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187A - 의료 기기 - Google Patents
의료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3187A KR20100083187A KR1020107012025A KR20107012025A KR20100083187A KR 20100083187 A KR20100083187 A KR 20100083187A KR 1020107012025 A KR1020107012025 A KR 1020107012025A KR 20107012025 A KR20107012025 A KR 20107012025A KR 20100083187 A KR20100083187 A KR 201000831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p member
- medical device
- housing
- slip
- reces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5 clinical urin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9 isopr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2 time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생체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1)에 있어서, 그 하우징(2)의 외면(면 (6) 및 (7))에 오목부(8)를 설치한다. 오목부(8)의 내측에, 미끄럼방지 부재(3)를 붙인다. 또, 오목부(8)의 내측에는, 다른 오목부(9)가 설치된다. 오목부(9)는, 오목부(8)의 내측에 미끄럼방지 부재(3)가 첨부되었을 때에, 오목부(9)의 끝(10)이 미끄럼방지 부재(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에, 계측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4)이 설치되는 경우는, 면 (6) 및 (7)은, 표시 화면(4)이 설치된 면(5)에 인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 기기, 특히 휴대형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의료 기기의 소형화가 촉진되고, 예를 들면, 혈당계, 혈압계, 심박계 등에 있어서는, 휴대가 가능한 정도로까지 소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이러한 의료 기기는, 환자나 의료 관계자 등이 가지고 다니는 일도 많고, 그 사용 빈도는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혈당계는,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필수의 의료 기기이며, 휴대 빈도 및 사용 빈도 모두 매우 높아져 있다.
이러한 휴대형의 의료 기기는, 정밀 기기이기 때문에, 충격에 약하고, 낙하시키거나 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기기의 취급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의료 기기를 낙하시켜 버린 경우의 손상의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보호 커버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보호 커버는, 측면에, 미끄럼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낙하 그 자체의 방지도 도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방지 부재는, 표면에 요철을 구비하고, 고무나 수지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또, 미끄럼방지 부재는, 보호 커버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2004-313269호 공보
그러나, 미끄럼방지 부재는, 사용 기간이 길어지면, 열화되거나, 마모되어 버리고, 그 미끄럼방지 효과는 저하된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부재는,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보호 커버에서는, 미끄럼방지 부재는 보호 커버의 측면에 매입(埋入)되어 있고, 미끄럼방지 부재의 교환에는 큰 노력이 따른다. 또한, 미끄럼방지 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붙여져 있는 경우는, 경시 변화에 따라 접착력이 증가하고, 교환이 한층 더 곤란해지는 일이 있다. 미끄럼방지 부재는, 보호 커버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보호 커버와 함께 교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 경제적 부담이 커져 버린다.
또, 의료 기기에 보호 커버를 부착하면, 보호 커버의 크기만큼, 의료 기기는 대형화되기 때문에, 의료 기기의 소형화의 촉진이 방해된다. 따라서, 보호 커버를 붙이지 않고, 의료 기기에 미끄럼방지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단지, 미끄럼방지 부재를 붙이면, 보호 커버는 필요없고, 또, 미끄럼방지 부재의 교환도 간단하다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미끄럼방지 부재의 가장자리가 외부와 접촉하기 쉽고, 간단하게 벗겨져 버리기 때문에, 유저는 빈번하게 다시 붙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하우징에 부착된 미끄럼방지 부재가 간단하게 벗겨져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유저에 의한 미끄럼방지 부재의 교체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의료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로서, 외면에 제1 오목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미끄럼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오목부의 내측에 붙여지고, 상기 제1 오목부는, 그 내측에 제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오목부는, 그 끝이,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붙여진 상기 미끄럼방지 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 기기에서는, 미끄럼방지 부재는, 하우징에 설치된 제1 오목부의 내측에 붙여져 있으므로, 미끄럼방지 부재의 가장자리는, 외부로부터 접촉하기 어려워져 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부재의 내구성은, 단지, 하우징의 표면에 붙인 경우와 달리, 크게 향상하고,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곳에서의 박리의 발생은 억제된다. 또, 본 발명의 의료 기기에 의하면, 제2 오목부에 막대형상의 부재 등을 찔러 넣음으로써, 미끄럼방지 부재를 간단하게 벗길 수 있으므로, 유저는, 미끄럼방지 부재의 교체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 미끄럼방지 효과의 저하가 억제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하우징에, 계측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오목부가, 상기 표시 화면이 설치된 면에 인접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로 한 경우는, 유저의 손이 닿기 쉬운 위치에 미끄럼방지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특히 의료 기기가 휴대형인 경우에, 유저가 잘못해서 낙하시켜 버릴 가능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의하면, 그 하우징에 부착된 미끄럼방지 부재가 간단하게 벗겨져 버리는 것을(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박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의도하여, 미끄럼방지 부재를 박리하는 경우는, 미끄럼방지 부재는 간단하게 박리할 수 있고, 유저에 의한 미끄럼방지 부재의 교체는 용이한 것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미끄럼방지 부재가 붙여져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미끄럼방지 부재가 붙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 중에 나타낸 절단선 A-A'에 따라 절단하여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의료 기기의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미끄럼방지 부재의 박리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미끄럼방지 부재가 붙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 중에 나타낸 절단선 A-A'에 따라 절단하여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의료 기기의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미끄럼방지 부재의 박리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미끄럼방지 부재가 붙여져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미끄럼방지 부재가 붙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 중에 나타낸 절단선 A-A'에 따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의료 기기의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미끄럼방지 부재의 박리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는,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 예를 들면, 혈당계, 혈압계, 유산치계, 케톤체 측정 장치, 체온계, 뇨시험지계, 지질 측정 장치 등이다. 또, 의료 기기(1)는, 손바닥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고, 환자 등의 유저가 휴대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의료 기기(1)는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면에 오목부(8)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우징(2)의 외면 중, 한쪽의 주면(5)에는 계측 결과, 예를 들면, 혈당치나 혈압치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면(5)에 인접하는 면(측면)(6 및 7)에, 각각 오목부(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의 내측에는, 미끄럼방지 부재(3)가 붙여진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외면(7)에 설치된 오목부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의료 기기(1)의 하우징(2)에는, 미끄럼방지 부재(3)가 붙여져 있기 때문에, 유저가 잘못해서 기기를 낙하시켜 버리는 사태의 발생은 억제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저가 의료 기기(1)를 조작할 때에, 그 손이 가장 닿기 쉬운 측면, 즉, 면 6 및 7에 미끄럼방지 부재(3)가 설치되어 있고, 미끄럼방지 효과가 높아져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 부재(3)는 오목부(8)의 내측에 붙여져 있으므로, 하우징(2)의 외면에, 단지 붙였을 경우에 비해, 미끄럼방지 부재(3)가 간단하게 박리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미끄럼방지 부재(3)의 가장자리가 외부로부터 접촉하기 어려워져 있기 때문에,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곳에서의 미끄럼방지 부재(3)의 박리는 억제되어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미끄럼방지 부재(3)는,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수지 재료 및 고무 재료는, 표면의 마찰 계수가 높은 재료이면 된다. 또한, 미끄럼방지 부재(3)는, 표면에 요철을 설치함으로써 마찰계수를 높인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는,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방지 부재(3)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AS 수지, 에폭시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 미끄럼방지 부재(3)를 형성하기 위한 고무 재료로서는, 실리콘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불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고무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부재(3)의 하우징(2)에의 부착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점착제층(11)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점착재층(11)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재층(11)의 형성 재료로서는, 하우징의 형성 재료에 따라서, 기존의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11)의 두께는, 요구되는 점착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점착재층(11)은, 점착재를 미리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재층(11) 대신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의료 기기(1)의 하우징(2)에 있어서, 오목부(8)의 내측에는, 그것과는 별도로, 오목부(9)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9)는, 오목부(8)의 내측에 미끄럼방지 부재(3)가 붙여져 있을 때에, 오목부(9)의 끝(10)이, 미끄럼방지 부재(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오목부(8)의 끝의 한쪽 끝(도면 중 상측의 끝)은, 오목부(9)의 끝(10)과 일치하고 있고, 이것도 미끄럼방지 부재(3)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막대 형상의 부재(12)를 오목부(9)에 찔러 넣음으로써, 미끄럼방지 부재(3)를 간단하게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미끄럼방지 부재(3)를 간단히 바꿔 붙일 수 있다. 또, 미끄럼방지 부재(3)를 바꿔 붙이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미끄럼방지 효과의 저하의 억제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9)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부재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저의 손가락끝이 들어갈 정도이면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의료 기기, 특히 휴대형의 소형 의료 기기의 취급성의 향상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의료 기기는,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1:의료 기기 2:하우징
3:미끄럼방지 부재 4:표시 화면
5:하우징의 주면 6, 7:주면에 인접하는 면(측면)
8:오목부 9:오목부(박리용)
10:박리용 오목부의 끝 11:점착재층
12:막대 형상의 부재
3:미끄럼방지 부재 4:표시 화면
5:하우징의 주면 6, 7:주면에 인접하는 면(측면)
8:오목부 9:오목부(박리용)
10:박리용 오목부의 끝 11:점착재층
12:막대 형상의 부재
Claims (2)
- 생체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로서,
외면에 제1 오목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미끄럼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오목부의 내측에 붙여지고,
상기 제1 오목부는, 그 내측에 제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그 끝이,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붙여진 상기 미끄럼방지 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계측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오목부가, 상기 표시 화면이 설치된 면에 인접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의료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318318 | 2007-12-10 | ||
JP2007318318A JP2009136607A (ja) | 2007-12-10 | 2007-12-10 | 医療機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3187A true KR20100083187A (ko) | 2010-07-21 |
Family
ID=4075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2025A KR20100083187A (ko) | 2007-12-10 | 2008-11-26 | 의료 기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17095A1 (ko) |
EP (1) | EP2220994A4 (ko) |
JP (1) | JP2009136607A (ko) |
KR (1) | KR20100083187A (ko) |
CN (1) | CN101873825A (ko) |
TW (1) | TW200924704A (ko) |
WO (1) | WO200907506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20998A4 (en) * | 2007-12-10 | 2013-03-13 | Arkray Inc | MEDICAL DEVICE |
WO2009125538A1 (ja) | 2008-04-07 | 2009-10-15 | アークレイ株式会社 | 医療機器及びカバー構造 |
US20120105335A1 (en) * | 2010-11-03 | 2012-05-03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Touch screen display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78690U (ko) * | 1980-10-30 | 1982-05-15 | ||
JPS6011483U (ja) * | 1983-07-04 | 1985-01-25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ケ−ス表面へのフエイスシ−ト取付構造 |
JPS6235386U (ko) * | 1985-08-21 | 1987-03-02 | ||
JPH08178757A (ja) * | 1994-12-20 | 1996-07-12 | Pigeon Corp | 体温計 |
US6028765A (en) * | 1997-06-19 | 2000-02-22 | Xplore Technologies, Inc. | Removable hand-grips for a portable pen-based computer |
JPH11252225A (ja) * | 1998-02-27 | 1999-09-17 | Kenwood Corp | 移動体通信端末 |
US6367624B1 (en) * | 1998-10-14 | 2002-04-09 |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 Optical component packaging |
JP2001251400A (ja) * | 2000-03-03 | 2001-09-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携帯電話機 |
JP4611619B2 (ja) * | 2003-05-30 | 2011-01-12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 |
JP2005046215A (ja) * | 2003-07-30 | 2005-02-24 | Omron Healthcare Co Ltd | 携帯型心電計 |
JP2007029702A (ja) * | 2005-06-20 | 2007-02-08 | Nippon Seimitsu Sokki Kk | 光電式生体情報測定装置の指先クリップ |
JP3121267U (ja) * | 2005-11-18 | 2006-05-18 | 武夫 大森 | 健康確認又促進時使用器具 |
US7389870B2 (en) * | 2005-12-05 | 2008-06-24 | Robert Slappay | Instrument caddy with anti-magnetic shield |
-
2007
- 2007-12-10 JP JP2007318318A patent/JP2009136607A/ja active Pending
-
2008
- 2008-11-26 WO PCT/JP2008/003473 patent/WO200907506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1-26 EP EP08858638A patent/EP222099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8-11-26 KR KR1020107012025A patent/KR2010008318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11-26 CN CN200880117772A patent/CN101873825A/zh active Pending
- 2008-12-01 TW TW097146545A patent/TW200924704A/zh unknown
-
2010
- 2010-04-30 US US12/771,904 patent/US20100217095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924704A (en) | 2009-06-16 |
EP2220994A1 (en) | 2010-08-25 |
JP2009136607A (ja) | 2009-06-25 |
WO2009075065A1 (ja) | 2009-06-18 |
EP2220994A4 (en) | 2011-12-07 |
US20100217095A1 (en) | 2010-08-26 |
CN101873825A (zh) | 2010-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71754B2 (en) |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 |
US20200093436A1 (en) |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 |
US20230056777A1 (en) | Wearable device with bridge portion | |
US20190167167A1 (en) | Guard rings for on-body analyte sensors | |
US20080021334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non-invasively measuring hemodynamic parameters | |
US20050080345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non-invasively measuring hemodynamic parameters | |
WO2007050269A3 (en) | Single use pulse oximeter | |
EP3318216B1 (en) | Tooth wearable device | |
WO2010104952A3 (en) | Display systems for body-worn health monitoring devices | |
KR20100083187A (ko) | 의료 기기 | |
JP2019537470A (ja) | 持上げセンサパッチ | |
KR101408542B1 (ko) | 휴대형의 의료 기기 | |
Pataky et al. | A new ambulatory foot pressure device for patients with sensory impairment. A system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plantar pressure and a feed-back alarm | |
CN111685908A (zh) | 牙齿附着用可穿戴式设备和牙齿固定用感应设备 | |
KR101485717B1 (ko) | 손목시계형 혈압계 | |
JP2016106973A (ja) | 歩行計測用センサー | |
WO2011123573A1 (en) | Films for touchscreen displays of medical device monitors | |
US11278243B2 (en) | Repositionable surface electrodes | |
CN115397324A (zh) | 包括粘合性贴片的分析对象测量设备 | |
CN215128522U (zh) | 一种新型呼吸心跳检测装置 | |
CN211535329U (zh) | 一种带压力监测的减压双膝垫 | |
KR20100120345A (ko) | 피에조 필름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에서 구조물 삽입에 의한 감도 증가 방법 | |
JP2013099651A (ja) | 生体信号測定方法及び生体信号測定用セ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