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449A -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449A
KR20100089449A KR20090008699A KR20090008699A KR20100089449A KR 20100089449 A KR20100089449 A KR 20100089449A KR 20090008699 A KR20090008699 A KR 20090008699A KR 20090008699 A KR20090008699 A KR 20090008699A KR 20100089449 A KR20100089449 A KR 2010008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yer
sedimentation basin
permeation control
contro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051B1 (ko
Inventor
변찬우
Original Assignee
변찬우
주식회사 골든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찬우, 주식회사 골든포우 filed Critical 변찬우
Priority to KR102009000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0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상류에 설치되는 침강지(10)와, 상대적으로 하류에 설치되는 침전지(20)와, 상기 침강지로부터 침전지로 유수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면서 수질정화를 행하는 연못(34)과 습지(33, 35)로 이루어지는 다단계셀(30)을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에서, 토양오염 방지를 위해 투수조절을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침강지(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투수조절층; 상기 침전지(20) 및 상기 습지(33, 35)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2 투수조절층; 및 상기 연못(34)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3 투수조절층;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수조절층은, 원지반층(19) 상에, 벤토나이트와 방수시트가 같이 사용되는 벤토매트(11)가 사용되며, 상기 벤토매트 상에는 다시 수생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토양층(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투수조절층은, 원지반층(29) 상에 지오콤층(21)이 위치하고, 그 위에 역시 토양층(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투수조절층은, 방수력은 제1 투수조절층보다 낮고 제2 투수조절층보다는 높으나, 역으로 투수성은 제1 투수조절층보다 높고 제2 투수조절층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태, 토양 오염, 투수조절층, 지오콤층, 벤토나이트, 벤토매트, 지오콤

Description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Sustainable Structured Permeability Controlling System}
본 발명은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Sustainable Structured Permeability Controlling)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태적 영향을 고려하여 토양으로의 침수를 조절하기 위한 투수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가 기 출원한 바 있는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Sustainable Structured Biotop)을 이용한 저류지 시스템 조성공사 시에는, 지상 환경도 고려하여야 하나, 본 발명자는 최근 오염원을 갖는 폐수가 저류지로 흘러들 수 있어, 오염된 폐수의 토양으로의 침투에 의한 토양 오염의 방지에 대한 고려가 절실함을 발견하였다.
즉, 상기 수질정화시스템의 경우라도, 상류로부터 오염된 유수가 유입될 수 있는 바, 토양의 오염을 완전 차단하기 위하여, 침강지 및 침전지의 바닥을 콘크리트나 비닐 시트 등으로 완전 방수처리하게 되면, 그 아래의 토양의 경우에 전혀 외 부와 차단됨으로 인하여 토양 자체가 부패될 뿐더러 또한 그 위에 식물이나 기타 수중 생물 및 미생물의 서식이 어렵게 되어, 어쨋든 비생태적인 것이 확실하다.
반면, 일반 토양으로 노출시켜 놓게 되는 경우에는, 오염된 폐수 등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토양으로 침투하여, 역시 토양이나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는 토양 아래의 지하수의 유동으로 말미암아 2차 3차 오염을 일으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염물질이 다수 섞여 있는 상류에서는 상당 부분 유수의 토양 침투를 억제하고, 역으로 어느 정도 정화가 된 하류에서는 토양으로의 유수의 침투를 허용함으로써, 토양의 오염을 억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토양의 완전 차단을 방지하여 생태적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을 이용한 저류지 시스템 조성공사시 고려할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SSPC : Sustainable Structured Permeability Controller)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이러한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공사는 환경공학(수환경처리)분야, 생태공학(생물다양성, 수환경 복원 등)분야, 친수 경관 등 다기능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조성되어야 하며, 기존의 토목공사나 조경공사와 같은 일반공사로 진행되어서는 아니되는 특이성으로 인해 환경공학적, 생태공학적 시스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이상의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상류에 설치되는 침강지(10)와, 상대적으로 하류에 설치되는 침전지(20)와, 상기 침강지로부터 침전지로 유수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면서 수질정화를 행하는 연못(34)과 습지(33, 35)로 이루어지는 다단계셀(30)을 포함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시스템에서의 투수조절 시스템으로서, 상기 침강지(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투수조절층; 상기 침전지(20) 및 상기 습지(33, 35)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2 투수조절층; 및 상기 연못(34)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3 투수조절층;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수조절층은, 원지반층(19) 상에, 벤토나이트와 방수시트가 같이 사용되는 벤토매트(11)가 사용되며, 상기 벤토매트 상에는 다시 수생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토양층(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투수조절층은, 원지반층(29) 상에 지오콤층(21)이 위치하고, 그 위에 역시 토양층(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투수조절층은, 방수력은 제1 투수조절층보다 낮고 제2 투수조절층보다는 높으나, 역으로 투수성은 제1 투수조절층보다 높고 제2 투수조절층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침전지(20), 상기 습지(33, 35) 및 상기 연못(34)의 경우라도, 유입수의 오염농도가 지속적으로 10ppm 이상일 경우에는, 저면에 상기 제2 투수조절층이나 제3 투수조절층 대신 차수 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1 투수조절층 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투수조절층은, 원지반층(349) 상에, 벤토나이트층(341)을 형성하고, 그 위에 토양층(34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토나이트층(341)은 벤토나이트를 흙과 같은 자연재료와 혼합하여 투수계수가 10-6cm/sec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투수조절층은, 상기 토양층(342) 상에 자갈층(34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오콤층(21)은, 지오콤(210)의 셀망부(220)의 공간으로 모래, 흙 및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침전지(20)로부터의 유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평수기 및 갈수기에 상기 침강지(10)로 물을 인위적으로 보내는 저류조 장치(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류조 장치(40)는, 지하에 매립되는 저류조 탱크(41)와, 침전지(20)로부터 상기 저류조 탱크(41)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관(42)과, 상기 저류조 탱크(41)로부터 펌핑에 의해 상기 침강지(10)로 유수가 인위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출관(43)과, 이들 유입수를 인위적으로 펌핑시키기 위한 장치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오염원을 생태적으로 정화하는데 탁월한 생태적 환경공학적으로 우수한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을 이용한 저류지 시스템을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토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이 적용되는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SSB)의 개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의 다단계셀의 개념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중에서 침강지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중에서 침전지 및/또는 다단계셀의 습지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중에서 다단계셀의 연못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사용되는 지오콤의 시공 단계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7은 실제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지오콤의 실제 사진이다.
도 8은 도 3에 사용되는 벤토매트의 실제 사진이고, 도 9는 벤토매트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을 이용한 저류지 시스템 (특허출원 제2008-118606호) 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류의 침강지(10)는 유입수가 자연유하되는 침강지로 작용하며, 하류의 침전지(20)는 침전지로 작용하도록 하는 바, 이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의 특허출원 제2008-37032호 (수질정화 및 수위조절가능한 어도보 시스템) 및 제2008-37034호 (어도를 갖는 수질정화시스템) 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상기 명세서는 본 출원에서도 참조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자의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SSB)은, 본 발명자의 선출원인 특허출원 제2008-11860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강지, 연못/습지로 이루어지는 다단계셀 및 침전지와 이들 간을 연결하는 생태수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구간은 각각의 특징을 가진다.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의 일반적인 개념 단면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m 이상의 깊이를 갖는 아직 정화되지 않은 오염된 폐수가 흘러들어 고여있는 최상류층의 저류지(water retention)인 침강지(10), 다단계 셀을 거치는 동안 거의 정화된 유출수가 잠시 고여있는 최하류층의 저류지인 0.5~1.5m 정도의 깊이를 갖는 침전지(20), 및 침강지(10)의 정화되지 않은 유수를 여러 단계의 연못과 습지를 거치면서 정화하는 다단계셀(30)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다단계셀(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태적 수질정화미디어(SSM) 및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SSB)을 갖는 상기 다단계셀(30)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의 특허출원 제2003-12026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 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제2006-20534호 (생태적 수질정화미디어 및 이를 갖는 인공습지 시스템) 및 제2006-90960호 (생태적 수질정화미디어 및 이를 갖는 수제 배석형 시스템)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다단계셀의 수로(31)는 어도보의 기능도 갖추어야 하는 바, 상기 어도보에 대해서도 본 발명자의 특허출원 제2007-17888호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역시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어진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침전지(20)로부터의 유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갈수기에 상기 침강지(10)로 인위적으로 보내는 저류조 장치(도 10의 40)가 추가될 수 있는 바, 상기 저류조 장치(40)는, 바람직하게는 지하에 매립되는 저류조 탱크(41)와 침전지(20)로부터 상기 저류조 탱크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관(42) 및 상기 저류조 탱크로부터 펌핑에 의해 상기 침강지(10)로 유수가 인위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출관(43) 그리고 이들 유입수를 인위적으로 펌핑시키기 위한 기타 장치(도시되지 않음)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단계셀(30)은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 SSB) 기능을 가져야 하는 바, 생태적으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생태적 수질정화 공법이다. 다단계셀(30)은 도 2에서 보듯이, 수로(31)를 통해 침강지(10)에 연결된 1차 습지(33)→1차 연못(34)→2차 습지(35)→2차 연못→3차 습 지→3차 연못→침전지(마이크로풀)(36) 까지 원활한 수체계를 지닐 수 있어야 하며, 계획된 유입수량과 유출수량이 원활히 달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참고로,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 시스템(SSB: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ystem) 시스템은 초기강우시 유역에서 발생하는 점·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다단계셀 인공습지 시스템으로, 유입구로부터 폐수가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침강지와 상기 침강지로부터 고형 오염물질이 가라앉아 방류되는 상등수가 유입되는 1차 습지, 상기 1차 습지의 1차 정화된 물이 유입되는 개방수면의 연못, 상기 연못으로부터 2차 이상 다단계에서 정화된 물이 유입되는 1차 습지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2차, 3차 이상의 다단계 습지(multi- cell)와 상기 다단계 습지(multi-cell)에서 최종 정화된 물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었다가 유출구로 정화된 물을 유출시키는 침전지(micro-pool)를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침강지(10)는 유수가 습지에 유입되기 전의 전처리시설로 자연중력침전에 의해 고액을 분리하고, 상등수가 방류되도록 조성되어야 한다. 강우시 초기유출수 등 오염부하가 많은 유입수를 일시 저류하여 유속을 저하시키고 일정시간 체류시키는 기능을 한다. 수리·수문적 특성, 토양, 지질, 식물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수심은 1.0m 이상, 바람직하게는, 1.2∼1.8m가 되어야 하고, 침강지 주변의 도입식물은 식재시스템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의 식재기준 및 적용식물을 고려하여 식재한다.
특히, 상기 침강지(10)의 수질환경적 특성은, 주로 하천수인 10ppm 정도의 초기 오염수가 유입되는 곳이므로, 오염농도가 10ppm 이상의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이 수심이 1.0m 이상으로 깊어 만약 토양오염이 되는 경우에는 지하수를 통한 2차 오염 등의 그 파생효과가 크게 되므로, 저부에 토양 오염 차단 효과가 가장 큰 제1 투수조절층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 투수조절층은, 도 3 및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지반층(19) 상에, 확실한 방수를 위해 벤토나이트와 방수시트가 같이 사용되는 10cm 정도의 벤토매트(11)가 사용되며, 상기 벤토매트 상에는 다시 수생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해 50cm 정도의 토양층(12)이 형성되며, 상기 토양층(12)에 부엽식물(13)이나 수중식물(14)이 식재된다.
토양층의 바닥은, 주기적으로 또는 오염물질이 갑자기 많이 유입되는 경우, 바닥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편평하게 다져져야 한다.
상기 벤토매트에 대해,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술하면, 2-3mm 정도의 얇은 비닐시트(111) 상에 솜이나 부직포와 같은 섬유층(112)이 소정 두께로 입혀지고, 상기 섬유층의 사이 및 그 위에 벤토나이트(113)가 부착되어 지며, 다시 그 위에는 직포와 같은 얇은 비닐 직물지(114)가 덧씌워진다. 즉, 천연산 소디움 벤토나이트를 직포와 부직포 사이에 충진하고 니들펀칭으로 벤토나이트 분말의 이동을 고정시킨 매트형 구조로 하며, 재질은 전체가 균일하며, 형태·치수의 변형이 없어야 하며, 굴곡 부위에도 시공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이 있어야 하며, 벤토나이트 압밀층은 충분한 수화팽창 작용에 의해 콘크리트의 실크랙이나 공극을 실링(Sealing)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재질의 품질은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KS M 3736의 품질기준에 의한다.(<표 1> 참조).
시 험 항 목 단 위 품질기준 시 험 방 법
원자재 섬유 중량
(부직포+직포)
벤토나이트 중량
g/㎡

kg/㎡
부직포 220g이상
직포 90g이상
4.9kg이상
KSK-0514-91

KSK-0514-91
제 품 단위면적당 중량
파열 강도
낙구 충격 시험
내한성 시험
투수계수
g/㎡
kg/㎡
-
-
㎝/sec
5,100 이상
45 이상
이상이 없어야 함
이상이 없어야 함
(1-9) × 10-9
ASTM D 5993
KSK-0351
2.1.4항 참조
2.1.5항 참조
ASTM D 5084
벤토나이트 입자 부피팽창율 % 750∼1,300 KS M 3736
참고로, 벤토나이트는 물과 반응시 원래의 체적보다 약 13-16 배가 팽창하여 무게의 5배까지 물을 흡수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튼튼한 방수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점착성으로 인하여 지층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도 확실한 방수층을 형성하며 토양에 아무런 화학적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식물의 뿌리 자람을 억제하지도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방수재에 사용된 고성능 소디움 벤토나이트 알갱이와 동일 재료로서 최소한 85% 이상의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를 포함해야 한다.
참고로, 상기 비닐 직물지는 일정 폭의 비닐로 된 씨실과 날실로 짜인 타포린에 사용되는 직물지를 생각하면 되나, 반드시 비닐로 된 직물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비닐 시트는 어느 정도 확실한 방수를 위한 두께는 가져야 되나, 너무 두꺼우면 식물의 뿌리 자람을 차단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오염물질은 차단할 수 있으나, 식물의 뿌리에 의해서는 침투가 가능한 정도라야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비닐은 생분해성 비닐을 사용하여 침강지가 안정되어 감에 따라 분해될 수 있는 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 시트로는 KS F 4911에 규정된 일반 복합 비가황 고무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시트(HDPE)가 사용되나, 고무아스팔트 시트나 EPDM계의 특수시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습지는 수심이 얕고 주로 정수식물이 높은 밀도로 생육하며 수심은 정수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0.2∼0.4m 범위이고, 수처리 기능으로서 BOD, SS, 금속물질, 병원균, 복합 유기물, 암모니아화 작용을 갖는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연못은 침수식물과 부수식물이 주로 생육하고, 수심은 0.6∼0.8m 범위이며, 습지에 이어 추가적으로 BOD를 개선하고 주로 질산화 및 인산염 제거기능과 대기와의 반응, 침수식물에 의한 산소전달, 조류의 광합성에 의해 산소를 공급하여 악취 및 해충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조성되어야 한다.
마지막 습지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은 침전지로 유출되는 바, 여기서는 부유물의 재부유 방지 및 산소공급 기능을 제공하고 1.0m 이상의 수심으로 다양한 동식물 서식처를 제공해야 한다. 침전지 말단에는 웨어를 설치하여 습지의 전체적인 체류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 도입식물은 식재시스템(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의 식재기준 및 적용식물)을 고려하여 식재한다.
이하, 상기 습지 및 침전지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2 투수조절층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상기 제2 투수조절층에는 부들이나 갈대와 같은 습지식물(23)이 식재된다. 상기 제2 투수조절층은 오염물질이 어느 정도 제거되었거나 토양오염의 염려가 거의 없는 상기 다단계셀의 습지(33, 35) 및 침전지(20)에 설치되는 바, 상기 침전지(20)는 이미 상류의 침강지(10) 및 다단계셀(30)을 통해 정화된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정화수가 잠시 머무르는 성격상 당연히 오염의 염려가 거의 없으며, 상기 습지(33, 35)는 비교적 상류에 위치하기는 하나, 일단 침강지를 통해 어느 정도 오염물질이 침전된 상태이며, 유수가 장기간 머물지 않고 계속해서 흐르는 상태이며, 또한 습지식물이 빼곡하게 들어차서 오염물질을 분해하기 때문에, 그다지 토양오염의 염려가 크지 않는 지역이다.
도 4 및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지반층(29) 상에 50cm 정도 두께의 지오콤층(21)이 위치하고, 그 위에 역시 50cm정도 두께의 토양층(22)이 위치한다.
상기 제2 투수조절층의 지오콤층(21)에 사용되는 지오콤(210)은, 가로보강사와 세로보강사가 교차하면서 일정크기의 공극을 갖는 망상의 시트를 형성하고 이 시트를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융착 연결 후 일측방향으로 당기면 다수의 벌집형태의 셀망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로서, 특허 제 83478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지오콤(210)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소정 길이를 갖는 폴리에틸렌재의 가로보강사(231)와 세로보강사(232)가 교차하면서 일정크기의 공극(233)을 다수로 갖는 망상의 시트(230)를 형성하며 상기 시트(230)가 형성되면 인접하는 시트(230')와 시트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웰딩에 의해 융착 연결하는 바, 융착된 시트(230, 230')가 다수로 적층되면서 시트를 일측 방향으로 당기면 다수의 벌집형태의 셀망부(22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셀망부(220)의 공간으로 모래, 흙 및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메우면 별도의 후속 공정 없이 시트의 전면에 균일하게 매우 많은 공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특성이 상승하게 되고 재료 절감효과와 중량저감 효과가 있으며, 뿌리 활착이 용이한 이점 등이 있다.
지오콤층(21)의 시공은, 먼저 도 6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오콤(210)을 전개하여 핀 등으로 지면에 고정하면 셀망부(220)가 형성되는 바 (도 6의 (b) 참조), 상기 셀망부(220) 내에 모래, 흙 및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메우게 된다 (도 6의 (c) 참조).
이와 같이, 지오콤층(21)을 형성하게 되면, 투수성이 높고 토양의 유실을 막을 수 있을 뿐더러 습지식물(23)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며 지반보강이 가능한 제2 투수조절층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공성 스트립을 사용하여 표층식생시 별도 타공 등의 보완없이 식생물의 뿌리 활착이 가능하고, 그물 형태의 망상 스트립을 사용하여 골재 등의 채움 후에도 지하수의 수평간 이동의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단계셀의 연못(34)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3 투수조절층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제3 투수조절층은 제1 투수조절층과 제2 투수조절층의 중간 성격을 지닌다. 즉, 방수력은 제1 투수조절층보다 낮고 제2 투수조절층보다는 높으나, 역으로 투수성은 제1 투수조절층보다 높고 제2 투수조절층보다는 낮다. 이는 다단계셀의 연못(34)의 경우, 일단 침강지(10)와 침전지(20)의 중간에 위치하는 다단계셀(30)에 위치하며, 습지와 같은 위치이기는 하나 유수의 체류기간은 습지(33, 35)보다 휠씬 길며 깊이도 보다 깊고 식물의 서식 또한 습지보다는 적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방수는 이루어져야, 미처 침강지(10)에서 정화되지 않은 오염물질이 토양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상과 같이 침전지(20) 및 습지(33, 35)의 저면에는 제2 투수조절층을, 연못(34)의 저면에는 제3 투수조절층으로 설치하는 것은 원칙이고 경우에 따라 침전지(20), 습지(33, 35) 또는 연못(34)의 경우라도, 유입수의 오염농도가 지속적으로 10ppm 이상일 경우에는, 저면에 상기 제2 투수조절층이나 제3 투수조절층 대신 차수 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1 투수조절층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염 농도가 그 이하이거나 특별히 생태복원기능이 중요할 경우에만 각각 제2 투수조절층이나 제3 투수조절층으로 설치하도록 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지반층(349) 상에, 5-10cm정도의 벤토나이트층(341)을 형성하고, 그 위에 50cm정도의 토양층(342)을 형성하며, 경우에 따라 그 위에 자갈층(34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벤토나이트층(341)은 상기 벤토나이트를 흙과 혼합하여 형성한다. 이에 사용되는 재료는 진흙이나, 논흙 등 친환경적 재료를 사용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기존의 논이나 뻘에서 수집한 흙을 사용하도록 하되, 진흙이나 논흙에 많은 유기물이나 쓰레기가 포함될 경우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 전에 제거하도록 한다. 투수조절용으로 사용되는 진흙에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투수계수가 10-6cm/sec 이하가 되도록 한다. 투수조절용으로 쓰이는 진흙은 다짐시험을 하여 최대 건조밀도를 얻을 수 있는 함수상태에서 시공하여야 한다. 지반이 침하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진흙을 깔기 전에 보강용 부직포를 까는데, 부직포는 1m당 1ton의 인장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투수조절용 진흙 포설 후 최대 건조밀도의 90% 이상이 나오도록 골고루 다지며, 포설두께는 15cm 이상으로 한다.
점토층 위에 잔자갈 등을 부설하면 갑작스런 우수의 침입이나 쇄골현상을 막아주고 수질의 탁도를 맑게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부유물과 녹조 등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물의 대류현상은 주로 바람과 수온차에 의하여 일어나므로 겨울철을 제외한 시기에는 충분한 정수식물의 식재로 예방이 가능하다. 갈대나 부들류는 겨울철에 식물이 죽기는 하나, 사채가 봄철에 새순이 나오기 시작하면 쓰러져서 사라지는 특징이 있어 정수식물이 없는 겨울철에도 대류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겨울철에도 쓰러지지 않는 갈대나 부들의 사채는 철새의 서식처 등 생태계 복원효과도 높다.
한편, 이상의 침강지의 제1 투수조절층의 일부에는, 부가적으로, 침전물 유지관리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오염물질이 침강지의 바닥인 제1 투수조절층 상에 쌓여 미처 분해되지 못하는 경우, 바닥에 쌓인 오염물질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콘크리트 자체를 투수조절층으로 만드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구체방수용 혼화재를 투입하여 구체를 형성한다. 혼화재는 콘크리트로 물이 침입할 경우 콘크리트에 석여 있던 혼화재의 폴리머 알갱이 또는 규사질이 녹아 쌓이면서 침투 부위의 모세관을 막아 주는 형태이다. 혼화재는 대단히 고가로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단지 고유동화재를 구체방수용 혼화재로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하는 공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주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방수 방법이다. 시멘트액체 방수는 바탕처리(청소 깨끗이)를 하고 방수액을 도포한 후 경화시기를 봐가며 시멘트, 물, 방수제를 배합 반죽한 방수시멘트풀(Paste)을 도포하고 그 위에 다시 시멘트, 모래, 물, 방수제를 배합하여 발라주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보호 콘크리트는 KS F 4009에 규정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로서 재령 28일 압축강도 24.0N/㎟ (240㎏f/㎠) 이상, 공기량 4.5±1.5%, 슬럼프 15±2.5㎜, 굵은 골재 최대치수 25㎜ 이하로 한다.
기타, 본 시스템의 부수적인 사항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는 평상시 점오염원, 강우시에 비점오염원 처리를 고려하여 자유수면형 습지(Surface wetland) 구조를 원칙으로 하고, 점·비점오염원 처리를 고려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처리공정을 가감할 수 있다.
습지의 배치 및 형태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먼저 대상지의 지형, 수리·수문, 토지이용 및 주변 생태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대상지의 지형적 잠재력을 최대한 고려하여 기존의 단순한 사각형 구조에서 탈피하여 지형에 순응하면서도 자연유하가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한다.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은 수질정화기능뿐만 아니라, 생물서식처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므로 생물서식처를 고려한 조성방법을 고려한다. 어류와 양서·파충류 서식처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어류서식처는 어류서식을 위해 여울, 소, 웅덩이를 다양하게 조성하고, 다양한 미소서식지(배후 습지, 사행여울, 거석소, 하중도 사구, 천수만, 샛강), 다양한 하상구조(돌, 자갈, 모래 등), 수변부에 초본(줄, 애기부들, 갈대 등)의 식물 군락을 조성한다 (<표 2> 참조).
Figure 112009006811919-PAT00001
양서·파충류 서식처는 수심을 50∼60cm로 조성하고, 연못수변에 그늘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적합한 수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표 3> 참조).
Figure 112009006811919-PAT00002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의 식재기반 기준으로서, 상기 침강지(침강지)는, 대상부지에 터파기와 원지반다짐으로 면적과 계획고를 맞추어 부지를 조성한다. 조성된 침강지에 생태방수재를 설치하고, 필요시 일례로, 0.5m 정도의 토양층을 조성한다. 식재될 식물의 특성에 맞추어 진흙 또는 미사질의 토양을 사용한다.
1차 습지(33) 및 2차 습지(35)는, 대상부지에 터파기와 원지반다짐으로 면적과 계획고를 맞추어 부지를 조성한다. 습지의 호안에는 경관향상과 생물서식처, 수질정화기능을 할 수 있는 배석층을 식재와 함께 조성할 수 있다. 습지 흐름의 중심부분에는 식재의 구분과 수질정화기능, 생물서식처 기능을 할 수 있는 적정한 폭의 골을 조성하고 φ40mm정도 크기의 자갈을 채운다.
연못(34) 역시, 대상부지에 터파기와 원지반다짐으로 면적과 계획고를 맞추어 부지를 조성한다. 식재될 식물의 특성에 맞추어 진흙 또는 미사질의 토양을 사용한다. 연못부가 시작되는 위치의 하안에 생태적 수질정화미디어(SSM) 생태수제형의 조성을 고려한다.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의 식재기준 및 적용식물은, 침강지(침강지)가 경우, 내부에는 부엽식물, 호안에는 정수식물을 식재한다. 침강지 호안에는 고마리류 등의 정수식물을 선정하여 근경부가 0.1∼0.2m정도 잠기도록 식재하며, 식재밀도는 1㎡당 9∼30본이 되도록 식재한다. 침강지 내부에는 마름류, 어리연꽃류의 부엽식물을 1㎡당 9∼30본 식재한다.
습지에는, 수질정화 효능을 가진 정수식물을 식재한다.
1차 습지(33)에는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도 생장이 양호하고 부유물 침전 및 부착 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기능이 뛰어난 식물을 선정한다. 습지식재시스템에 따라 정수식물을 적용하며 습지의 호안과 내부의 유속과 식물의 생육가능유속을 감안하여 식물을 선정한다. 고마리는 호안에서 근경부가 0∼0.2m정도 잠기도록 식재하며, 번식력이 강하므로 식재밀도는 1㎡당 9본∼30본 사이에서 밀도를 조정하여 식재한다. 달뿌리풀, 갈대는 근경부가 0.2m이상 물에 잠기도록 식재하며, 식재밀도는 1㎡당 9∼30본이 되도록 식재한다.
2차 습지(35)에는 대형정수식물로 유기물 분해기능이 뛰어난 정수식물을 적용한다. 습지의 호안 및 내부에는 부들류, 갈대류, 줄류 등을 근경부가 0∼0.2m정도 잠기도록 식재하며, 식재밀도는 1㎡당 9∼30본이 되도록 한다.
연못의 경우, 연못내 부엽식물이 주로 생육하고, 연못의 호안으로 정수식물 중 꽃창포류를 도입하여 경관향상 기능을 갖도록 한다. 연못의 호안에는 꽃창포류의 정수식물을 적용하고, 연못의 내부에는 어리연꽃류, 수련류, 마름류 등 부엽식물을 적용한다. 고마리류와 꽃창포류는 식재시 근경부가 0∼0.2m 정도 물에 잠기도록 하며, 식재밀도는 1㎡당 9∼30본이 되도록 한다. 부엽식물은 연못의 내부에 식재하며, 식재밀도는 1㎡당 9∼30본이 되도록 한다.
침전지(20)는, 최종적으로 정화된 물이 유출되는 곳으로 1.0m 이상의 수심으로 다양한 동식물 서식처를 제공하도록 한다. 침전지 내에는 부엽식물의 식물을 식재하고 침전지 호안에는 정수식물을 적용한다. 호안에는 정수식물의 식물을 선정하여, 근경부가 0∼0.2m정도 물에 잠기도록 식재하며, 식재밀도는 1㎡당 9∼30본이 되도록 한다. 침전지 내부에는 수련, 마름 등 부엽식물의 식물을 1㎡당 9∼30본 식재한다.
한편, 이들 장치에 대해 더 부연설명하자면, 유입수가 자연유하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침강지(10)와 상기 침강지로부터 고형 오염물질이 가라앉아 방류되는 상등수가 유입되는 1차 습지, 상기 1차 습지의 1차 정화된 물이 유입되는 개방수면의 연못, 상기 연못으로부터 2차 이상 다단계에서 정화된 물이 유입되는 1차 습지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2차, 3차 이상의 다단계 습지(multi- cell)와 상기 다단계 습지(multi-cell)에서 최종 정화된 물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었다가 일부는 유출구로 정화된 물을 유출시키고 나머지 정화된 물은 저류탱크로 유출시켜 순환시키는 침전지(micro-pool)를 특징으로 한다.
본 생태환경 저류지 시설에서의 수질정화 용량은 유역차원에서의 초기비점오염원 9,000㎥/d이상 처리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이 적용되는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SSB)의 개념을 도시한 제2 실시예의 모식도인 바, 본 실시예에서는 유수의 피이드백 시스템을 구비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관한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은, 침강지는 물론, 특히 침전지의 경우, 홍수를 대비해서 약간의 유수만 남기고 비워놓아야 한다. 따라서, 우기에는 문제가 없지만, 갈수기에는 아주 습지 및 연못이 말라버릴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침전지도 말라버릴 가능성이 있다.
저류지가 혐오시설이 될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는, 저류지는 홍수를 대비해서 존재하는 이상, 평소에는 비워진 상태이어야 하고, 따라서 갈수기에는 물이 완전히 말라 어떠한 수질 생태적 역할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저류지를 평소에는 물론 갈수기에도 훌륭한 수리수문적 생태공간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데에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순환 시스템은 저류지 생태환경공원 내 우수를 재활용하여 저류지 생태연못 및 다단계셀 생태습지의 유지용수를 확보한다.
홍수기에는 재해영향평가상 100년 빈도 최고 홍수량을 고려하여 저류지의 규모 및 용량을 산정하여 방재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유수는, 침강지(침강지) → 다단계셀 생태습지 → 침전지(침전지)로 자연유하 되며, 침전지 구간으로 모인 물은 홍수기 및 고농도 오염수(하수종말처리방 방류기준 BOD 10mg/ℓ이상) 유입시 비점오염원 장치형 시설로 처리한다. 평상시(갈수기)에는 저류조탱크(41)와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양수하여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우수를 저장하고, 재활용하여 침강지(침강지) 구간의 유지용수를 확보한다. 즉, 평상시(갈수기) 수순환 시스템을 도입하여 점·비점오염원을 재처리할 수 있도록 조성한다.
수순환 시스템 구성요소인 저류지 수순환 시스템은, 유입구에 접하는 침강지(침강지)(10)와 다단계셀 생태습지(30) 및 침전지(침전지)(20), 저류조 탱크(41), 펌프(도시되지 않음), 유입관(42) 및 유출관(43)으로 구성한다.
이들은, 집중강우에 따른 우수의 차집이 용이한 구조로 조성하며, 동력을 이용을 최소화하는 자유수면형습지(FWS)로 조성하여 수순환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생태환경 저류지 공원은 특성상 도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토지 이용밀도가 높은 상업지구나 고밀도 주거지구 주변에는 가급적 조성되므로 주변의 자연환경 및 경관과 조화롭고, 아름답게 조성한다. 저류지 생태환경공원 조성시 이용객의 접근에 어려움이 없도록 단지내 주거지역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도록 계획하여 이용성을 높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이 적용되는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SSB)의 개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의 다단계셀의 개념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중에서 침강지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중에서 침전지 및/또는 다단계셀의 습지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중에서 다단계셀의 연못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오콤의 시공 단계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7은 실제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지오콤의 실제 사진이다.
도 8은 벤토매트의 실제 사진이고,
도 9는 벤토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이 적용되는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SSB)의 개념을 도시한 제2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강지 20 ; 침전지
30 ; 다단계셀 31 ; 수로
33 ; 제1 습지 34 ; 연못
35 ; 제2 습지
11 ; 벤토매트 12,22,342 ; 토양층
19,29,349 ; 원지반층 21 ; 지오콤층
341 ; 벤토나이트층 343 ; 자갈층
111 ; 비닐시트 112 ; 섬유층
113 ; 벤토나이트 114 ; 비닐직물지

Claims (8)

  1. 상대적으로 상류에 설치되는 침강지(10)와, 상대적으로 하류에 설치되는 침전지(20)와, 상기 침강지로부터 침전지로 유수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면서 수질정화를 행하는 연못(34)과 습지(33, 35)로 이루어지는 다단계셀(30)을 포함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시스템에서의 투수조절 시스템으로서,
    상기 침강지(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투수조절층;
    상기 침전지(20) 및 상기 습지(33, 35)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2 투수조절층; 및
    상기 연못(34)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3 투수조절층;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수조절층은, 원지반층(19) 상에, 벤토나이트와 방수시트가 같이 사용되는 벤토매트(11)가 사용되며, 상기 벤토매트 상에는 다시 수생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토양층(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투수조절층은, 원지반층(29) 상에 지오콤층(21)이 위치하고, 그 위에 역시 토양층(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투수조절층은, 방수력은 제1 투수조절층보다 낮고 제2 투수조절층보다는 높으나, 역으로 투수성은 제1 투수조절층보다 높고 제2 투수조절층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20), 상기 습지(33, 35) 및 상기 연못(34)의 경우라도, 유입수의 오염농도가 지속적으로 10ppm 이상일 경우에는, 저면에 상기 제2 투수조절층이나 제3 투수조절층 대신 상기 제1 투수조절층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수조절층은, 원지반층(349) 상에, 벤토나이트층(341)을 형성하고, 그 위에 토양층(34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벤토나이트층(341)은 벤토나이트를 흙과 같은 자연재료와 혼합하여 투수계수가 10-6cm/sec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수조절층은, 상기 토양층(342) 상에 자갈층 등 자연형 여재(34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콤층(21)은, 지오콤(210)의 셀망부(220)의 공간으로 모래, 흙 및 자갈 등의 골재를 채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20)로부터의 유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평수기 및 갈수기에 상기 침강지(10)로 물을 인위적으로 보내는 저류조 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 장치(40)는,
    지하에 매립되는 저류조 탱크(41)와, 침전지(20)로부터 상기 저류조 탱크(41)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관(42)과, 상기 저류조 탱크(41)로부터 펌핑에 의해 상기 침강지(10)로 유수가 인위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출관(43)과, 이들 유입수를 인위적으로 펌핑시키기 위한 장치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KR1020090008699A 2009-02-04 2009-02-04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KR101079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699A KR101079051B1 (ko) 2009-02-04 2009-02-04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699A KR101079051B1 (ko) 2009-02-04 2009-02-04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449A true KR20100089449A (ko) 2010-08-12
KR101079051B1 KR101079051B1 (ko) 2011-11-02

Family

ID=4275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699A KR101079051B1 (ko) 2009-02-04 2009-02-04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0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977B1 (ko) * 2011-12-19 2014-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KR101484891B1 (ko) * 2014-07-16 2015-01-22 신명옥 초기 비점 오염 우수 처리 시스템
WO2018197329A1 (fr) * 2017-04-28 2018-11-01 Suez Groupe Zone humide artificielle dimensionnee pour l'elimination de polluants
CN109970214A (zh) * 2019-04-10 2019-07-05 清华大学 一种具有渗、滞、蓄、净、用、排功能的生物滞留池
CN113482135A (zh) * 2021-06-29 2021-10-08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gcl防水毯的用于办公及生产大临的人工池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13A1 (ko) * 2012-06-19 2013-12-27 Byeon Chanwoo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977B1 (ko) * 2011-12-19 2014-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KR101484891B1 (ko) * 2014-07-16 2015-01-22 신명옥 초기 비점 오염 우수 처리 시스템
WO2018197329A1 (fr) * 2017-04-28 2018-11-01 Suez Groupe Zone humide artificielle dimensionnee pour l'elimination de polluants
FR3065720A1 (fr) * 2017-04-28 2018-11-02 Suez Groupe Zone humide artificielle dimensionnee pour l'elimination de polluants
CN110678421A (zh) * 2017-04-28 2020-01-10 苏伊士集团 为去除污染物而确定尺寸的人工湿地
CN109970214A (zh) * 2019-04-10 2019-07-05 清华大学 一种具有渗、滞、蓄、净、用、排功能的生物滞留池
CN113482135A (zh) * 2021-06-29 2021-10-08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gcl防水毯的用于办公及生产大临的人工池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051B1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271B1 (ko)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US8287728B2 (en) Elevated swale for treatment of contaminated stormwater
CN105084643B (zh) 一种水源地水质原位预处理方法
KR101079051B1 (ko)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KR20060094596A (ko)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US20150101981A1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eating wastewater
KR100375052B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촉진방법 및 그 장치
KR102121069B1 (ko) 식물여과를 이용한 생태습지 유지용수 공급 물순환 시스템
JP4299382B2 (ja) 水処理用人工湿地
CN112158958A (zh) 一种强化污染物去除的海绵城市建设用人工雨水湿地系统
KR100444972B1 (ko)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CN108951545A (zh) 多孔箱式净水护岸系统
JP2001224243A (ja) 人工緑化方法および人工緑地
KR101080088B1 (ko) 생태환경을 고려한 저류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082704A (ko) 정화용 습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정화장치
KR101390357B1 (ko) 살수여상기능 및 정수처리기능을 갖는 자연형 하천 호안 공법
CN105130090A (zh) 一种河流沟渠污水生态强化自净方法
KR20080015136A (ko)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연결수로
Widelska et al. Restoration of ponds in the municipal park in Zduńska Wola, Poland
KR100574171B1 (ko) 생태연못의 수(水) 처리장치
US20160355424A1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eating wastewater
KR200251872Y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장치
KR20200035535A (ko) 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 저감 및 차단시스템
Tsihrintzis et al. Multiobjective approaches in freshwater wetland restoration and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