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132A -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132A
KR20100090132A KR1020090009438A KR20090009438A KR20100090132A KR 20100090132 A KR20100090132 A KR 20100090132A KR 1020090009438 A KR1020090009438 A KR 1020090009438A KR 20090009438 A KR20090009438 A KR 20090009438A KR 20100090132 A KR20100090132 A KR 2010009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ontal disease
composition
oral
rhubarb extrac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김우정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00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0132A/ko
Publication of KR2010009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치주조직을 붕괴시키는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인체 구강 점막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인체 구강 점막에 대해 안전하며, 구강내 세균의 내성에 영향이 없어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치주질환, 대황 추출물

Description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Or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f periodontal disease}
본 발명은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여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을 저해하고, 인체 구강 점막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은 위장계 질환, 지질대사 질환 및 뇌졸증과 같은 질병과 직, 간접적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치주질환의 유발원인을 한가지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통상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만성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구강 내에 상재하는 수많은 미생물 중의 하나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균체 외 또는 균체 표면에 글루코실 트랜스퍼라아제(Glucosyl 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한다. 이 효소는 치아 표면에 세 균성 피막인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내에서 증식하는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젖산이 고농도로 축적됨으로써 치아의 칼슘 이온(Ca2+)이 소실된다. 이로 인해, 치아 외막 법랑질의 용해와 함께 충치가 유발되고 프라그로부터 유발된 독성 물질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crevice)로 스며들어 세포내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이 나타난다.
프라그에서 나오는 내독소(endotoxin) 또는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로 대표되는 세균성 항원 물질은 치은 조직 내로 침입하고, 이에 의해 유도된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프라그에서 나온 세균성 항원 물질을 탐식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collagenase), 젤라틴 가수분해 효소(gelatinase), 엘라스틴 가수분해 효소(elastase), Cathepsin G 등의 효소를 세포 외로 방출한다. 이들 효소는 서로 협조적으로 작용해서 교원질이나 프로테오글리칸과 같은 치은 조직의 유기 성분을 분해한다. 한편, 호중구 또는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을 방출하고 주위의 치은 섬유아세포를 자극해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 효소 생산을 촉진하나, 이들 효소의 저해 물질인 TIMF(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ase) 생산량은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억제되기 때문에 기질(교원질)이 분해된다. 따라서, 치은 조직의 연화 및 와해, 지속적인 출혈등이 나타난다.
교원질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의 중요 공급자로서 프라그에 분포하고 있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lomonas gingivalis)와 같은 치주질환 유발균을 꼽을 수 있다. 이 세균들은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 및 trypsin과 유사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분비하고 이 효소들에 의해 교원질과 피브로넥틴과 같은 결체조직이 분해된다.
또한, 세균성 효소들은 불활성 전구물질을 활성화시키거나 TIMF를 분해시킴으로써 MMP 활성을 나타낸다. 다양한 세균성 효소에 의해 치주조직 내의 프로테오글리칸이 분해될 수 있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등의 정상적인 세포 대사산물에 의해 교원질, 프로테오글리칸 및 히아루론산(hyarulonic acid)와 같은 거대분자가 파괴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치주질환은 구강내 세균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작용에 의해, 정상적인 대사 산물인 자유 라디칼에 의해, 그리고 다른 신체 조직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물질 등에 의해 유발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프라그 생성 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의 기능을 갖는 성분 또는 제제를 적절히 사용해 줌으로써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최근 들어 각종 질병에 대한 연구와 의료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암의 유발, 확장, 전이 등 암세포의 대부분 활동 과정에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고 각종 궤양, 만성적인 관절 류마티스, 치주질환, 피부 노화 등에서도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바,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제어함으로써 질환의 약화나 예방 효과를 얻고자 하는 노력들이 많아지고 있다.
일본 특허 P-2001-297672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4-41629) 에서는 만년버섯, 흑영지의 용매 추출물이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저해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암의 전이, 궤양 형성, 류마티스 및 피부 노화의 예방, 억제 및 개선에 유용함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B16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젤라티나아제에 대한 억제 평가를 통해 암의 전이, 궤양 형성, 류마티스, 치주염 및 피부 노화의 예방, 억제 및 개선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으나 마우스와 사람의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는 그 구조, 종류 및 조직내 분포가 다르다고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 세포에 대한 평가 결과로부터 암, 궤양, 류마티스등과 같은 다른 신체 조직의 질환에서도 소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큰 무리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1-10886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3-10682 은 방향족 술폰 히드록삼산 유도체 및 피리딘 유도체가 특정 종류의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각종 질환에 유용함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 언급된 성분들은 세포 독성과 같은 인체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을 뿐만 아니라 세균의 내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장기적으로는 세균성 효소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반감, 소실될 우려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체 구강 점막에 무해한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은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한다.
상기 대황 추출물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황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극성용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린스 또는 츄잉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므로 치주질환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나게 되는 치주 조직의 염증 반응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독성이 작아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체 구강 점막에 무해할 뿐더러, 구강내 세균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내성을 가지지 않아 장기적으로 사용에도 그 효과가 감소하지 않는다.
치약, 구강청정제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간편하고 손쉽게 이용될 수 있어 상업적으로도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은 대황 추출물을 포함한다. 대황 추출물은 염증 반응과정에서 결체 조직, 즉 교원질의 파괴에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일종인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collagenase)에 대한 활성 억제 효과가 뛰어나 치주 질환의 개선 및 예방에 효과적이다.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는 다형핵성 호중구(polymorphonuclear neutrophil), 대식세포(macrophage), 치은 섬유아세포(fibroblast), 골세포(bone cell)와 같은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칼슘 및 아연 의존 엡도펩티다제(endopeptidase)로 중성의 pH 에서 작용하며, 기질로써 여러가지 세포외 기질을 이용한다. 상기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는 12개의 군으로 나누어지며 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cytokine)에 의하여 이 효소의 유전자가 발현되어 만들어진 효소가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1 에는 섬유아세포타입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collagenase)가 이에 속하며 기질은 콜라겐 타입, Ⅰ, Ⅱ, Ⅲ, Ⅶ, Ⅷ, Ⅹ 및 젤라틴이 있다.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는 결체조직(치주조직)을 분해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며, 건강한 구강에서는 불성화된 상태로 존재하는 반면 치주질환 환자에서는 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대황 추출물은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를 포함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
상기 대황은 금문대황(Rheum palmatum), 장군풀(Rheum coreanum), 서대황(Rheum tanguticum) 및 이들의 종간잡종의 뿌리줄기이다. 주요 원산지는 중국 북동부와 티벳 지방이나 한국, 인도, 파키스탄에서도 재배된다. 이 식물은 특이한 냄새와 함께 맛은 떫고 쓰며 입에 넣고 씹으면 가는 모래를 씹는 느낌이 있고 타액을 황색으로 물들인다. 대황은 완하, 수렴, 살균, 지혈 등의 효과가 있어 예로부터 변비 개선제, 위장질환 개선제, 이담제, 체중 조절제 및 정혈제 등으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대황 추출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대황을 분말화하는 단계; (2)분말화된 대황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3)추출여액을 여과하는 단계; (4)여액을 감압증류하여 농축하는 단계; 및 (e)농축된 여액을 분말화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당업계 에 공지된 성분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 등의 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를 사용한 추출물이 비극성 용매에 비해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용해도 및 유화도가 커서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가 더 용이하다.
상기 대황 추출물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억제 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고, 2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제형화 및 장기간의 안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0.001 중량부 미만으로 치약과 같은 wash-off 타입의 조성물을 제조, 사용할 경우 치주 조직내 호중구, 섬유아세포 등에 침투하여 목적하는 효능을 거두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페이스트상, 고형상, 액상 또는 츄잉껌(Gum) 등 어떠한 형상에도 적용 가능하며, 치약, 치분, 젤리, 카라멜, 캔디, 구강청정제 등의 다양한 구강용 제제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강용 제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 성분, 유성 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향료, 색소 등과 함께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살펴본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황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대황을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 100g 에 95% 에탄올 2ℓ를 가하여 상온에서 3~4 일간 침적하고 2 회 반복 추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류, 농축하여 24.7g 의 추출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 DMSO 용액에 녹여 평가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대황 추출물을 포함한 구강청정제의 제조
하기 표 1 과 같은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청정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성분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 0.5 0.001 20.0
솔비톨 5.0 5.0 5.0
비이온 계면활성제 0.8 0.8 0.8
불화나트륨 0.02 0.02 0.02
사카린 0.01 0.01 0.01
향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색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실시예 5> 대황 추출물을 포함한 치약의 제조
하기 표 2 와 같은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을 포함한 치약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성분 실시예 5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 0.5
솔비톨 60.0
음이온 계면활성제 2.0
실리카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일불소인산나트륨 0.5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5
비타민 E 유도체 0.1
사카린 0.1
향료 적당량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6> 대황 추출물을 포함한 구강린스의 제조
하기 표 3 과 같은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을 포함한 구강린스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성분 실시예 6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 0.5
솔비톨 5.0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불화나트륨 0.02
에탄올 3.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비타민 E 유도체 0.1
사카린 0.1
항균제 0.05
향료 적당량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7> 대황 추출물을 포함한 검(gum)의 제조
하기 표 4 와 같은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을 포함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4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성분 실시예 7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 0.5
자일리톨 40.0
말리톨 20.0
비타민 E 유도체 0.2
항균제 0.05
향료 적당량
색소 적당량
검 베이스 잔량
100
<비교예 1>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구강청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에서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 과 동일한 조성으로 구강청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억제 평가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억제 평가는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Assay Kit를 이용하여 수행했다(美 Biomol社 AK-405). 96-well microplate 의 각 well에 완충 용액(PBS)으로 희석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를 주입하고, 평가 시료(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 농도 1%/in 10% DMSO 용액 ), 비교 시료(기존에 알려져 있는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control inhibitor), NNGH, N-Isobutyl-N-(4-methoxyphenylsulfonyl)-glycyl hydroxamic acid), 완충용액(PBS) 및 10% DMSO 용액을 각각 20㎕ 씩 주입하고 37 ℃ 조건에서 30~60 분 동안 pre-incubation한다. 마지막 단계로 각 well에 형광 표지된 기질(fluorogenic substrate)을 주입한 후, 37 ℃ 조건에서 10 분 동안 1 분 간격으로 형광의 크기를 측정했다. 비교 시료로 사용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의 활성 억제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 시료의 효과를 측정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 와 같다.
시료의 종류 기질분해시 측정되는 형광값의 크기
: 저해제의 효과 대비 상대적 크기
저해제(NNGH, control inhibitor) 100.0
완충용액(PBS) 203.3±12.6
10% DMSO 용액 197.5±11.4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 106.5±4.4
기질에 표지된 형광의 광학적 수치는 기질이 효소 활성에 의해 분해될 때 특정 파장의 빛에서 반응하여 검출되는 것이므로 형광 수치가 작게 나타날수록 효소 활성이 억제된 것이다. 상기 표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황 추출물은 기존에 알려져 있던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NNGH)의 효소 활성 억제 정도와 비교하여 거의 대등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완충용액이나 10% DMSO 용액의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억제 효과가 열악한 것으로 보아 상기 효소 활성 억제 효과는 순수하게 대황 추출물에 의한 효과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을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 목적으로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할 경우,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억제를 통해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2> 구강청정제의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억제 평가
상기 실험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의 구강청정제의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억제도를 기존의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NNGH)의 활성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의 구강청정제는 완충용액(PBS)을 이용하여 50% 농도로 희석한 후, 평가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 과 같다.
시료의 종류 기질분해시 측정되는 형광값의 크기
: 저해제의 효과 대비 상대적 크기
저해제(NNGH, control inhibitor) 100.0
완충용액(PBS) 207.4±11.9
실시예 2 의 구강청정제 131.5±6.8
실시예 3 의 구강청정제 170.3±10.9
실시예 4 의 구강청정제 101.1±4.5
비교예 1 의 구강청정제 202.1±12.2
상기 표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4 의 구강청정제의 경우 기존의 저해제인 NNGH 와 유사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3 의 구강청정제의 경우 대황 추출물을 소량으로 포함하여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억제 효과가 실시예 2 만큼 우수하지 못하였으나, 실시예 1 의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의 구강청정제보다는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3> 세포독성평가를 통한 인체 안정성 검증
독성 평가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MTT assay를 통해 대황 추출물의 인체 안전성 여부를 판정했다.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대황 추출물을 10 % DMSO 용액으로 용해하고 다시 PBS 용액으로 녹인 후, 단계 희석(half dilution)을 통하여 여러 농도의 대황 추출물 시료 용액을 제조했다. 96-well microplate의 각 well에 1 내지 4 × 104 cell/㎖ 의 구강 점막 세포(KB cell. KCLB No.10017)와 평가 시료를 접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3일간 배양시켰다. 0.1 mg 의 MTT를 모든 well에 가하고 다시 37℃ 에서 4시간 정도 배양했다. Plate를 가볍게 원심분리한 후, 각 well 안의 배지를 빨아내고(suction) DMSO 용액을 가해 formazan 결정이 녹을 때까지 10분간 가볍게 진탕했다. Microplate reader(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대황 추출물과, DMSO 및 PBS 용액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는 도 1 과 같다.
이 흡광도는 MTT가 세포에 의해 formazan(blue)으로 분해된 양을 나타내며 각 well에 존재하는 살아 있는 세포수와 비례한다. 도 1 에 의하면, 대황 추출물은 1% 정도의 농도에서 완충용액으로 사용한 PBS 용액에 거의 근접하는 수준의 세포 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대황 추출물을 용해하기 위해 사용했던 DMSO 용액의 안전성 수치가 0.125% 농도에서부터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볼 때, 대황 추출물 자체의 인체 안전성 수치는 상기의 결과 이상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황 추출물을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하여 사용할 때,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강 점막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인체의 구강 점막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덜하여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대황추출물, DMSO 및 PBS 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평가(MTT assay)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이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황 추출물이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황 추출물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극성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이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린스 또는 츄잉껌(g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KR1020090009438A 2009-02-05 2009-02-05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KR20100090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438A KR20100090132A (ko) 2009-02-05 2009-02-05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438A KR20100090132A (ko) 2009-02-05 2009-02-05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132A true KR20100090132A (ko) 2010-08-13

Family

ID=4275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438A KR20100090132A (ko) 2009-02-05 2009-02-05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0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820A1 (de) 2010-09-14 2012-03-15 Hyundai Motor Co. System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r Anzahl von Voreinspritz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820A1 (de) 2010-09-14 2012-03-15 Hyundai Motor Co. System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r Anzahl von Voreinspritzung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9731B2 (ja) ルピンのペプチド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化粧品組成物または栄養組成物
KR20100090530A (ko) 합환피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치주 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및 피부 노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9522B1 (ko) 충치 및 치주염에 유효한 구강위생 조성물
KR100599934B1 (ko)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7846422B2 (en) Metho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an oral cavity
KR100431170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치료용 조성물
BR102020014945A2 (pt) Composições, seus usos e métodos para tratar cavidade bucal
KR20100090132A (ko) 치주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JP2002114658A (ja) 口腔用組成物
EP288902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s
JP2005035907A (ja) 抗歯周病剤
JP2005179206A (ja) 口腔用組成物
JPH04279517A (ja) 口腔用組成物
JP2005132768A (ja) 口腔用組成物
JP4421845B2 (ja) 抗歯周病剤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0715186B1 (ko) 제니포사이드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60061852A (ko) 금속이온 봉쇄제와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JP7424770B2 (ja) 歯肉組織破壊抑制剤
KR20020082308A (ko)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997160B1 (ko) 참기름과 대두 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60939B1 (ko) 청나래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5035909A (ja) 抗歯周病剤
KR20100090531A (ko) 파극천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치주 질환 개선 및 예방용 구강용 조성물 및 피부 노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6178A (ko) 구강 청결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