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954A -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954A
KR20100084954A KR1020090015501A KR20090015501A KR20100084954A KR 20100084954 A KR20100084954 A KR 20100084954A KR 1020090015501 A KR1020090015501 A KR 1020090015501A KR 20090015501 A KR20090015501 A KR 20090015501A KR 20100084954 A KR20100084954 A KR 2010008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eg
folded
vehicle
mai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647B1 (ko
Inventor
권오선
강미정
Original Assignee
권오선
강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선, 강미정 filed Critical 권오선
Publication of KR2010008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3Adaptations for loading in or o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카트는 적재대상물을 싣기 위한 적재부의 전후방 다리를 후방으로 접은 상태에서 적재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짐칸의 좁은 공간 내에 적재 가능케 하고,
또 적재부의 전방다리가 접혀지더라도 짐칸 바닥에 밀착되어 적재부를 떠받치는 전방 보조캐스터와, 지면에 지지되던 후방다리가 접히는 동안에 적재부를 떠받치는 중간 보조캐스터가 적재부의 저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짐칸에 카트를 적재할 때에 카트를 들어 올릴 필요 없이 수평으로 미는 힘만으로 그대로 밀어서 바로 짐칸에 적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또 적재부 내측에 위치하면서 차량 짐칸의 높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조건에 충족하는 후방다리 길이만큼 카트를 소형화할 수 있고, 아울러 이를 통해 차량 짐칸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메인힌지를 통해 적재부와 연결된 후방다리가 접힌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적재부의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구조, 또는 메인힌지에 의해 적재부와 연결된 후방다리가 후방으로 접혀 회동되어 적재부의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면서 적재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회동구조로 이루어진다.
차량, 승합차, 운반차, 화물차, 트렁크, 짐칸, 적재, 카트, stretcher, 들것, 운반, 접이식, 폴딩, folding

Description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FOLDING CART}
본 발명은 환자, 짐 또는 각종 장비 등을 적재한 상태로 차량에 싣거나, 차량에서 내려서 이동시킬 수 있는 접이식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부에 구비된 후방다리는 후방으로 접힌 상태에서 적재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짐칸의 좁은 공간 내에 적재 가능케 하며,
카트를 차량 짐칸에 싣는 경우, 적재부의 전방다리가 접혀지기 전에 짐칸 바닥에 먼저 밀착되는 전방 보조캐스터가 구비되어, 전방다리가 접히더라도 적재부를 수평이 되도록 떠받치면서 짐칸 내부로 카트가 이송되도록 하며, 카트의 절반 이상이 짐칸 내부로 이송되면 그 동안 지면에 지지되던 후방다리가 접혀야 하는데, 후방다리가 접혀지더라도 적재부를 그대로 떠받치면서 수평을 유지하는 중간 보조캐스터가 적재부의 저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짐칸에 카트를 적재할 때에 카트를 들어 올릴 필요 없이 수평으로 미는 힘만으로 그대로 밀어서 바로 짐칸에 적재할 수 있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에 관한 것이다.
환자나 짐, 또는 각종 장비 등을 싣고 운반하여 차량의 짐칸에 적재하기 위한 카트는 차량 적재시 먼저 전방다리가 후방으로 접히고 나서 이후 후방다리가 후방으로 접히게 되는데,
이때 후방으로 접힌 후방다리는 적재부 내에서 벗어나 위치하게 되고(적재부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이를 위해 차량 짐칸의 공간에 맞게 카트를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 예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68435호(2002.03.05, 등록,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 『개량 스트레쳐』에서는 안치대(본 발명의 적재부에 해당) 중심에 근접하게 전후방 다리를 설치하고 접힐 때에 적재부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안치대의 후방으로 후방다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선행기술 1의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무게 중심이 한 쪽 또는 중심 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이는 무게 중심이 치우치는 쪽을 회피해서 적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안치대의 적재 면적이 좁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또 짐칸의 높이가 높을수록 비례하게 상응한 길이를 갖는 후방다리를 적재부 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서는 점점 적재부 중심 측에 근접하여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실용화할 수 없으며,
또 전방다리의 길이를 A라고 하고, 후방다리는 전방다리와 같은 길이의 A'를 가져야 하며, 전후방 다리의 총 길이는 A+A'이므로 전후방 다리가 접힌 상태에서 안치대 내에 위치하려면 안치대의 전후 너비는 전후방 다리의 총 길이와 같거나 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일본 특개평 제5-31139호(1993.02.09, 공개, 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 『DAMPING APPARATUS FOR STRETCHER IN AMBULANCE』는 프레임에 각각 일단이 힌지 결합된 두 암(arm)과, 상기 두 암의 타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베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두 암이 힌지를 기준으로 접히어 프레임을 상하로 승하강 되게 한 구조로써,
상기 프레임은 본 발명의 적재부에 해당하고, 상기 두 암과 베이스는 본 발명의 전후방 다리에 해당하는데, 선행기술 2는 두 암과 베이스가 프레임 내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프레임 하부에 밀착되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트래쳐를 차량의 짐칸(선행기술 2에서는 앰뷸런스에 해당)에 싣기 위하여서는 프레임이 하강한 상태에서 인력 또는 기력(機力)으로 들어 올려 실어야 하고 내릴 때에도 동일하게 들어서 내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후방 다리를 후방으로 접히게 하되, 적재부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짐칸의 좁은 공간 내에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력 등으로 들어 올려서 싣는 것이 아니라 적재부에 적재대상물이 있는 상태에서 수평으로 미는 힘만으로 그대로 밀어서 차량 짐칸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접힌 후방다리를 전방다리 측으로 이동시켜 전진배치 시킴으로써, 카트의 적재부를 전방다리의 길이와 상응하거나 이에 가까운 전후 너비를 갖도록 하여 카트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전후방 다리가 상호 연동되어 함께 접혀 차량 짐칸 적재시 들어 올려 적재하여야 하는 구조에서 탈피하고,
전후방 다리를 개별적으로 접히게 하되, 보조캐스터를 더 구비하여 전방다리가 접히기 전에 전방 보조캐스터가 차량 짐칸 바닥에 먼저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차량 짐칸으로 이송되면 후방다리가 접히기 전에 중간 보조캐스터가 차량 짐칸 바닥에 먼저 밀착되는 구조를 통하여 카트를 그대로 밀어 적재할 수 있는 접이식 카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접힌 전방다리와 비(非)동일선상으로 적재부의 하부에 배열된 후방다리가 접힌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적재부의 하부에 숨겨지게 하여 전후방 다리 모두가, 특히 후방 다리가 적재부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돌출되어 있지 않고) 적재부의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량 짐칸을 차지하게 되는 공간이 적재부의 크기와 상응한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펼쳐진 후방다리를 고정수단의 해제와 함께 후방으로 회동시켜 적재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다리를 적재부의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량 짐칸을 차지하게 되는 공간이 적재부의 크기와 상응한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적재부의 전방다리가 접혀지더라도 짐칸 바닥에 지지되어 적재부를 떠받치고, 지면에 지지되던 후방다리가 접히는 동안에 짐칸 바닥에 지지되어 적재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각 해당부위에 보조캐스터를 구비하여 적재부를 들어 올려 적재할 필요 없이 수평으로 미는 힘만으로 그대로 밀어서 바로 짐칸에 적재할 수 있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후방 다리가 모두 접힌 상태에서 적재부의 이동을 보조하는 후방 보조캐스터(caster)를 더 구비한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짐칸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각각 상기 적재부와의 사이에 배열된 메인힌지를 포함하고, 각각 상기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접히는 전방 및 후방 다리; 및
전후방 다리의 일부 또는 모두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접힌 후방다리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적재부의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게 되는 슬라이딩 구조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로는,
구현예 1은 슬라이드 안내공을 갖는 가이더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더의 슬라이드 안내공에 후방메인힌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2는 상기 후방다리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공에 후방메인힌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3은 상기 후방다리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공에 위치하는 후방서브힌지를 통하여 상기 후방다리에 연결되는 보조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링크에 후방메인힌지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현예 1 내지 3 외에 다른 구현예인 회동 구조를 제공하는데,
구현예 4는 상기 후방다리를 위한 후방메인힌지는 접힌 후방다리가 상기 적재부 상부에 위치하면서 적재부의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변위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카트는 상기 적재부의 전방다리가 접혀지더라도 짐칸 바닥에 지지되어 적재부를 떠받치는 전방 보조캐스터가 적재부의 저면 전방부에 구비되어 있고,
지면에 지지되던 후방다리가 접히는 동안에 짐칸 바닥에 지지되어 적재부를 떠받치는 중간 보조캐스터가 적재부의 저면 중간부에 구비되어 있어,
수평으로 미는 힘만으로 상기 적재부를 그대로 밀어서 바로 짐칸에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후방 다리가 모두 접힌 상태에서 적재부의 이동을 보조하는 후방 보조캐스터(caster)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는,
차량 짐칸의 좁은 공간에 적재할 수 있도록 접이식 구조의 카트를 제공하되,
특히 접힌 전후방 다리가 적재부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이는 기존 카트와 대비해서 카트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차량 짐칸의 좁은 공간에 적재 가능케 함은 물론, 이를 통해 차량 짐칸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또 전후방 다리의 연동 접힘 구조에서 탈피하여 개별 접힘 구조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들어 올려 짐칸에 적재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위해 카트의 적재부 전방 하부에 전방 보조캐스터가 구비됨으로써, 카트가 차량의 짐칸 속으로 밀려들어 가면서 전방 보조캐스터가 짐칸의 바닥면에 접하게 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전방다리가 접히기 시작할 때 상기 전방 보조캐스터가 전방다리를 대신하여 적재부를 떠받치도록 작용하여 차량 짐칸 내에서는 바퀴로써의 기능을 하게 되고, 이후 적재부의 중간 또는 후방(적재부의 하부 또는 접힌 후방다리)에 더 구비된 보조캐스터로 인해 차량 짐칸에 완전히 적재될 때까지 수평이 유지되며, 이는 수평으로 미는 힘만으로도 적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기존 카트와 대비해서 적재부 가장자리에 전후방 다리를 배치할 수 있어 적재대상물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어느 한쪽으로 무게가 쏠리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후방다리의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1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내기 위하여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카트를 차량의 짐칸에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후방다리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2를 나타낸 것으로 후방다리가 접혀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후방다리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3을 나타낸 것으로 후방다리가 접혀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후방다리 회동 구조 구현예 4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을 기준으로 전방다리 측을 전방 또는 전단, 후방다리 측을 후방 또는 후단, 상판 측을 상부 또는 상단, 메인캐스터 측을 하부 또는 하단이라 정한다.
또 도 2의 "A"는 고정브라켓의 측부에 구동모터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7의 "B"는 제2홀딩수단 중 걸림부와 대응걸림부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차량'이라는 개념은 내연기관 또는 전기 등의 동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일반 차량, 경운기 또는 트랙터 등의 농기계를 비롯하여, 동력이 없는 리어카 등의 수레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는,
크게 적재부, 전방 및 후방 다리, 고정수단 및 보조캐스터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적재부(10)는
상판(11),
상기 상판(11)의 좌우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사이드바(12), 그리고
상기 상판(11)의 전후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손잡이(13)는 본 발명의 카트를 밀거나 당기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상기 사이드바(12)와 같이 상기 상판(11)에 적재된 적재대상물이 움직임을 제한하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기능 또한 제공한다.
그리고 적재대상물을 상기 상판(11)에 올리거나 내리기 용이하도록 상기 사이드바(12) 또는 상기 손잡이(13), 또는 이들 모두가 힌지로 상기 상판(11)에 연결되고, 힌지를 기준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접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방다리(20)는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전방측 하부 또는 측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짐칸(1)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적재부(10)와의 사이에 배열된 메인힌지(221)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힌지(221)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접히는 것으로,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에 결합된 장착부(21),
상기 장착부(21)와 메인힌지(221)로 연결된 전방서포트(22),
상기 전방서포트(22)의 하부에 구비된 메인캐스터(23), 그리고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중단측 하부 또는 측부와 상기 전방서포트(22)의 하단에 각각 일단부(一端部)와 타단부(他端部)가 힌지 결합되는 폴딩링크(24 : folding link)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폴딩링크(24)는 폴딩 가능한 제1 및 제2 링크(242, 243)로 이루어지고, 두 링크(242, 243)는 링크힌지(241)로 연결되며, 두 링크(242, 243)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언폴딩고정수단(미(未)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언폴딩고정수단을 해제하고 상기 적재부(10)의 손잡이, 특히 후방에 위치한 손잡이(13)를 잡고 밀어서 그대로 차량 짐칸에 넣게 되면, 상기 전방다리(20)의 전방서포트(22)가 차량 범퍼에 접촉하기 전에 인위적으로 상기 폴딩링크(24)를 접거나 또는 그대로 접촉시켜 외력에 의하여 상기 폴딩링크(24)가 접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방다리(20)가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하부에 숨겨지게 된다.
상기 보조캐스터(50)는
상기 전후방 다리(20, 30)가 접힌 상태에서 적재부(10)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캐스터(50)가 더 구비되는데,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상기 적재부(10)의 전방 측의 보조캐스터를 전방 보조캐스터, 중간 측 보조캐스터를 중간 보조캐스터, 그리고 후방 측의 보조캐스터를 후방 보조캐스터라고 칭하고, 각각 순서대로 도면부호를 50A, 50B, 50C로 분류하여 기재한다.
상기 전방 보조캐스터(50A)는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전방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접힌 전방다리(20)를 대신하여 차량 짐칸(1) 바닥과 접촉하여 적재부(10)를 지지하고 또 적재부(10)의 수평 이동을 도와주게 된다.
이후 상기 적재부(10)는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중간 하부에 구비된 중간 보조캐스터(50B)를 따라 계속적으로 수평 이동을 하게 되고,
슬라이딩 구조의 구현예 1 내지 3, 그리고 회동 구조의 구현예 4에 따른 접힌 후방다리(30) 또는 적재부(1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 후방 보조캐스터(50C)를 통해 차량 짐칸(1)에 카트가 완전히 적재될 때까지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후방 보조캐스터(50C)에 대해서는 이후에 각 구현예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후방다리(30 : 30A, 30B, 30C, 30D)는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후방측 하부 또는 측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짐칸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적재부(10)와의 사이에 배열된 메인힌지(31)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힌지(31)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접히는 것으로,
크게 슬라이딩 구조(구현예 1 내지 3)와 회동 구조(구현예 4)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1에 따른 후방다리(30A)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구현예 1의 후방다리(30)를 위하여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하부에 카트의 진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공(141)이 형성된 가이더(14 : guider)가 구비되고,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구현예 1의 후방다리(30A)는
상기 가이더(14)의 슬라이드 안내공(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힌지(31),
상기 메인힌지(31)가 일단부에 구비되는 후방서포트(32),
상기 후방서포트(32)의 하단에 구비된 메인캐스터(33) 그리고
상기 후방서포트(32)의 하단에 구비된 후방 보조캐스터(50C)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방다리(10)의 메인힌지(221)를 '전방메인힌지' 라 칭하고, 또 상기 후방다리(30A)의 메인힌지(31)를 '후방메인힌지' 라고 칭하되, 후술할 구현예 2 및 3의 후방다리(30B, 30C)의 메인힌지와의 구별을 위하여 구현예 1의 후방다리(30A)의 메인힌지(31)를 '슬라이더(slider)'라 칭한다.
상기 슬라이더(31)는 상기 가이더(14)의 슬라이드 안내공(141)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형태(예로 활주면이 요입 되어 안내공(1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원활히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롤러타입)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구현예 1의 후방다리(30A)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전방다리(20)가 접히기 전에 상기 전방 보조캐스터(50A)가 차량 짐칸(1) 바닥과 밀착되고, 상기 전방다리가 접히기 시작하면서 상기 전방 보조캐스터(50A)가 전방다리의 역할과 이송 바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으로 미는 힘(이하에서는 '횡력'이라 칭함)에 의하여 카트가 짐칸 내부로 진입하면서 상기 중간 보조캐스터(50B)가 짐칸 바닥에 접하면서 구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지속적으로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에 대한 수평이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카트를 들어 올리는 힘을 가할 필요가 없이 횡력만으로 카트를 짐칸에 적재할 수 있게 되며,
후방다리(30A) 역시, 후술할 고정수단(40)을 해제한 후 상기 전방다리(20)와 마찬가지로 인위적으로 접거나 차량 범퍼에 접촉시켜 외력에 의하여 접히도록 하면,
상기 후방서포트(32)가 상기 슬라이더(31)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 기 적재부(10)와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후방다리(30A)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슬라이더(31)가 상기 안내공(141)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여 상기 후방다리(30A)가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하부에 숨겨지게 된다.
즉, 상기 후방다리(30A)가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접힌 후방다리(30A)의 후방 보조캐스터(50C)가 차량 짐칸(1)의 바닥과 접촉하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밀어 적재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공(141)은 상기 후방다리(30A)가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하부에 숨겨지게 될 때에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할 정도로 상기 후방다리(30A)에 대한 슬라이딩 거리만큼 안내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2에 따른 후방다리(30B)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측부에 결합되는 후방메인힌지(31),
상기 후방메인힌지(31)가 수용되는 안내공(141A)을 갖는 후방서포트(32), 그리고
상기 후방서포트(32)의 하단에 구비된 후방 보조캐스터(50C)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구현예 2의 후방다리(30B)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전방다리(20)가 접히고 나서 후방다리(30B)가 접히기까지의 과정은 구현예 1과 동일하기에 생략하고,
상기 후방다리(30B)의 후방서포트(32)는 후방메인힌지(31)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90ㅀ 접히고 나서,
횡력에 의하여 상기 후방서포트(32)의 안내공(141A)은 상기 후방메인힌지(31)에 매달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공(141A)은 상기 후방다리(30B)가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측부에 위치(즉, 적재부의 상판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할 때까지의 슬라이딩 거리만큼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3에 따른 후방다리(30C)는
구현예 2의 변형예로써,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측부에 결합되는 후방메인힌지(31),
상기 후방메인힌지(31)가 일단부에 구비되는 보조링크(35), 그리고
상기 보조링크(35)와 후방서브힌지(37)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후방서브힌지(37)가 수용되는 안내공(141B)을 갖는 후방서포트(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구현예 3의 후방다리(30C)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전방다리(20)가 접히고 나서 후방다리(30C)가 접히기까지의 과정은 구현예 1과 동일하기에 생략하고,
상기 후방다리(30C)의 후방서포트(32)와 보조링크(35)는 후방메인힌지(31)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90ㅀ 접히고 나서,
횡력에 의하여 상기 후방서포트(32)의 안내공(141B)은 상기 후방서브힌지(37)에 매달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공(141B)은 상기 후방다리(30C)가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상부에 위치(즉, 적재부의 상판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할 때까지의 슬라이딩 거리만큼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현예 1 내지 3의 후방다리(30A, 30B, 30C)의 작동 구조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최초 후방으로 90ㅀ 접힌 상태에서 횡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최종적으로 적재부(10)의 상판(11)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게 되는 슬라이딩 구조이다.
회동 구조 구현예 4에 따른 후방다리(30D)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측부에 후방메인힌지(31)를 통하여 연결되는 후방서포트(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후방다리(30D)를 위한 후방메인힌지(31)는 접힌 후방다리(30D)가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면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변위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7을 참조하여 구현예 4의 후방다리(30D)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전방다리(20)가 접히고 나서 후방다리(30D)가 접히기까지의 과정은 구현예 1과 동일하기에 생략하고,
상기 후방다리(30D)의 후방서포트(32)는 후방메인힌지(31)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접히되,
곡선을 그리며 대략 270ㅀ 변위 각도로 회동되어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면서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캐스터(50) 중 후방보조캐스터(50C)는 구현예 1 및 2에서는 접힌 후방다리(30A, 30B)에 구비되고, 구현예 3 및 4에서는 적재부(10)의 상판(11)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구현예에서는 접힌 후방다리의 고정을 위한 홀딩수단(15B, 15C)이 구비되는데,
구현예 1의 접힌 후방다리(30A)는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에 지지되므로, 별도의 홀딩수단이 요구되지 않고,
구현예 2의 접힌 후방다리(30B)는 상기 적재부(10)의 측부에 슬라이딩 된 후방다리(30B) 단부가 끼워지는 수용홀딩부(154)를 갖는 제1홀딩수단(15C)에 의하여 고정된다.
구현예 4의 접힌 후방다리(30D)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후방메인힌지(31)에 걸림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측부에 상기 후방메인힌지(31)가 후방으로 270ㅀ 회동되는 순간 상기 걸림부(151)가 걸려 정지될 수 있는 대응걸림부(15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2홀딩수단(15A)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후방메인힌지(31)를 기준으로 상기 후방서포트(32)가 후방으로 270ㅀ 회동되는 순간 상기 후방서포트(32)와 접하는 걸림부재(153)가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측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2홀딩수단(15B)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상기 홀딩수단(15A, 15B, 15B)의 구성 예에 제한 하지 않고 상기 후방다리의 고정을 위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변경 가능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전후방 다리(20, 30)의 일부 또는 모두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부(10)의 상판(11)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다리(30)[이하에서 후방다리에 대한 도면번호 30은 각 예의 후방다리(30A, 30B, 30C, 30D) 전부를 지칭함]가 드나들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개구된 수용부(411)와, 후단부에 상방으로 개구되되, 상기 수용부(411)에 위치한 상기 후방다리(30) 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안착부(412)를 포함하는 고정브라켓(41),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41)의 수용부(411)에 펼쳐진 후방다리(30)가 위치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412)에 끼워지게 되는 록커(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A"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41)의 측부에 구동모터(43)를 더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43)의 구동축(431)을 상기 록커(42)와 연결시켜, 상기 구동모터(43)의 동력을 통해 상기 록커(42)가 상기 안착부(412)의 개구된 방향으로 회동되거나 원위치 되게 함으로써, 상기 후방다리(30)에 대한 자동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3)의 작동 및 작동 시간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다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딩링크(24)와 이에 구비된 언폴딩고정수단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가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수단(4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방다리(20)에 상기 고정수단(40)을 적용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후방다리의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1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내기 위하여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카트를 차량의 짐칸에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후방다리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2를 나타낸 것으로 후방다리가 접혀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후방다리 슬라이딩 구조 구현예 3을 나타낸 것으로 후방다리가 접혀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카트에서 후방다리 회동 구조 구현예 4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적재부
11 : 상판 12 : 사이드바
13 : 손잡이 14 : 가이더
141 : 슬라이드 안내공 141A, 141B : 안내공
15A, 15B, 15C : 홀딩수단
151 : 걸림부 152 : 대응걸림부
153 : 걸림부재 154 : 수용홀딩부
20 : 전방다리
21 : 장착부 221 : 메인힌지
22 : 전방서포트 23 : 메인캐스터
24 : 폴딩링크 241 : 링크힌지
242, 243 : 제1, 2링크
30(30A, 30B, 30C, 30D) : 후방다리
31 : 메인힌지 32 : 후방서포트
33 : 메인캐스터 341 : 보조힌지
35 : 제1분체 36 : 제2분체
37 : 후방서브힌지
40 : 고정수단
41 : 고정브라켓
411 : 수용부 412 : 안착부
42 : 록커
43 : 구동모터
431 : 구동축
50 : 보조캐스터
51 : 보조다리

Claims (7)

  1.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짐칸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각각 상기 적재부와의 사이에 배열된 메인힌지를 포함하고,
    각각 상기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접히는 전방 및 후방 다리; 및
    전후방 다리의 일부 또는 모두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접힌 후방다리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적재부의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안내공을 갖는 가이더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더의 슬라이드 안내공에 후방메인힌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다리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공에 후방메인힌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다리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공에 위치하는 후방서브힌지를 통하여 상기 후방다리에 연결되는 보조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링크에 후방메인힌지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5.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짐칸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각각 상기 적재부와의 사이에 배열된 메인힌지를 포함하고,
    각각 상기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접히는 전방 및 후방 다리; 및
    전후방 다리의 일부 또는 모두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방다리를 위한 후방메인힌지는 접힌 후방다리가 상기 적재부 상부에 위치하면서 적재부의 전후 너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변위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전방다리가 접혀지더라도 짐칸 바닥에 지지되어 적재부를 떠받치는 전방 보조캐스터가 적재부의 저면 전방부에 구비되어 있고,
    지면에 지지되던 후방다리가 접히는 동안에 짐칸 바닥에 지지되어 적재부를 떠받치는 중간 보조캐스터가 적재부의 저면 중간부에 구비되어 있어,
    수평으로 미는 힘만으로 상기 적재부를 그대로 밀어서 바로 짐칸에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다리가 모두 접힌 상태에서 적재부의 이동을 보조하는 후방 보조캐스터(caster)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KR1020090015501A 2009-01-19 2009-02-24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KR101073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645 2009-01-19
KR20090000645 2009-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954A true KR20100084954A (ko) 2010-07-28
KR101073647B1 KR101073647B1 (ko) 2011-10-18

Family

ID=4264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501A KR101073647B1 (ko) 2009-01-19 2009-02-24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6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76Y1 (ko) * 2011-10-26 2013-04-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카트
KR20160071751A (ko) * 2014-12-12 2016-06-22 안동진 접이식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JP2020040603A (ja) * 2018-09-13 2020-03-19 株式会社ドーコン 自転車支持装置
KR20220081664A (ko) * 2020-12-09 2022-06-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부품 이송 장치
KR20220087642A (ko) * 2020-12-17 2022-06-27 (주)우신특장 차량용 충전식 적재카트
CN115123762A (zh) * 2022-06-17 2022-09-30 四川腾盾科技有限公司 一种带辅助轮的托架平推上下平台装置及方法
CN117796836A (zh) * 2024-03-01 2024-04-02 天津水滴医学影像诊断有限公司 一种正电子发射断层扫描设备用图像数据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71B1 (ko) 2015-08-26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카트 장치
KR102102836B1 (ko) * 2019-06-20 2020-04-22 박관철 화물용 상하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089A (ja) * 2006-08-04 2008-02-21 Ferno Japan Inc ストレッチャ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76Y1 (ko) * 2011-10-26 2013-04-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카트
KR20160071751A (ko) * 2014-12-12 2016-06-22 안동진 접이식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JP2020040603A (ja) * 2018-09-13 2020-03-19 株式会社ドーコン 自転車支持装置
KR20220081664A (ko) * 2020-12-09 2022-06-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부품 이송 장치
KR20220087642A (ko) * 2020-12-17 2022-06-27 (주)우신특장 차량용 충전식 적재카트
CN115123762A (zh) * 2022-06-17 2022-09-30 四川腾盾科技有限公司 一种带辅助轮的托架平推上下平台装置及方法
CN117796836A (zh) * 2024-03-01 2024-04-02 天津水滴医学影像诊断有限公司 一种正电子发射断层扫描设备用图像数据处理装置
CN117796836B (zh) * 2024-03-01 2024-05-17 天津水滴医学影像诊断有限公司 一种正电子发射断层扫描设备用图像数据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647B1 (ko) 201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647B1 (ko)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US7735894B2 (en) Tailgate assemblies and vehicles including same
RU2482982C2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сборе и транспортные средства с таким сиденьем
US8328262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US20110156375A1 (en) Cart and method therefor
US7992911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US6145447A (en) Foldable table for vehicles
JP5769903B2 (ja) シートを含む実用荷台を有する車両
CA2528432A1 (en) Convertible cap/cover assembly for a pick-up truck
US8215690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JP3745044B2 (ja) 車両の車椅子用昇降装置
US8267454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KR20110114571A (ko)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US8303014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CN212637772U (zh) 电动车辆
US8128144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CA2937301C (fr) Structure d&#39;abri, en particulier d&#39;un plateau de charge, tel qu&#39;une plateforme de camion, de remorque ou similaire, et abri integrant une telle structure
KR20180016171A (ko) 차량 운송용 트레일러
SG192016A1 (en) Vehicle seat for a disabled person
EP1775160B1 (fr) Structure d&#39;abri d&#39;une surface, en particulier d&#39;un plateau de charge
US20040207240A1 (en) Collapsible wheeled dual-chair
JP4000549B2 (ja) 収納式スライドスロープ
WO2004080230A1 (en) A multi-use luggage
FR2935318A1 (fr) Agencement d&#39;etagere escamotable a l&#39;interieur d&#39;un vehicule
CA2665591C (en) Vehicle carri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