및 8×8 블록 사이즈의 직교 변환의 각각에 대응하여 가역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가역 부호화 회로(27)의 부호화 처리에 대해 이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퍼 메모리(28)]
버퍼 메모리(28)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변조 등이 이루어진 후에 화상 데이터 S2로서 송신된다.
해당 화상 데이터 S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호 장치(3)에 의해 복호된다.
[역양자화 회로(29)]
역양자화 회로(29)는 양자화 회로(26)의 양자화에 대응한 역양자화 처리를 화상 데이터 S26에 실시하고, 그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것을 역직교 변환 회로(30)에 출력한다.
[역직교 변환 회로(30)]
역직교 변환 회로(30)는 역양자화 회로(29)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직교 변환 회로(25)에서의 직교 변환의 역변환을 실시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가산 회로(33)에 출력한다.
[가산 회로(33)]
가산 회로(33)는 역직교 변환 회로(30)로부터 입력된(디코드된) 화상 데이터와, 선택 회로(44)로부터 입력된 예측 화상 데이터 PI를 가산하여 참조(재구성) 픽처 데이터 R_PIC를 생성하고, 이것을 프레임 메모리(31)에 기입한다.
또한, 가산 회로(33)와 프레임 메모리(31) 사이에, 디블록 픽터를 설치해도 된다. 이 디블록 필터는, 가산 회로(33)로부터 입력된 재구성 화상 데이터의 블록 왜곡을 제거한 화상 데이터를, 참조 픽처 데이터 R_PIC로서 프레임 메모리(31)에 기입한다.
[레이트 제어 회로(32)]
레이트 제어 회로(32)는, 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28)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자화 스케일 QS를 생성하고, 이것을 양자화 회로(26)에 출력한다.
[인트라 예측 회로(41)]
인트라 예측 회로(41)는 인트라 부호화하는 매크로 블록에서, 잔차가 최소로 되는 인트라 예측의 모드 및 예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를 결정한다.
인트라 예측 회로(41)는 블록 사이즈로서 4×4 및 16×16 화소를 이용한다.
인트라 예측 회로(41)는 인트라 예측이 선택된 경우에, 인트라 예측에 의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연산 회로(24)에 출력한다.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는, 이미 부호화되고, 국소 복호되어, 프레임 메모리(3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으로부터, 움직임 예측을 행하여, 잔차를 최소로 하는 움직임 벡터 및 움직임 보상의 블록 사이즈를 결정한다.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는 블록 사이즈로서 16×16, 16×8, 8×16, 8×8, 8×4, 4×8 및 4×4 화소를 이용한다.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는 인터 예측이 선택된 경우에, 인터 예측에 의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연산 회로(24)에 출력한다.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는 인트라 예측 회로(41) 및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 중 예측 화상 데이터가 선택된 회로에서 최종적으로 결정(선택)한 블록 사이즈를 기초로 직교 변환 사이즈를 결정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직교 변환 회로(25), 양자화 회로(26) 및 가역 부호화 회로(27)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는 인트라 예측 회로(41)에 의한 8×8 화소의 블록 사이즈가 최종적으로 선택되었을 경우에, 8×8 화소를 나타내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생성하고, 인트라 예측 회로(41)에 의한 8×8 화소 이외의 블록 사이즈가 최종적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4×4 화소를 나타내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생성한다.
또한,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는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에 의한 8×8 화소 이상의 블록 사이즈가 최종적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8×8 화소를 나타내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생성하고,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에 의한 8×8 화소보다 작은 블록 사이즈가 최종적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4×4 화소를 나타내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생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는 4×4와 8×8 중 하나의 블록 사이즈를 나타내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생성한다.
이하, 가역 부호화 회로(27)에서의 화상 데이터 S25의 가변 길이 부호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가역 부호화 회로(27)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역 부호화 회로(27)는 화상 데이터 S25를 가변 길이 부호화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스캔 변환 회로(51),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 런·레벨 계산 회로(53),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 레벨 부호화 회로(55), 런 부호화 회로(56), 및 다중화 회로(57)를 갖는다.
스캔 변환 회로(51)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 프레임 부호화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번호순, 필드 부호화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번호순으로, 화상 데이터 S26을 구성하는 4×4 블록 데이터 내의 16개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스캔순으로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에 출력한다.
한편, 스캔 변환 회로(51)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에, 도 5에 나타내는 번호순으로, 화상 데이터 S26을 구성하는 8×8 블록 데이터 내의 64개의 변환 계수 데이터를 스캔하고, 스캔순으로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에 출력한다.
도 5에서, 왼쪽 위가 직류 DC 성분을 나타내고, 오른쪽 아래가 고주파 성분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수평 방향이 수평 주파수 성분, 도면 중 수직 방향이 수직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 스캔 변환 회로(51)로부터 순서대로 입력된 4×4 블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16개의 변환 계수를 순서대로 런·레벨 계산 회로(53)에 출력한다.
또한,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에, 스캔 변환 회로(51)로부터 입력된 8×8 블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64개의 변환 계수 중, 1∼16번째로 입력된 변환 계수를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구성 요소로 하고, 17∼32번째로 입력된 변환 계수를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2의 구성 요소로 하고, 33∼48번째로 입력된 변환 계수를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3의 구성 요소로 하고, 49∼64번째로 입력된 변환 계수를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4의 구성 요소로 하고, 이들을 런·레벨 계산 회로(53)에 출력한다.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로부터 순서대로 입력된 16개의 변환 계수열의 레벨 데이터 level, 런 데이터 run_before,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레벨 데이터 level은 4×4 블록 데이터 내의 개개의 변환 계수(0, 1 이외의 변환 계수)의 값을 나타내며, 도 6의 경우에는, 「-3」, 「+8」, 「+11」, 「-4」, 「+23」이다.
런 데이터 run_before는 4×4 블록 데이터 내의 비0 계수 전의 연속하는 0계수(값이 0인 변환 계수)의 수를 나타내며, 도 6의 경우에는, 「1」, 「2」, 「0」, 「2」, 「0」, 「0」이다.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는 4×4 블록 데이터 내의 최후의 비0 계수 이전의 0계수의 수를 나타낸다. 도 6의 경우에는 「5」이다.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는 4×4 블록 데이터 내의 비0 계수의 수를 나타낸다. 도 6의 경우에는 「7」이다.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는 4×4 블록 데이터 내의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수를 나타낸다. 도 6의 경우에는 「2」이다.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는 4×4 블록 데이터 내의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부호를 나타낸다. 도 6의 경우에는 「-」, 「+」이다.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런 데이터 run_before 및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를, 런 부호화 회로(56)에 출력한다.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레벨 데이터 level을 레벨 부호화 회로(55)에 출력한다.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 및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를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에 출력한다.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에,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로부터 입력된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각각에 대해, 전술한 4×4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레벨 데이터 level, 런 데이터 run_before,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를 생성한다.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 및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를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이하,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에 의한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의 부호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를 설명한다.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 처리 대상의 4×4의 블록 데이터의 주위의 4×4 블록 데이터의 변환 계수중 0, 1(혹은 0) 이외의 변환 계수의 수를 기초로, 하기 총 변환표 데이터 TRNa에 기초하여, 해당 블록 데이터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의 부호화 코드를 생성(취득)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총 변환표 데이터 TRNa는, 5개의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 5를 규정하고 있다.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는, 이하의 특성을 갖고 있다.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의 각각은,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의 세트에 대해, 그 부호화 코드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는, 0을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의 비트 길이가 서로 다르고, 0을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의 비트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부호화 코드의 최대 비트 길이가 길어지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는 4×4의 블록 데이터가 복잡한 화상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0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고, 그 값이 0∼15의 넓은 범위로 분산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는 4×4의 블록 데이터가 변화가 적은 평탄한 화상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0으로 될 가능성이 높고,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를 규정함으로써, 복잡한 화상 영역의 4×4 블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0을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에 할당하는 부호화 코드의 비트 길이는 길지만, 부호화 코드의 최대 비트 길이가 짧은 변환표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전체의 부호화 효율을 높인다.
한편, 평탄한 화상 영역의 4×4 블록 데이터에 대해서는, 최대 비트 길이는 길지만, 0을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에 할당하는 부호화 코드가 짧은 변환표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전체의 부호화 효율을 높인다.
또한,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가 상이하고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가 동일한 복수의 조에 대해,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가 커짐에 따라, 부호화 코드의 비트 길이가 동일 혹은 길어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대상의 4×4 블록 데이터 C에 대해 표시 위치가 왼쪽에 인접하고 있는 4×4 블록 데이터 A의 0, 1(혹은 0) 이외의 변환 계수의 수를 nA로 하고, 처리 대상의 4×4 블록 데이터 C에 대해 표시 위치가 위에 인접하고 있는 4×4 블록 데이터 B의 0, 1(혹은 0) 이외의 변환 계수의 수를 nB로 한다.
그리고,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nC=(nA+nB+1)>>1」에 의해, 지표 데이터 nC를 생성한다.
「>>1」은 「1」 오른쪽 시프트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지표 데이터 nC에 기초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총 변환표 데이터 TRNa가 규정하는 5개의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 5 중 1개를 선택한다.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예를 들면, nA=2, nB=3의 경우, nC=(2+3+1)>>1=3으로 되어, 변환표 데이터 TRNa2를 선택한다.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색차 신호의 DC치의 부호화에, 변환표 데이터 TRNa5를 이용한다.
*그리고,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상기 4×4의 블록 데이터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의 부호화 코드를, 상기 선택한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 5를 이용하여 취득하고, 이것을 다중화 회로(57)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를 설명한다.
전술한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가 생성한 4개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도 8에서, 사각형의 왼쪽 위가 저주파 성분, 오른쪽 아래가 고주파 성분이다.
따라서, 서브 블록 데이터 SB1에는 비교적 높은 빈도로 비0 계수가 존재하고, 반대로 서브 블록 데이터 SB4에는 대부분의 계수가 0으로 될 확률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서브 블록 데이터 SB4는 값 0(작은 값)에 짧은 부호 길이의 부호 코드를 할당하고, 반대로 서브 블록 데이터 SB1에는 큰 값에 짧은 부호 길이의 부호 코드를 할당한 쪽이 부호화 효율이 좋다.
여기에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하에 기술하는 (방식1) 내지 (방식4)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지표 데이터 nC를 생성한다.
또, 지표 데이터 nC의 생성 방법은, 복호 장치(3)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한다.
(방식1)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도 9에 나타내는 8×8 블록 데이터 C가 처리 대상인 것으로 하면,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지표 데이터 nC는 「8」, 서브 블록 데이터 SB2, SB3의 지표 데이터 nC는 「4」, 서브 블록 데이터 SB4의 지표 데이터 nC는 「0」으로 한다.
이에 의해,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부호화에 표 1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a4를 이용하고, 서브 블록 데이터 SB2, SB3의 부호화에 변환표 데이터 TRNa3을 이용하며, 서브 블록 데이터 SB4의 부호화에 변환표 데이터 TRNa1을 이용한다.
(방식2)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도 9에 나타내는 8×8 블록 데이터 C가 처리 대상인 것으로 하면,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지표 데이터 nC는 「8」, 서브 블록 데이터 SB2, SB3의 지표 데이터 nC는 「2」, 서브 블록 데이터 SB4의 지표 데이터 nC는 「0」으로 한다.
이에 의해,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부호화에 표 1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a4를 이용하고, 서브 블록 데이터 SB2, SB3의 부호화에 변환표 데이터 TRNa2를 이용하며, 서브 블록 데이터 SB4의 부호화에 변환표 데이터 TRNa1을 이용한다.
(방식3)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도 9에 나타내는 8×8 블록 데이터 C가 처리 대상인 것으로 하면,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지표 데이터 nC는 「4」, 서브 블록 데이터 SB2, SB3의 지표 데이터 nC는 「2」, 서브 블록 데이터 SB4의 지표 데이터 nC는 「0」으로 한다.
이에 의해,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부호화에 표 1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a3을 이용하고, 서브 블록 데이터 SB2, SB3의 부호화에 변환표 데이터 TRNa2를 이용하며, 서브 블록 데이터 SB4의 부호화에 변환표 데이터 TRNa1을 이용한다.
(방식4)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대상의 블록 데이터 C에 왼쪽 및 위에 인접하는 블록 데이터 A, B가 8×8로 직교 변환된 것인 경우에, 블록 데이터 C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지표 데이터 nC를, 블록 데이터 A, B의 동일 위치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nA, nB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면,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블록 데이터 A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nA와, 블록 데이터 B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nB를 이용하여, 「nC=(nA+nB+1)>>1」에 의해, 블록 데이터 C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지표 데이터 nC를 생성한다.
또한,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블록 데이터 A, B의 한쪽이 8×8의 직교 변환이고, 다른 한쪽이 4×4 직교 변환인 경우, 예를 들면, 8×8 직교 변환의 동일 위치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0, 1(혹은 0) 이외의 계수의 수를 지표 데이터 nC로 한다.
예를 들면,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블록 데이터 A가 8×8, 블록 데이터 B가 4×4인 경우, 블록 데이터 A의 0, 1(혹은 0) 이외의 계수의 수 nA가, 블록 데이터 C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지표 데이터 nC로 한다.
또한,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블록 데이터 A 및 B의 쌍방이 4×4인 경우, 블록 데이터 C의 각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와 동일 위치의 블록 데이터 A, B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nA, nB를 이용하여, 「nC=(nA+nB+1)>>1」에 의해, 블록 데이터 C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지표 데이터 nC를 생성한다.
또한, 전술한 지표 데이터 nC의 생성 방법은 일례이며, 블록 데이터 A, B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nA, nB를 이용하여, 블록 데이터 C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지표 데이터 nC를 생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블록 데이터 C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를, 그것에 대응한 상기 지표 데이터 nC에 기초하여 선택한 변환표 데이터 TRNa1∼5를 이용하여 변환한다.
또한,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상기 방식4에서, 블록 데이터 A 및 B의 쌍방이 4×4인 경우, 블록 데이터 C의 각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를 (방식1), (방식2), (방식3) 중 어느 하나와 같이, 그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위치에 따라 지표 데이터 nC를 결정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에, 처리 대상의 8×8의 블록 데이터로부터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가 생성한 4개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각각에 대해 지표 데이터 nC를 결정 혹은 생성한다.
그리고,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상기 결정 혹은 생성한 지표 데이터 nC에 기초하여, 표 1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a1∼5 중에서 1개를 선택한다.
그리고,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처리 대상의 블록 데이터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의 부호화 코드를, 상기 선택한 변환표 데이터 TRNa1∼5를 이용하여 취득한다.
이하, 도 3에 도시하는 가역 부호화 회로(27)에서, 화상 데이터 S26의 각 블록 데이터로부터 취득된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의 부호화 코드를 결정하는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해당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 10에 나타내는 각 스텝을 설명한다.
스텝 ST11:
도 3에 도시하는 가역 부호화 회로(27)는, 도 2에 도시하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텝 ST17로 진행하고, 그 후, 스텝 ST17∼ST22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가역 부호화 회로(27)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텝 ST12로 진행하고, 그 후, 스텝 ST12∼ST16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T12:
스캔 변환 회로(51)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 프레임 부호화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번호순, 필드 부호화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번호순으로, 화상 데이터 S26을 구성하는 4×4 블록 데이터 내의 16개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스캔순으로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에 출력한다.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는 스캔 변환 회로(51)로부터 입력된 변환 계수를 그대로 런·레벨 계산 회로(53)에 출력한다.
스텝 ST13: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로부터 순서대로 입력된 16개의 변환 계수열의 레벨 데이터 level, 런 데이터 run_before,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를 생성한다.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와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를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에 출력한다.
스텝 ST14: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대상의 4×4 블록 데이터 C에 대해 표시 위치가 왼쪽에 인접하고 있는 4×4 블록 데이터 A의 0, 1(혹은 0) 이외의 변환 계수의 수를 nA로 하고, 처리 대상의 4×4 블록 데이터 C에 대해 표시 위치가 위에 인접하고 있는 4×4 블록 데이터 B의 0, 1(혹은 0) 이외의 변환 계수의 수를 nB로 한다.
그리고,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nC=(nA+nB+1)>>1」에 의해, 지표 데이터 nC를 생성한다.
스텝 ST15: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스텝 ST14에서 생성한 지표 데이터 nC에 기초하여, 표 1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a1∼5 중 1개를 선택한다.
스텝 ST16: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스텝 ST13에서 입력된 상기 4×4의 블록 데이터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의 부호화 코드를, 스텝 ST15에서 선택한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 5를 이용하여 취득하고, 이것을 다중화 회로(57)에 출력한다.
스텝 ST17:
스캔 변환 회로(51)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에, 도 5에 나타내는 번호순으로, 화상 데이터 S26을 구성하는 8×8 블록 데이터 내의 64개의 변환 계수 데이터를 스캔하고, 스캔순으로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에 출력한다.
스텝 ST18: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 스캔 변환 회로(51)로부터 순서대로 입력된 4×4 블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16개의 변환 계수를 순서대로 런·레벨 계산 회로(53)에 출력한다.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를 나타내는 경우에, 스캔 변환 회로(51)로부터 입력된 8×8 블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64개의 변환 계수 중, 1∼16번째로 입력된 변환 계수를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의 구성 요소로 하고, 17∼32번째로 입력된 변환 계수를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2의 구성 요소로 하고, 33∼48번째로 입력된 변환 계수를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3의 구성 요소로 하고, 49∼64번째로 입력된 변환 계수를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4의 구성 요소로 하고, 이들을 런·레벨 계산 회로(53)에 출력한다.
스텝 ST19: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에, 서브 블록 생성 회로(52)로부터 입력된 4×4의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각각에 대해, 전술한 4×4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레벨 데이터 level, 런 데이터 run_before,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를 생성한다.
런·레벨 계산 회로(53)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와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를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에 출력한다.
스텝 ST20: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부호화 대상의 8×8 블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에 대해, 전술한 (방식1)∼(방식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그 지표 데이터 nC를 결정 혹은 생성한다.
스텝 ST21: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스텝 ST20에서 결정 혹은 생성한 지표 데이터 nC에 기초하여, 표 1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a1∼5 중 하나를 선택한다.
스텝 ST22: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는, 스텝 ST19에서 입력된 각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의 부호화 코드를, 스텝 ST21에서 선택한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 5를 이용하여 취득하고, 이것을 다중화 회로(57)에 출력한다.
이하, 레벨 부호화 회로(55)에 대해 설명한다.
레벨 부호화 회로(55)는 런·레벨 계산 회로(53)로부터 입력된 레벨 데이터 level을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레벨 부호화 회로(55)는 레벨 데이터 level로부터 level_prefix, level_suffix로 불리는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레벨 부호화 회로(55)는 파라미터 level_prefix를,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b에 기초하여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Figure pat00002
파라미터 level_suffix는 suffxLength에 의해 부여되는 비트 길이로 unsigned integer로서 부호화된다.
여기에서, 레벨 데이터 level과 파라미터 level_prefix, level_suffix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1, 2로 규정된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레벨 부호화 회로(55)는 레벨 데이터 level을 가변 길이 부호화하여 얻은 부호화 코드를 다중화 회로(57)에 출력한다.
이하, 런 부호화 회로(56)에 대해 설명한다.
런 부호화 회로(56)는 런·레벨 계산 회로(53)로부터 입력된 런 데이터 run_before 및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를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그리고, 런 부호화 회로(56)는 해당 가변 길이 부호화하여 얻은 부호화 코드를 다중화 회로(57)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런 부호화 회로(56)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고, 또한,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가 1 이상 7 이하인 경우에,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c에 기초하여,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를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Figure pat00005
또한, 런 부호화 회로(56)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고, 또한,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가 8 이상 15 이하의 경우에,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d에 기초하여,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를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Figure pat00006
또한, 런 부호화 회로(56)는 부호화 대상의 블록 데이터가, 2×2의 색차 DC인 경우에, 하기 표 5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e에 기초하여,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를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Figure pat00007
또한, 런 부호화 회로(56)는 하기 표 6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f에 기초하여, 런 데이터 run_before를 가변 길이 부호화한다.
Figure pat00008
런 부호화 회로(56)는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 및 런 데이터 run_before를 가변 길이 부호화하여 취득한 부호화 코드를 다중화 회로(57)에 출력한다.
다중화 회로(57)는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 레벨 부호화 회로(55) 및 런 부호화 회로(56)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코드를 다중화한 비트 스트림인 화상 데이터 S27을 생성하고, 이것을 버퍼 메모리(28)에 기입한다.
이하, 도 2에 도시하는 부호화 장치(2)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으로 되는 화상 신호는, 우선, A/D 변환 회로(2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출력으로 되는 화상 압축 정보의 GOP 구조에 따라, 화면 재배열 회로(23)에서 프레임 화상 데이터의 재배열이 행해지고, 그에 의해 얻어진 원화상 데이터 S23이 연산 회로(24),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 및 인트라 예측 회로(41)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연산 회로(24)가 화면 재배열 회로(23)로부터의 원화상 데이터 S23과 선택 회로(44)로부터의 예측 화상 데이터 PI의 차분을 검출하고, 그 차분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S24를 직교 변환 회로(25)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직교 변환 회로(25)가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나타내는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 S24에 이산 코사인 변환이나 카루넨-뢰베 변환 등의 직교 변환을 실시하여 화상 데이터(DCT 계수) S25를 생성하고, 이것을 양자화 회로(26)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양자화 회로(26)가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나타내는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 S25를 양자화하고, 화상 데이터(양자화된 DCT 계수) S26을 가역 부호화 회로(27) 및 역양자화 회로(29)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가역 부호화 회로(27)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S26에 가변 길이 부호화를 실시하여 화상 데이터 S27을 생성하고, 이것을 버퍼 메모리(28)에 축적한다.
또한, 레이트 제어 회로(32)가 버퍼 메모리(28)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자화 회로(26)에서의 양자화 레이트를 제어한다.
또한, 역양자화 회로(29)가 양자화 회로(26)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S26을 역양자화하여 역직교 변환 회로(30)에 출력한다.
그리고, 역직교 변환 회로(30)가 직교 변환 회로(25)의 역변환 처리를 행해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가산 회로(33)에 출력한다.
가산 회로(33)에서, 역직교 변환 회로(3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와 선택 회로(44)로부터의 예측 화상 데이터 PI가 가산되어 참조 화상 데이터 R_PIC가 생성되고, 이것이 프레임 메모리(31)에 기입된다.
또한, 인트라 예측 회로(41)는 프레임 메모리(31)로부터 판독한 블록 데이터를 4×4 및 16×16의 블록 사이즈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하고, 그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는 프레임 메모리(31)로부터 판독한 블록 데이터를, 16×16, 16×8, 8×16, 8×8, 8×4, 4×8의 블록 사이즈로 인터 예측 부호화하고, 그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트라 예측 회로(41) 및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42)의 예측 화상 데이터 중, 부호화 코스트가 최소인 예측 화상 데이터가 적산 회로(24)에 출력된다.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45)는, 연산 회로(24)에 출력된 예측 화상 데이터의 생성에 이용된 블록 사이즈를 나타내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직교 변환 회로(25), 양자화 회로(26) 및 가역 부호화 회로(27)에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부호화 장치(2)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하는 가역 부호화 회로(27)에서, 4×4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를 부호화하기 위해 이용하는 표 1에 나타내는 총 변환표 데이터 TRNa를 이용하여, 8×8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의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2)에 따르면, 가역 부호화 회로(27)에서,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변환표 데이터 TRNa1, a2, a3, a4의 것을, (방식1)∼(방식4)에 의해 선택하기 때문에, 높은 부호화 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복호 장치(3)>
이하, 도 1에 도시하는 복호 장치(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복호 장치(3)의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호 장치(3)는 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81), 가역 복호 회로(82), 역양자화 회로(83), 역직교 변환 회로(84), 가산 회로(85), 프레임 메모리(86), 화상 재배열 버퍼(87), D/A 변환 회로(88), 인트라 예측 회로(89), 및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90)를 갖는다.
버퍼 메모리(81)는 부호화 장치(2)로부터 수신(입력)한 비트 스트림인 화상 데이터 S2를 기억한다.
가역 복호 회로(82)는 버퍼 메모리(81)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 S2를, 도 2에 도시하는 가역 부호화 회로(27)에 의한 가역 부호화에 대한 방법으로 복호해 화상 데이터 S82를 생성한다.
가역 복호 회로(82)는 화상 데이터 S2에 다중화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분리 및 복호하여 역양자화 회로(83) 및 역직교 변환 회로(84)에 출력한다.
가역 복호 회로(82)에 대해 이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역양자화 회로(83)는 가역 복호 회로(82)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에 기초하여, 가역 복호 회로(82)로부터 입력된 가역 복호 후의 화상 데이터 S82를, 도 2에 도시하는 양자화 회로(26)에 대응한 역양자화 방법으로 역양자화하여 화상 데이터 S83을 생성하고, 이것을 역직교 변환 회로(84)에 출력한다.
역직교 변환 회로(84)는 가역 복호 회로(82)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에 기초하여, 역양자화 회로(83)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S83을, 도 2에 도시하는 직교 변환 회로(25)의 직교 변환에 대응한 역직교 변환을 행해 화상 데이터 S84를 생성하고, 이것을 가산 회로(85)에 출력한다.
가산 회로(85)는 인트라 예측 회로(89) 혹은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90)로부터 입력된 예측 화상과, 역직교 변환 회로(84)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S84를 가산하여 화상 데이터 S85를 생성하고, 이것을 프레임 메모리(86) 및 화상 재배열 버퍼(87)에 출력한다.
화상 재배열 버퍼(87)는 가산 회로(85)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S85를 픽처 단위로 표시순으로 재배열하여 D/A 변환 회로(88)에 판독하기 위해 이용된다.
D/A 변환 회로(88)는 화상 재배열 버퍼(87)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D/A 변환하여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인트라 예측 회로(89)는 프레임 메모리(86)로부터 읽어낸 화상 데이터 S85 내의 복호 대상의 블록 데이터가 인트라 예측 부호화된 것인 경우에, 해당 블록 데이터를 인트라 방식으로 복호하여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가산 회로(85)에 출력한다.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90)는 프레임 메모리(86)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 S85 내의 복호 대상의 블록 데이터가 인터 예측 부호화된 것인 경우에, 해당 블록 데이터를 인터 방식으로 복호하여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가산 회로(85)에 출력한다.
이하, 도 11에 도시하는 가역 복호 회로(82)를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가역 복호 회로(82)의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역 복호 회로(82)는, 예를 들면, 분리 회로(110),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 레벨 복호 회로(112), 런 복호 회로(113),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 블록 복원 회로(115), 및 스캔 변환 회로(116)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 레벨 복호 회로(112), 런 복호 회로(113),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 블록 복원 회로(115), 및 스캔 변환 회로(116)의 처리는, 분리 회로(110)로부터 분리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분리 회로(110)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 S2로부터, 런 데이터 run_before 및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의 부호화 코드를 분리(추출)하고, 이것을 런 복호 회로(113)에 출력한다.
또한, 분리 회로(110)는 화상 데이터 S2로부터, 레벨 데이터 level의 부호화 코드를 분리하여, 이것을 레벨 복호 회로(112)에 출력한다.
또한, 분리 회로(110)는 화상 데이터 S2로부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 및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의 부호화 코드를 분리하고, 이것을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에 출력한다.
또한, 분리 회로(110)는 화상 데이터 S2로부터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를 분리하고, 이들을 도 12에 도시하는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 레벨 복호 회로(112), 런 복호 회로(113),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 블록 복원 회로(115), 스캔 변환 회로(116), 및 도 11에 도시하는 역양자화 회로(83) 및 역직교 변환 회로(84)에 출력한다.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는, 전술한 도 3에 도시하는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5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 등을 이용하여, 전술한 표 1에 나타내는 총 변환표 데이터 TRN 내의 변환표 데이터 TRNa1∼5 중 1개를 선택한다.
그리고,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는 선택한 변환표 데이터 TRNa1∼5를 이용하여, 분리 회로(11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를 취득하고, 이것을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에 출력한다.
또한,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는 분리 회로(110)로부터 분리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를 취득하고, 이것을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에 출력한다.
레벨 복호 회로(112)는, 도 3에 도시하는 레벨 부호화 회로(55)의 가변 길이 부호화에 대응한 복호를 전술한 표 2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b를 이용하여 행하여, 분리 회로(11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코드에 대응한 레벨 데이터 level을 취득하고, 이것을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에 출력한다.
런 복호 회로(113)는, 도 3에 도시하는 런 부호화 회로의 가변 길이 부호화에 대응한 복호를 전술한 표 3, 표 4, 표 5 및 표 6에 나타내는 변환표 데이터 TRNc, TRNd, TRNe, TRNf를 이용하여 행하여, 분리 회로(110)로부터 부호화 코드에 대응한 런 데이터 run_before 및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를 취득하고, 이것을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에 출력한다.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는 2차원 가역 복호 회로(111)로부터 입력된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s 및 부호 데이터 trailing_ones_sing_flag와, 레벨 복호 회로(112)로부터 입력된 레벨 데이터 level과, 런 복호 회로(113)로부터 입력된 런 데이터 run_before 및 런 총수 데이터 total_zero를 기초로, 도 3에 도시하는 런·레벨 계산 회로(53)의 처리와 반대의 처리에 의해 변환 계수를 생성하고, 이것을 블록 복원 회로(115)에 출력한다.
블록 복원 회로(115)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로부터 입력된 4×4분의 변환 계수를 기억한다.
블록 복원 회로(115)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로부터 입력된 8×8분의 변환 계수를 기억한다.
스캔 변환 회로(116)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4×4를 나타내는 경우에,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에 기억된 4×4분의 변환 계수를, 도 11에 도시하는 역양자화 회로(83)에서 역양자화하는데 적합한 수순으로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 S82로서 역양자화 회로(83)에 출력한다.
또한, 스캔 변환 회로(116)는 직교 변환 사이즈 신호 TRSIZE가 8×8을 나타내는 경우에, 변환 계수 복원 회로(114)에 기억된 8×8분의 변환 계수를, 도 5에 나타내는 스캔순, 및 도 8에 나타내는 서브 블록 데이터 SB1, SB2, SB3, SB4의 배치를 고려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역양자화 회로(83)에서 역양자화하는데 적합한 수순으로 읽어내어 화상 데이터 S82로서 역양자화 회로(83)에 출력한다.
복호 장치(3)에 따르면, 전술한 부호화 장치(2)에 의해 부호화된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의 부호화 코드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 및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 TrailingOne를 부호화하는 대응 관계 데이터로서, 표 1에 나타내는 총 변환표 데이터 TRNa를 예시했지만, 변환표 데이터 TRNa1, 2, 3, 4는, 0을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의 비트 길이가 서로 다르고, 0을 나타내는 비O 계수 개수 데이터 TotalCoeff의 비트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부호화 코드의 최대 비트 길이가 길어지도록 규정되면, 그 외의 변환표 데이터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부호화 장치(2)에서는, 도 10 등에 나타내는 부호화 처리를, 도 3에 도시하는 가역 부호화 회로(27)의 구성 회로에 의해 실현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들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프로그램의 기술에 따라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이 실행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복호 장치(3)에서는, 복호 처리를, 도 11에 도시하는 가역 복호 회로(82)의 구성 회로에 의해 실현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들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프로그램의 기술에 따라 CPU 등이 실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직교 변환의 변환 계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시스템 등에 적용 가능하다.
1 : 통신 시스템
2 : 부호화 장치
3 : 복호 장치
22 : A/D 변환 회로
23 : 화면 재배열 회로
24 : 연산 회로
25 : 직교 변환 회로
26 : 양자화 회로
27 : 가역 부호화 회로
28 : 버퍼 메모리
29 : 역양자화 회로
30 : 역직교 변환 회로
31 : 프레임 메모리
32 : 레이트 제어 회로
33 : 가산 회로
41 : 인트라 예측 회로
42 : 움직임 예측·보상 회로
45 : 직교 변환 사이즈 결정 회로
51 : 스캔 회로
52 : 서브 블록 생성 회로
53 : 런·레벨 계산 회로
54 : 2차원 가역 부호화 회로
55 : 레벨 부호화 회로
56 : 런 부호화 회로
57 : 다중화 회로
81 : 버퍼 메모리
82 : 가역 복호 회로
83 : 역양자화 회로
84 : 역직교 변환 회로
85 : 가산 회로
86 : 프레임 메모리
87 : 화상 재배열 버퍼
88 : D/A 변환 회로
110 : 분리 회로
111 : 2차원 가역 복호 회로
112 : 레벨 복호 회로
113 : 런 복호 회로
114 : 변환 계수 복원 회로
115 : 블록 복원 회로
116 : 스캔 변환 회로

Claims (22)

  1.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복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복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브 블록에 포함되는 변환 계수의 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표 데이터의 값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복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브 블록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지표 데이터의 값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복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데이터는, 처리 대상의 블록 내의 서브 블록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위에 인접하는 상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왼쪽에 인접하는 좌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상측 블록과 상기 좌측 블록의 동일한 위치의 서브 블록에 대한 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복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데이터는, 처리 대상의 블록 내의 서브 블록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위에 인접하는 상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왼쪽에 인접하는 좌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에, 블록 사이즈가 큰 블록 내의 동일한 위치의 서브 블록에 대한 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복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지표 데이터(nC)는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는,
    nC = (nA + nB + 1)>>1
    단, nA는 상기 좌측 블록 내의 서브 블록의 지표 데이터이고,
    nB는 상기 상측 블록 내의 서브 블록의 지표 데이터인, 복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변환 사이즈는 8×8이고,
    상기 서브 블록 사이즈는 4×4인, 복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는 상기 비0 계수 데이터의 비트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부호화 코드의 최대 비트 길이가 길어지도록 규정되어 있는, 복호 장치.
  10.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
    을 포함하는, 복호 방법.
  11.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처리를 행하게 하는 루틴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루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0이 아닌 비0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0 계수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루틴과,
    상기 선택 루틴의 실행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루틴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비0 계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루틴
    을 기록한, 기록 매체.
  12.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으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복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복호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브 블록에 포함되는 변환 계수의 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표 데이터의 값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복호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브 블록의 위치에 따라 산출된 지표 데이터의 값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복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데이터는, 처리 대상의 블록 내의 서브 블록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위에 인접하는 상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왼쪽에 인접하는 좌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상측 블록과 상기 좌측 블록의 동일한 위치의 서브 블록에 대한 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복호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데이터는, 처리 대상의 블록 내의 서브 블록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위에 인접하는 상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왼쪽에 인접하는 좌측 블록의 블록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에, 블록 사이즈가 큰 블록 내의 동일한 위치의 서브 블록에 대한 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복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의 블록의 지표 데이터(nC)는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는,
    nC = (nA + nB + 1)>>1
    단, nA는 상기 좌측 블록 내의 서브 블록의 지표 데이터이고,
    nB는 상기 상측 블록 내의 서브 블록의 지표 데이터인, 복호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변환 사이즈는 8×8이고,
    상기 서브 블록 사이즈는 4×4인, 복호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는 상기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비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상기 부호화 코드의 비트 길이가 길어지도록 규정되어 있는, 복호 장치.
  21.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과 부호화 코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선택 공정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
    을 포함하는, 복호 방법.
  22.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루틴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직교 변환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 루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직교 변환할 때의 직교 변환 사이즈보다 작은 서브 블록 사이즈로 직교 변환된 변환 계수 중 최후에 연속하는 절대치 1의 변환 계수의 개수를 선택하는 선택 루틴과,
    상기 선택 루틴의 실시에 의해 선택된 대응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취득 루틴의 실시에 의해 취득된 부호화 코드를 복호하여, 상기 최후 연속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루틴
    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07014955A 2004-07-12 2005-07-11 복호 장치, 복호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000903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4313 2004-07-12
JPJP-P-2004-204313 2004-07-12
JPJP-P-2005-015284 2005-01-24
JP2005015284A JP2006054846A (ja) 2004-07-12 2005-01-24 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復号方法、復号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04933A Division KR20070033311A (ko) 2004-07-12 2005-07-11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 방법, 복호 장치 및 그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304A true KR20100090304A (ko) 2010-08-13

Family

ID=357839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04933A KR20070033311A (ko) 2004-07-12 2005-07-11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 방법, 복호 장치 및 그프로그램
KR1020107014955A KR20100090304A (ko) 2004-07-12 2005-07-11 복호 장치, 복호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04933A KR20070033311A (ko) 2004-07-12 2005-07-11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 방법, 복호 장치 및 그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4) EP2369844A1 (ko)
JP (1) JP2006054846A (ko)
KR (2) KR20070033311A (ko)
CN (4) CN101808247A (ko)
IL (2) IL174080A0 (ko)
MY (1) MY139741A (ko)
TW (1) TWI267306B (ko)
WO (1) WO2006006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9444B2 (ja) * 2006-07-26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復号化方法、復号化方法のプログラム、復号化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復号化装置
JP4949462B2 (ja) * 2007-03-14 2012-06-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符号量推定方法、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A2679767C (en) 2007-03-14 2013-06-2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Encoding bit-ra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program therefor, and storage medium which stores the program
KR101083379B1 (ko) 2007-03-14 2011-11-14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움직임 벡터 탐색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EP3264772B1 (en) 2007-03-14 2022-09-0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Quantiz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program therefor, and storage medium which stores the program
JP2008252230A (ja) * 2007-03-29 2008-10-16 Toshiba Corp 画像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WO2008120279A1 (ja) 2007-03-29 2008-10-09 Fujitsu Limited 画像圧縮装置、画像圧縮方法、画像復元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90129926A (ko) * 2008-06-13 2009-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5490404B2 (ja) 2008-12-25 2014-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
US20120134408A1 (en) * 2009-08-06 2012-05-31 Youji Shibahara 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KR20120046729A (ko) * 2009-08-06 2012-05-10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호화 방법, 복호 방법, 부호화 장치 및 복호 장치
JPWO2011016250A1 (ja) * 2009-08-06 2013-0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PL2563020T3 (pl) 2010-04-23 2016-01-29 M&K Holdings Inc Urządzenie do kodowania obrazu
BR112013000516B1 (pt) * 2010-07-15 2022-06-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vo e método de codificação de imagem em movimento, e, dispositivo e método de decodificação de imagem em movimento
KR101373814B1 (ko) 2010-07-31 2014-03-18 엠앤케이홀딩스 주식회사 예측 블록 생성 장치
US9609350B2 (en) 2010-12-14 2017-03-28 M&K Holdings Inc. Apparatus for decoding a moving picture
TWI511543B (zh) * 2010-12-20 2015-12-01 Univ Hungkuang 用於改善最差等待時間的工作劃分方法及系統
CN102685503B (zh) 2011-03-10 2014-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变换系数的编码方法、变换系数的解码方法,和装置
JP5685682B2 (ja) * 2011-10-24 2015-03-18 株式会社Gnzo 映像信号の符号化システム及び符号化方法
PL3515073T3 (pl) * 2012-03-26 2021-03-08 Jvckenwood Corporation Urządzenie do kodowania obrazu, sposób kodowania obrazu i program do kodowania obrazu
US9503724B2 (en) * 2012-05-14 2016-11-22 Qualcomm Incorporated Interleave block processing ordering for video data coding
JPWO2014049982A1 (ja) * 2012-09-28 2016-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復号方法
EP3499888A1 (en) * 2016-08-10 2019-06-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n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WO2018030293A1 (ja) 2016-08-10 2018-02-1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符号化装置、復号装置、符号化方法及び復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448A (ja) * 1993-02-12 1994-08-23 Toshiba Corp 可変長符号化及び復号化装置
JPH08116448A (ja) * 1994-10-13 1996-05-07 Fuji Xerox Co Ltd 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JP4230188B2 (ja) * 2002-06-06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可変長符号化方法および可変長復号化方法
US6795584B2 (en) * 2002-10-03 2004-09-21 Nokia Corporation Context-based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for adaptive block transforms
JP3679083B2 (ja) * 2002-10-08 2005-08-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画像復号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2801A8 (en) 2006-08-02
EP2369846A1 (en) 2011-09-28
CN101808247A (zh) 2010-08-18
EP2369844A1 (en) 2011-09-28
TW200607358A (en) 2006-02-16
CN101808246A (zh) 2010-08-18
IL217301A (en) 2012-08-30
TWI267306B (en) 2006-11-21
MY139741A (en) 2009-10-30
EP2369845A1 (en) 2011-09-28
IL174080A0 (en) 2006-08-01
EP1662801A1 (en) 2006-05-31
CN101795413A (zh) 2010-08-04
KR20070033311A (ko) 2007-03-26
JP2006054846A (ja) 2006-02-23
EP1662801A4 (en) 2010-09-15
WO2006006564A1 (ja) 2006-01-19
IL217301A0 (en) 2012-02-29
CN101795414A (zh)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0304A (ko) 복호 장치, 복호 방법 및 기록 매체
JP5819347B2 (ja) スキップマクロブロックコード化
RU26569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егося изображения
JP5258664B2 (ja) 画像符号化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復号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17825B2 (ja) 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US200401364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ercompression of compressed digital video
JP2010528555A (ja) ビデオ信号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77059A (ko) 엔트로피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2939759A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
KR20070007302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과 부호화 장치
KR20080036222A (ko)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 장치, 복호 방법 및프로그램
JP2010136454A (ja) 復号方法、復号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EP1841235A1 (en) Video compression by adaptive 2D transformation in spatial and temporal direction
JP4655791B2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382032B2 (ja) 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Takamura et al. Lossless scalable video coding with H. 264 compliant base layer
JP2006174212A (ja) 画像処理装置、符号化装置およびそれらの方法
JP4256221B2 (ja)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方法、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装置
KR20200040192A (ko)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