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905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905A
KR20100082905A KR1020090002186A KR20090002186A KR20100082905A KR 20100082905 A KR20100082905 A KR 20100082905A KR 1020090002186 A KR1020090002186 A KR 1020090002186A KR 20090002186 A KR20090002186 A KR 20090002186A KR 20100082905 A KR20100082905 A KR 20100082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opening plate
container
plat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209B1 (ko
Inventor
허걸
이우일
이충훈
이용진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2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내측에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출구 내주연에 외주연 둘레가 접합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판과; 상기 개방판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판을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당김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배출구 내측에는 상기 개방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일측 상부에 상기 개방판의 일측 하부와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당김손잡이에 의해 상기 개방판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상기 개방판을 따라 상승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상하이동부재가 접힘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몸체의 배출구 내측에 구비된 상하이동부재로 인해 이물질과 벌레 등이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로 유입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손가락과 내용물이 접촉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들고 이동하거나 상기 몸체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할 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넘쳐 흘러내릴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스트로우의 상단부가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가 상기 스트로우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하이동부재, 스트로우

Description

용기{VESSEL}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내측에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출구 내주연에 외주연 둘레가 접합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판과; 상기 개방판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판을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당김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배출구 내측에는 상기 개방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일측 상부에 상기 개방판의 일측 하부와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당김손잡이에 의해 상기 개방판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상기 개방판을 따라 상승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상하이동부재가 접힘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쥬스, 콜라, 맥주 등의 음료가 수용된 캔음료용기는 선진국이나 후진국 등 세계 모든 나라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음료용기이다.
상기 캔음료용기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쥬스, 콜라, 맥주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내측에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출구 내주연에 외주연 둘레가 접합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판과; 상기 개방판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판을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당김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몸체의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당김손잡이를 사용하여 상기 개방판을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시킬 경우 개방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과 파리, 개미 등의 벌레 등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로 유입될 우려가 다분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들고 이동하거나 상기 몸체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할 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넘쳐 흘러내릴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몸체의 배출구 내측에 구비된 상하이동부재로 인해 이물질과 벌레 등이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로 유입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손가락과 내용물이 접촉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들고 이동하거나 상기 몸체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할 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넘쳐 흘러내릴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스트로우의 상단부가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가 상기 스트로우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내측에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출구 내주연에 외주연 둘레가 접합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판과; 상기 개방판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판을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당김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배출 구 내측에는 상기 개방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일측 상부에 상기 개방판의 일측 하부와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당김손잡이에 의해 상기 개방판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상기 개방판을 따라 상승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상하이동부재가 접힘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개방판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외주연에 구비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판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고,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고, 내부에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 또는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나아가,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 타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 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로우의 외주연에는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트로우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의 상부 양측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몸체의 배출구 내측에 구비된 상하이동부재로 인해 개방판에 잔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과 파리, 개미 등의 벌레 등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로 유입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개방판을 상기 몸체에서 분리시키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접촉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들고 이동하거나 상기 몸체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할 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넘쳐 흘러내릴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개방판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상기 개방판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스트로우의 상단부가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가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때문에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 또는 외부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컵 등에 내용물을 수용시켜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 또한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부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 타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 바닥에 잔재하는 적은양의 음료 또한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로우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주름부로 인해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하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스트로우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 상부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측에서 상하이동하는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가 외부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용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예를 들어 쥬스, 콜라, 맥주 등의 내용물(도 3의 5)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이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내측에 형성된 상판(111)이 구비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13) 내주연에 외주연 둘레가 접합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113)를 개방하는 개방판(30)과; 상기 개방판(3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판(30)을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당김손잡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 개방판(30) 및 당김손잡이(50)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함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13) 내측에는 상기 개방판(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판(30)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상기 개방판(30)을 따라 상승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703)가 형성된 상하이동부재(70)가 접힘상태로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도 2는 상하이동부재(7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개방판(30)의 일측 하부와 접합되는 접합부(70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개방판(30)의 일측 하부와 접합되는 접합부(701)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접합부(701)는 예를 들어 상기 개방판(30)의 일측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실리콘접합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내측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70)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90)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는 상하이동부재(70)가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70)는 상기 개방판(30)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외주연에 구비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70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판(30)을 따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고,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상기 상하 이동부재(70)를 따라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당김손잡이(50)를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13)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당겨 상기 개방판(30)의 일측을 상기 배출구(113)의 일측에서 분리시킬 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701)는 상기 개방판(30)의 일측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일측 상부는 상기 접합부(701)를 따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703)는 펼침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태에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당김손잡이(50)를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13) 타측방향으로 완전히 당겨 상기 개방판(30)을 상기 몸체(10)에서 완전히 분리시킬 경우 상기 접합부(701)는 상기 개방판(30)의 일측 하부와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타측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703)가 펼침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상하이동부재(70)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70)를 따라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방판(30)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상기 개방판(30)을 따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 승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70)를 따라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가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가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고, 내부에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 또는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105)가 형성되는 가이드부(100)가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부에는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상기 유로(105)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로(105)내에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 또는 외부공기가 흐르게 된다.
먼저,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을 흡입하여 섭취할 시 상기 수용공간(110)내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상기 가이드부(100)의 유로(105)로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110)내에 수용된 내용물(5)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은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부(100)의 유로(105)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의 양측을 사용자가 가압하여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이 상기 가이드부(100)의 유 로(105)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시 상기 수용공간(110)내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90)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이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부(100)의 유로(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내용물(5)을 컵 등의 별도의 용기에 수용시켜 섭취할 수있게 된다.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부(100)의 유로(105)의 상부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마개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100)의 유로(10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로 먼지 등의 이물질과, 파리, 개미 등의 벌레등이 유입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100)는 예를 들어,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는 일측 가이드부(101)와;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 타측에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는 타측 가이드부(1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부(100)가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때문에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유로(105)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 또는 외부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컵 등에 내용물(5)을 수용시켜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 또한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70)를 따라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상기 스트로우(9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로우(90)는 상기 몸체(10)의 상하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우(90)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타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로우(90)의 외주연에는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주름부(903)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우(9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903)는 상기 가이드부(100)의 하부와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접힙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당김손잡이(50)를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13) 타측 방향으로 완전히 당겨 상기 개방판(30)을 상기 몸체(10)에서 완전분리시킬 경우 상기 스트로우(9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90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펼침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스트로우(9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903)가 펼침상태를 이루게 됨에 따라 상기 일측 가이드부(101)와 타측 가이드부(103)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는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로우(90)의 하단부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타측 방향으 로 만곡되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 바닥에 잔재하는 적은양의 음료 또한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로우(9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903)로 인해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로우(9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903)의 상부 양측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부(9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910)가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910)는 예를 들어, 상기 주름부(903)의 상부 일측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일측 돌출부(911)와; 상기 주름부(903)의 상부 타측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타측 돌출부(9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30)은 예를 들어, 상기 일측 가이드부(101)의 하부 타측에 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돌출부(911)가 삽입되는 일측 삽입홈(131)과; 상기 타측 가이드부(103)의 하부 일측에 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돌출부(913)가 삽입되는 타측 삽입홈(1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트로우(9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903)가 펼침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가 상승하게 될 시 상기 일측 돌출부(911)와 타측 돌출부(913)는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일측 삽입홈(131)과 타측 삽입홈(133)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스트로우(90)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903)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910)가 상기 가이드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1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내측에서 상하이동하는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가 외부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70), 가이드부(100), 스트로우(90)는 예를 들어 인체에 무해하고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13) 내측에 구비된 상기 상하이동부재(70)로 인해 상기 개방판(30)에 잔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과, 파리, 개미 등의 벌레 등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로 유입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개방판(30)을 상기 몸체(10)에서 분리시키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이 접촉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몸체(10)를 들고 이동하거나 상기 몸체(10)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할 시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물(5)이 외부로 넘쳐 흘러내릴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개방판(30)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가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가 상기 스트로우(90)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내용 물(5)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상하이동부재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개방판의 일측 하부와 접합되는 접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상하이동부재가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내용물, 10; 몸체,
110; 수용공간, 111; 상판,
113; 배출구, 30; 개방판,
50; 당김손잡이, 70; 상하이동부재,
701; 접합부, 703, 903; 주름부,
90; 스트로우, 910; 돌출부,
911; 일측 돌출부, 913; 타측 돌출부,
100; 가이드부, 101; 일측 가이드부,
103; 타측 가이드부, 105; 유로,
130; 삽입홈, 131; 일측 삽입홈,
133; 타측 삽입홈.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내측에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출구 내주연에 외주연 둘레가 접합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판과; 상기 개방판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판을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당김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배출구 내측에는 상기 개방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일측 상부에 상기 개방판의 일측 하부와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당김손잡이에 의해 상기 개방판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상기 개방판을 따라 상승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상하이동부재가 접힘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개방판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분리될 시 외주연에 구비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판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고,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고, 내부에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 또는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 타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로우의 외주연에는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주름부의 상부 양측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90002186A 2009-01-12 2009-01-12 용기 KR101054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86A KR101054209B1 (ko) 2009-01-12 2009-01-12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86A KR101054209B1 (ko) 2009-01-12 2009-01-12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905A true KR20100082905A (ko) 2010-07-21
KR101054209B1 KR101054209B1 (ko) 2011-08-03

Family

ID=4264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186A KR101054209B1 (ko) 2009-01-12 2009-01-12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2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8256A1 (en) * 2018-10-19 2020-04-23 Hui Chester Tien Yi Stackable container with built-in channel
JP2020147288A (ja) * 2019-03-11 2020-09-17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トロー一体型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41Y2 (ja) * 1991-12-17 1995-06-07 芳晴 岩松 ストロー内蔵型飲料入り容器
KR20060109614A (ko) * 2005-04-18 2006-10-23 안진희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8256A1 (en) * 2018-10-19 2020-04-23 Hui Chester Tien Yi Stackable container with built-in channel
JP2020147288A (ja) * 2019-03-11 2020-09-17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トロー一体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209B1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107B (zh) 防溢饮用容器
JP5501380B2 (ja) 飲料容器用閉鎖体及び閉鎖体を備えた飲料容器
KR101560987B1 (ko) 제2 용기가 부착된 푸시 버튼 플립 마개
CN106829173B (zh) 一种按压打开的盖子
KR20210095894A (ko) 음용 컵
KR101054209B1 (ko) 용기
KR20190000570U (ko) 빨대가 구비된 컵
KR20190001151U (ko) 돌출개방 구조를 갖는 음료용 캔뚜껑
KR200356271Y1 (ko)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간편한 음료용기
KR20170049870A (ko) 누수차단패널을 갖는 컵 뚜껑
KR200354817Y1 (ko) 개방시에 빨대가 돌출 되게한 음료수용 캔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KR200348268Y1 (ko)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KR200416593Y1 (ko)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KR930003094Y1 (ko) 팩 내장형 빨대의 설치구조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396815Y1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캔 용기
KR200338615Y1 (ko)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터
KR20090082058A (ko) 안전구조를 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30022191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382387Y1 (ko) 빨대가 형성된 병뚜껑
KR20030022188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JP2011093555A (ja) カップ型容器
KR200426120Y1 (ko) 음료용기용 위생마개
KR20050083038A (ko)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간편한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