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42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428A
KR20100085428A KR1020090004706A KR20090004706A KR20100085428A KR 20100085428 A KR20100085428 A KR 20100085428A KR 1020090004706 A KR1020090004706 A KR 1020090004706A KR 20090004706 A KR20090004706 A KR 20090004706A KR 20100085428 A KR20100085428 A KR 20100085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nel
cabinet
air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539B1 (ko
Inventor
김휘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539B1/ko
Priority to EP10150284.7A priority patent/EP2208942A3/en
Priority to CN201010003555A priority patent/CN101793431A/zh
Publication of KR2010008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중앙패널과 이 중앙패널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이동패널들을 구비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이동패널들은 구동유닛에 의해 전진되어 이 이동패널들의 양 측면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들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의 공기조화기는 내부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이동패널들의 양 측면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면패널은 캐비닛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패널과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패널을 포함한다.
이때, 상부패널에는 토출그릴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로 인해 캐비닛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그릴을 통해 전방으로 토출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그릴의 회전 시 토출그릴을 통해 캐비닛의 내부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패널이 전방으로 전진되어 전 면패널과 캐비닛의 양 측면 사이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조화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공기조화기는 캐비닛과 전면패널의 양 측면 사이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됨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캐비닛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열교환된 공기를 용이하게 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열교환기와 송풍장치가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는 중앙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패널과 분리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패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패널에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패널들은 상기 중앙패널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 내부의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각 이동패널의 전진 시 상기 각 이동패널의 양 측면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패널들의 후방에는 상기 이동패널들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각 이동패널을 전후방향으로 개별적 또는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축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이동패널들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이동패널은 상기 회전유닛들에 의해 상기 중앙패널에 인접한 단부 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이동패널의 외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회전유닛들에 의한 상기 각 이동패널의 회전에 따라 그 방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유닛들은 상기 각 이동패널의 후면에 연장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유닛들은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축 상에 타측이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상기 각 이동패널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변시키는 보조송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송풍유닛은 상기 중앙패널에 설치되며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재와, 상기 토출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가변되는 공기는 상기 이동패널들의 내측면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송풍유닛은, 상기 중앙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보조팬덕트와, 상기 보조팬덕트에 수용되는 보조송풍팬을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부재와 연통되며,
상기 보조송풍팬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공기를 송풍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중앙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토출부재의 길이방향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는 중앙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패널과 분리된 이동패널들과, 상기 이동패널들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이동패널들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는 중앙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패널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이동패널들과,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각 이동패널의 양 측면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동패널들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중앙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이동패널들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변시키는 보조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중앙패널과 이 중앙패널의 양 측에 배치되어 이동패널로 이루어진 전면패널을 구비하고, 이동패널들의 양 측면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킴에 따라 캐비닛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열교환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되는 캐비닛(10)과, 이 캐비닛(10)의 개방된 전면 전체에 걸쳐 덮도록 상부패널과 하부패널로 이루어진 전면패널(40)을 구비한다.
이때, 캐비닛(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전면 전체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이 캐비닛(10)의 하부 후면 또는 측면에는 이 캐비닛(10)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11)가 형성된다.
캐비닛(10)의 내측 상부에는 송풍장치(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20)가 설치되고,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는 공기 흡입구(11)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장치(3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20)는 송풍장치(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마련되고, 캐비닛(10)의 내측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송풍장치(30)는 송풍팬(31)과, 이 송풍팬(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송풍팬(31)을 수용하는 팬덕트(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풍팬(31)은 통상 원심형 송풍팬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20)를 거친 후 다시 외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는 송풍팬(31)의 후면에 결합되어 이 송풍팬(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팬덕트(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송풍팬(31)을 수용하며, 송풍팬(31)의 구동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열교환기(20) 측으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면패널(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패널(41)과 이 중앙패널(41)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이동패널들(46)을 포함한다.
중앙패널(41)은 전면패널(40)의 중앙에 배치되며, 이러한 중앙패널(41)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49)가 설치된다.
이동패널들(4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패널(41)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패널들(46)은 구동유닛(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이동패널들(46)은 구동유닛(5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될 때 각 이동패널들(46)의 양 측면을 통해 캐비닛(10) 내의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42,43,44)를 형성한다.
구동유닛(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패널(46)의 후방에 배치되는 랙기어(51)와, 이 랙기어(5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3)와, 이 피니언기 어(53)에 축 결합되는 구동모터(55)를 포함한다.
즉, 각 이동패널(46)은 구동모터(55)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53)가 회전되고 이 피니언기어(53)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53)와 치합된 랙기어(51)가 움직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유닛(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패널(46)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구동유닛(50)의 랙기어(51)를 안내하는 랙기어의 가이드부재(5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공기조화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패널(46)이 구동유닛(50)에 의해 전진될 때 캐비닛(10) 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들(42,43,44)을 형성한다.
이러한 토출구들(42,43,44)은 각 이동패널들(46)의 전진 시 어느 하나의 이동패널(46)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토출구(42)와, 다른 하나의 이동패널(46)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토출구(43)와, 각 이동패널(4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3토출구(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토출구(42) 및 제2토출구(4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측면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토출된다. 또, 제3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각 이동패널(46)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만나 섞이면서 전방을 향한다.
또,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어느 일측의 이동패널(46) 만이 전진되어 토출구들(42,43,4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는 공기조화기의 일측면 방향과 중앙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50)에 의해 전진된 각 이동패널들(46)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6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유닛(60)은 각 이동패널(46)의 외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 즉, 제1토출구(42) 및 제2토출구(4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유닛(60)은 각 이동패널(46)의 후면에서 연장된 브라켓(61)과, 브라켓(6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5)와, 브라켓(61)에 일측이 고정되고 회전모터(65)의 축 상에 타측이 고정되는 가이드부재(63)를 포함한다.
브라켓(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이동패널(46)의 후면에서 연장되며, 중앙패널(41)에 인접한 단부를 꼭지점으로 하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63)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브라켓(61)에 타측이 회전모터(65)의 축 상에 고정된다.
회전모터(65)는 가이드부재(63)와 고정되는 랙기어(51)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모터(65)는 가이드부재(63)를 중앙패널(41)에 인접한 단부측 즉, 가이드부재(63)와 랙기어(51)의 고정부위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브라켓(61)을 회전시킨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50)의 랙기어(52)는 Y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모터(55)가 회전할 때 각 이동패널(46)을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랙기어(52)의 두방향으로 갈라진 부분에는 각 이동패널(46)의 후방에 설치되는 각 회전유닛(60)의 가이드부재(63)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유닛(60)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50)에 의해 각 이동패널(46)을 전진시켜 캐비닛(10) 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킨다.
이러한 경우 제1토출구(42) 및 제2토출구(4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측면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토출되고, 제3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각 이동패널(46)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만나 섞이면서 전방을 향한다.
또, 상기의 공기조화기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패널(46)이 구동유닛(50)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회전유닛(60)에 의해 각 이동패널(46)을 중앙패널(41)에 인접한 단부측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구(42) 및 제2토출구(4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측으로 더 치우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공기조화기는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패널(46)이 구동유닛(50)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일측의 이동패널(46) 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타측의 이동패널(46)의 외측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그대로 둔 채 일측의 이동패널(46)의 외측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더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패널(46)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 즉, 제3토출구(44)를 통해 토출 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조송풍유닛(70)을 더 포함한다.
보조송풍유닛(70)은 중앙패널(41)에 설치되며 전면에 제4토출구(72)가 형성된 토출부재(71)와, 토출부재(71)를 회전시켜 제4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변시키는 회전모터(77)을 포함한다.
토출부재(71)는 중앙패널(41)의 중앙에서 이 중앙패널(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부재(71)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패널(41)에는 반원형상의 토출부재(71)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양 측이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된 설치홈(45)이 마련된다.
토출부재(7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4토출구(7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4토출구(72)는 토출부재(7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하나의 긴 토출구 또는 다수의 토출구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로 형성된다.
또, 보조송풍유닛(70)은 중앙패널(41)의 후면에 형성된 하우징(75)과, 하우징에 연결되는 보조송풍장치를 더 포함한다. 보조송풍장치는 보조송풍팬(73)와, 이 보조송풍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이 보조송풍팬을 수용하는 보조팬덕트(74)를 포함한다.
하우징(7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패널(41)의 후방에 형성되며 그 하부에 보조팬덕트(74)가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75)은 보조송풍팬(73)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캐비닛(10) 내부의 다른 공간과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또, 하우징(75)은 토출부재(71)의 제4토출구(72)와 연통되는데, 이와 같이 보조송풍팬(73)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하우징(75)의 내부 공간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다가 토출부재(71)의 제4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된다.
회전모터(77)는 토출부재(71)의 상측에 배치되어 중앙패널(41)의 설치홈(45) 내에서 토출부재(71)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송풍유닛(70)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구동유닛(50)에 의해 각 이동패널(46)을 전진시켜 캐비닛(10) 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킨다. 이러한 경우 제1토출구(42) 및 제2토출구(4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측면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토출되고, 제3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각 이동패널(46)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만나 섞이면서 전방을 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보조송풍유닛(70)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각 이동패널(46) 측으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송풍팬(73)을 작동하면 이 보조송풍팬(73)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하우징(75)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하우징(75)의 내부공간에서 유동되는 공기는 토출부재(71)에 형성된 제4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되는데, 회전모터(77)에 의한 토출부재(71)의 회전에 따라 제4토출구(72)의 방향이 변경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송풍팬(73)에서 송풍되어 제4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변경되면, 제3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방에서 각 이동패널(46) 측으로 치우치게 변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40)을 중앙패널(41)과 이 중앙패널(41)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이동패널들(46)로 분리하고 각 이동패널(46)의 양 측면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캐비닛(10)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이동패널(46)을 개별적 또는 동시에 전진시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유닛(60)을 작동시켜 각 이동패널(46)의 외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고, 보조송풍유닛(70)을 작동시켜 각 이동패널(46)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이동패널이 전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a,4b,4c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7b,7c,7d는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10b는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20 : 열교환기
30 : 송풍장치 40 : 전면패널
41 : 중앙패널 42,43,44 : 제1,2,3토출구
45 : 설치홈 46 : 이동패널
49 : 디스플레이 50 : 구동유닛
51 : 랙기어 53 : 피니언기어
55 : 구동모터 60 : 회전유닛
61 : 브라켓 63 : 가이드부재
65 : 회전모터 70 : 보조송풍유닛
71 : 토출부재 72 : 제4토출구
73 : 보조송풍팬 75 : 하우징

Claims (21)

  1. 전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열교환기와 송풍장치가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는 중앙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패널과 분리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패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패널에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들은 상기 중앙패널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의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각 이동패널의 전진 시 상기 각 이동패널의 양 측면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들의 후방에는 상기 이동패널들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각 이동패널을 전후방향으로 개별적 또는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축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패널들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들은 상기 각 이동패널을 상기 중앙패널에 인접한 단부측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패널의 외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회전유닛들에 의한 상기 각 이동패널의 회전에 따라 그 방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들은 상기 각 이동패널의 후면에 연장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들은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축 상에 타측이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상기 각 이동패널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변시키는 보조송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송풍유닛은 상기 중앙패널에 설치되며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재와, 상기 토출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 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가변되는 공기는 상기 이동패널들의 내측면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송풍유닛은,
    상기 중앙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보조팬덕트와,
    상기 보조팬덕트에 수용되는 보조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부재와 연통되며,
    상기 보조송풍팬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공기를 송풍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중앙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토출부재의 길이방향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는 중앙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패널과 분리된 이동패널들과,
    상기 이동패널들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이동패널들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0.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는 중앙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패널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이동패널들과,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각 이동패널의 양 측면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동패널들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중앙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각 이동패널들의 내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변시키는 보조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1.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90004706A 2009-01-20 2009-01-20 공기조화기 KR10157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06A KR101576539B1 (ko) 2009-01-20 2009-01-20 공기조화기
EP10150284.7A EP2208942A3 (en) 2009-01-20 2010-01-08 Air conditioner
CN201010003555A CN101793431A (zh) 2009-01-20 2010-01-15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06A KR101576539B1 (ko) 2009-01-20 2009-01-2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428A true KR20100085428A (ko) 2010-07-29
KR101576539B1 KR101576539B1 (ko) 2015-12-10

Family

ID=4211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706A KR101576539B1 (ko) 2009-01-20 2009-01-2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208942A3 (ko)
KR (1) KR101576539B1 (ko)
CN (1) CN1017934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974A (ko) * 2017-06-09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044299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공기조화기
KR20200089047A (ko) * 2019-01-16 2020-07-24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에어컨의 송풍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4540B (zh) * 2011-08-25 2015-08-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2997339B (zh) * 2011-09-08 2015-09-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04180499B (zh) * 2013-05-23 2017-02-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4344527A (zh) * 2013-08-03 2015-0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3743078B (zh) * 2014-01-20 2016-06-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双开关门结构
CN103982940B (zh) * 2014-03-28 2016-11-02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4197419B (zh) * 2014-09-11 2017-02-15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柜式空调室内机
US11118792B2 (en) 2015-07-17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504098B1 (ko) * 2015-10-14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8036491B (zh) * 2018-01-22 2023-07-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机壳组件及空调器
CN112440682B (zh) * 2019-08-31 2022-11-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的空调出风结构、车辆空调系统及车辆
TW202311632A (zh) 2020-05-14 2023-03-16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送風機
CN114251726B (zh) * 2020-09-25 2023-08-15 广州联动万物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的前面板控制方法及前面板装置
WO2023029682A1 (zh) * 2021-08-31 2023-03-0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柜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1722B2 (ja) * 2003-09-30 2005-04-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05040690A1 (en) * 2003-10-24 2005-05-06 Lg Electronics Ltd. Indoor unit in air conditioner
JP4001172B1 (ja) * 2006-04-17 2007-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EP2049843B1 (en) * 2006-08-08 2017-01-04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EP1950502A1 (en) * 2007-01-26 2008-07-3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with actuating means for movable front panel to enable opening/closing of the air inl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974A (ko) * 2017-06-09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880094B1 (ko) * 2017-06-09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044299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공기조화기
KR20200089047A (ko) * 2019-01-16 2020-07-24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에어컨의 송풍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8942A3 (en) 2014-09-10
EP2208942A2 (en) 2010-07-21
CN101793431A (zh) 2010-08-04
KR101576539B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539B1 (ko) 공기조화기
EP3040627B1 (en) Air conditioner
US9759445B2 (en) Air conditioner
KR101606006B1 (ko) 공기조화기
KR20140046667A (ko) 공기 조화기
JP2014092317A (ja) 床置き型空調室内機
KR1013923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9804202B (zh) 空调
JP6648988B2 (ja) 空気調和機
KR20170090288A (ko)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JP2010210132A (ja) 空気調和機
KR20090005759A (ko) 공기조화기
JP7185185B2 (ja) 空気調和機
KR20190079185A (ko) 공기조화기
KR100760198B1 (ko) 공기조화기
JP2009085449A (ja) 床置き式空気調和機
KR20090008629A (ko) 공기조화기
KR20190012841A (ko) 공기조화기
KR100667275B1 (ko) 공기조화기
KR20220099282A (ko) 공기조화기
KR102014403B1 (ko) 공기 조화기
KR102003814B1 (ko) 공기 조화기
JP2006153446A (ja) 空気調和機
KR200462301Y1 (ko) 공기조화기
KR101481695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도어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