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491A -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491A
KR20100089491A KR1020090008766A KR20090008766A KR20100089491A KR 20100089491 A KR20100089491 A KR 20100089491A KR 1020090008766 A KR1020090008766 A KR 1020090008766A KR 20090008766 A KR20090008766 A KR 20090008766A KR 20100089491 A KR20100089491 A KR 20100089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business card
electronic business
identifi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822B1 (ko
Inventor
한동수
이성독
Original Assignee
(주)브이아이소프트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아이소프트,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브이아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00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8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된 전자명함을 서버에서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기 위해 휴대단말에서 생성 또는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고 이를 휴대단말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처리 또는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이용자끼리도 전자명함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한 전자명함의 갱신이 없이도 최신의 전자명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편의성과 전자명함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처리식별자를 생성 또는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처리요청을 하면, 처리서버는 전자명함을 처리할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고 휴대단말이 요청한 처리를 실행하게 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명함, 휴대단말, 교환요청식별자, 처리식별자, 명함식별자

Description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The Method for Handling Electronic Business Card Using Cellular Phone, The System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ding Medium for Recoding Program Execut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을 보유한 이용자가 휴대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서버에 등록된 전자명함을 교환, 배포 및 탐색하고 그 결과를 휴대단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명함의 교환, 배포 및 탐색을 위해 휴대단말에서 생성 또는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이용자 사이에서도 휴대단말 을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원격교환하는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용자가 등록한 전자명함이 변경되었을 때, 전자명함을 수신한 이용자의 갱신이 없이도 최신의 전자명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업무 또는 친목을 위해 사람을 만날 때 서로 교환하는 명함은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고, 신상정보의 변화에 따른 최신 정보를 알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자명함을 특정 단말을 통해 수신할 경우, 그 전자명함을 수신한 단말에서만 전자명함을 확인할 수 있어서 전자명함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최신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명함을 서버를 통해 주고 받을 때에도 서버에 등록된 전자명함의 내용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이 전자명함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에 변경된 내용을 다시 전달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여 이용자가 최신의 정보를 확인하기에 불 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된 전자명함을 서버에서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도록 하고 이를 휴대단말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처리 또는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자명함을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된 전자명함의 처리를 위해 휴대단말에서 생성 또는 획득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명함을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는 처리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한 전자명함의 갱신이 없이도 최신의 전자명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명함의 처리를 위한 서버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이용자끼리도 전자명함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명함을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이용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은,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교환요청과, 상기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교환요청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교환요청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는 선정단계와,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은,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교환요청과, 상기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상대방의 승인이 있을 경우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하는 선정단계와,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은,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배포요청과, 상기 배포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 식별자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배포 받을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는 선정단계와, 상기 배포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배포 받을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은,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탐색요청과, 상기 탐색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는 선정단계와,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기 탐색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는,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처리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요청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는 전자명함 처리요청 관리부와, 상기 처리요청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전자명함을 검색하는 전자명함 검색부와, 상기 검색된 전자명함을 상기 처리요청에 따라 처리 하는 전자명함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명함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은,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도록 하는 처리요청을 전송하는 전자명함 처리요청부와, 적어도 상기 처리요청의 종류와 상기 처리서버에서 전달된 전자명함의 수를 포함하여 상기 처리서버에서 전송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 결과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식별자는 휴대단말의 번호, IP, ESN코드 등이 될 수 있으며, 처리서버에서 휴대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목적지 주소를 알 수 있는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휴대단말식별자를 일련번호로 하고, 휴대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목적지 주소를 별도로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명함은 이용자가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용자가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처리서버의 전자명함 등록부에서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여 제작하게 할 수도 있다. 이 전자명함을 확인할 휴대단말의 성능에 따라 전자명함의 형태를 변형하여 제공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된 전자명함을 서버에서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도록 하고 이를 휴대단말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처리 또는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전자명함 관리 및 수신 전자명함 확인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된 전자명함의 처리를 위해 휴대단말에서 생성 또는 획득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명함을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는 처리에 의해 불필요한 전자명함이 전달되는 일을 방지하여 전자명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한 전자명함의 갱신이 없이도 최신의 전자명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명함의 처리를 위한 서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전자명함을 최신의 정보로 유지하는 노력을 경감시켜 준다.
또한,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이용자끼리도 전자명함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명함을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이용 범위를 확대시킨다.
아울러, 이용자의 전자명함을 위치정보를 설정하여 공개하거나 탐색범위를 설정하여 이 공개된 전자명함을 탐색함으로써 전자명함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고, 특정 위치의 범위에 한정하여 서로 대면하지 않고도 전자명함을 배포함으로써 전자명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시스템의 세부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함 처리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의 이용자가 처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5)에 전자명함을 등록하고 등록된 전자명함을 휴대단말(20)을 이용하여 서로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의 휴대단말(20)은 전자명함의 처리를 요청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무선랜, WiBro망,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처리서버(10)와 연결되어 서로 메시지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처리서버(10)는 전자명함 처리요청 관리부(11), 전자명함 처리부(12), 전자명함 검색부(13), 데이터베이스(15), 전자명함 등록부(16), 메시지 전송부(17) 및 통신 I/F부(19)를 포함한다.
우선, 전자명함 처리요청 관리부(11)는 휴대단말(20)로부터 처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명함의 처리요청을 통신 I/F부(19)를 통하여 받고 상기 휴대단말(20)의 휴대단말식별자와 교환, 배포 또는 탐색을 위해 부가적으로 휴대단말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한다.
또한, 전자명함 처리부(12)는 전자명함의 처리요청에 따라 처리할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전자명함을 전자명함 검색부(13)가 검색하도록 하고, 이렇게 검색된 전자명함을 서로의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한다. 이 전자명함의 전달에 대해서는 추후 도 5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자명함 등록부(16)는 이용자의 전자명함을 처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5)에 상기 이용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하고, 전자명함의 처리 결과 처리서버(10)에서 수신할 명함을 저장할 수신명함 테이블을 상기 이용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생성한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17)는 처리서버(10)에서 발생하는 전자명함의 처리 결과를 메시지의 형태로 변환하고 통신I/F부(19)를 통하여 휴대단말(20)로 전송하게 되는데, 처리의 대상이 된 전자명함의 내용이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아울러 통신I/F부(19)는 처리서버(10)를 통신망과 연결해 주는 부분으로, 휴대단말(20)로부터의 전자명함 처리요청을 수신하고 휴대단말(20)로 처리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베이스(15)는 추후 도 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휴대단말(20)은 처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전자명함의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는 처리요청을 하는데, 처리식별자 생성부(21), 전자명함 처리요청부(23), 처리 결과 수신부(25), 전자명함 관리부(27) 및 무선통신부(29)를 포함한다.
처리식별자 생성부(21)는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도록 하는 처리식별자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이용자의 휴대단말(20)에서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처리식별자로는 휴대단말에 동일하게 입력한 임의의 값,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상대방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 업종정보, 위치 범위 또는 시간 범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명함 처리요청부(23)는 전자명함에 대한 처리를 처리서버(10)로 요청하고 휴대단말(20)에서 입력 또는 획득된 처리식별자와 휴대단말(20)의 휴대단 말식별자를 전송한다.
또한, 처리 결과 수신부(25)는 처리서버(10)에서 전자명함을 처리한 결과를 수신하고, 처리 결과와 함께 전자명함이 전송될 경우, 그 전자명함을 전자명함 관리부(27)로 전달해 준다. 전자명함 관리부(27)는 처리서버(10)에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된 전자명함 또는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된 전자명함을 조회하거나 관리하고, 전자명함의 처리결과와 함께 전송된 전자명함의 내용을 휴대단말(2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아울러 무선통신부(29)는 휴대단말(20)이 처리서버(10)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휴대단말(20)을 통신망에 연결해 주며, 전자명함 처리요청을 처리서버(10)로 전송하고 처리서버(10)의 처리결과 또는 전자명함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가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교환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처리의 순서도이다.
우선, 휴대단말(20)에서 전자명함을 교환할 대상이 전송한 교환요청끼리 구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교환요청식별자를 입력한다(S10). 대면하고 있는 전자명함 교환 대상자들끼리 동일한 임의의 값을 입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이용자라 할 지라도 이 교환요청식별자를 동일한 값으로 입력하면 전자명함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교환요청식별자의 사용은 전자명함의 원격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처리서버(10)로 휴대단말(20)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된 전자명함의 교환요청을, 교환요청식별자와 휴대단말(20)의 휴대단말식별자를 포함하여 전송한다(S15).
이와 같이, 휴대단말(20)에서 전송된 처리요청을 처리서버(10)가 수신하고, 처리서버(10)는 수신한 교환요청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자명함의 교환 대상이 되는 교환요청을 그룹으로 묶은 후, 해당 교환요청에 포함되어 수신된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한다(S20).
이어서, 선정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처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S25)하는데,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전자명함이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고(S30),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처리서버(10)에 전자명함을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한다(S35). 또한 처리서버(10)에 전 자명함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처리서버(10)는 휴대단말(20)로부터 수신한 처리요청에 따라 전자명함을 교환한다(S40).
이와 같이 전자명함의 처리가 처리서버(10)에서 완료되면, 처리 결과의 통보를 요청하였는지 판단하고(S45), 통보를 요청한 휴대단말(20)에 대하여 적어도 교환요청이라는 사실과 교환한 대상의 수를 포함한 처리 결과를 휴대단말(20)에 메시지로 전송(S50)함으로써, 휴대단말(20)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는 마무리 된다. 또한, 상기 처리 결과에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전자명함의 내용을 포함하여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4명의 이용자가 도 1을 통해 설명한 각자의 휴대단말(110, 120, 130, 140)을 이용하여 역시 도 1을 통해 설명한 처리서버(100)에 저장된 각자의 전자명함을 교환한다고 가정한다. 각 이용자는 각자의 휴대단말(110, 120, 130, 140)에서 동일하게 입력한 값을 전자명함 교환을 위한 교환요청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각자의 휴대단말(110, 120, 130, 140)에 구비된 전자명함 교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각 이용자는 자신의 전자명함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전자명함을 교환할 때마다 적절한 전자명함 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명함을 교환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각자의 휴대단말(110, 120, 130, 140)에 숫자 또는 문자를 그 값으로 하는 교환요청식별자를 직접 입력한다. 이 교환요청식별자의 값을 동일하게 하여 처리서버(100)에서 전자명함을 전달할 대상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통은 2명이 서로 전자명함을 교환하게 되지만 3명 이상이 동시에 전자명함을 교환할 경우, 전자명함을 교환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이용자의 수를 입력함으로써 처리서버(100)가 전자명함을 전달할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기 쉽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한 교환요청식별자가 다른 처리요청의 교환요청식별자와 중복될 수 있으므로 이 교환요청식별자와 함께 휴대단말(20)에서 획득한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20)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교환요청식별자와 함께 이용할 경우, 처리서버(100) 또는 휴대단말(110, 120, 130, 140)에 사전 설정된 위치 또는 시간 범위 내의 교환요청끼리만 전자명함의 교환 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어 전자명함 처리에서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처 리 방법을 도시한다.
우선, 도 4를 통해 설명한 각자의 휴대단말(110, 120, 130, 140)에 구비된 전자명함 교환 프로그램에 교환요청식별자를 입력(S101~S104)하고, 각자의 전자명함에 대한 교환요청을 처리서버(100)로 전송한다(S111~S114). 상기 S101~S104 또는 S111~S114는 각각 그 순서에 관계없이 각자의 휴대단말(110, 120, 130, 140)에서 전송되고 처리서버(100)가 수신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전자명함을 교환할 대상의 수를 입력하여 처리서버(100)가 교환할 전자명함의 교환 대상을 정해줄 수도 있다.
이어서, 처리서버(100)가 수신한 처리요청의 교환요청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일한 교환요청식별자를 가진 교환요청의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교환할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한다(S120). 여기에서 휴대단말(20)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더 이용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110, 120, 130, 140)이 교환요청에 휴대단말(20)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휴대단말(110, 120, 130, 140) 또는 처리서버(100)에 설정된 위치 또는 시간 범위 내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포함한 교환요청을 전자명함을 교환할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교환요청에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사용함으로써 이용자가 입력한 숫자 또는 문자로 된 교환요청식별자가, 다른 처리요청 대상과 중 복되더라도, 이용자가 설정한 위치 또는 시간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포함한 교환요청을, 입력한 값이 중복된 것만으로 같은 교환요청 대상으로 선정하는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상기 S120에서 선정된 휴대단말식별자를 이용하여 처리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자명함을 검색한다(S130). 이 과정에서 처리서버(100)에 이용자의 전자명함이 등록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S135), 전자명함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휴대단말식별자를 이용하여 미등록 휴대단말(20)로 전자명함 등록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발송한다(S137).
그림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전자명함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휴대단말식별자에 대한 등록과정은 이용자의 전자명함을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처리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등록되는 전자명함은 그 내용이 없이 전자명함을 저장할 데이터베이스 내의 공간만을 할당하고 그 저장 공간에 대한 명함식별자를 생성하여 전자명함 교환에 사용하고, 추후 처리서버(100)를 통해 전자명함의 내용을 등록하게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전자명함의 교환요청에 따라, 전자명함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한다(S140). S140은 추후 도 6을 통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처리서버(100)에서 전자명함이 교환 처리되고 나면,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처리 결과를 요청한 휴대단말(20)이 있는지 확인하고(S145), 처리 결과를 요청한 휴대단말이 있을 경우, 적어도 처리요청의 종류가 교환요청이라는 사실과 교환한 대상의 수를 포함하는, 각 휴대단말식별자에 대한 전자명함 처리 결과를 메시지로 생성(S147)한다. 또한, 상기 처리 결과에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전자명함의 내용을 포함하여 메시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전자명함의 처리 결과를 요청한 휴대단말(20)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고(S151, S154), 각 휴대단말(20)에서 처리 결과를 표시(S161, S164)함으로써,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교환 처리 방법은 마무리된다. 처리 결과와 함께 전자명함의 내용이 전송된 경우, 이 전자명함의 내용도 휴대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도 1을 통해 설명한 전자명함 관리부(27)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다.
도 1을 통해 설명한 전자명함 등록부(16)에 의해 이용자의 전자명함(71~74)을 이용자 휴대단말(110, 120, 130, 140)의 휴대단말식별자(51~54)에 각각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대방의 전자명함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명함 테이블(61~64)을 상기 휴대단말식별자(51~54)와 각각 연계하여 생성한다.
또한, 전자명함을 처리서버(100)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전자명함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논리적 위치, 물리적 주소 또는 전자명함에 부여한 일련번호를 명함식별자(81~84)로 사용하고, 상기 S140에서 수신명함 테이블로 전자명함을 전달할 때, 이 명함식별자를 전송하여 수신명함 테이블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수신명함 테이블로 전달함으로써, 이용자가 처리서버(100)에 저장된 전자명함을 변경하거나 수정하였을 때 수신명함 테이블의 갱신이 없이도 최신의 상대방 전자명함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등록된 전자명함을 변경하거나 수정하였을 때, 그 내역을 전자명함과 연계된 변경내역 테이블(91~94)에 저장함으로써, 이용자 본인의 전자명함에 대한 히스토리를 관리하게 하거나 수신한 전자명함을 통해 상대방의 전자명함 변천 내역을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도 5에서 설명한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처리 방법을 통해서 보 면, 우선 처리서버(100)가 수신한 교환요청에 따라 휴대단말식별자1(51), 휴대단말식별자2(52), 휴대단말식별자3(53) 및 휴대단말식별자4(54)를 각각 전자명함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한다.
이어서, 휴대단말식별자1(51)에 연계된 전자명함1(71)을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로 휴대단말식별자2(52), 휴대단말식별자3(53) 및 휴대단말식별자4(54)를, 휴대단말식별자2(52)에 연계된 전자명함2(72)를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로 휴대단말식별자1(51), 휴대단말식별자3(53) 및 휴대단말식별자4(54)를, 휴대단말식별자3(53)에 연계된 전자명함3(73)을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로 휴대단말식별자1(51), 휴대단말식별자2(52) 및 휴대단말식별자4(54)를, 휴대단말식별자4(54)에 연계된 전자명함4(74)를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로 휴대단말식별자1(51), 휴대단말식별자2(52) 및 휴대단말식별자3(53)을 각각 선정한다.
이어서, 각각의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검색한 후, 전자명함1(71)의 명함식별자1(81)을 수신명함 테이블2(62), 수신명함 테이블3(63) 및 수신명함 테이블4(64)에, 전자명함2(72)의 명함식별자2(82)를 수신명함 테이블1(61), 수신명함 테이블3(63) 및 수신명함 테이블4(64)에, 전자명함3(73)의 명함식별자3(83)을 수신명함 테이블1(61), 수신명함 테이블2(62) 및 수신명함 테이블4(64)에, 전자명함4(74)의 명함식별자4(84)를 수신명함 테이블1(61), 수신명함 테이블2(62) 및 수신명함 테이블3(63)에 각각 전달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전자명함의 교환요청에 따라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한 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여 저장함으로써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교환 처리가 처리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루어진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원격교환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원격교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용자가 도 1을 통해 설명한 휴대단말(210, 220)을 이용하여 역시 도 1을 통해 설명한 처리서버(200)에 저장된 전자명함을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상대방과 교환한다고 가정한다. 이용자는 상대방의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 원격교환을 위한 처리식별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의 휴대단말1(210)에 구비된 전자명함 원격교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이용자는 자신의 전자명함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전자명함을 원격교환할 때마다 적절한 전자명함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명함을 원격교환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휴대단말1(210)에 상대방의 휴대단말식별자를 처리식별자로 직접 입력한다. 이 휴대단말식별자의 휴대단말2(220)로 원격교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대방이 이 요청에 대해 승인한 경우에 서로의 전자명함을 원격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한다.
또한, 상대방이 원격교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지 않거나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응답할 경우, 처리서버(200)로 전송한 원격교환요청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격교환요청의 처리를 위한 대기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자명함의 원격교환을 위한 처리서버(200)에서의 대기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처리서버(200)의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원격교환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우선, 도 8을 통해 설명한 각자의 휴대단말(210, 220)에 구비된 전자명함 원격교환 프로그램에 상대방의 휴대단말식별자를 입력(S200)하고, 전자명함에 대한 원격교환요청을 처리서버(200)로 전송한다(S205). 이 과정에서 처리서버(200)에서 원격교환을 위한 상대방의 응답메시지를 대기할 시간을 입력하여 대기시간이 지난 후에 수신된 상대방의 응답 메시지는 처리서버(200)가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처리요청과 함께 전송된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에 대한 원격교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S210) 상대방 휴대단말2(220)로 전송하면(S215), 상대방은 이 요청 메시지를 통해 승인 여부를 선택(S220)하는데, 원격교환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S222) 원격교환 요청을 거절하였을 경우, 원격교환 거절을 처리서버(200)로 통보(S225)하고 처리서버(200)에서는 거절된 처리 결과를 메시지로 생성(S227)하여 이용자의 휴대단말1(210)로 전송한다(S229).
한편, 원격교환 요청을 승인하였을 경우, 원격교환 승인을 처리서버(200)로 통보(S232)한다. 처리서버(200)에서는 상기 S232에서의 통보가 대기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S235)한 후, 대기시간이 초과하였을 경우 원격교환요청을 취소하고 시간초과 처리 결과를 메시지로 생성(S237)하여 이용자의 휴대단말1(210)로 전송한다(S239).
상기 S235에서 대기시간이 초과되지 않았을 경우 처리요청을 전송한 휴대단말식별자와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원격교환할 대상으로 선정하고, 도 5의 S130~S147을 통해 설명한 전자명함 처리과정과 같이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원격교환 처리과정을 실행한다(S250).
상기 S250에서 처리서버(200)에서 전자명함이 원격교환 처리되고 나면, 적어도 처리요청의 종류가 원격교환요청이라는 사실과 교환한 대상의 수를 포함하여, 각 휴대단말식별자에 대한 전자명함 처리 결과를 메시지로 생성한다. 또한, 상기 처리 결과에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전자명함의 내용을 포함하여 메시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전자명함의 처리 결과를 요청한 휴대단말(210, 220)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고(S251, S252), 각 휴대단말(210, 220)에서 처리 결과를 표시(S261, S262)함으로써,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원격교환 처리 방법은 마무리된다. 처리 결과와 함께 전자명함의 내용이 전송된 경우, 이 전자명함의 내용도 휴대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도 1을 통해 설명한 전자명함 관리부(27)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배포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배포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전자명함을 배포할 배포자가 도 1을 통해 설명한 휴대단말(310)을 이용하여 역시 도 1을 통해 설명한 처리서버(300)에 저장된 전자명함을 배포자가 설정한 위치 범위 내의 위치정보를 휴대단말식별자에 설정한 상대방에게 배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에 설정한 위치정보는 GPS, WiFi Access Point,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하여 설정한 값으로서 휴대단말에서 획득된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처리서버가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배포자는 휴대단말(310)의 위치정보를 전자명함 배포를 위한 처리식별자로 사용하고 휴대단말(310)에서 전자명함을 배포할 위치의 범위를 설정하여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배포자의 휴대단말(310)에 구비된 전자명함 배포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배포자는 자신의 전자명함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전자명함을 배포할 때마다 적절한 전자명함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명함을 배포하고자 하는 배포자가 전자명함을 배포할 위치의 범위를 설정하여, 배포된 전자명함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휴대단말식별자 중 설정한 범위 내의 위치정보가 설정된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배포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우선, 도 11을 통해 설명한 배포자의 휴대단말(310)에 구비된 전자명함 배포 프로그램에 전자명함을 배포할 범위를 설정(S301)하고, 전자명함에 대한 배포요청을 처리서버(300)로 전송한다(S305). 이 과정에서 배포자 휴대단말(310)의 위치정보를 상기 S301에서 설정한 위치의 범위와 함께 전송하여 전자명함을 배포할 대상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휴대단말식별자가 배포된 전자명함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었는지 확인(S310)하여, 배포된 전자명함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휴대단말식별자는 검색 대상에서 제외한다(S312). 이렇게 배포된 전자명함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검색 대상 중에서 배포요청과 함께 전송된 배포자의 휴대단말(310)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함께 전송된 배포범위 내의 위치정보가 설정된 휴대단말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315).
이와 같이, 배포자의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로, 검색된 배포 대상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로 각각 선정하고, 도 5의 S130~S147을 통해 설명한 전자명함 처리과정과 같이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배포 처리과정을 실행한다(S350).
상기 S350에서 처리서버(300)에서 전자명함이 배포 처리되고 나면, 적어도 처리요청의 종류가 배포요청이라는 사실과 배포한 대상의 수를 포함하여, 각 휴대단말식별자에 대한 전자명함 처리 결과를 메시지로 생성한다. 또한, 상기 처리 결과에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전자명함의 내용을 포함하여 메시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전자명함의 배포를 요청한 휴대단말(310)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고(S351), 배포자의 휴대단말(310)에 배포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S361). 또한, 배포한 전자명함을 수신명함 테이블로 수신한 결과를 수신자의 휴대단말(20)로 전송하고(S352), 수신자의 휴대단말(20)에서 수신 결과를 표시한다(S362~S364). 처리 결과와 함께 전자명함의 내용이 전송된 경우, 이 전자명함의 내용도 휴대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도 1을 통해 설명한 전자명함 관리부(27)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배포 처리 방법은 마무리된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통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탐색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탐색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전자명함을 탐색할 탐색자가 도 1을 통해 설명한 휴대단 말(410)을 이용하여 역시 도 1을 통해 설명한 처리서버(400)에서 탐색이 가능하도록 이용자가 공개한 전자명함 중 탐색자가 설정한 위치 범위 내의 위치정보를 휴대단말식별자에 설정한 전자명함을 탐색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에 설정한 위치정보는 GPS, WiFi Access Point,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하여 설정한 값으로서 휴대단말에서 획득된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처리서버가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탐색자는 휴대단말(410)의 위치정보를 전자명함 탐색을 위한 처리식별자로 사용하고 휴대단말(410)에서 전자명함을 탐색할 위치의 범위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탐색자의 휴대단말(410)에 구비된 전자명함 탐색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탐색자는 자신이 탐색할 전자명함의 업종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명함을 탐색하고자 하는 탐색자가 전자명함을 탐색할 위치의 범위를 설정하여, 탐색이 가능하도록 이용자가 공개한 전자명함의 휴대단말식별자 중 범위 내의 위치정보가 설정된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 로 선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탐색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우선, 도 14를 통해 설명한 탐색자의 휴대단말(410)에 구비된 전자명함 탐색 프로그램에서, 업종, 위치 등의 전자명함을 탐색할 범위를 설정(S401)하고, 전자명함에 대한 탐색요청을 처리서버(400)로 전송한다(S405). 이 과정에서 탐색자 휴대단말(410)의 위치정보를 상기 S401에서 설정한 업종 또는 위치의 범위와 함께 전송하여 전자명함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전자명함을 탐색할 수 있도록 공개하였는지 확인(S410)하여, 공개 설정 되지 않은 휴대단말식별자는 검색 대상에서 제외한다(S412). 이렇게 공개 설정된 검색 대상 중에서 탐색요청과 함께 전송된 탐색자의 휴대단말(410)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함께 전송된 탐색범위 내의 업종정보 또는 위치정보가 설정된 휴대단말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415).
이와 같이, 검색된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로, 탐색자의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수신할 휴대단말식별자로 각각 선정하고, 도 5의 S130~S147을 통해 설명한 전자명함 처리과정과 같이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 자명함의 탐색 처리과정을 실행한다(S450). 여기서 수신명함 테이블에 탐색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저장하는데, 탐색된 전자명함을 전달받을 별도의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S450에서 처리서버(400)에서 전자명함이 탐색 처리되고 나면, 적어도 처리요청의 종류가 탐색요청이라는 사실과 탐색한 대상의 수를 포함하여, 각 휴대단말식별자에 대한 전자명함 처리 결과를 메시지로 생성한다. 또한, 상기 처리 결과에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전자명함의 내용을 포함하여 메시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전자명함의 탐색을 요청한 휴대단말(410)로 전자명함 처리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고(S451), 탐색자의 휴대단말(410)에 탐색 처리 결과를 표시(S461)하는데, 처리 결과와 함께 전자명함의 내용이 전송된 경우, 이 전자명함의 내용도 휴대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도 1을 통해 설명한 전자명함 관리부(27)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전자명함의 내용이 함께 전송되지 않은 경우, 탐색된 전자명함에 대한 확인을 처리서버(400)로 요청하면(S465), 처리서버(400)에서는 해당 전자명함의 내용을 메시지로 전환(S467)하여 휴대단말(410)로 전송한다(S469). 이어서, 확인 요청의 결과로 전송된 전자명함의 내용을 이용자의 휴대단말(410)에 표시(S470)함으 로써,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의 탐색 처리 방법은 마무리된다.
아울러,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명함을 원격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는 처리요청과 함께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시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처리서버에서 전자명함의 원격교환, 배포 또는 탐색 처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휴대단말(20)을 이용하여 처리서버(10)에 저장된 전자명함을 교환, 원격교환, 배포 또는 탐색 처리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시스템의 세부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처리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에 구비된 전자명함 교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원격교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에 구비된 전자명함 원격교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원격교환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배포 처 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에 구비된 전자명함 배포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배포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탐색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에 구비된 전자명함 탐색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탐색 처리 방법의 흐름도.

Claims (29)

  1.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교환요청과, 상기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교환요청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교환요청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는 선정단계;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는 전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휴대단말에 동일하게 입력되어 전송된 임의의 값을 상기 교환요청식별자로 수신하고, 상기 선정단계에서 상기 교환요청식별자가 동일한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상기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선정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교환요청의 휴대단말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휴대단말에 동일하게 입력되어 전송된 교환 대상의 수를 더 수신하고, 상기 선정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교환 대상의 수에 해당하는 교환요청의 휴대단말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5.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교환요청과, 상기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상대방의 승인이 있을 경우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하는 선정단계;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는 전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휴대단말에 입력되어 전송된 대기시간을 더 수신하고, 상기 선정단계에서 상기 교환요청을 수신한 때부터 상기 수신된 대기시간 내에 승인이 있을 경우, 상기 교환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상기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를 전자명함을 교환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의 승인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단말로 교환요청 승인 선택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8.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배포요청과, 상기 배포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배포 받을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는 선정단계;
    상기 배포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배포 받을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는 전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상기 전자명함의 배포 범위를 더 수신하고, 상기 선정단계에서 배포하는 전자명함을 수신하도록 설정한 휴대단말식별자 중 상기 수신된 배포 범위 내의 위치정보를 가진 휴대단말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배포 받을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0.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탐색요청과, 상기 탐색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는 선정단계;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기 탐색요청과 관련된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는 전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상기 전자명함의 탐색 범위를 더 수신하고, 상기 선정단계에서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된 전자명함을 탐색하도록 공개한 휴대단말식별자 중 상기 수신된 탐색 범위 내의 업종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가진 휴대단말식별자를 상기 전자명함을 전송할 휴대단말식별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2. 청구항 1, 청구항 5,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을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상기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전자명함의 수신을 위한 수신명함 테이블을 상기 휴대단말 식별자와 연계하여 생성하는 등록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3. 청구항 1, 청구항 5,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식별자는,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등록된 전자명함에 대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논리적 위치, 물리적 주소 또는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등록된 전자명함에 부여한 일련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명함을 조회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4. 청구항 1, 청구항 5,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단계 이후에,
    적어도 상기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전달하도록 한 처리요청의 종류와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된 명함식별자의 수를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휴대단말식별자를 가진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통보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처리 결과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명함식별자가 가리키는 전자명함의 내용을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6.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식별자가 가진 위치정보는,
    GPS, WiFi Access Point,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하여 설정한 값으로서 휴대단말에서 획득된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처리서버가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7.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도록 하는 처리요청을 상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처리요청단계;
    적어도 상기 처리요청의 종류와 상기 처리서버에서 전달된 전자명함의 수를 포함하여 상기 처리서버에서 전송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결과수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결과수신단계에서 상기 전자명함의 처리 결과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명함식별자가 가리키는 전자명함의 내용을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자명함의 내용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명함관리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처리서버가 전자명함을 전달할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휴대단말에 동일하게 입력한 임의의 값,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상대방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 업종정보, 위치 범위 또는 시간 범위를 상기 처리요청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20.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에 대한 처리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요청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는 전자명함 처리요청 관리부;
    상기 처리요청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식별 자에 연계된 전자명함을 검색하는 전자명함 검색부;
    상기 검색된 전자명함을 상기 처리요청에 따라 처리하는 전자명함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 처리요청 관리부에서 수신되는 처리요청은,
    상기 전자명함의 교환, 배포 또는 탐색을 포함하는 처리요청의 종류와 상기 처리요청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기 위해 휴대단말에 동일하게 입력한 임의의 값,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상대방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 업종정보, 위치 범위 또는 시간 범위를 처리식별자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을 상기 이용자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에 연계하여 상기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수신명함 테이블을 생성하는 전자명함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때, 상기 전자명함이 저장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논리적 위치, 물리적 주소 또는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전자명함에 부여한 일련번호를 명함식별자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처리요청의 종류와 상기 처리서버에서 전달된 전자명함의 수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명함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상기 이용자의 휴대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처리 결과에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명함식별자가 가리키는 전자명함의 내용을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서버.
  26.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하여 처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명함의 명함식별자를 상대방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에 전달하도록 하는 처리요청을 상기 휴대단말식별자와 함께 상기 처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자명함 처리요청부;
    적어도 상기 처리요청의 종류와 상기 처리서버에서 전달된 전자명함의 수를 포함하여 상기 처리서버에서 전송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 결과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명함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 처리요청부에서 전송하는 처리요청은,
    상기 전자명함의 교환, 배포 또는 탐색을 포함하는 처리요청의 종류와 상기 처리요청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식별자를 선정하기 위해 휴대단말에 동일하게 입력한 임의의 값,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상대방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 업종정보, 위치 범위 또는 시간 범위를 처리식별자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명함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처리 결과 수신부에서 상기 전자명함의 처리 결과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의 휴대단말식별자와 연계된 수신명함 테이블이 수신한 명함식별자가 가리키는 전자명함의 내용을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자명함의 내용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전자명함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명함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
  2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90008766A 2009-02-04 2009-02-04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04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766A KR101045822B1 (ko) 2009-02-04 2009-02-04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766A KR101045822B1 (ko) 2009-02-04 2009-02-04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491A true KR20100089491A (ko) 2010-08-12
KR101045822B1 KR101045822B1 (ko) 2011-07-01

Family

ID=4275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766A KR101045822B1 (ko) 2009-02-04 2009-02-04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82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85B1 (ko) * 2013-01-17 2013-12-05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전화번호 연동기반 전자명함 전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9420B1 (ko) * 2012-07-04 2014-02-28 싱크북 주식회사 단체 명함 관리 시스템 및 단체 명함 관리 방법
KR101501107B1 (ko) * 2010-11-12 2015-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명함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101527000B1 (ko) * 2011-03-03 2015-06-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기반 전자명함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WO2015147348A1 (ko) * 2014-03-26 2015-10-01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다자간 전자명함 교환 방법 및 시스템
WO2017007226A1 (ko) * 2015-07-07 2017-01-12 주식회사 카카오 동일한 입력 정보 기반 연락처 교환 방법, 이를 구현한 연락처 관리 장치, 사용자 단말, 그리고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KR20170021280A (ko) * 2015-07-07 2017-02-27 주식회사 카카오 동일한 입력 정보 기반 연락처 교환 방법, 이를 구현한 연락처 관리 장치, 사용자 단말, 그리고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176B1 (ko) 2023-02-20 2023-12-28 맹준영 전자명함 기반 모바일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482801A (en) * 2000-04-04 2001-10-30 Seung Han So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means of portable appliances via wire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KR20020008606A (ko) * 2000-07-24 2002-01-31 강병주 전자명함 교환 서비스 방법
KR100577769B1 (ko) * 2003-11-21 2006-05-10 김동욱 명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9717A (ko) * 2006-09-29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기반 그룹핑 서비스를 이용한 포탈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07B1 (ko) * 2010-11-12 2015-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명함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101527000B1 (ko) * 2011-03-03 2015-06-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기반 전자명함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369420B1 (ko) * 2012-07-04 2014-02-28 싱크북 주식회사 단체 명함 관리 시스템 및 단체 명함 관리 방법
KR101337485B1 (ko) * 2013-01-17 2013-12-05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전화번호 연동기반 전자명함 전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47348A1 (ko) * 2014-03-26 2015-10-01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다자간 전자명함 교환 방법 및 시스템
WO2017007226A1 (ko) * 2015-07-07 2017-01-12 주식회사 카카오 동일한 입력 정보 기반 연락처 교환 방법, 이를 구현한 연락처 관리 장치, 사용자 단말, 그리고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KR20170021280A (ko) * 2015-07-07 2017-02-27 주식회사 카카오 동일한 입력 정보 기반 연락처 교환 방법, 이를 구현한 연락처 관리 장치, 사용자 단말, 그리고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822B1 (ko) 201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822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525968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sing bluetooth beacon information to obtain and publish fine grained user location information
JP6533085B2 (ja) 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99780B1 (ko) 가상 챗봇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US2006019835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TW201601559A (zh) 基於位置的服務(lbs)的使用者匹配方法、訊息用戶端、伺服器及系統
CN103139044A (zh) 添加好友方法及装置
JP2007108806A (ja) ユーザマッチングサーバ、ユーザマッチング方法、ユーザ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
JP2009272951A (ja) グルーピングシステム、管理装置
JP6251927B2 (ja) 環境コンテキスト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10137917A (ko) Pn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한 개인 네트워크의 구성 장치 및 방법
CN104348875A (zh) 用于群发数据的方法、云端服务器和系统
CN106028311A (zh) 一种终端注册方法及装置
TWI668650B (zh) Business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2041849B1 (ko) 다중 id를 이용한 공간 정보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9803B1 (ko)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08728B1 (ko) 명함정보의 등록 및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N103067362A (zh) 资源信息的推送方法及系统
JP5388382B2 (ja) データ交換サーバ及びデータ交換方法
CN107094296A (zh) 设备识别方法及装置
KR2012005344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중개방법 및 메시지 중개시스템
JP2009097998A (ja) 集合支援装置、集合支援システム、集合支援サーバ装置、集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88704B2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470146A (zh) 信息传输方法
JP2005209003A (ja) コミュニティ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