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769A -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769A
KR20100085769A KR1020090005230A KR20090005230A KR20100085769A KR 20100085769 A KR20100085769 A KR 20100085769A KR 1020090005230 A KR1020090005230 A KR 1020090005230A KR 20090005230 A KR20090005230 A KR 20090005230A KR 20100085769 A KR20100085769 A KR 20100085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cds
cdte
solar cell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근 이
이태석
Original Assignee
재근 이
이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근 이, 이태석 filed Critical 재근 이
Priority to KR102009000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5769A/ko
Publication of KR2010008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 H01L31/073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comprising only AIIBVI compound semiconductors, e.g. CdS/CdT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3Solar cells from Group II-VI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와 열처리 챔버가 구비된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투명 도전 산화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에 CdS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CdS 박막 상에 CdTe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열처리 챔버에서 상기 CdTe 박막을 CdCl2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기 CdS 박막 및 상기 CdTe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됨으로써, 대면적의 CdS/CdTe 박막 태양전지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낮은 공정온도에서 치밀한 박막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CdS/CdTe thin film solar cel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한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CdS/CdTe 박막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직접 에너지를 얻어낼 수 있는 태양전지기술은 화석연료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이 되었다. 태양전지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은 잉곳 성장과 슬라이싱 공정에 기인한 높은 제조단가가 문제시되고 있다.
태양전지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재료로는 CdTe(cadmium telluride)와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등이 있다. 이들 재료들은 박막 형태로 사용되고 제조 단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재료들은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개발에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한편, CdTe 박막 태양전지를 생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이 시도되어 왔는 데 예를 들면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박막 형성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 CdS(cadmium sulfide) 박막 형성에는 CSS(closed space sublimation) 또는 CBD(chemical bath deposition) 방법, CdTe(cadmium telluride) 박막 형성에는 CSS 또는 VTD(vapor transport deposition) 방법, 그리고 후면 전극(back contact)형성에는 스퍼터링(sputtering) 이나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CdS와 CdTe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로는 CSS, VTD, 열 증착(thermal evaporation), e-beam 증착, 스퍼터링 등이 사용되었고 이중 CSS와 VTD 만이 대면적 CdTe 박막을 올리는데 성공적으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생산하는 경우의 문제점은 필요한 박막들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너무 많은 다른 기술들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복잡한 생산과정은 높은 제조단가와 낮은 생산성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CdTe 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CSS와 VTD 방법은 비교적 높은 공정 온도(>500oC)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SnO2:F (fluorine-doped tin oxide)보다 높은 가시광 투과율로 태양전지에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ZnO:Al(aluminum-doped zinc oxide)나 ITO(indium tin oxide)등의 TCO 박막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면적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 및 낮은 공정온도에서의 제조가 가능한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와 열처리 챔버가 구비된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투명 도전 산화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에 CdS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CdS 박막 상에 CdTe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열처리 챔버에서 상기 CdTe 박막을 CdCl2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기 CdS 박막 및 상기 CdTe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된다.
한편,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은 상기 CdCl2로 처리된 상기 CdTe 박막 상에 후면 전극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전극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된다.
상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마그네트론에 중첩된 RF 전원과 DC 전원을 공급 하여 발생한 스퍼터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자속을 불균형하게 발생하는 불균형 마그네트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dTe 박막을 증착하는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CdTe 타켓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dTe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판의 이송 중에도 상기 CdS 박막 상에 증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CdTe 타켓은 공정 진행 중에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기 CdS 박막, 상기 CdTe 박막 및 상기 후면 전극 박막의 증착에 이용되는 타켓은 상기 기판의 세로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 타켓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와 열처리 챔버가 구비된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투명 도전 산화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에 고저항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저항 박막 상에 CdS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CdS 박막 상에 CdTe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열처리 챔버에서 상기 CdTe 박막을 CdCl2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CdCl2로 처리된 상기 CdTe 박막 상에 Te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Te 박막 상에 후면 전극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기 고저항 박 막, 상기 CdS 박막, 상기 CdTe 박막, 상기 Te 박막 및 상기 후면 전극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된다.
상기 CdS 박막의 증착시의 공정온도는 10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dTe 박막의 증착시의 공정온도는 20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증착된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층과,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층 상에 증착된 고저항 박막 층과, 상기 고저항 박막 층 상에 증착된 CdS 박막 층과, 상기 CdS 박막 층 상에 증착된 CdTe 박막 층과, 상기 CdTe 박막 층 상에 증착된 Te 박막 층과, 상기 Te 박막 층 상에 증착된 후면 전극 박막 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층, 상기 고저항 박막 층, 상기 CdS 박막 층, 상기 CdTe 박막 층, 상기 Te 박막 층 및 상기 후면 전극 박막 층의 증착은 마그네트론에 RF 전원과 DC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한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된다.
상기 TCO 박막 층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 아연(ZnO:Al) 또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저항 박막 층은 산화 주석(SnO2),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인듐(In2O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 전극 박막은 P형 텔루르화 아연(p-ZnTe), 텔루르화 안티몬(Sb2Te3), 또는 텔루르화 구리(Cu1 .4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함으로써, 대면적화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공정온도가 낮아 제조시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트론에 중첩된 RF 전원과 DC 전원을 공급하여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증착 온도와 높은 증착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불균형 마그네트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스퍼터링시 플라즈마를 향상시켜 이온 전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아주 치밀하고 내부 스트레스가 적은 박막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두꺼운 CdTe 박막의 증착은 복수의 타켓을 이용함으로써, CdTe 박막 공정의 시간을 현격히 줄여 전체 제조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의 세로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 타켓을 이용함으로써, 대면적에 적합한 고효율의 태양전지 박막들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CdS/CdTe 박막 태양전지(100)는 투명 기판(11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투명 도전 산화(TCO) 박막 층(120), TCO 박막 층(120) 상에 증착된 고저항(HR : High Resistivity) 박막 층(130), 고저항 박막 층(130) 상에 증착되어 N 형으로 이용되는 CdS 박막 층(140), CdS 박막 층(140) 상에 증착되어 P 형으로 이용되는 CdTe 박막 층(150), CdTe 박막 층(150) 상에 증착된 Te 박막 층(160), Te 박막 층(160) 상에 증착된 후면 전극 박막층(1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기판(110)은 SLG(soda lime glass)일 수 있다.
그리고 TCO 박막 층(120)은 낮은 저항성과 가시광선에서의 높은 투명성을 갖는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 아연(ZnO:Al)이나 인듐 주석 산화물(ITO : Indium Tin Oxide)로 형성된다.
고저항 박막 층(130)은 산화 주석(SnO2), 산화 아연(ZnO), 산화 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진 산화 층이 바람직하다.
후면 전극 박막 층(170)은 P형 텔루르화 아연(p-ZnTe), 텔루르화 안티몬(Sb2Te3), 또는 텔루르화 구리(Cu1 .4Te)로 이루어지는 후면 접촉 박막 층(172) 및 후면 접촉 박막 층(172) 상에 증착된 Mo 박막 층(174)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후면 접촉 박막 층(172)은 저장 접촉(ohmic contact)을 위해 증착되며, Mo 박막 층(174)은 후면 접촉 박막 층(172)에 저면적 저항을 부여하기 위해 증착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인라인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클러스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200)은 로드 락/버퍼 챔버(210), 스퍼터링 챔버 및 열처리 챔버로 이루어진 공정 챔버들(220), 그리고 언로드 락/버퍼 챔버(2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는 도 2a 또는 도 2b의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 및 열처리 챔버로 이루어진 공정 챔버들(220)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기판을 준비한다(S302). 즉, 도 2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200)의 로드 락/버퍼 챔버(210)로 기판(110)을 제공한다.
로드 락/버퍼 챔버(210)로 제공된 기판(110)은 공정 챔버들(220)의 스퍼터링 챔버로 안내되어 기판(110) 상에 TCO 박막 층(120)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다(S304). TCO 박막 층(120)은 낮은 저항성과 가시광선에서의 높은 투명성을 갖는 ZnO:Al이나 ITO(Indium Tin Oxide)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TCO 박막 층(120)의 두께는 500~1000nm가 바람직하고, 공정 온도는 200~300oC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단계(S304)에서 사용한 동일 또는 다른 스퍼터링 챔버에서 TCO 박막 층(120) 상에 고저항 박막 층(130)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다(S306). 이 경우 고저항 박막 층(130)으로는 산화 주석(SnO2), 산화 아연(ZnO), 산화 인듐(In2O3) 등이 사용된다. 고저항 박막 층(130)의 두께는 30~150nm가 바람직하고, 공정온도는 200~300oC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고저항 박막 층(130)은 CdS/CdTe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경우라면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챔버들(220)의 스퍼터링 챔버들의 하나에서 고저항 박막 층(130) 상에 CdS 박막 층(140)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다(S308). 이 경우 CdS 박막 층(140)의 두께는 50~200nm가 바람직하고, 공정온도는 100~300oC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정 챔버들(220)의 스퍼터링 챔버들의 하나에서 CdS 박막 층(140) 상에 CdTe 박막 층(150)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다(S310). 이 경우 CdTe 박막 층(150)의 두께는 2~4㎛가 바람직하고, 공정온도 200~300oC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CdTe 박막 층(150)을 증착한 후, 공정 챔버들(220) 중의 하나인 열처 리 챔버에서 CdTe 박막 층(150)을 CdCl2 증기에 노출시킨다(S312). 이 경우 CdCl2 증기에는 산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정 온도는 380~420oC가 바람직하고, 시간은 20~40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처리 중에 형성된 잔류 CdCl2을 CdTe 박막 층(150)으로부터 전부 증발시키기 위해, 열처리 챔버를 진공상태에서 수분간 높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CdCl2 열처리를 수행한 후, CdTe 박막 층(150)까지 형성된 기판(110)은 다시 스퍼터링 챔버로 이동하고 CdTe 박막 층(150) 상에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Te 박막 층(160)을 증착한다(S314). 이 경우 Te 박막 층(160)의 두께는 20~50nm가 바람직하고, 공정 온도는 150~300oC가 바람직하다. 통상 Te 박막 층은 습식 에칭(wet etching)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다른 박막의 형성에 사용되는 동일한 스퍼터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공정이 보다 단순하여지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 Te 박막 층(160)은 CdS/CdTe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경우라면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챔버들(220)의 스퍼터링 챔버의 하나에서 Te 박막 층(160) 상에 후면 접촉 박막 층(172)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다(S316). 즉, Te 박막 층(160) 상에 p-ZnTe, Sb2Te3, 또는 Cu1 .4Te 박막을 공정 온도 150~300oC에서 두께 50~100nm로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공정 챔버들(220)의 스퍼터링 챔버의 하나에서 후면 접촉 박막 층(172)에 저면적 저항을 부여하기 위해, 후면 접촉 박막 층(172) 상에 Mo 박막 층(174)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다(S318). 이 경우 Mo 박막 층(174)의 두께는 200~500nm가 바람직하고, 공정온도는 상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과는 달리, 열처리를 제외한 모든 공정에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기술 한 가지만을 적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낮은 공정온도에서 치밀한 박막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RF 전원이나 DC 전원 중 한 가지만 사용하는 대신 RF 전원과 DC 전원을 중첩하여 마그네트론에 공급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증착 온도와 높은 증착율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DC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공정 전압을 이용하여 높은 증착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RF 전원을 이용하여 적당한 에너지의 이온을 기판에 충돌시킴으로써 더 치밀하고 더 양질의 박막을 성장시킬 수 있었다. 이 경우 DC 전원은 펄스적인 DC 전원도 포함한다.
이러한 RF/DC 전원 중첩 방식은 적당한 이온을 기판에 충돌시킴으로써 결정립 성장(grain growth)을 향상시키면서 또한 박막 성장 시에 비교적 높은 증착율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인 마그네트론 방식이 아닌 자속을 불균형하게 발생하는 불균형(unbalanced) 마그네트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타켓 이온들이 기판에 도달하게 하여 치밀한 박막과 더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은 불균형 마그네트론 방식을 사용하여 스퍼터링 시 플라즈마를 향상시켜 이온 전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 아주 치밀하고, 내부 스트레스가 적은 비기둥형(non-columnar) 박막 구조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Te 스퍼터링 챔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dTe 스퍼터링 챔버(400)는 두꺼운 CdTe 박막 층(150)을 형성하기 위해 4개의 CdTe 타켓(410)을 구비하고 있다. 즉, 다른 박막 층과 비교해 가장 두꺼운 CdTe 박막 층(150)을 증착하는 CdTe 스퍼터링 챔버(400)에는 복수의 CdTe 타켓(41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CdTe 스퍼터링 챔버(400)는 CdS 박막 층(140) 상에 CdTe 박막 층(150)를 증착하는 경우 증착율을 N배로 증가시켜 CdTe 박막 공정 시간을 현격히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CdTe 타켓(410)은 공정 진행 중에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dTe 스퍼터링 챔버(400)는 CdS 박막 층(140)까지 형성된 기판(110)이 CdTe 스퍼터링 챔버(400) 내부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도 CdTe 박막 층(150)를 증착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CdTe 스퍼터링 챔버(400)에서 이용되는 CdTe 타켓(410)은 막대형 타켓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막대형 타켓은 TCO 박막 층(120), 고저항 박막 층(130), CdS 박막 층(140), CdTe 박막 층(150), Te 박막 층(160) 및 후면 전극 박막 층(170)을 형성 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경우 막대형 타켓은 대면적에 적합한 고효율의 균일한 박막들을 얻을 수 있도록 기판(110)의 세로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기술, 특히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RF/DC 불균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TCO 박막 층(120), 고저항 박막 층(130), CdS 박막 층(140), CdTe 박막 층(150), Te 박막 층(160) 및 후면 전극 박막 층(170)을 순차적으로 증착할 수 있고 장비의 대형화로 현재 8.5세대 급의 대형 TFT-LCD 판넬 크기와 같은 2200x2600 mm2 또는 그 이상의 면적을 갖는 태양전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면 2시간 내로 태양전지를 완성할 수 있으며 열처리 공정을 제외한 모든 공정에서 기존의 CSS 와 VTD 공정 온도(>500oC)보다 훨씬 낮은 공정 온도(<300oC)를 사용함으로써 각 박막을 이루는 재료의 화학적 순수성과 안정성이 보장되고 이는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RF/DC 불균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기술은 전체 스퍼터링 면적에서 10% 이하의 두께 편차, 5% 이하의 온도 편차, 회전식 스퍼터링 타겟을 사용할 경우 70% 이상의 높은 타겟 재료 이용율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RF/DC 불균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공정의 모든 장점을 활용함으로써 생산라인에서 10 ~ 12%의 에너지 변환 고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DC 불균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비로 형성된 TCO, CdS, CdTe 박막 단면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O 박막 층(120)은 약 300nm, CdS 박막 층(140)은 약 180nm, 그리고 CdTe 박막 층(150)은 약 2.4㎛의 두께로 증착되었으며 각 박막의 경계가 매우 뚜렷하고 두께가 균일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CdCl2 열처리 후의 TCO, CdS, CdTe 박막 단면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비교할 수 있듯이, 이 열처리 공정에 의해 CdTe 결정립(grain)이 서브 마이크로 미터에서 마이크로 미터 크기로 성장하고 동시에 결정 경계면의 비활성화(passivation)가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CdS/CdTe 박막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CdS/CdTe 박막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의 평균적인 오픈 회로 전압(Voc)은 650~750mV, 단락 회로 전류(Isc)는 20~23mA, Fill Factor(FF)는 65~70%, 효율은 10~12%이다. 이는 기존의 VDT 또는 CSS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대면적 CdTe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이 8~9%인 것에 비교해 1~4%의 높은 효율이다.
본 발명은 대면적화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줄이고 낮은 공정온도로 제조시의 열화를 방지하여 태양전지의 고효율을 얻기 위해,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RF/DC 불균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한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CdS/CdTe 박막 태양전지에서 이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제조된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인라인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클러스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Te 스퍼터링 챔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DC 불균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비로 형성된 TCO, CdS, CdTe 박막 단면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도시한다.
도 6은 CdCl2 열처리 후의 TCO, CdS, CdTe 박막 단면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CdS/CdTe 박막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기판 120 : TCO 박막 층
130 : 고저항 박막 층 140 : CdS 박막 층
150 : CdTe 박막 층 160 : Te 박막 층
170 : 후면 전극 박막 층 210 : 로드 락/버퍼 챔버
220 : 공정 챔버 230 : 언로드 락/버퍼 챔버
410 : CdTe 타켓

Claims (20)

  1.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와 열처리 챔버가 구비된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투명 도전 산화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에 CdS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CdS 박막 상에 CdTe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열처리 챔버에서 상기 CdTe 박막을 CdCl2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기 CdS 박막 및 상기 CdTe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Cl2로 처리된 상기 CdTe 박막 상에 후면 전극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전극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마그네트론에 중첩된 RF 전원과 DC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한 스퍼터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자속을 불균형하게 발생하는 불균형 마그네트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dTe 박막을 증착하는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CdTe 타켓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dTe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판의 이송 중에도 상기 CdS 박막 상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CdTe 타켓은 공정 진행 중에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기 CdS 박막, 상기 CdTe 박막 및 상기 후면 전극 박막의 증착에 이용되는 타켓은 상기 기판의 세로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 타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9.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와 열처리 챔버가 구비된 인라인 또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의 CdS/CdT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투명 도전 산화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에 고저항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저항 박막 상에 CdS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CdS 박막 상에 CdTe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열처리 챔버에서 상기 CdTe 박막을 CdCl2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CdCl2로 처리된 상기 CdTe 박막 상에 Te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Te 박막 상에 후면 전극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상기 고저항 박막, 상기 CdS 박막, 상기 CdTe 박막, 상기 Te 박막 및 상기 후면 전극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마그네트론에 중첩된 RF 전원과 DC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한 스퍼터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자속을 불균형하게 발생하는 불균형 마그네트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dTe 박막을 증착하는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CdTe 타켓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dTe 박막의 증착은 상기 복수의 스퍼터링 챔버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판의 이송 중에도 상기 CdS 박막 상에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CdTe 타켓은 공정 진행 중에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dS 박막의 증착시의 공정온도는 10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dTe 박막의 증착시의 공정온도는 20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17.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증착된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층과,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층 상에 증착된 고저항 박막 층과,
    상기 고저항 박막 층 상에 증착된 CdS 박막 층과,
    상기 CdS 박막 층 상에 증착된 CdTe 박막 층과,
    상기 CdTe 박막 층 상에 증착된 Te 박막 층과,
    상기 Te 박막 층 상에 증착된 후면 전극 박막 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전 산화 박막 층, 상기 고저항 박막 층, 상기 CdS 박막 층, 상기 CdTe 박막 층, 상기 Te 박막 층 및 상기 후면 전극 박막 층의 증착은 마그네트론에 RF 전원과 DC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한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CdS/CdTe 박막 태양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TCO 박막 층은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 아연(ZnO:Al) 또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항 박막 층은 산화 주석(SnO2),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인듐(In2O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막 태양전지.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전극 박막은 P형 텔루르화 아연(p-ZnTe), 텔루르화 안티몬(Sb2Te3), 또는 텔루르화 구리(Cu1 .4Te)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CdS/CdTe 박 막 태양전지.
KR1020090005230A 2009-01-21 2009-01-21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85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30A KR20100085769A (ko) 2009-01-21 2009-01-21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30A KR20100085769A (ko) 2009-01-21 2009-01-21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769A true KR20100085769A (ko) 2010-07-29

Family

ID=4264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230A KR20100085769A (ko) 2009-01-21 2009-01-21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57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30B1 (ko) * 2012-03-28 2013-07-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26099A1 (en) * 2012-08-10 2014-02-13 University Of Kansas Ultrathin group ii-vi semiconductor layers, group ii-vi semiconductor superlattice structures, photovoltaic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CN106129143A (zh) * 2016-07-01 2016-11-16 武汉光电工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取向性硒化锑薄膜及其制备方法
JP2020511000A (ja) * 2017-02-24 2020-04-09 ファースト・ソーラ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ドープ光起電力半導体層および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30B1 (ko) * 2012-03-28 2013-07-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26099A1 (en) * 2012-08-10 2014-02-13 University Of Kansas Ultrathin group ii-vi semiconductor layers, group ii-vi semiconductor superlattice structures, photovoltaic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US9806212B2 (en) 2012-08-10 2017-10-31 University Of Kansas Ultrathin group II-VI semiconductor layers, group II-VI semiconductor superlattice structures, photovoltaic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CN106129143A (zh) * 2016-07-01 2016-11-16 武汉光电工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取向性硒化锑薄膜及其制备方法
JP2020511000A (ja) * 2017-02-24 2020-04-09 ファースト・ソーラ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ドープ光起電力半導体層および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7294B2 (en) Solar cell and production thereof
US20100055826A1 (en) Methods of Fabrication of Solar Cells Using High Power Pulsed Magnetron Sputtering
JP5956397B2 (ja) 銅・インジウム・ガリウム・セレニウム(cigs)または銅・亜鉛・錫・硫黄(czts)系薄膜型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32268A1 (en) Electrode, photovoltaic device, and method of making
JPH10144946A (ja) 薄膜太陽電池の透明導電膜及び該透明導電膜の製造 方法
US9559247B2 (en) Photovoltaic device containing an N-type dopant source
KR101628312B1 (ko) CZTSSe계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CZTSSe계 박막 태양전지
KR101747395B1 (ko) Cigs 광전변환 소자의 몰리브데넘 기판
TWI442582B (zh) 用於太陽能電池的氧化鎘鋅緩衝層
US10211351B2 (en) Photovoltaic cell with high efficiency CIGS absorber layer with low minority carrier lifetim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8476105B2 (en) Method of making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and a photovoltaic device
KR101870236B1 (ko) 투명 전도 산화막 기판을 이용한 양면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태양전지
KR20100085769A (ko) CdS/CdTe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2200B1 (ko) Czts계 태양전지용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박막을 포함하는 czts계 태양전지
US20120180858A1 (en) Method for making semiconducting film and photovoltaic device
JP2014045000A (ja) 化合物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6487B1 (ko) CdS/CdTe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WO2011123117A1 (en) Photovoltaic cells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
WO2023109712A1 (zh) 宽禁带铜镓硒光吸收层及其制备方法、太阳能电池
KR102227799B1 (ko) Cigs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TWI634669B (zh) 大面積薄膜太陽能電池的製法
US2013013720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KR101462498B1 (ko) Cigs 흡수층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박막 태양전지
KR101552968B1 (ko) Cigs 박막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박막 태양전지
CN106098858A (zh) 一种碲化镉太阳能电池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