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977B1 -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977B1
KR101343977B1 KR1020120033563A KR20120033563A KR101343977B1 KR 101343977 B1 KR101343977 B1 KR 101343977B1 KR 1020120033563 A KR1020120033563 A KR 1020120033563A KR 20120033563 A KR20120033563 A KR 20120033563A KR 101343977 B1 KR101343977 B1 KR 10134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eal
dredged soil
pressure
water
remov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497A (ko
Inventor
송호면
주진철
권재형
안창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7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공생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자연공생호소 내 수로의 설치를 통해 어류 은신처 및 대피로 조성 및 준설토와 오염토사물질의 효율적인 제거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로가 호소바닥에 시공되며, 배수시 바닥에 쌓여있는 준설토와 같은 오염물질을 쉽게 한곳으로 모일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며, 수로와 함께 설치하는 둠벙이 어류의 은신처 형성이 되며 이는 갈수기 시 어류가 생존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구조체에 의하면, 둠벙을 이용하여 수생생태계가 파괴되지 않고 공사활동이 가능하고, 펌프를 이용해 배수작업 후 살수차를 이용하여 토사를 한곳으로 모아 적재하여 외부로 처리하면 되므로 인위적인 호수공간의 준설이나 고가의 공사비가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CURAGE REMOVAL STRUCTURE IN LAKE OF NATURAL SYMBIOSIS}
본 발명은 자연공생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공생호소 내 수로의 설치를 통해 어류 은신처 및 대피로 조성 및 준설토와 오염토사물질의 효율적인 제거 및 관리가 가능한 준설토 제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수생물의 서식공간인 호소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생태적 천이에 교란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특히, 준설토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포함하며 고도차이에 의해 이송된 토사가 호소수 바닥에 쌓여 생기는 것으로 이는 어류의 산란청 및 수생생태계이 서식처 공간을 침범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오랜 시간이 흐르게 되면 준설토의 퇴적량이 증가하여 내부에 침적되고, 장시간 저류하면 때에 따라 악취 및 모기유충 등 비위생적인 환경이 조성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는 종래기술로서 수로를 이용한 수질정화 시스템,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수로를 이용한 수질정화 시스템의 경우 수로를 이용하여 호소중에 부유물을 부상시켜 부상오니를 제거하므로서 정화작업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의 경우 바지선을 이용하여 퇴적물에 처리조가 박히도록 하여 원수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퇴적물을 준설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준설로 인해 수중생물의 서식환경이 교란될 우려가 있고, 수질오염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인공호수 및 하천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하천에만 국한된 기술이기 때문에, 호소수 퇴적 준설토를 제거하거나 유지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은 제안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둠벙을 통해 어류 서식처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호소수 내에 퇴적된 준설토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는 호소의 바닥에 설치되는 수로; 상기 수로의 일단에 구비되고, 어류서식공간이나 배수공간으로 이용되는 제1 둠벙; 상기 수로의 타단에 구비되고, 이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둠벙;및 상기 제2 둠벙과 연결되고, 이물질의 준설 작업시 유실되는 어류서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3 둠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로는 상기 호소의 유수 유입지점으로부터 유수 유출지점까지의 축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로는 상기 호소의 유수 유입지점으로부터 유수 유출지점까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둠벙은 상기 호소의 유수 유입지점에서 상기 수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둠벙은 상기 호소의 유수 유출지점에서 상기 수로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둠벙은 호소 내의 이물질이 상기 제1 둠벙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수로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경사판과, 호소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둠벙은 상기 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물질이 상기 제2 둠벙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경사판과, 상기 제2 둠벙 내에 침적된 이물질의 침적량을 측정하기 위한 침적량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적량 확인장치는 상기 제2 둠벙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포함되는 풍선체; 상기 풍선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선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상기 풍선체와 연결되고,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체;및 상기 풍선체와 상기 부력체를 연결하고,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압력량을 전달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적량 확인장치는 호소의 수위에 따라 상기 풍선체와 상기 부력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길이조절부는 퀵 릴리즈(QR, Quick Release) 방식에 의해 상기 풍선체와 상기 부력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적량 확인장치는 상기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적량 확인장치는 [수학식 1] Pw = δ×N×Ph (Pw : 수위에 따른 수압, δ : 연결와이어 회전 횟수에 대한 압력 저감비, N : 연결와이어 회전횟수, Ph : 고수위에서의 수압), 및 [수학식 2] Ps = Pt - Pw (Ps : 이물질에 의한 압력, Pt :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 Pw : 수위에 따른 수압)에 의해 이물질의 침적량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의 유지관리 방법에 의하면, 둠벙을 이용하여 어류 서식처를 확보함과 동시에 오랜 기간 동안 퇴적된 준설토를 제거함으로써 수생생태계가 파괴되지 않고 공사활동이 가능하고, 펌프를 이용해 배수작업 후 살수차를 이용하여 토사를 한 곳으로 모아 적재하여 외부로 처리하면 되므로 인위적인 호수공간의 준설이나 고가의 공사비가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에 대한 바림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의 침적량 확인장치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는 호소(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호소 바닥에 형성되는 수로(20); 상기 수로(2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둠벙(30); 상기 수로(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둠벙(40);및 상기 제2 둠벙(40)과 연결되는 제3 둠벙(50)을 포함한다.
상기 수로(20)는 호소 바닥에 존재하는 준설토와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토사의 이동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U자형태나 V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로(20)는 호소(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소(10)로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20)는 호소(10)에서 유수 유입방향으로부터 유수 유출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로(20)가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호소(10) 내의 유수 흐름에 의해 호소 바닥면에 쌓인 준설토가 자연적으로 제2 둠벙(40)에 포집된다.
상기 수로(20)의 길이는 호소(10)의 전체 길이에 비례하도록 형성되고, 가능한 호소(10)에서 가장 긴 대각선 길이 방향에 비례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20)의 재질은 수중에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나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으며 토사의 이동에 의한 압력에 견딜 수 있는 합금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로(20) 내 토사의 효율적인 이동을 고려하여 폭이 너무 넓지 않은 범위를 고려하여 수로(20)의 폭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로(20)의 깊이는 약 0.3 ~ 0.5m로서, 토사차집 후 이동할 때 수로(20) 밖으로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이동할 수 있는 깊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어류의 서식환경 및 토사와 같은 오염물질 제거시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둠벙에 관한 형태는 각각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둠벙들의 재질은 수중에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어류와 같은 수생생물의 서식공간으로의 활용 및 토사수집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자연재료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둠벙의 가로 세로의 길이(L)는 1.5m ~ 2m(또는 그 이상)로서 수로(20)와 연결이 되는 범위 내의 길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둠벙의 높이(H)는 1.5m ~ 2m로서, 갈수기 시 어류의 동결심도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여 생존공간을 유지함과 동시에 토사(준설토)를 집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제1 둠벙(30)은 상기 수로(20)의 일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둠벙(30)은 어류의 서식공간으로 사용되거나 호소 내 준설토 제거작업 시 펌프(31)를 이용하여 배수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는 것으로서, 펌프(31)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 및 펌프작동 시 어류 및 수생생물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31)에는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3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장치(33)는 상기 펌프(31)로 유입되는 어류 및 수생생물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그물막, 메쉬망, 또는 걸름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둠벙(30)은 호소(10) 내에서 유수의 유입지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호소(10)로 유입되는 유수 내의 이물질이 유수 흐름에 의해 제1 둠벙(30)으로부터 제2 둠벙(40)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 둠벙(30)에는 유수 내의 준설토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경사판(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판(37)은 상기 제1 둠벙(30)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서, 제2 둠벙(4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제1 경사판(37)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경사판(37)이 상기 제1 둠벙(30) 상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방에서 낙하하는 이물질들이 상기 제1 경사판(37)을 타고 상기 수로(2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제1 경사판(37)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제1 경사판(37) 사이의 틈새로 어류와 같은 수생물들이 유출입할 수 있다.
상기 수로(20)의 타단에는 제2 둠벙(40)이 연결된다. 상기 제2 둠벙(40)은 호소 내 준설토 제거작업 시 준설토를 한곳으로 모아 외부의 차량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제2 둠벙(40)에는 준설토를 포집하기 위한 제2 경사판(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판(41)은 상기 수로(2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제2 경사판(41)이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로(20)를 따라 제2 둠벙(40)으로 이동하는 준설토는 상기 제2 경사판(41)에 걸리기 때문에 제2 둠벙(40) 후단에 있는 제3 둠벙(50)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2 둠벙(40) 내부로 포집된다.
상기 제2 둠벙(40)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3 둠벙(50)은 호소(10) 내 준설토 제거작업 시 수행되는 배수작업 동안에 어류가 생존할 수 있는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 둠벙(40)에는 상기 제2 둠벙(40) 내에 침적되어 있는 준설토의 양을 수면 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침적량 확인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침적량 확인장치(60)는 상기 제2 둠벙(4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풍선체(61); 상기 풍선체(6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63); 상기 압력계(63)와 연결되는 연결와이어(65); 상기 연결와이어(65)와 연결되는 부력체(67);및 상기 부력체(67)에 구비되고 상기 부력체(67)와 상기 풍선체(61)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69)를 포함한다.
상기 침적량 확인장치(60)의 풍선체(61)는 제2 둠벙(4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둠벙(40)에 쌓이는 준설토의 중량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거나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한 풍선형태의 기구체이다.
상기 풍선체(61) 내부에는 압력계(63)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력계(63)는 상기 풍선체(61) 상방에 침적되는 준설토의 중량에 의해 풍선체(6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압력계(6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은 상기 부력체(67)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71)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압력계(63)는 연결와이어(65)에 의해 수면에 부상해있는 부력체(67)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67)에는 퀵 릴리즈(QR, Quick Release)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와이어(65)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69)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부(69)는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부력체(67)와 상기 풍선체(61) 사이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태엽과 같은 탄성체에 연결와이어(65)를 연결하여 회전태엽의 복원력과 부력체(67)의 부력의 상대적인 힘을 이용함으로써 부력체(67)와 풍선체(61) 사이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부력체(67)에는 상기 압력계(63)에 의해 측정된 압력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1)는 관리 및 수리 등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디지털식이 아닌 기계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계(63)에 의해 측정된 압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71)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압력계(63)는 풍선체(61)에 가해지는 준설토의 중량뿐만 아니라 수압도 측정된다.
그러나, 수압은 호소의 수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압력계(63)에 의해 측정된 압력만으로는 준설토의 침적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는 상기 길이조절부(69)에서 감기는 연결와이어(65)의 길이에 의해 호소의 수위를 판단하고, 해당 수위에 따른 수압을 상기 압력계(63)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서 제외시킴으로써 풍선체(61)에 가해지는 순수한 준설토만에 의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의 수학식 1 및 2와 같다.
[수학식 1]
Pw = δ×N×Ph
(Pw : 수위에 따른 수압, δ : 연결와이어 회전 횟수에 대한 압력 저감비, N : 연결와이어 회전횟수, Ph : 고수위에서의 수압)
[수학식 2]
Ps = Pt - Pw
(Ps : 준설토에 의한 압력, Pt :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 Pw : 수위에 따른 수압)
상기 수학식 1 및 2에 의하면, 준설토에 의한 압력(Ps)은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Pt)에서 수위에 따른 수압(Pw)을 뺌으로써 산출된다. 그리고, 수위에 따른 수압(Pw)은 연결와이어의 회전횟수(N)가 수위에 대응되는 것을 고려하여 고수위에서의 수압(Ph)과의 저감비(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적량 확인장치(60)에 의해 상기 제2 둠벙(40)에 침적되는 준설토의 양을 측정하여 수면 위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준설토가 둠벙 내에 과도하게 축적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에 의하면, 침적량 확인장치(60)에 의해 준설토가 준설될 수위까지 침적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둠벙(30) 내의 펌프(31)를 구동하여 호소(10) 내의 물을 배수하고, 둠벙 형태 및 목적에 맞도록 어류 및 준설토를 분리 유도한다.
이때, 호소(10) 내의 수생물은 제3 둠벙(50) 내에 포집되기 때문에 준설과정에서 수생물이 폐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준설토를 한 곳으로 모아 분리작업을 한 후에 포집된 준설토를 준설차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다시 원수를 공급함으로써 준설토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는 복잡하거나 대형화되지 않은 간단한 구조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절약적이고, 둠벙을 이용하여 수생물을 보호한 상태에서 준설토를 준설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이다.
또한, 침적량 확인장치(60)는 디지털이 아닌 기계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거나 배터리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수분침투에 의한 기계고장의 염려가 없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간편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수로 30 : 제1 둠벙
40 : 제2 둠벙 50 : 제3 둠벙
60 : 침적량 확인장치

Claims (12)

  1. 호소의 바닥에 설치되는 수로;
    상기 수로의 일단에 구비되고, 어류서식공간이나 배수공간으로 이용되는 제1 둠벙;
    상기 수로의 타단에 구비되고, 이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둠벙;및
    상기 제2 둠벙과 연결되고, 이물질의 준설 작업시 유실되는 어류서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3 둠벙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둠벙은 호소 내의 이물질이 상기 제1 둠벙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수로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경사판과, 호소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기 호소의 유수 유입지점으로부터 유수 유출지점까지의 축 선상에 위치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기 호소의 유수 유입지점으로부터 유수 유출지점까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둠벙은 상기 호소의 유수 유입지점에서 상기 수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둠벙은 상기 호소의 유수 유출지점에서 상기 수로의 타단과 연결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둠벙은
    상기 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물질이 상기 제2 둠벙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경사판과,
    상기 제2 둠벙 내에 침적된 이물질의 침적량을 측정하기 위한 침적량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량 확인장치는
    상기 제2 둠벙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포함되는 풍선체;
    상기 풍선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선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상기 풍선체와 연결되고,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체;및
    상기 풍선체와 상기 부력체를 연결하고,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압력량을 전달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량 확인장치는
    호소의 수위에 따라 상기 풍선체와 상기 부력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퀵 릴리즈(QR, Quick Release) 방식에 의해 상기 풍선체와 상기 부력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량 확인장치는
    상기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량 확인장치는
    [수학식 1]
    Pw = δ×N×Ph
    (Pw : 수위에 따른 수압, δ : 연결와이어 회전 횟수에 대한 압력 저감비, N : 연결와이어 회전횟수, Ph : 고수위에서의 수압), 및
    [수학식 2]
    Ps = Pt - Pw
    (Ps : 이물질에 의한 압력, Pt :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 Pw : 수위에 따른 수압)
    에 의해 이물질의 침적량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12. 삭제
KR1020120033563A 2011-12-19 2012-03-30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KR101343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698 2011-12-19
KR20110137698 2011-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497A KR20130070497A (ko) 2013-06-27
KR101343977B1 true KR101343977B1 (ko) 2014-01-23

Family

ID=4886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563A KR101343977B1 (ko) 2011-12-19 2012-03-30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350B (zh) * 2020-07-20 2021-07-09 重庆华地资环科技有限公司 一种排水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449A (ko) * 2009-02-04 2010-08-12 변찬우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KR20100117327A (ko) * 2009-04-24 2010-11-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KR20100129523A (ko) * 2009-06-01 2010-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KR20120091887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평형수 침전물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449A (ko) * 2009-02-04 2010-08-12 변찬우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KR20100117327A (ko) * 2009-04-24 2010-11-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KR20100129523A (ko) * 2009-06-01 2010-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KR20120091887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평형수 침전물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497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483B1 (ko)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345009B1 (ko) 침투도랑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JP2009257005A (ja) 高架道路の雨水利用システム
JP6621653B2 (ja) 貯留浄化システム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343977B1 (ko)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RU24653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промывки дренажа низконапорных грунтовых плотин
JP2000186351A (ja) 浸透式取水方法
JP2008144525A (ja) 海水の浸透取水システム及び海水の浸透取水方法
KR100943655B1 (ko) 스마트 침사조를 이용한 빗물이용 시스템
JP2008285927A (ja) 浸透システム
JP2008133598A (ja) 雨水貯留浸透槽
JP4560857B2 (ja) 地下貯水システム
KR20140122781A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JP2016098609A (ja) ダムの貯水湖における流入土砂の処理方法
KR101263353B1 (ko) 빗물처리장치
JP5361980B2 (ja) 浸透システム
KR101311288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의 정체수 배수장치
KR102029164B1 (ko) 초기우수 배제 장치
KR101092245B1 (ko) 비점오염처리장치
RU77619U1 (ru) Дренажная завеса
Mikkelsen et al. BMPs in urban stormwater management in Denmark and Sweden
KR100680156B1 (ko) 갈수기 하천바닥 오염물 처리시설
JP4858142B2 (ja) 海水浄化システム及び海水浄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