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219A - 방사능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방사능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219A
KR20100088219A KR1020090007280A KR20090007280A KR20100088219A KR 20100088219 A KR20100088219 A KR 20100088219A KR 1020090007280 A KR1020090007280 A KR 1020090007280A KR 20090007280 A KR20090007280 A KR 20090007280A KR 20100088219 A KR20100088219 A KR 2010008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or
axis
transfer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균
신진성
송정호
Original Assignee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219A/ko
Publication of KR2010008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9Exploration, location of contaminated surface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능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검사면의 방사능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상기 검사면의 벽면을 따라 이송시키는 감지부이송부와; 상기 검사면으로부터 감지된 방사능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감지부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검사면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방사능 농도를 상기 검사면의 좌표값에 따라 표시하도록 상기 감지부, 상기 감지부이송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대형 구조물에 대한 방사능 농도를 감지할 때 빠른 속도로 신뢰성을 갖는 검사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방사능 농도, 신뢰성, 표면오염도

Description

방사능 감지장치{RADIOACTIVITY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방사능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정면적의 검사면에 대한 방사능 농도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사능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능 감지장치는 방사성물질등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원자력이용시설의 방사능 오염여부를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방사능 감지장치는 원자력이용시설의 자체처분 대상 벽체등의 표면오염도를 측정하여 국내원자력법에 규정하는 표면오염도 이하일 경우 방사선관리구역에서의 반출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형장비 또는 소형 공구 등은 100㎠ 측정면적을 가지는 표면오염도 감지기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대형 구조체의 경우는 측정방법 및 측정시간 등이 제한적이므로 이에 따른 대표성과 균질성 확보가 어려웠다.
종래 대형 구조체에 대한 방사능 측정 방법은 스캐닝 측정방법과 정적(Static) 측정방법의 두 가지로 실시되었다.
스캐닝 측정방법은 방사능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기를 작업자가 손으로 검사면에 가압한 채 벽면을 이동하며 측정하는 방법이다. 스캐닝 측정방법은 소정면적 을 갖는 검사면의 오염여부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지므로 인적오류가 많아 측정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점과 고가의 검출장비가 요구되는 점에서 실제 측정현장에서의 적용이 어렵다.
정적(Static) 측정방법은 검사면을 기준면적으로 복수개 분할하고, 분할된 기준면적에 대해 비연속적으로 5-6 군데의 방사능 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5-6군데의 방사능 농도의 평균값을 평균오염도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된 전체 영역에 대해 방사능 농도의 평균값을 측정한다. 정적(Static) 측정방법은 신뢰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100㎠ 측정면적을 가지는 표면오염도 감지기로 100㎡의 검사면의 표면오염도를 측정하려면 약 10,000회를 측정하여야 하며 1회 측정당 1분씩의 측정시간이 소요됨을 고려할 때 최소 20일(1일 8시간 측정시)이 소요되며, 이로 인한 데이터처리 등을 고려하면 매우 많은 시간과 인적자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 구조체에 대해 빠른 시간안에 신뢰성을 확보하여 표면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사능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방사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사선 감지장치는 검사면의 방사능 농도를 감지하는 감 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상기 검사면의 벽면을 따라 이송시키는 감지부이송부와; 검사면으로부터 감지된 방사능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감지부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검사면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방사능 농도를 상기 검사면의 좌표값에 따라 표시하도록 상기 감지부, 상기 감지부이송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검사면으로부터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는 감지기를 지지하는 감지기지지부와; 상기 감지기지지부를 상기 감지부이송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송부결합부와; 상기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기를 상기 검사면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기지지부는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검사면과 상기 감지기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감지부이송부는, 상기 감지부를 X축을 따라 이송시키는 X축이송부와; 상기 감지부를 Y축을 따라 이송시키는 Y축이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사능 감지장치에 의하면 감지부이송부에 의해 감지부가 X축과 Y축을 이동하며 각 좌표값별로 검사면에 대한 방사능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능 감지장치에 의하면 측정된 방사능 농도는 각 좌표값별로 표시부에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검사면에 대한 측정결과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이송부에 의해 감지부가 이송되므로 전체 검사면에 대한 측정시간이 짤아질 수 있으며, 검사면에 대한 거리, 이동속도, 가압력 등이 균일하므로 측정의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감지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감지장치(10)는 검사면의 방사능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100)와, 감지부(100)를 검사면을 따라 X축 및 Y축으로 이송시키는 감지부이송부(200)와,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표시부(40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300)와,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방사능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400)와, 감지부(100)와 감지부이송부(200)와 신호변환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며 검사면 표면의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감지부(100)는 검사면의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는 감지기(110)와, 감지기(110)를 지지하는 감지기지지부(120)와, 감지기지지부(120)를 감지부이송부(2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이송부결합부(130)를 포함한다.
감지기(110)는 검사면(S) 표면의 방사능 농도를 측정한다. 감지기(110)는 감지된 방사능 농도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감지기(110)는 측정방법에 따른 최소검출농도(MCD, Minimum Detectable Concentration)가 규제기준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구비한다. 감지기(110)는 상용화된 알파 표면오염도 측정계측기로 마련될 수 있다. 감지기(110)는 P-10가스를 충전 후 비례영역에서 사용하는 방식의 가스 충진형 비례계수관과, ZnS(Ag) 섬광체를 포토다이오드나 광전자증배관 앞에 도포하여 알파 또는 베타방사선을 측정하는 섬광계측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들 감지기의 구성은 종래 사용되던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지기지지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기(110)의 테두리부를 지지하여 감지기(110)가 안정적으로 검사면(S)의 방사능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기지지부(120)의 테두리영역에는 감지기(110)가 검사면(S)과 접촉할 때 감지기(110)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이격부재(121)가 복수개 구비된다. 이격부재(121)는 후술할 탄성가압부재(137)에 의해 감지기지지부(120)가 검사면(S)에 가압될 때 감지기지지부(120)와 검사면(S) 사이에 개재되어 감지기(110)와 검사면(S)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 격부재(121)는 볼캐스터로 구비되어 이격부재(121)가 검사면(S)과 점접촉되게 마련된다. 이격부재(121)는 감지기지지부(120)로부터 1mm 내외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가압부재(137)에 의해 감지기(110)가 검사면(S)에 가압될 때 되었으나 감지기(110)와 검사면(S)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격부재(121)는 검사면(S)과 점접촉되는 볼캐스터로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검사면(S)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결합부(130)는 감지부이송부(200) 상에 감지기지지부(120)를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송부결합부(130)는 결합본체(131)와, 결합본체(13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Y축이송부(220)의 Y축이송축(225)과 결합하는 Y축결합부(132)와, Y축결합부(132)의 양측에 마련되어 Y축가이드레일(227)과 결합하는 Y축가이드레일결합부(133)와, 결합본체(131)와 감지기지지부(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축(135)과, 결합축(135)을 수용하며 감지기지지부(120)를 검사면(S)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137)를 포함한다.
결합본체(131)는 사각형 부재로 마련되며 감지기지지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Y축결합부(132)는 Y축이송축(225)과 결합하여 결합본체(131)가 Y축이송축(225)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Y축결합부(132)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암나사(132a)가 형성되어 Y축이송축(225)의 수나사(225a)와 결합된다. Y축결합부(132)는 Y축구동모터(224)에 의해 Y축이송축(225)이 회전하면 회전방향에 따라 Y축이송축(225)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여기서, Y축결합부(132)는 Y축이송 축(225)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지 않고 Y축이송축(225)을 따라 승강하도록 마련된다.
Y축가이드레일결합부(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본체(131)의 양측에 마련되어 Y축결합부(132)가 Y축이송축(225)을 따라 이동할 때 Y축가이드레일(227)과 접촉지지되며 결합본체(131)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Y축가이드레일결합부(133)는 Y축가이드레일(227)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즉, Y축가이드레일(227)에 요철이 있는 경우 Y축가이드레일결합부(133)는 Y축가이드레일(227)의 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호 맞물리며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결합축(135)은 결합본체(131)와 감지기지지부(120)를 상호 결합하여 감지기지지부(120)가 결합본체(131)와 함께 Y축이송축(225)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축(135)은 결합본체(131) 상에 상하로 두 개가 마련되나 경우에 따라 결합본체(131)의 테두리를 따라 4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가압부재(137)는 결합축(135) 상에 마련되어 감지기지지부(120)를 검사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탄성가압부재(137)는 감지기지지부(120)가 검사면에 가하는 가압력이 일정하도록 조절한다. 탄성가압부재(137)는 결합본체(131)와 검사면(S)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신장된 초기상태를 유지하고, 결합본체(131)와 검사면(S)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압축된다.
감지부이송부(200)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감지부(100)를 검사면(S)을 따라 X축과 Y축을 따라 이송한다. 감지부이송부(200)는 감지부(100)를 X축을 따라 이송하는 X축이송부(210)와, 감지부(100)를 Y축을 따라 이송하는 Y축이송 부(220)를 포함한다.
X축이송부(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접촉하며 전체 방사능 감지장치(10)를 지지하는 X축이송부본체(211)와, X축이송부본체(2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X축구동모터(213)와, X축구동모터(213)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X축이송축(215)와, X축이송부본체(211)의 양측에 마련되어 Y축이송부본체(221)를 X축이송축(215)을 따라 안내하는 X축가이드레일(217)을 포함한다. X축구동모터(213)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Y축이송부본체(221)를 이송시킨다.
X축이송축(215)에는 수나사산(215a)이 형성되어 Y축이송부본체(221)의 X축결합부(222)의 암나사산(222a)와 상호 결합한다. X축이송축(215)은 X축구동모터(213)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며, Y축이송부(220)가 X축이송축(21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한다. X축가이드레일(217)은 Y축이송부(220)의 X축가이드레일결합부(223)와 상호 맞물리며 Y축이송부(210)가 안정적으로 X축이송축(215)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Y축이송부(2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이송축(215)에 결합하는 Y축이송부본체(221)와, Y축이송부본체(221)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력이 발생되는 Y축구동모터(224)와, Y축구동모터(224)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Y축이송축(225)과, Y축이송축(225)의 양측에 구비되는 Y축가이드레일(227)을 포함한다.
Y축이송부본체(221)는 X축이송축(215)에 결합되어 감지부(100)가 X축이송 축(215)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한다. Y축이송부본체(221)의 하부영역에는 X축이송축(215)과 결합하는 X축결합부(222)와, X축가이드레일(217)과 결합하는 X축가이드레일결합부(223)가 마련된다. X축결합부(222)와, X축가이드레일결합부(223)는 앞서 설명한 Y축결합부(132)와 Y축가이드레일결합부(133)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변환부(300)는 감지기(110)에서 감지된 검사면(S)의 방사능 농도 감지신호를 표시부(400)에서 표시가능한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변환부(300)는 감지기(110)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변환부(300)에서는 변환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표시부(400)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측정자가 관측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표시부(400)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은 검사면(S) 상의 X축 좌표, Y축은 검사면(S) 상의 Y축 좌표를 각각 표시하고, 각 좌표값에서 방사능 밀도를 컬러색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400)는 일반적인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면(S)을 따라 감지부(100)가 이송되도록 감지부이송부(200)를 제어하고, 감지부이송부(200)의 이송좌표와 감지부(100)에서 각 이송좌표별로 감지된 방사능 농도를 매핑하여 표시부(400)에 표시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감지부(100)가 일정한 속도로 검사면(S)을 따라 이송되도록 감지부이송부(200)를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검사면의 면적과, 감지기(110)의 최소 검출 농도(MDC, Minimum Detectable Concentration), 각 좌표에서 검사면에 대한 감지시간 등을 고려하여 감지부이송부(200)의 이송속도를 결정한다. 제어부(500)는 결정된 이송속도에 따라 감지부(100)가 이송될 수 있도록 X축구동모터(213)와 Y축구동모터(224)의 구동타이밍과 구동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감지부이송부(200)가 이송할 때 이송되는 속도와 거리를 고려하여 현재 감지기(110)가 위치한 곳의 좌표값을 감지한다. 그리고, 해당 좌표값에서 감지된 방사능 농도를 신호변환부(300)로부터 읽어들이고 이를 표시부(400)에서 표시하도록 표시부(40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감지장치(10)의 작동과정을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검사면(S)이 위치한 곳에 방사능 감지장치(10)를 설치한다. 전원이 인가되고 방사능의 표면오염도를 측정할 기구의 면적과, 이송속도, 탐지시간 등을 입력하면 제어부(500)는 감지부(100)가 이송될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X축구동모터(213)와 Y축구동모터(224)의 구동타이밍을 결정된다.
일례로 검사면의 최상측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감지부(100)가 이송되며 검사면(S)을 감지할 경우 X축구동모터(213)는 Y축이송부(22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Y축구동모터(224)는 감지부(100)가 최상측에 위치하도록 구동된다. 여기서, X축구동모터(213)와 Y축구동모터(224)는 동시에 구동되거나 순차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초기 감지위치에 도달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재(137)에 의해 감지기(110)는 검사면(S)으로 가압되나 이격부재(121)에 의해 검사면(S)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검사위치에 위치한 감지기(110)는 해당 좌표의 검사면(S)의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농도값을 신호변환부(300)로 알려준다. 해당 좌표에 대한 방사능 농도 측정이 완료되면 X축구동모터(213)가 구동되어 다음 좌표로 감지부(100)를 이동시키고 다음 좌표에 대한 방사능 농도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검사면에 대한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검사면에 대해 측정된 방사능 농도 값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과 Y축에 대한 각 좌표에 대한 이미지로 매핑화되어 나타낸다. 여기서, 도7은 각 좌표에서의 방사능 농도가 컬러와 농도에 의해 도시화 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숫자, 텍스트, 그래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감지장치는 기계적인 이송방식에 의해 감지부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X축과 Y축을 이송하며 자동으로 검사면의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므로 전체 검사면에 걸쳐 신속하게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감지장치는 이송속도가 제어부에 의해 일정하게 제어되고, 감지부와 감지면 사이의 이격거리가 이격부재에 의해 일정하게 제어되므로 검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능 탐지장치는 X축이송부와 Y축이송부의 이송이 이송축과 이송축결합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구현되나, 이외에 벨트-벨트풀리 메커니즘,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에 의한 이송방식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방사능 감지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사능 감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사능 감지장치의 감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부이송부의 X축이송부의 구성과 동작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감지부이송부의 Y축이송부의 구성과 동작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사능 감지장치의 감지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사능 감지장치의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사능 감지장치의 표시부로 표시되는 표시값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사능 감지장치 100 : 감지부
200 : 감지부이송부 300 : 신호변환부
400 : 표시부 500 : 제어부

Claims (5)

  1. 검사면의 방사능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상기 검사면의 벽면을 따라 이송시키는 감지부이송부와;
    검사면으로부터 감지된 방사능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감지부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검사면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방사능 농도를 상기 검사면의 좌표값에 따라 표시하도록 상기 감지부, 상기 감지부이송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검사면으로부터 방사능 농도를 측정하는 감지기를 지지하는 감지기지지부와;
    상기 감지기지지부를 상기 감지부이송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송부결합부와;
    상기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기를 상기 검사면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지지부는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검사면과 상기 감지기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감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이송부는,
    상기 감지부를 X축을 따라 이송시키는 X축이송부와;
    상기 감지부를 Y축을 따라 이송시키는 Y축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감지장치.
KR1020090007280A 2009-01-30 2009-01-30 방사능 감지장치 KR20100088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280A KR20100088219A (ko) 2009-01-30 2009-01-30 방사능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280A KR20100088219A (ko) 2009-01-30 2009-01-30 방사능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219A true KR20100088219A (ko) 2010-08-09

Family

ID=4275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280A KR20100088219A (ko) 2009-01-30 2009-01-30 방사능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2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212B1 (ko) * 2010-10-15 2013-06-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방사선원 탐지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원 탐지방법
KR102271095B1 (ko) * 2020-12-23 2021-07-0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방사능 오염정보 모니터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212B1 (ko) * 2010-10-15 2013-06-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방사선원 탐지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원 탐지방법
KR102271095B1 (ko) * 2020-12-23 2021-07-0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방사능 오염정보 모니터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2869B (zh) 一种陶瓷辊棒自动检测机
JP6427533B2 (ja) 放射能表面汚染密度測定装置および該測定装置による放射能表面汚染密度測定方法
CN101576514B (zh) 基于高灵敏线阵列探测器的便携式x射线探测仪
CN201218802Y (zh) 一种新型的轻便移动式ct-cbs两用机的结构
CN203929667U (zh) 陶瓷砖无损检测设备
CN201508150U (zh) X射线内部缺陷准确定位标尺
CN104515572B (zh) 基于激光测距的皮带秤
US68796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diameter of a peripheral rod in a fuel assembly of a nuclear reactor
CA3051711C (en) Form-fitting eddy current array sensor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00088219A (ko) 방사능 감지장치
USH1262H (en) Rod examination gauge
CN211478114U (zh) X射线探伤机检定平台
US5001841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 profile of a rod
Koji Underwater inspection robot—AIRIS 21®
JP6512650B1 (ja) β線測定装置
KR101159009B1 (ko) 지르코늄 튜브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튜브 검사방법
CN211977836U (zh) 一种轴类零件快速检测设备
JP2018141767A (ja) タイヤハウス汚染検査装置およびタイヤハウス汚染自動検査方法
JP2006023162A (ja) 放射性汚染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3216750B2 (ja) 物品搬出モニタ校正装置と該校正装置を用いる物品搬出モニタ
JP6598512B2 (ja) 放射能濃度測定装置及び放射能濃度測定方法
KR100622264B1 (ko) 원전 수조내 중수로형 핵연료다발 제원측정 및 검사기기
CN110567405A (zh) 平板检测装置及平面度计算方法
CN112462407B (zh) 一种燃料板表面污染定位检测装置和系统
CN219265219U (zh) 一种工程用材料厚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