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181A -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181A
KR20100084181A KR1020107011681A KR20107011681A KR20100084181A KR 20100084181 A KR20100084181 A KR 20100084181A KR 1020107011681 A KR1020107011681 A KR 1020107011681A KR 20107011681 A KR20107011681 A KR 20107011681A KR 20100084181 A KR20100084181 A KR 20100084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time
management policy
termin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958B1 (ko
Inventor
다까까즈 요꼬야마
히로끼 미우라
신사꾸 기따
준야 에마에
고오조오 미까미
사또시 요네까와
Original Assignee
캐논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는,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한다.

Description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MANAGEMENT SERVER, CLIENT TERMINAL, TERMINAL MANAGEMENT SYSTEM, TERMINAL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시간을 제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관공처, 회사, 학교, 상점, 공공 시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시설에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직무에 종사하고 있는 직원, 사원, 교원이나 학업에 종사하고 있는 학생 등은, 그 단말기의 이용자이다. 이들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대부분은, 내부 네트워크 외에,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외부 네트워크에도 접속되어 있고, 서버를 통한 관리 단말기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관리, 감시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관리자가 단말기의 이용 기능을 제한한 관리 정책을 설정하고, 관리 정책 위반자를 발견한 경우,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단말기 감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이 구성에서는 관리 정책 위반자를 통보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내부로부터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차단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시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헬프 데스크나 튜터 등으로 대표되는 단말기의 이용에 관하여 시설이 정한 이용 허가 시간에는, 단말기의 전문 지식을 갖는 관리자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들 시설에서는 관리자가 없는 시간대, 또는 이용 허가 시간 외에 단말기가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는 업무 시간 외에 종업원이 사적으로 단말기를 이용하는 등의 것이 상정된다.
또한, 전원을 켜 놓은 채 단말기가 방치되는 상황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령 기동시에 인증이 필요한 비교적 시큐어한 단말기이었다고 하여도, 당해 단말기가 제3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단말기 내에 기억되어 있는 내부 정보가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들의 대책으로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관리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정해진 시간에 오프하도록 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일본 특허 제390453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43717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단말기의 전원 관리를 제한하는 단말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실제로 업무에서 단말기를 필요로 하는 이용 시간과, 관리자가 설정하는 단말기 이용 허가 시간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규정된 이용 시간을 초과하여 단말기를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나, 이용자에 따라 이용 허가 시간의 판단이 상이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는데, 종래의 구성에서는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은 일률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유저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었다. 따라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리 정책은, 실제로 업무를 진행시키는 측면에서 반드시 정확하다고는 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말기마다 최적의 관리 스케줄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관리 서버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관리 서버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수 수단은,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정책의 설정을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관리 서버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 정책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이용을 허가하는 총 이용 허가 시간이 포함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통산 또는 일정 기간의 합계에서의 이용 시간이 상기 총 이용 허가 시간이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관리 서버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관리 정책으로서, 복수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기본 관리 정책 테이블을 기억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기본 관리 정책 테이블로부터 이용 허가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용 허가 시간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관리 서버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관리 대상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이용 이력을 로그 파일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된 상기 로그 파일을 해석하여, 상기 관리 대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미사용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관리 대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미사용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한 것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허가하는 이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상기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관리 서버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기록하고, 로그 파일로서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해 두는 제2 기억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이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을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적용하는 적용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관리 시스템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관리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구비하는 단말기 관리 시스템이며,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을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적용하는 적용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관리 방법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고,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한 관리 서버에 의한 단말기 관리 방법이며,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공정과,
판독한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마다 최적의 관리 스케줄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하거나 혹은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인다.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그 기술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단말기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3은, 관리 서버에 인스톨된 관리 서버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
도 4는, 관리자 단말기에 인스톨된 관리자용 프로그램의 구성도.
도 5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
도 6은, 일반 단말기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의 구성도.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관리 정책의 설정이 행해지는 처리까지의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 8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관리 정책이 설정되는 처리까지의 관리 서버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관리 정책의 원-패턴 설정을 행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관리 정책의 일괄 설정을 행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관리 정책의 상세 설정을 행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13은,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정하기 위한 관리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하에서의 관리 정책의 입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15는,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이용 허가 시간이 종료 셧 다운될 때까지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고 통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표시하는 경고 통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허가 시간의 연장과 이용 이력 갱신에 관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실행하는 흐름도.
도 19는, 이용 시간 연장에 관한 문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일반 단말기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관리 정책의 재기입을 행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
도 21은, 일반 단말기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관리 정책을 변경, 갱신 가능하게 하는 경우의 관리 서버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2는, 일반 단말기가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관리 정책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관리자가, 일반 단말기에 의한 관리 정책의 입력에 관한 이력을 참조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일반 단말기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열람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로그 파일을 기초로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 중에서 관리 정책을 자동 선택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7은, 미리 관리 서버 내에 준비되어 있는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술하는 결정 조건으로부터 취득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액세스가 있었던 시각 등을 표시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관리 정책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이용 허가 시간을 단축하는 관리 서버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기 관리 시스템 및 그것에 포함되는 소프트웨어, 관리자 단말기,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기 관리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 관리 서버, 관리자 단말기, 일반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관리 서버는,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관리, 감시를 행한다.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 서버를 권한있는 관리자가 조작하기 위한 단말기이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기 관리 시스템(1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관리 시스템(10)은, 관리 서버(20)와, 관리자 단말기(30)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와, 일반 단말기(60)를 구비하고 있다.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 일반 단말기(60)는 네트워크(40)에 접속되어 있고, 서로 통신 가능하다.
본 구성도에서는, 편의상, 관리 서버(20)와 관리자 단말기(30)가 각각 하나씩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버의 운영 형태에 따라서는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복수 존재하여도 된다. 혹은, 관리 서버(20)와 관리자 단말기(30)를 동일한 장치로 실현하여도 된다.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클라이언트 단말기(50), 및 일반 단말기(60)는 각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단말기이며, 퍼스널 컴퓨터(PC)로 대표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각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관리 서버(20)의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관리자 단말기(30), 클라이언트 단말기(50) 및 일반 단말기(60)도 도 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구성을 도시하지 않고, 설명도 생략한다. 이하, 각 단말기의 구성 요소는, 관리 서버(20)에서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부호와 - 이하의 부분이 동일한 부호를 붙여 참조한다. 예를 들어, CPU를 참조하는 경우, 관리자 서버(20)의 CPU의 부호는 20-1이기 때문에, 관리자 단말기(30)에서는 30-1,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서는 50-1, 일반 단말기(60)에서는 60-1을 사용하여 참조한다.
참조 부호 20-2는 ROM(Read Only Memory)이며, 판독 전용 메모리로서 동작한다. 참조 부호 20-3은 RAM(Random Access Memory)이며, CPU(20-1)의 메인 메모리, 워크 에리어로서 기능한다.
참조 부호 20-10은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20-11은 FD 드라이브(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 20-12는 CD 드라이브(CD-ROM 드라이브), 20-13은 DVD 드라이브(DVD-ROM 드라이브)이다.
관리 서버(20)는, ROM(20-2) 또는 HDD(20-10)에 기억되어 있거나, 혹은 FD 드라이브(20-11), CD 드라이브(20-12), DVD 드라이브(20-13)로부터 소프트웨어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20-1)가 당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시스템 버스(20-4)에 접속되는 각 디바이스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참조 부호 20-5는 포인팅 디바이스 컨트롤러이며, 키보드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20-6)의 지시 입력을 제어한다. 이후는 대표적인 포인팅 디바이스인 키보드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하지만, 터치 패널 등의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참조 부호 20-7은 CRT 컨트롤러이며, 디스플레이(20-8)의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20-8)는 CRT(Cathode Ray Tube)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 유기 EL 패널, SED(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등으로 실현하여도 된다.
참조 부호 20-9는 디스크 컨트롤러이며, 각종 파일,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이 기억된 HDD(20-10), FD 드라이브(20-11), CD 드라이브(20-12), DVD 드라이브(20-13)와의 사이의 액세스 제어를 행한다. 이들 디스크가 기억하는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부트 프로그램,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편집 파일, 유저 파일, 데이터베이스, 관리 정책을 포함하는 파일, 로그 파일, 각 단말기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4)는,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40)를 통하여 다른 단말기,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클라이언트 단말기(50), 일반 단말기(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쌍방향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후, 각 단말기 상에 있어서의 하드 상에서의 실행의 주체는 당해 단말기의 CPU(관리 서버(20)의 경우에는 참조 부호 20-1)이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인텔사의 「vPro(브이프로)」에 탑재되어 있는 「AMT(Active Management Technology)」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퍼스널 컴퓨터의 전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AMT는 전원을 오프로 하여도 꺼지지 않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다. 이로 인해, 퍼스널 컴퓨터의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네트워크 경유로 클라이언트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오프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OS의 기동이나,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를 지령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단말기는 각각 시계를 내장하고 있어, 시각을 계시할 수 있다. 내장 시계는, 예를 들어 수정 진동자의 발신 신호를 이용하여 시각을 계시하여도 된다.
(관리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 3은, 관리 서버(20) 내의 HDD(20-10) 내에 인스톨된 관리 서버 프로그램(20-10c)(소프트웨어), 및 HDD(20-1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0-10a, 20-10b)의 구성도이다.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제2 기억 수단)에는, 단말기 관리 시스템의 관리 대상이 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관련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관리 정책 등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는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 판독 기입부(20-10d)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읽어들이기나 추가가 이루어진다. 또한,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는, 관리 정책을 선택할 때에 사용하는 결정 조건도 기억할 수 있다. 이하, 관리 정책이나 관리 정책을 선택하기 위한 결정 조건 등의 예를 적절하게 설명해 간다.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제1 기억 수단)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이력을 로그 파일의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한 것이 기억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는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 판독 기입부(20-10d)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읽어들이기나 추가가 이루어진다. 이용 이력으로서 기록하는 내용의 예는 후술한다.
관리 서버 프로그램(20-10c)은, 데이터베이스 판독 기입부(20-10d), 리퀘스트 송수신부(20-10e), 리스펀스 송신부(20-10f), 로그-정책 취득부(20-10g), 인증부(20-10h), 산출부(20-10i)를 구비한다. 각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모듈의 단위로 실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판독 기입부(20-10d)는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 및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에의 판독 기입을 행한다. 리퀘스트 송수신부(20-10e)는 네트워크(40)를 경유한 외부의 단말기로부터의 당해 관리 서버(20)에의 리퀘스트를 수신하거나, 당해 관리 서버(20)로부터 네트워크(40)를 통한 다른 단말기에의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리스펀스 송신부(20-10f)는, 각 단말기에 대하여 리스펀스를 송신한다.
로그-정책 취득부(20-10g)는,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의 로그 데이터 내용을 기초로,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 내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 정책을 자동 취득(선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인증부(20-10h)는, 관리자 단말기(20)나, 클라이언트 단말기(50), 일반 단말기(60)로부터의 네트워크(40)를 통한 액세스에 대하여, 예를 들어 단말기의 IP 어드레스 등을 사용하여 인증을 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액세스 허가를 내준다. 다양한 안전성의 강도를 갖는 인증 방식이 다수 알려져 있지만, 단말기 관리 시스템(10)을 실시할 때에는, 시스템에 요구되는 안전성에 따라 임의의 인증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산출부(20-10i)는, 후술하는 관리 정책의 이용 허가 시간과 관리 서버(20)나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산출한다.
(관리자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 4는 관리자 단말기(30) 내의 HDD(30-10) 내에 인스톨된 관리자용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구성도이다.
관리자 단말기(30) 내에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관리자 프로그램(30-10a)은, 이하의 데이터베이스 판독 기입부(30-10b), 리퀘스트 송수신부(30-10c), 리스펀스 수신부(30-10d), 인증부(30-10e)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판독 기입부(30-10b)는, 주로 네트워크(40)를 통하여 관리 서버(20) 내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판독 기입을 행한다. 리퀘스트 송수신부(30-10c)는, 주로 네트워크(40)를 통하여, 관리 서버(20)와의 사이에서 리퀘스트의 교환을 행한다.
리스펀스 수신부(30-10d)는, 주로 네트워크(40)를 통하여 관리 서버(20)로부터 보내져 오는 리스펀스를 수신한다. 인증부(30-10e)는, 관리자 단말기(30)가 관리 서버(20)에 접속할 때에 예를 들어 단말기의 IP 어드레스 등을 사용하여 인증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관리 서버(20)측으로부터 액세스 허가가 발행되게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 5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 내의 HDD(50-10) 내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소프트웨어)(50-10b), 및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50-10a)의 구성도이다.
이용 데이터베이스(50-10a)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이나 후술하는 제어 내용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 정책이 기억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지만, 24시간마다 반복되는 이용 허가 시간, 또는 캘린더 기능을 사용하여 스케줄링된 이용 허가 시간이 기억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 프로그램(50-10b)은, 이용 이력 취득부(50-10c), 리퀘스트 송수신부(50-10d), 단말기 이용 시간 제어부(50-10e)를 구비하고 있다.
이용 이력 취득부(50-10c)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이력을 취득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용 이력의 내용에는,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ㆍ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의 동작
ㆍ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부터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의 동작
ㆍ프로그램의 사용
ㆍ어플리케이션의 사용
ㆍ소프트웨어의 사용
ㆍ업데이트 파일의 실행
ㆍ외부에의 액세스
ㆍ소프트 디바이스의 추가 또는 삭제
ㆍ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추가 또는 삭제
ㆍ메일의 송수신
ㆍ파일의 작성
ㆍ파일의 갱신
ㆍ파일의 삭제
ㆍ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 내용
ㆍ확장자의 변경
리퀘스트 송수신부(50-10d)는, 네트워크(40)를 통하여 관리 서버(20)로부터 리퀘스트를 수취하거나, 관리 서버(20)에 대하여 리퀘스트를 보내는 구성 요소이다. 단말기 이용 시간 제어부(50-10e)는, 상술한 이용 데이터베이스(50-10a)의 내용을 판독하여 실제로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부터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의 각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의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동작 제어에는, 예를 들어 셧 다운, 로그오프, 슬립, 로크, 스탠바이, 휴지 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동작이 포함된다. 관리 정책은, 그들 동작 중 관리 서버(2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에 있어서 선택된 동작을 기재하고 있다. 한편,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동작 제어에는, 예를 들어 기동, 로그온,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 로크 상태로부터의 복귀, 스탠바이 상태로부터의 복귀,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의 동작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동작이 포함되고, 관리 정책은 이러한 동작을 기재하고 있다.
이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동작은 상기의 일례의 셧 다운이며,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동작은 상기의 일례의 기동인 경우를 상정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일반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 6은 일반 단말기(60) 내의 HDD(60-10) 내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구성도이다.
일반 단말기 프로그램(60-10a) 내에는 웹 브라우저(60-10b), 인증부(60-10c)가 포함된다. 웹 브라우저(60-10a)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기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전용 브라우저가 아니라, html이나 xml 형식으로 대표되는 마크업 언어로 기입된 웹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 소프트웨어이다. 웹 브라우저(60-10a)는, 퍼스널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다.
인증부(60-10c)는, 일반 단말기(60)가 네트워크(40)를 통하여 관리 서버(20)에 접속할 때에 인증을 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상세한 것은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증부는 일례로서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인증을 행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기체 번호, 단말기 내 하드웨어의 번호, 입력된 유저의 ID 및 패스워드 등을 사용하거나, 혹은 디바이스를 통하여 IC 카드, ID 카드로부터 인증 정보를 읽어들이고, 당해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행하여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정책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적용되는 이용 허가 시간에 관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만, 또한 그 밖의 정보가 관리 정책에 기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관리 정책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 리무버블 디스크 등의 기기, 데이터의 송수신, 파일 조작에 관한 제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들 정보의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관리 정책 설정의 개요)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이 실행하는 처리 내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및 이후의 실시 형태에서의 「관리 정책」이란 후술하는 관리 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는 관리 스케줄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관리 정책에는, 특정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의 이용 허가 시간 등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ㆍ이용 허가 시간의 개시 시각
ㆍ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
ㆍ이용 종료 시각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행하는 처리
ㆍ이용 개시 시각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행하는 처리
ㆍ당해 관리 정책 자체의 설정이 허가되어 있는 관리자 및 단말기의 식별 정보
상기의 관리 정책의 내용은 일례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의 관리 정책의 범위를 좁히거나, 한정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다른 항목, 내용에 대하여 관리 정책에 상식적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공지라고 생각할 수 있는, 동작 제어, 관리의 항목, 내용을 관리 정책에 기재하여도 되는 것은 명확하다.
예를 들어, 필요 이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사용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총 이용 시간(토탈 이용 시간), 즉 통산 또는 일정 기간의 합계에서의 이용 시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한 것에 따라, 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하는 관리 정책을 설정하여도 된다. 이러한 관리 정책은, 예를 들어 개별적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토탈 이용 시간의 제한이나, 소정의 그룹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시간의 합계의 제한 등을 기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개별적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토탈 이용 시간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하루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6시간까지로 하거나, 1개월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180시간까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그룹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시간의 합계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그 그룹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시간의 합계를 1일당 18시간까지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그룹은, 예를 들어 조직의 부문 등의 집단이 갖는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집합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토탈 이용 시간을 제한함으로써, 회사 등의 조직 내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정해진 일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플렉스제를 도입하고 있는 직장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이용 시간 제한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잔업 시간의 체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의 설정이 행해지는 처리까지의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클라이언트 단말기(50), 일반 단말기(60)에는, 미리 상술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가 각각의 HDD에 인스톨되어 있다. 인스톨은 FD, CD, DVD,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매체의 판독이나, 온라인 다운로드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이하의 실행 수순에 합쳐서, 상기의 인스톨 수순을 상술한 관리 서버(20) 내의 인증부(20-10h)를 사용하여 실행하여도 된다.
처음에, 관리자 단말기(30)는 관리 서버(20) 내의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대하여, 판독 기입부(30-10d)를 사용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등록한다(스텝 S701). 즉, 관리자 단말기(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등록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송신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등록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30)에 대한 관리자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라 행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 등록 정보를 수신하면, 관리 서버(20)는, 리퀘스트 송수신부(20-10e)로부터 관리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를 요구한다(스텝 S702).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클라이언트 단말기 정보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란, 관리 서버(20)가 클라이언트 단말기(50), 혹은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사용자를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로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부여된 ID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고유하게 부여된 번호, 또는 단말기 사용시의 어카운트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스텝에서, 이들 클라이언트 단말기(50), 혹은 그 사용자를 관리 서버(20)가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그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리퀘스트 송수신부(50-10d)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20)로부터 리퀘스트를 수취하면, 관리 서버(30)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정보를 회신한다(스텝 S703).
또한, 관리 대상이 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정보가 이미 관리 서버(30)의 관리 데이터베이스 상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스텝 S701 내지 S703은 생략된다.
관리자 단말기(20)는 관리 서버(30)에 대하여, 리퀘스트 송수신부(30-10c)를 사용하여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한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704).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는, 상술한 관리 정책의 템플릿이 되는 내용이며, 실제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책의 후보가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적용되는 이용 허가 시간을 8시 내지 17시까지로 설정한 것, 9시 내지 18시까지로 설정한 것 등, 몇종류의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다.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를 수신하면, 관리 서버(30)는,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판독 기입부(20-10d)를 사용하여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기억한다(스텝 S705).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 이용 이력(로그)을 수신하면, 그 이용 이력의 내용을 기초로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를 자동 선택하게 된다.
계속해서,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리퀘스트 송수신부(20-10e)를 사용하여 이용 이력(로그)의 취득을 요구한다(스텝 S706).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리퀘스트 송수신부(50-10d)를 사용하여 이 요구를 수신하면, 이용 이력 취득부(50-10c)로부터 얻은 이용 이력의 내용을 관리 서버(20)에 송신한다(스텝 S707).
관리 서버(20)는, 이용 이력을 수신하면, 수신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이력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 판독 기입부(20-10d)를 사용하여,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에 기억한다(스텝 S708).
이 스텝 S706 내지 스텝 S708의 이용 이력을 로그로 하여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는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관리 정책 결정 후에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동작 중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5분마다 상기 스텝 S706 내지 스텝 S708의 내용으로 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내용을 관리 서버(20)에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20)는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의 로그 파일을 기초로,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기억되어 있는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 중에서 관리 정책을 자동 선택한다(스텝 S709). 여기에서 선택된 관리 정책은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기억된다. 또한, 관리 정책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는, 우선 로그 파일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동작 시간대를 판독한다. 이 때, 일에 관련된 복수의 문서 파일을 10분 이상의 사이를 두지 않고 계속적으로 액티브로 한 시간대를 8시 30분 내지 12시 15분, 13시 내지 17시 20분이었던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그 시간대가 중심으로 되어 있는 이용 허가 시간이 포함되는 관리 정책을,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관리자 단말기(30)는,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의 네트워크(4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 내의 이용 허가 시간을 직접 설정하여도 된다(스텝 S710).
이와 같이, 관리 정책 내의 이용 허가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관리 서버가 로그 파일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S709)과, 관리자 단말기가 설정하는 직접 설정(S710)이 있다. 즉, 관리 정책 내의 이용 허가 시간에 관하여, 몇종류의 설정이 있어, 상술한 로그에 의한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 선택시에는 자동 선택되고, 직접 설정의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가 선택한다. 여기에서, 이 직접 설정의 일례인 원-패턴 설정, 일괄 설정, 상세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패턴 설정]
도 9는, 관리 정책의 원-패턴 설정을 행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관리 정책의 원-패턴 설정이란, 관리자 단말기(30) 혹은 관리 서버(20)에 설정된 기간 동안, 동일한 이용 시간의 설정을, 매일 반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으로서 적용하는 설정을 말한다.
[일괄 설정]
도 10은 관리 정책의 일괄 설정을 행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관리 정책의 일괄 설정이란, 관리자 단말기(30) 혹은 관리 서버(20)에 의해 기간이 설정된 후에, 기간 내의 요일에 따른 설정을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으로서 적용하는 설정을 말한다. 즉, 일괄 설정이란, 요일마다의 설정을 일괄하여 적용하는 설정이다.
예를 들어, 월요일의 이용 허가 시간이 관리자 단말기(30) 혹은 관리 서버(20)에 의해 9시 내지 18시로 설정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관리자 단말기(30) 혹은 관리 서버(20)에 의해 설정된 기일까지의 동안,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은, 매주 월요일에는 9시 내지 18시의 설정이 적용된다.
[상세 설정]
도 11은 관리 정책의 상세 설정을 행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상세 설정이란, 1일마다의 이용 허가 시간을 관리자 단말기(30) 혹은 관리 서버(20)가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원-패턴 설정과 달리, 동일한 설정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1일마다 이용 허가 시간을 미리 관리자 단말기(30) 혹은 관리 서버(20)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관리 정책을 직접 설정하기 위한 화면에 대하여 더 예시한다. 도 29는,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동작 등의 시각을 표시한 화면의 일례로서, 액세스가 있었던 시각 등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관리자 단말기(30)에 표시하는 관리 정책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설명으로 다시 돌아간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이 관리자 단말기(30) 혹은 관리 서버(20)에 의해 결정되면, 관리 서버(20)는, 당해 관리 정책을,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관한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기억한다(스텝 S711).
그리고, 관리 서버(20)는, 관리자 단말기(30)에 대하여, 리스펀스 송신부(20-10f)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관한 관리 정책의 결정을 통지한다(스텝 S712).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리스펀스 송신부(20-10f)를 사용하여, 관리 정책을 송신(출력)한다(스텝 S713).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이 관리 정책을 수신하여, 이용 데이터베이스(50-10a) 내에 관리 정책을 설정한다(스텝 S714).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한 관리 정책은, 관리 서버(20) 내에 있는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도 기억된다. 이후,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때까지, 취득한 이용 허가 시간은, 다른 관리 정책이 적용된다.
또한, 관리 정책은, 관리자 단말기(30) 혹은 관리 서버(20)에 의해, 신규 작성, 내용의 초기화, 내용의 재설정, 내용의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관리 정책 설정 처리)
다음으로, 관리 서버(20)의 동작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이 설정되는 처리까지의 관리 서버(20)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의 각 스텝의 처리는 관리 서버(20)의 CPU(20-1)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고, 이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관리 서버(20)에 의한 다른 처리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마찬가지이다.
우선, 스텝 S801에서, 관리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클라이언트 정보가,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관리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클라이언트 정보가 없는 경우(스텝 S801에서 "예")에는 스텝 S802로 진행하고, 이미 있는 경우(스텝 S801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805로 진행한다.
스텝 S802에서는,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 등록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802). 그리고, 관리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클라이언트 단말기 정보의 요구를 행한다(스텝 S803).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면(스텝 S804), 스텝 S805로 진행한다.
스텝 S805에서는,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관리 정책의 템플릿이 되는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 S805). 다음으로,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스텝 S805에서 수신한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를 기억한다(스텝 S806).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이용 이력 취득의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807).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이용 이력 취득의 요구를 수신하면 이용 이력을 반송하기 위해, 관리 서버(20)는, 스텝 S808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 이용 이력을 수신한다.
관리 서버(20)는, 수신한 이용 이력을, 단말기 로그 DB(20-10b)에 기억한다(스텝 S809). 그리고, 그 이용 이력을 기초로,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 중에서 관리 정책을 선택한다(스텝 S810). 관리 정책을 선택하는 처리(관리 정책 선택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스텝 S811에서는,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의 직접 입력 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한 경우(스텝 S811에서 "예")에는, 스텝 S810에서 선택된 관리 정책 대신에, 직접 입력 정보를 관리 정책으로서 선택한다(스텝 S812). 그리고, 선택된 관리 정책을 결정으로 하고, 단말기 이용 DB(20-10a)에 기억한다(스텝 S813).
한편,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의 직접 입력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811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810에서 선택된 관리 정책을 사용하면 결정으로 한다. 그리고 당해 관리 정책을 단말기 이용 DB(20-10a)에 기억한다(스텝 S813).
스텝 S814에서는, 관리자 단말기(30)에 관리 정책 결정 통지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결정된 관리 정책을 송신한다(스텝 S815).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관리 정책 선택 처리)
다음으로, 스텝 S810에서 실행하는 관리 정책을 선택하는 처리(관리 정책 선택 처리)에 대하여, 도 26, 도 27,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관리 서버(20)가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의 로그 파일을 기초로,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기억되어 있는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 중에서 관리 정책을 자동 선택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미리 관리 서버 내에 준비되어 있는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설정되는 관리 정책이 선택된다. 도 28은,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로부터, 후술하는 결정 조건으로부터 취득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이력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의 스텝 S2601에 있어서, 관리 서버(20)는, 우선,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결정 조건의 설정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2601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2602로 진행하고, 존재하는 경우(스텝 S2601에서 "예")에는 스텝 S2604로 진행한다.
스텝 S2602에서는, 관리자 단말기(30)에, 리퀘스트 송수신부(20-10e)를 사용하여, 결정 조건의 요구를 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리퀘스트 송수신부(20-10e)를 사용하여, 결정 조건의 수신을 한다(스텝 S2603).
또한, 결정 조건이란, 어느 기간의 이용 이력을 선택할지의 기간 조건이나, 그 정해진 기간의 이용 이력에 대하여 어떻게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 중에서 관리 정책을 선택할지의 선택 조건 등을 포함하는 조건이다.
예를 들어, 기간 조건으로서는 「전날」, 「지난주 1주일」, 「작년 어느 달의 1주일」, 「오늘까지 과거 반년」, 「매주 수요일」 등의 조건을 들 수 있고, 운용 환경에 맞추어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 이력으로부터 어떻게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로부터 관리 정책을 선택할지의 조건이다. 예를 들어, 「이용 시간을 모두 폴로우」, 「전체 중복 시간으로부터 전후 2시간」, 「가장 빠른 이용 개시 시간으로부터 12시간」 등을 운용 환경에 맞추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는, 관리 정책을 선택할 때에 사용하는 결정 조건도 기억할 수 있다.
이후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스텝 S2603에서 수신한 결정 조건에 있어서, 기간 조건이 「지난주 1주일」이고, 선택 조건이 「이용 시간을 모두 폴로우」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스텝 S2603에서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결정 조건을 수신하면, 스텝 S2604로 진행한다.
스텝 S2604에 있어서, 관리 서버(20)는,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로부터, 기간 조건에 기초한 도 28에 예시하는 1주일의 이용 이력을 취득한다.
그리고, 로그-관리 정책 취득부(20-10g)를 사용하여, 취득한 이용 이력과, 기본 관리 정책 데이터(도 27)를 비교한다(스텝 S2605).
그리고, 스텝 S2605에서의 비교에 기초하여 관리 정책을 선택한다(스텝 S2606). 예를 들어, 이용 이력에 기재된 실제로 이용된 시간대를 모두 포함하는 기본 관리 정책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용 이력 중의 사용 개시 시각 중 가장 빠른 것에 개시하고, 이용 이력 중의 사용 종료 시각 중 가장 느린 것에 종료하는 시간대를 포함하는 기본 관리 정책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7, 도 28의 예에서는, 이용 이력 중에서 가장 빠른 사용 개시 시간인 8:30과, 가장 느린 종료 시간인 19:00의 이용 시간 모두를 폴로우하고 있는, 5번의 관리 정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정책의 선택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시간대를 포함하는 기본 관리 정책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ㆍ이용 이력 중의 사용 개시 시각의 평균 시각에 개시하고, 이용 이력 중의 사용 종료 시각의 평균 시각에 종료하는 시간대
ㆍ이용 이력 중의 사용 개시 시각 중 2번째로 빠른 것에 개시하고, 이용 이력 중의 사용 종료 시각 중 2번째로 느린 것에 종료하는 시간대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의 설정)
도 12는 관리 서버(20)의 내장 시계 또는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에 따른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설정할 때까지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서버(20)의 내장 시계에 따른 나머지 이용 시간을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리퀘스트 송수신부(50-10d)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20)에 송신한다(스텝 S1201). 이 때, 상기 관리 서버(20)의 내장 시계에 따른 나머지 이용 시간을 요구하는 리퀘스트와 함께, 전술한 관리 서버(20)가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즉,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식별 정보)도 함께 보내진다.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의 리퀘스트를 받으면,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 내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의 검색을 행한다(스텝 S1202). 여기에서, 관리 정책의 검색은, 그 리퀘스트 및 리퀘스트와 함께 보내져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계속해서, 관리 서버(20)는, 리퀘스트의 송신원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해당하는 관리 정책을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 내로부터 읽어들인다(스텝 S1203). 이 때, 관리 정책 내에서 관리 서버(20)의 내장 시계가 아니라,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에 따른 시간의 사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내장 시계의 시간을 취득한다(스텝 S1204).
관리 서버(20)는, 스텝 S1204에서 취득한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의 정보, 또는 관리 서버(20) 내의 내장 시계의 정보로부터, 산출부(20-10i)를 사용하여,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산출한다(스텝 S1205). 즉, 스텝 S1203에서 취득한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으로부터, 스텝 S1203 또는 스텝 S1204에서 취득한 시각을 감산하여, 이용 허가 시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나머지 시간을 계산한다.
계속해서, 관리 서버(20)는,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 또는 관리 서버(20) 내의 내장 시계에 따른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의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송신한다(스텝 S1206).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관리 서버(20)로부터 송신된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 또는 관리 서버(20) 내의 내장 시계에 따른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의 정보를 이용 데이터베이스(50-10a) 내에 저장하여,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설정한다(스텝 S1207).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네트워크(40)를 통하여 관리 서버(20)의 내장 시계, 또는 관리자 단말기의 내장 시계에 따른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의 취득의 상세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내장 시계에서의 관리가 정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S1201 내지 S1206까지의 동작은 생략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내장 시계에 따른 나머지 이용 시간이 적용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오프라인 상태에 놓여져도,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관리 정책에 기재된 이용 허가 시간에 맞추어 적절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4는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하에서의 관리 정책의 입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입력 내용은 전술한 일괄 설정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 설정 처리)
다음으로,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관리 서버(20)가 행하는 처리(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 설정 처리)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관리 서버(20)의 내장 시계 또는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에 따른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관리 서버(2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송신받는 처리까지의 관리 서버(2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스텝 S1301에 있어서,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 요구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을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로부터 검색을 행한다(스텝 S1302). 그리고, 검색된 관리 정책으로부터 이용 허가 시간의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1303).
다음으로, 시각 정보 취득 설정이,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04). 시각 정보 취득 설정이,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스텝 S1304에서 "예")에는, 관리자 단말기(30)의 내장 시계인 시각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1305). 시각 정보 취득 설정이, 특히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304에서 "아니오")에는, 관리 서버(20)의 내장 시계인 시각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1308).
그리고, 스텝 S1306에 있어서, 수신한 시각 정보로부터,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을 산출하고, 스텝 S1307에 있어서,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의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동작)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이용 허가 시간이 종료 셧 다운될 때까지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도 15의 각 스텝은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CPU(50-1)(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고, 이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관리 서버(20)에 의한 다른 처리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마찬가지이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이 관리 정책에 설정되어 있는 나머지 시간으로 된 것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50-8)(도시하지 않음)에 경고 통지를 표시한다(스텝 S1501). 예를 들어, 관리 정책에 경고 통지를 표시하는 시각이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의 10분 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면, 이용 허가 시간 나머지 10분이 되었을 때에 경고 통지를 표시한다. 도 16은, 디스플레이(50-8)(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하는 경고 통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계속해서, 상술한 관리 정책 내에 설정되어 있는,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이 되면, 다시 경고를 디스플레이(50-8)(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 도 17은,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표시하는 경고 통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단말기 이용 시간 제어부(50-10e)를 사용하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동작을 개시한다(스텝 S1502). 이 때, 사용 중인 파일이나 설정을 자동 보존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1503).
계속해서, 관리 서버(20)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셧 다운되는 것을 통지한다(스텝 S1504).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의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에는, 상술한 스텝 S1502의 어플리케이션 종료, 스텝 S1503의 파일의 보존, 및 스텝 S1504의 셧 다운이 기록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셧 다운 동작을 종료한다(스텝 S150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관리 서버(2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해 둔다. 그리고, 관리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한다. 여기에서, 관리 서버(20)는, 관리 정책으로서, 복수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기본 관리 정책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고, 또한 기본 관리 정책 테이블로부터 이용 허가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용 허가 시간을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적용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각각에 대하여 최적의 관리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이용 이력을 로그 파일로서 기록한다. 그리고, 기록한 이 로그 파일에 기초하여, 이용 허가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각각의 단말기의 이용 형태에 맞추어 유연하게 최적의 관리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정책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이용 종료 시각, 또는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이용 개시 시각이 포함된다. 그리고, 관리 서버(20)는, 이 관리 정책을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이용 종료 시각에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이용 개시 시각에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리 서버(20)는, 관리 정책을 송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시간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관리 정책을 나타내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열람할 수 있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자 단말기(30)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이 화면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출한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장치는, 관리 서버(20)에 액세스함으로써, 관리 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그룹마다 관리 정책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일괄하여 관리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과 현재 시각과의 차분에 기초하여, 현재 시각으로부터 상기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을 산출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통지한다.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갖는 시계가 가리키는 시각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또는 시차가 발생하는 지역이나 서머타임이 도입되는 지역 등에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관리하는 환경 등 시각의 동기가 항상 취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수신한 시간에 기초하여 종료 시각에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각으로부터 상기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해진 값인 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하여 시간의 통지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그룹 분류해 두고, 관리 서버(20)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로그 파일과, 관리 정책을 대응지어,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도록 표시 제어하여도 된다. 이 경우, 유저는, 그룹마다 로그 파일과 관리 정책의 대응을 일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공처, 회사, 학교, 상점, 공공 시설 등의 단말기를 사용하는 직장에서의 업무나 학업에서,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기록하고, 기록되어 있는 이용 이력을 분석한다. 이로 인해, 방치된 단말기를 제3자가 조작하는 것에 의한 정보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말기 이용자가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단말기나 네트워크에 장해가 발생하거나, 혹은 바이러스나 웜에 의한 피해를 입는 등의 경우, 이용 이력, 관리 정책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문제 발생의 증거 발견이나, 원인 구명 등을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의 효과를 특별한 전원 관리 장치 등을 이용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로 대표되는 단말기와 그 프로그램만으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여분의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5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이 관리 정책에 설정되어 있는 나머지 시간이 된 것에 따라 경고 통지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스텝 S1501),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시간이 관리 정책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총 이용 시간, 즉 통산 또는 일정 기간의 합계에서의 이용 시간이 관리 정책에서 규정된 이용 허가 시간이 된 것에 따라, 스텝 S1501 내지 S1505를 실행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스제를 도입하고 있는 직장의 컴퓨터 시스템 등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총 이용 시간의 관리가 필요한 시스템에 있어서도, 최적의 관리 스케줄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 정책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마다 개별적인 이용 허가 시간이 포함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마다 대응하는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송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마다 적절한 관리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정책에는, 미리 정해진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그룹에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시간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이 관리 정책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그룹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총 이용 시간의 합계가 이용 허가 시간이 되면,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그룹마다 적절한 관리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조직 전체의 에너지 배출량을 적절하게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기 관리 시스템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기 관리 시스템에 추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이 근접한 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할지의 여부를 이용자에게 선택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실시 형태의 동작의 대부분은 제1 실시 형태의 동작과 공통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동작과 다른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공통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클라이언트 단말기(50), 일반 단말기(60)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허가 시간의 연장과 이용 이력 갱신에 관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의 흐름은,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나머지 이용 허가 시간이 이용 데이터베이스(50-10a) 내의 관리 정책에 설정되어 있는 연장 설정 시간이 되었을 때에 개시된다. 예를 들어, 설정이 10분 전이면, 이용 허가 시간 나머지 10분이 되었을 때에 개시되게 된다.
연장 설정 시간이 되었을 때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50-8)(도시하지 않음)에 이용 시간 연장에 관한 문의를 표시한다. 도 19는, 이러한 이용 시간 연장에 관한 문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문의에 대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지시가, 이용 시간을 연장하는 선택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801). 도 19의 예에서는 「연장 신청」 S1901이 선택된 경우에는 이용 시간의 연장이 선택되고, 「종료합니다」 S1902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용 시간의 연장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의해 이용 시간의 연장을 하지 않는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스텝 S1801에서 "아니오")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도 15의 스텝 S1501 이후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서의 경고(스텝 S1501)는, 상기의 이용 시간 연장의 선택이 이루어진 직후에 표시하여도 된다. 혹은, 경고를 내는 시각을 별도로 관리 정책 내에 설정해 두고, 당해 시각에 경고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스텝 S180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이용 시간 연장의 선택을 한 경우에는(S1801에서 "예"), 관리 서버(20)에 이용 시간 연장을 통지한다(스텝 S1802). 그리고, 이용 데이터베이스(50-10a)를 갱신한다(스텝 S1803). 그 때에, 관리 서버(20) 내의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 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관한 이용 이력도 갱신된다.
이상의 동작, 처리가 클라이언트 단말기(50) 및 관리 서버(20)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면,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관한 관리 정책 내의 이용 허가 시간을 경과한 후에도 계속해서 이용 가능하게 된다(스텝 S1804).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상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용도에 맞추어 유연하게 최적의 관리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이용 허가 시간의 연장의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유저의 희망에 맞추어 적절한 관리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중단할 수 없는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자동적으로 연장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적절한 이용 허가 시간 외의 근무, 구체적으로는 잔업이나 업무 연장 등의 업무에 관한 단말기의 이용 시간의 연장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용 허가 시간이 연장된 경우에도 이용 이력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근무 이외에서 사용된 경우, 적절하지 않은 이용 내용이 밝혀진 후에, 단말기 이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 이용 허가 시간의 연장의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에, 이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도록 관리 정책을 갱신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관리 정책을 갱신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용도에 맞추어 유연하게 최적의 관리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한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업무의 증가 등에 의해 이용 허가 시간이 3시간 연장되고 셧 다운된 것으로 한다. 그 경우, 당초의 관리 정책 내의 이용 허가 시간보다도 3시간 늦은 종료 시각이,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에 로그로서 보존된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기(30)는, 갱신된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의 로그 파일을 기초로,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직접 설정하고, 3시간 연장한 이용 허가 시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용 허가 시간이 연장된 로그를 기초로, 보다 업무 내용의 실태에 적합한 관리 정책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이력을 로그 파일로서 기록한다. 여기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로그 파일에 기록한다. 따라서, 로그 파일을 분석함으로써, 이용 허가 시간의 연장이 어떻게 행해졌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자 단말기(30)가 관리 서버(20) 내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재기입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일반 단말기(60)가, 관리 서버(20)로부터 이용 허가를 받아,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관리 서버(20)에 접속하고,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을 변경,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 단말기(60)가 구비하는 소프트웨어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클라이언트 단말기(50)와 달리 웹 브라우저만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 및 일반 단말기(60)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도 20은, 특정한 일반 단말기가,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관리 정책의 재기입을 행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우선, 관리 서버(20)는, 특정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에 대한 판독 기입, 로그를 열람하는 권한 등, 일반 단말기(60)가 조작 가능한 항목을 선택한다(스텝 S2001). 이 선택은, 예를 들어 일반 단말기(60)가 선택 가능한 조작의 일람을 포함하는 정보를, 미리 HDD(20-10)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해 두고, 당해 기억 장치로부터 이 정보를 판독하고, 참조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혹은, 예를 들어 일반 단말기(60)가 선택 가능한 조작에 관하여, 관리자 단말기(30)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지시를 접수하고, 당해 지시를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관리 서버(20)가 전송함으로써, 조작 가능한 항목을 선택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이용 허가하는 일반 단말기(60)에 대하여 어카운트를 부여한다(스텝 S2002). 구체적으로는, 관리 서버(20), 및 관리 서버(20) 내에 있는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에 대하여, 일반 단말기(60)가, 웹 브라우저를 통하고,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액세스하기 위한 권한을 부여한다. 또한, 어카운트의 부여는 1회만으로 하고, 2회째 이후의 동작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2는, 일반 단말기(60)가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관리 서버(20)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서는, 일반 단말기(60)가 관리 서버(20)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카운트로서 ID(2201) 및 패스워드(2202)를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예시되어 있다. ID 및 패스워드를 송신함으로써, 상술한 관리 정책에 대한 판독 기입, 로그를 열람하는 권한 등이 취득된다.
일반 단말기(60)는 내부에 관리자 프로그램(30-10a)을 갖지 않아도,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이 화면을 열람하고, 적정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관리 서버(20)에 로그인할 수 있다(스텝 S2003).
계속해서, 일반 단말기(6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관한 관리 정책의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2004). 이 때, 일반 단말기(60)는, 관리하는 것을 확인받은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데이터를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로부터 호출하고, 거기에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을 입력한다.
도 23은,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관리 서버(20)는, 일반 단말기(60)로부터 적정한 로그인 정보를 수취하면, 도 23과 같은 화면의 데이터를 일반 단말기(60)에 송신하고, 일반 단말기(60)로부터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의 입력을 접수한다.
일반 단말기(60)로부터 송신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관한 관리 정책을 수신하면, 관리 서버(20)는,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당해 관리 정책을 기억한다(스텝 S2005). 이 때, 일반 단말기(60)가 관리 정책을 입력하였다고 하는 이력을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 내에 남겨도 된다. 이에 의해, 나중에 이 이력을 열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4는, 관리자가, 일반 단말기(60)에 의한 관리 정책의 입력에 관한 이력을 참조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 참조 부호 2401은 이력을 표시하는 일자를 선택하기 위한 캘린더이며, 관리자에 의한 일자의 선택을 접수한다. 그 외, 이력의 열람 대상인 개시 시각이나 종료 시각이 선택된 후에, 「로그를 표시한다」 버튼(2402)이 선택되면, 관리 서버(20)는, 선택된 일시의 이력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한다.
도 20 중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권한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이력도 열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5는, 일반 단말기(6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이력을 열람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에 있어서, 참조 부호 2501은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형태의 일람 표시이며, 이 일람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이용 형태가 일반 단말기(60)로부터 선택되면, 관리 서버(20)는 선택된 내용을 일반 단말기(60)에 송신하여, 표시 제어한다.
그리고, 이후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713, 스텝 S714와 마찬가지로,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관리 정책을 송신한다(스텝 S2006). 이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관리 정책이 적용된다(스텝 S2007).
상기의 동작 이후는,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2, 도 15, 도 18과 동일한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상의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관리 정책을 재기입하는 일련의 동작은, 일반 단말기(60) 이외에도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를 사용하여 행해져도 된다.
도 21은, 관리 서버(20)의 이용 허가를 받은 일반 단말기(60)가,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을 변경, 갱신 가능하게 할 때까지의 처리에서의 관리 서버(20)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스텝 S2101에 있어서,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에 대한 판독 기입 등, 일반 단말기(60)에 조작을 허가하는 항목, 즉 일반 단말기(60)가 조작 가능한 항목을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선택은,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내용이나, 관리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2102에 있어서, 일반 단말기(60)에 대하여 이미 어카운트를 부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관리 서버(20)는, 어카운트를 부여한 일반 단말기(6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HDD(20-10)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있고, 당해 정보를 참조하여 S2102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일반 단말기(60)에 대하여, 이미 어카운트 부여가 있는 경우(스텝 S2102에서 "예")에는, 일반 단말기(6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2103). 한편, 일반 단말기(60)에 대하여, 아직 어카운트 부여가 없는 경우(스텝 S2102에서 "아니오")에는, 어카운트 등을 부여하고(스텝 S2107), 일반 단말기(6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2103).
다음으로, 일반 단말기(60)로부터,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 데이터를 수신하고(스텝 S2104), 관리 정책을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기억하고, 일반 단말기(60)가 관리 정책을 입력하였다고 하는 이력을 단말기 로그 데이터베이스(20-10b)에 기억한다(스텝 S2105). 그리고, 기억된 관리 정책을 지정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송신하고(스텝 S2106), 관리 정책의 설정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자 단말기(30)뿐만 아니라, 일반 단말기(60)에도 관리 정책을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효과에 추가하여, 불규칙한 스케줄에도 단말기 관리의 대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급한 일이 생겨, 단말기의 이용 시간을 연장해야만 하는 경우나, 직장 변경의 경우, 혹은 대규모의 직장에 있어서 관리인이 부재인 경우등에, 관리직 사람이 임시로 이용 허가 시간을 변경하거나 할 수 있어, 유용성이 높아진다.
또한, 일반 단말기에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인스톨해 둘 필요가 없고, 범용성 있는 웹 브라우저로도 충분하므로,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PC를 사용하여 유연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용 이력(로그)에 기초하여 관리 정책을 선택하는 처리를 선택하는 처리에 대하여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용 이력에 기초하는 관리 정책의 선택의 새로운 예로서, 이용 이력(로그)으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일정 기간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기본 관리 정책을 선택ㆍ적용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장치 구성이나 시스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상이한 개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로그)으로부터 일정 시간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 내의 이용 허가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재설정을 행하여 제어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기준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ㆍ이용 이력에 포함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 내용(마우스의 이동 거리, 키보드의 타건수)」으로 나타내어지는 카운트수가 일정 시간에 걸쳐 「0」인 것
ㆍ이용 이력 내의 파일 조작(작성, 갱신, 삭제 등)이 일정 시간에 걸쳐 보이지 않는 것
ㆍ이용 이력 내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에서의 최전면의 윈도우(소위 액티브 윈도우)가 일정 시간 갱신되지 않는 것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여기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리 서버의 동작)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관리 서버(20)의 동작에 대하여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이용 허가 시간을 단축하는 관리 서버(20)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판단(이하, 미사용 판단) 기준이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용 이력이 1시간에 걸쳐 0」인 경우를 상정한다.
우선, 스텝 S3101에 있어서, 관리 서버(20)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예를 들어, 5분마다)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로부터 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이력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이 이용 이력에는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 내용이나 파일 조작,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액티브 윈도우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관리 서버(20)는 이용 이력을 수신하면 로그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다음으로, 스텝 S3102에 있어서, 관리 서버(20)는, 스텝 S3101에 있어서 수신한 이용 이력을 참조(체크)한다. 관리 서버(20)는, 미리 관리 정책에서 지정된 특정한 이용 이력을 체크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용 이력을 체크한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관리 정책에 「특정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는, 그 「특정 프로그램」의 동작의 이용 이력을 체크한다. 또한, 이 특정 프로그램이란, 바이러스 체크 프로그램이나 하드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 등 유저의 조작이 불필요하고 처리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특정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 등의 중단할 수 없는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에는 이용 허가 시간의 단축을 행하지 않는다. 중단할 수 없는 처리의 새로운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스텝 S3103에 있어서, 관리 서버(20)는, 스텝 S3102에서 참조한 이용 이력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가 미사용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용 이력이 1시간에 걸쳐 0인」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미사용이라고 판단하는 구성에서는, 5분마다 수신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용 이력이 12회 연속 모두 「0」이었던 경우에, 미사용을 판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미사용이라고 판단된 경우(스텝 S3103에서 "예")에는 스텝 S310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스텝 S3103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3101로 복귀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또한, 상술한 「특정 프로그램」의 동작이 이용 이력으로부터 검출 가능하였던 경우에는, 그 시간대에서의 미사용 판단은 무효로 된다.
스텝 S3104에서는, 관리 서버는 이 후 클라이언트 단말기 내의 관리 정책에 이용 허가 시간의 재설정을 행하는, 여기에서는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을 이용 허가 시간의 재설정을 행한 직후(예를 들어 5분 후)에 설정한다. 관리 서버는 여기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경고 화면을 내기 위한 지시를 행한다. 예를 들어 「장시간의 사용이 보여지지 않으므로, 5분 후에 자동 셧 다운을 행합니다. 사용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캔슬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등의 지시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관리 서버(20)의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이용 허가 시간의 재설정은, 미리 서버 내에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관리 정책 데이터 중에서, 현재의 시각으로부터 가장 빨리 도달하는 종료 시간을 갖는 관리 정책 데이터를 선택하여도 된다.
변경된 이용 허가 시간을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그 시간에 셧 다운된다. 또한, 이 이용 허가 시간의 단축 처리에 대해서는 관리 서버 단말기(20) 내의 이용 이력에 기록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서버(20)는 기록된 로그 파일을 해석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미사용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미사용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한 것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허가하는 이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이용 허가 시간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이용 허가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부재의 PC를 자동적으로 멈춤으로써, 모니터의 엿봄을 방지하고, 예를 들어 소셜 엔지니어링(패스워드의 훔쳐봄 등)에 의한 정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용 이력이 기록되는 로그 파일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대한 유저의 조작 기록(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 등)이 포함되고, 관리 서버(2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없는 시간을 미사용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미사용을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처리예에서는,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중단할 수 없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미사용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라도 이용 허가 시간의 단축을 행하지 않았는데, 중단할 수 없는 경우는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경우에, 관리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이용 이력(로그)으로부터 중단 불가한 작업 중이라고 판단하여,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의 관리 정책의 적용을 저지하여도 된다.
ㆍ특정한 프로그램의 동작 중
ㆍ업데이트 파일 등의 실행 중
ㆍ인쇄 중, 다운로드 중, 파일의 이동 중인 경우(예를 들어, 인쇄, 다운로드, 파일의 이동 다이얼로그의 액티브 윈도우를 마지막에 원래의 액티브 윈도우가 부활하지 않는 경우 등)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중단할 수 없는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용 허가 시간의 단축을 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처리의 지속을 방해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미사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이 되어도, 「일정 시간 유저에 의한 직접 입력 응답」 혹은 「중단 불가의 작업 중」 상태의 로그가 계속해서 보여진 경우에는, 관리 정책 내의 이용 허가 시간을 자동적으로 연장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이용 허가 시간의 연장을 일일히 행하지 않아도 유저는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한편, 사용되고 있지 않은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특정한 시간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동, 로그온,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 로크 상태로부터의 복귀, 스탠바이 상태로부터의 복귀,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자가 직접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전원을 온하는 등,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하고자 하였을 때에, 이용 허가 시간 외이었을 때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한다. 예를 들어, OS 기동시에 관리 정책을 체크하여, 기동 직후에 전원이 오프, 혹은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관리 대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가 하나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복수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 혹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를 관리 서버 내의 단말기 이용 데이터베이스(20-10a)에 있어서, 그룹으로서 취급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이 단말기 관리 시스템이 「2층 재료 연구소」나 「3층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부」라고 하는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는, 그룹에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는 동일한 관리 정책을 적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전원 온ㆍ오프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사용에 관한 조작도 그룹마다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단말기 관리 시스템의 유연성ㆍ유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추가하여, 조기 출근, 플렉스 제도, 시프트 제도에 의해 이용 허가 시간의 개시가 개별, 또는 그룹에 따라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그룹 단위로 단말기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특히 대규모 직장에 있어서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로그 파일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관리 정책을 동시에 참조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의 관리 서버(20) 및 관리자 단말기(30)는 별개의 것이지만, 관리자 단말기(30)가 관리 서버(20)에 통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관리자는 관리 서버(20)의 내용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송수신 등 관리 서버(20)와 관리자 단말기(30) 사이에서 이루어져 온 대화는 모두 통합된 관리 서버(20)의 내부 처리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특징적인 부분은 관리 서버(20), 관리자 단말기(30),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처리 및 기능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은 그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현되고 있으므로, 당연히 그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상 HDD, FD, CD, DVD, 스토리지 디바이스로 대표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단말기에 접속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이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단말기에 세트하고, 시스템에 카피 또는 인스톨함으로써 실행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확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구성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50)마다의 이용 이력과, 클라이언트 단말기마다의 관리 정책을 일괄 관리함으로써, 단말기마다 최적의 관리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전원 ON, OFF의 시간 또는 이용 허가 시간을,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에 의해 관리 정책으로서 스케줄링을 기억할 때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조작 로그로서 관리 서버(20)측에서 취득해 둔다. 그리고, 이용 중인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적으로 전원을 오프한다. 이에 의해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 외에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을 일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동작 내용은 로그로서 관리 서버(20) 쪽에서 취득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사용 상황을 하나하나 관리 서버(20)측에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이용 허가 시간은, 단말기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인이 관리자 단말기(30)를 조작함으로써, 이용 환경에 맞게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불규칙한 업무 형태나 타임 스케줄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이용 허가 시간을 초과한 이용, 제3자에 의한 부정 이용, 이용 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단말기의 전원을 끄는 것을 잊는 것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거나,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쓸데없는 전력 소비나 정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07년 11월 27일 제출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306247호를 기초로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31)

  1.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이용 종료 시각이 포함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이용 종료 시각에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이용 개시 시각이 포함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이용 개시 시각에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이용 허가 시간의 연장의 리퀘스트(request)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도록 상기 관리 정책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을 나타내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열람할 수 있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외부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화면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송출하는 송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그룹마다 상기 관리 정책의 설정을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8.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의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수 수단은,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정책의 설정을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시각을 계시(計時)하는 계시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과, 상기 계시 수단에 의해 계시되는 현재 시각과의 차분에 기초하여, 현재 시각으로부터 상기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된 시간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산출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값인 경우에, 상기 시간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이용 이력을 로그 파일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한 경우에, 그 취지를 상기 로그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관리 정책에는 복수의 상기 이용 허가 시간이 포함되고,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된 상기 로그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정책에 포함되는 상기 이용 허가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이용 허가 시간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그룹 분류되어 있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상기 로그 파일과, 상기 관리 정책을 대응지어,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이용 허가 시간의 연장의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중단할 수 없는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6.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 정책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이용을 허가하는 총 이용 허가 시간이 포함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통산 또는 일정 기간의 합계에서의 이용 시간이 상기 총 이용 허가 시간이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에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각각에 대한 상기 총 이용 허가 시간이 포함되고,
    상기 적용 수단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마다 대응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에는, 미리 정해진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그룹에 이용을 허가하는 총 이용 허가 시간이 포함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그룹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통산 또는 일정 기간의 합계에서의 이용 시간의 합계가 상기 총 이용 허가 시간이 되면,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9.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관리 정책으로서, 복수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기본 관리 정책 테이블을 기억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기본 관리 정책 테이블로부터 이용 허가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용 허가 시간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이용 이력을 로그 파일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된 상기 로그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허가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21.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관리 대상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이용 이력을 로그 파일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된 상기 로그 파일을 해석하여, 상기 관리 대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미사용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관리 대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미사용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한 것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허가하는 이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상기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파일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한 유저의 조작 기록이 포함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없는 시간을 상기 미사용 시간으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미사용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한 경우라도, 상기 클라이언트가 중단할 수 없는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이용 허가 시간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적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24.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관리 서버이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기록하고, 로그 파일로서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해 두는 제2 기억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25.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이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을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적용하는 적용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시각을 계시하는 계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이용 허가 시간에 따라, 상기 계시 수단이 계시한 시각에 기초하여,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수단은, 상기 이용 허가 시간의 종료 시각에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28.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관리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구비하는 단말기 관리 시스템이며,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관리 정책을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적용하는 적용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이력을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시스템.
  29.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고,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책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한 관리 서버에 의한 단말기 관리 방법이며,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공정과,
    판독한 상기 관리 정책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하여 이용 허가 시간을 적용하는 적용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이용 허가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방법.
  30. 컴퓨터를,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관리 서버, 또는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31. 제30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7011681A 2007-11-27 2008-11-26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322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6247 2007-11-27
JP2007306247 2007-11-27
PCT/JP2008/071444 WO2009069655A1 (ja) 2007-11-27 2008-11-26 管理サーバ、クライアント端末、端末管理システム、端末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062A Division KR101300948B1 (ko) 2007-11-27 2008-11-26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181A true KR20100084181A (ko) 2010-07-23
KR101322958B1 KR101322958B1 (ko) 2013-11-21

Family

ID=406785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062A KR101300948B1 (ko) 2007-11-27 2008-11-26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0107011681A KR101322958B1 (ko) 2007-11-27 2008-11-26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062A KR101300948B1 (ko) 2007-11-27 2008-11-26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32305B2 (ko)
JP (2) JP5554565B2 (ko)
KR (2) KR101300948B1 (ko)
CN (1) CN101878477A (ko)
WO (1) WO2009069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71564T3 (es) * 2009-12-21 2018-06-07 Nec Corporation Sistema de gestión de sesiones, dispositivo de gestión de sesiones, método de gestión de sesiones, programa de gestión de sesiones
JP5546930B2 (ja) * 2010-03-31 2014-07-09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シャットダウン制御システム
JP5697917B2 (ja) * 2010-07-23 2015-04-08 Sky株式会社 業務管理システムおよび業務管理プログラム
JP5255615B2 (ja) * 2010-09-28 2013-08-07 株式会社富士通エフサス 機器使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使用管理プログラム
JP4832604B1 (ja) * 2011-03-28 2011-12-07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使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使用管理方法
US8984414B2 (en) * 2011-11-07 2015-03-17 Google Inc. Function extension for browsers or documents
US9172583B1 (en) * 2011-11-22 2015-10-27 Crimson Corporation Actively provisioning a managed node
JP5750658B2 (ja) * 2012-10-10 2015-07-2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会議サーバ、会議サ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8103B2 (ja) * 2012-11-16 2017-01-25 任天堂株式会社 権限管理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権限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権限管理方法
KR101450250B1 (ko) * 2013-05-20 2014-10-22 넷큐브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스마트기기 입체적 정책 적용 방법 및 장치
US10313144B2 (en) * 2013-06-07 2019-06-04 Lennie Earl Franks System and method for incident reporting and notification
JP6252739B2 (ja) * 2013-09-13 2017-12-27 株式会社リコー 伝送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8490B2 (ja) * 2013-09-13 2017-12-20 株式会社リコー 伝送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35387B2 (ja) * 2014-03-19 2017-11-22 株式会社東芝 端末管理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端末管理プログラム
WO2016020984A1 (ja) * 2014-08-05 2016-02-11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方法及びシステム
CN104615531A (zh) * 2014-12-26 2015-05-1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累计使用时长的统计方法及网络系统
BR112019005714B1 (pt) 2016-09-24 2023-11-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para um dispositivo eletrônico e dispositivo eletrônico para gerenciar tempo de uso de programa de aplicação offline
JP6411003B1 (ja) * 2017-11-06 2018-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収集装置、データ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1092B1 (en) * 1999-09-29 2003-06-17 Ricoh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diagnostic, control and information collection based on various communication modes for sending messages to users
US5051837A (en) * 1990-06-06 1991-09-24 Mcjunkin Thomas N Home entertainment equipment control apparatus
US6185514B1 (en) * 1995-04-17 2001-02-06 Ricos International, Inc. Time and work tracker with hardware abstraction layer
US6446119B1 (en) * 1997-08-07 2002-09-03 Laslo Olah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omputer usage
US6192361B1 (en) * 1997-12-23 2001-02-20 Alcatel Usa Sourcing, L.P. Full group privileges access system providing user access security protection for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US6349289B1 (en) * 1998-01-16 2002-02-19 Ameritech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computer system usage through a remote access security device
KR20010050285A (ko) * 1999-09-02 2001-06-15 야스카와 히데아키 인쇄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
JP2001282625A (ja) * 2000-03-31 2001-10-12 Fujitsu Ltd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7100053B1 (en) * 2000-04-28 2006-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nitoring and managing user access to content via a portable data storage medium
JP2002041463A (ja) * 2000-07-21 2002-02-08 Fujitsu Ltd 端末装置の利用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889234B2 (ja) 2001-03-27 2007-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ライアル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20143914A1 (en) * 2001-03-29 2002-10-03 Cihula Joseph F. Network-aware policy deployment
US20030028622A1 (en) 2001-08-06 2003-02-06 Mitsuhiro Inoue License management server, terminal device,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usage restriction control method
JP2003178163A (ja) * 2001-08-06 2003-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イセンス管理サーバ、端末装置、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及び利用制限制御方法
JP3437176B2 (ja) 2001-09-04 2003-08-18 デンセイ・ラムダ株式会社 電源管理装置及び電源管理システム
US7167919B2 (en) * 2001-12-05 2007-01-23 Canon Kabushiki Kaisha Two-pass device access management
EP1485804B1 (en) * 2002-02-20 2007-12-26 Pharos Systems International, Inc. Computer reservation and usage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7356836B2 (en) * 2002-06-28 2008-04-08 Microsoft Corporation User controls for a computer
US7428585B1 (en) * 2002-07-31 2008-09-23 Aol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Local device access controls
JP4400059B2 (ja) * 2002-10-17 2010-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ポリシー設定支援ツール
JP4465952B2 (ja) * 2002-10-28 2010-05-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4234043A (ja) * 2003-01-28 2004-08-19 Hitachi Eng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制限システム
US8484643B2 (en) * 2003-03-31 2013-07-09 Fujitsu Limited CPU usage time counting method and job control system using this CPU usage time
JP3904534B2 (ja) 2003-05-30 2007-04-11 京セラ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株式会社 端末状態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4362075A (ja) * 2003-06-02 2004-12-24 Fujitsu Ltd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50131810A1 (en) * 2003-12-11 2005-06-16 Sandy Garrett Methods and systems for payment of equipment usage
JP3918827B2 (ja) * 2004-01-21 2007-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キュアリモートアクセスシステム
JP2005234729A (ja) * 2004-02-18 2005-09-0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不正アクセス防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870376B2 (en) * 2004-03-23 2011-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access to computer system
KR100641154B1 (ko) * 2004-06-03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GB2416879B (en) * 2004-08-07 2007-04-04 Surfcontrol Plc Device resource access filtering system and method
DE102004045192A1 (de) * 2004-09-17 2006-03-30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atenübertragungsnetzes unter Verwendung von Lizenzdaten und zugehöriger Vorrichtungsverbund
US20060168254A1 (en) * 2004-11-01 2006-07-27 Norton Scott J Automatic policy selection
US7451478B2 (en) * 2004-12-22 2008-11-11 Inventec Corporation Time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7607164B2 (en) * 2004-12-23 2009-10-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for managing policy change in a distributed enterprise
US20080155538A1 (en) * 2005-03-14 2008-06-26 Pappas Matthew S Computer us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4738412B2 (ja) * 2005-07-12 2011-08-03 富士通株式会社 共用管理プログラム、共用管理方法、端末装置、及び共用管理システム
US7890569B1 (en) * 2005-09-29 2011-02-15 Symantec Corporation Tracking time usage on a disconnected client over a period of time
JP2007102441A (ja) * 2005-10-04 2007-04-19 Seiko Epson Corp セキュリティー監視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ー監視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976246A (zh) * 2005-11-28 2007-06-06 国际商业机器公司 允许移动设备预订和获取服务的方法、装置及移动设备
US9407662B2 (en) * 2005-12-29 2016-08-02 Nextlabs, Inc. Analyzing activity data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2007249417A (ja) * 2006-03-14 2007-09-27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
US20080005319A1 (en) * 2006-05-16 2008-01-03 Anderholm Eric J Monitoring computer use through a calendar interface
US20080079536A1 (en) * 2006-09-26 2008-04-03 Alexander Francis Palfi Device for limiting usage time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8055537B2 (en) * 2007-03-29 2011-11-08 Xerox Corporation Customer satisfactio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printers
US20090064314A1 (en) * 2007-08-31 2009-03-05 Lee Michael 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arental Controls for a Portable Media Device
US8201224B1 (en) * 2008-09-30 2012-06-12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ily adjusting control settings on compu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60488A (ja) 2014-09-04
KR101322958B1 (ko) 2013-11-21
US20090240796A1 (en) 2009-09-24
WO2009069655A1 (ja) 2009-06-04
KR101300948B1 (ko) 2013-09-16
KR20120081223A (ko) 2012-07-18
JPWO2009069655A1 (ja) 2011-04-14
US8732305B2 (en) 2014-05-20
CN101878477A (zh) 2010-11-03
US8417815B2 (en) 2013-04-09
JP5554565B2 (ja) 2014-07-23
JP5789024B2 (ja) 2015-10-07
US20120117238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958B1 (ko) 관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단말기 관리 시스템, 단말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40682B1 (ko) 로컬 피씨로의 데이터 저장을 방지하는 보안파일서버시스템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기록매체
JP4576923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記憶容量管理方法
US94953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viewing role definitions
US63669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ly retrieving information from multiple databases
US20100100970A1 (en) Enforcing alignment of approved changes and deployed changes in the software change life-cycle
EP1835430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of managing a secondary storage unit in a user terminal
US20080092133A1 (en) Installation utility system and method
US200402437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140317610A1 (en) Ensuring access to long-term stored electronic documents
US200900129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role-appropriate policies
JP4587164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849490B1 (ko) 자녀 컴퓨터의 사용통제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정보저장매체
JP4700322B2 (ja) 簡易媒体使用管理システム、簡易媒体使用管理方法、簡易媒体使用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簡易媒体使用プログラム
JP2008052337A (ja) デジタルデータファイル多属性評価分類操作管理プログラム
JP4896656B2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WO2013073029A1 (ja) 情報提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122280A (ko) 워크플로우툴 생성 방법 및 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JP2006302041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20240143798A1 (en) Rol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n integrated role recommendation engine
JP4928505B2 (ja) 外部記憶媒体管理システム
Ahmad et al. Improved Event Logging for security and Forensics: developing audit management infrastructure requirements
JP5054181B2 (ja) 簡易媒体使用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簡易媒体使用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簡易媒体使用プログラム
JP2021128395A (ja) 業務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insborough Obligations that Require and Affect Authoriz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430

Effective date: 201309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