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474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474A
KR20100080474A KR1020090134464A KR20090134464A KR20100080474A KR 20100080474 A KR20100080474 A KR 20100080474A KR 1020090134464 A KR1020090134464 A KR 1020090134464A KR 20090134464 A KR20090134464 A KR 20090134464A KR 20100080474 A KR20100080474 A KR 2010008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washing apparatus
pressure adjust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190B1 (ko
Inventor
문석윤
이동일
권익근
김수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13/143,00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00253A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BRPI0923842-5A priority patent/BRPI0923842A2/pt
Priority to EP20090836426 priority patent/EP2387631B1/en
Priority to AU2009334000A priority patent/AU2009334000B2/en
Priority to PCT/KR2009/008002 priority patent/WO2010077105A2/en
Priority to MX2011007089A priority patent/MX2011007089A/es
Priority to RU2011132058/12A priority patent/RU2516496C2/ru
Priority to CN200980155606.XA priority patent/CN102301054B/zh
Priority to CA2748826A priority patent/CA2748826C/en
Publication of KR2010008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474A/ko
Priority to ZA2011/05063A priority patent/ZA201105063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2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by injection mou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를 포함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상기 터브에 대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압력차에 의한 전진현상을 방지하는 압력조절부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터브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터브 내부의 기압을 조절할 수 있어 드럼과 터브 사이의 충돌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세탁장치의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터브 내부의 기압조절을 위해 그 구조가 개선된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최근에는 세탁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장치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이 꼬이고 세탁물에 주름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드럼형 세탁장치의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드럼형 세탁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캐비닛과, 본체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댐퍼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 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넣을 수 있는 원통형상의 드럼으로 크게 구분되고, 드럼은 드럼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드럼형 세탁장치는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기 위하여 드럼이 회전될 때 드럼의 회전력 및 세탁물의 편심 등의 원인에 의해 필연적으로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드럼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터브 및 캐비닛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이에 드럼에서 터브로 전달되는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브와 캐비닛 사이에 터브의 진동을 완충 및 완화하는 스프링과 댐퍼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드럼형 세탁장치의 경우에는 대부분 별도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설치환경(예를 들어 싱크대 환경 또는 빌트인 환경)에 포함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형 세탁장치의 경우에는 크기가 설치되는 설치 환경에 맞추어져 한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형 세탁장치의 경우에는 터브와 캐비닛 사이에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댐퍼구조에 의해 내부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제한적이며, 세탁장치의 설치 환경이 제한적임에 따라 세탁장치 자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세탁량의 증가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세탁장치의 세탁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대하여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제한 조건에 의해 기존의 드럼형 세탁장치의 구조에서는 세탁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터브의 크기를 증가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세탁장치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을 지지하는 그 지지구조가 종래와 전혀 다른 새로운 구조의 드럼세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와 달리 드럼의 진동을 터브로 전달하지 않고 그대로 완충 지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브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터브 내부의 기압조절을 위해 그 구조가 개선된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상기 터브에 대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압력차에 의한 전진현상을 방지하는 압력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의 외부공기를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얍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의 전방과 상기 드럼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에 형성되는 압력조절홀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터브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터브의 전방과 상기 드럼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터브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립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림부는 이물끼임방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림부와 상기 이물끼임방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터브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저수면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측으로 개구되는 파이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소정 길이를 같는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급수에서 분기되는 압력조절관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인렛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열풍인렛에서 분기되는 압력조절관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는 상기 터브의 개구에 결합되는 가스켓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전방 개구부를 형성하는 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림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림부는 이물끼임방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림부와 상기 이물끼임방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터브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박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관은 상기 급수호스에서 분기되어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전방 개구부를 형성하는 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림부에서 돌출되어 중공이 형성되는 압력조절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박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돌기는 상기 압력조절돌기와 상기 세제박스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면에서 돌출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시 상기 드럼의 내부로 상기 터부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터브의 후방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유동가능하게 하는 후방가스켓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 링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을 지지하는 서스펜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는 터브가 고정적으로(fixedly) 설치되거나, 서스펜션유닛과 같이 플렉서블한 지지구조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에 의한 지지와 고정지지 사이의 중간 정도로 지지될 수도 있다.
즉, 터브는 후술하게 되는 서스펜션유닛과 같은 정도로 플렉서블하게 지지될 수도 있고, 그러한 지지보다는 움직임이 더 경직되도록(rigidly) 지지될 수도 있다. 예컨대, 터브는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거나, 서스펜션보다는 플렉서블하지 않지만 어느정도 움직임에 유연함을 줄 수 있도록 고무부싱과 같은 것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또는 완전히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터브가 서스펜션유닛보다 더 경직되게 지지되는 예를 좀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터브는 캐비닛에 적어도 일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둘째, 스크류, 리벳, 고무부싱 등에 의해 연결되어 서포트되거나 용접, 접착실링 등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와 같은 연결부재는 드럼의 주된 진동방향인 상하방향에 대해 그 강성이 서스펜션유닛의 그 강성보다 크다.
이와 같은 터브는 그 설치되는 공간 내에서 가능한 한도 내에서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터브는 적어도 좌우방향(회전축이 수평하게 놓일 때 그 축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좌우방향 크기를 제한하는 벽이나 프레임(예컨대,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플레이트)에 근접한 정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브는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벽에 일체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는 상기 좌우방향에 있어서 터브는 드럼보다 상기 벽이나 프레임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는 드럼과의 간격보다 1.5배 이하의 간격으로 상기 벽이나 프레임과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브가 그와 같이 좌우방향에 대해 확장된 상태에서 드럼 또한 좌우방향에 대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터브와 드럼 사이의 좌우방향 간격이 작을 수록 드럼은 좌우방향으로 그만큼 더 확장할 수 있게 된다. 터브와 드럼의 좌우방향 간격을 줄임에 있어서는 드럼의 좌우방향 진동을 고려할 수 있다. 드럼의 좌우방향에 대한 진동이 작을 수록 드럼의 직경이 더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게 되는 서스펜션 유닛은 좌우방향에 대한 강성이 다른 방향에 비해 크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서스펜션 유닛은 좌우방향의 변위에 대한 강성이 다른 방향에 비하여 최대가 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서스펜션유닛에 있어서는, 종래와 달리 터브를 통하지 않고,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즉, 베어링하우징은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그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베어링하우징의 지지부 또는 연장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도어가 있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유닛은 회전축의 그 축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지지대상(예컨대, 드럼)을 스탠딩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지지대상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들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그 하부 또는 상부에만 서스펜션을 구비하여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다.
드럼,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 등을 포함하는 그 진동체의 무게중심은 적어도 드럼의 길이방향 형상중심을 기준으로 모터가 있는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은 상기 무게중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 전후에 각각 하나의 서스펜션이 설치될 수도 있다.
터브는 후방부에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는 유연한 부재를 통해 상기 터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부재는 터브의 상기 후방부 개구부를 통해 세탁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한편, 상기 구동부의 터브에 대한 상대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부재는 실링이 가능하고 유연한 소재이면 무방할 것으로, 예컨대 전방가스켓처럼 가스켓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편의상 전방가스켓 에 대응하여 후방가스켓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의 구동부측 연결은 적어도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해 회전구속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후방가스켓은 회전축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베어링하우징의 연장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 중 상기 후방가스켓과의 연결부분 전방에 위치하여 터브 내의 세탁수에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은 세탁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코팅을 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별도의 부품(예컨대, 후술하는 터브백)으로 그 전면부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부 중 금속재로 된 부분 있는 경우 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캐비닛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빌트인 세탁장치의 경우는 캐비닛 대신 세탁장치가 설치될 공간이 벽구조 등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독립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경우도 전면측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드럼을 지지하는 그 지지구조가 종래와 전혀 다른 새로운 구조의 드럼세탁기를 제공하게 된다. 드럼의 진동은 터브로 전달되지 않으며, 효과적으로 완충지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터브 내부의 기압을 조절할 수 있어 드럼과 터브 사이의 충돌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장치는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터브는 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프론트(100)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레어(120)를 포함한다.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는 나사로 조립되며, 내부에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터브는 후면을 형성하는 터브백(130)을 포함한다. 터브백(130)은 터브레어(120)와 후방가스켓(250)을 통해 연결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의 진동이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터브레어(120)는 후면(128)을 가진다. 터브레어(120)의 후면(128)과 터브백(130) 및 후방가스켓(250)은 터브의 후벽면을 구성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 및 터브레어(120)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터브백(130)은 드럼 회전시 드럼과 함께 진동되는데, 이때 터브레 어(1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터브레어(120)와 이격되어 있다. 후방가스켓(25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터브백(130)이 터브레어(120)에 간섭되지 않고 상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의 그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주름부(252, 도 4참조)를 가질 수 있다.
터브프론트(100)의 전방부에는 터브와 드럼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끼임방지부재(200)가 연결된다. 이물끼임방지부재(200)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터브프론트(100)에 고정 설치된다. 이물끼임방지부재(200)는 후방가스켓(250)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드럼은 드럼프론트(300), 드럼센터(320), 드럼백(34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드럼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볼밸런서(310, 330)가 각각 설치된다. 드럼백(340)은 스파이더(350)와 연결되며, 스파이더(350)는 회전축(351)과 연결된다. 드럼은 회전축(351)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터브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351)은 터브백(130)을 관통하여 모터와 직결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의 로터와 회전축(351)이 직결된다. 터브백(130)의 후면(128)에는 베어링하우징(400)이 결합된다. 그리고, 베어링하우징(400)은 모터와 터브백(130) 사이에서 회전축(3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베어링하우징(400)에는 스테이터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를 둘러싸고 로터가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는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모터는 아우터로터 타입의 모터로서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베어링하우징(400)은 캐비닛 베이스(600)로부터 서스펜션유닛을 통해 지지된다. 서스펜션유닛은 수직 지지 3개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적으로 지지하는 경사 지지 2개를 포함하고 있다. 서스펜션유닛은 캐비닛 베이스(600)에 완전 고정식으로 연결되지 않고 드럼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연결된다.
즉, 서스펜션유닛은 베이스에 연결된 그 지지점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어느 정도 회전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를 위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스펜션은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베이스(600)에 설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 중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은 드럼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완충시키고,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그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과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진동계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스프링의 역할을 하고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댐핑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브는 터브백(130)을 제외하고는 캐비닛에 고정 설치되며, 드럼의 진동은 서스펜션유닛에 의해 완충 지지된다. 실질적으로 터브와 드럼의 지지구조가 분리된 형태라 할 수 있고, 또 드럼의 진동하더라도 터브는 진동하지 않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파트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3은 터브프론트(100)를 개시한다. 터브프론트(100)는 터브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면 전방부에 도넛 형태의 수직한 프론트면을 갖는다. 원통면의 후방부는 그대로 개방된 형태이며 다수의 체결홀(110)을 갖는다. 체결 홀(110)은 터브레어(120)의 대응되는 체결홀(127, 도 4참조)과 체결되게 된다.
터브프론트(100)의 프론트면의 내주면에는 림부(101)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림부(101)의 폭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프론트면의 내측모서리의 하부에는 실질적으로 림부(10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림부(101)에는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구(104), 건조 시 사용될 열풍인렛(103),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순환수유입구(106), 및 스팀이 유입되는 스팀구(105) 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터브의 진동이 현저히 감소된 상태이기 때문에 급수를 위한 급수호스 등의 급수구조나 건조덕트 등 건조를 위한 구조,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 순환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 등등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열풍인렛(103)은 림부(101)로부터 상부로 대략 사각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열풍인렛(103)은 건조 겸용 세탁기의 경우 필요하며 건조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세탁기라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터브프론트(100)의 전방부에 급수구(104) 등등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수 등등의 공급이 터브의 전방측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급수구(104) 등등은 터브 내부에 수용되는 드럼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래서, 세탁수 등등이 세탁물의 유출입을 위한 드럼 개구부를 통해 드럼안으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세탁수 등등과 같이 세탁물의 처리를 위해 공급되는 유체가 드럼 안으로 직접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세탁물 처리가 가 능하다. 또한, 세탁수를 급수할 때 세제박스(미도시)를 통해 세제가 함께 공급되는 경우 그 세제가 드럼 안으로 직접 유입되면 세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세탁수의 양을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세제 찌꺼기 등이 터브 하부에 퇴적되어 오염시키는 문제가 줄어든다. 또한, 터브의 전방부에서 급수하게 되는 경우 급수되는 물에 의해 도어글래스(미도시)가 세척되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열풍을 터브 전방에서 공급하는 경우라도 터브프론트(100)의 수직면을 통해 공급하는 경우에는 열풍의 흐름이 ㄷ자형(터브 후방에서 열풍이 와서 터브 전방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터브의 수직 전면으로 절곡되어 ㄷ자형의 복잡한 유로를 형성하게 됨)과 같이 유로가 두번 절곡되어 열풍의 원활한 유동에 좋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터브프론트(100)의 림부(101)에 열풍인렛(103)을 형성하면 열풍은 수직으로 한번만 절곡되면 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a
급수구(104) 등등은 드럼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세탁수 등등은 드럼 전방 상부에서 드럼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만약, 이와 달리, 드럼 전방 하부에서 드럼 내부를 향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다면, 터브프론트(100)의 림부(101)는 그에 따라 프론트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위와 같은 상하방향 공급이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면, 그에 따라 림부(101)는 프론트면의 내측모서리 중앙부(131) 정도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공급되는 유체를 어느 방향으로 공급할 것인가에 따라 림부(101)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림부(101)의 전단부에는 이물끼임방지부재(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102)가 형성된다. 결합부(102)는 림부(101)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대체로 작은 원통면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작은 원통면의 외주면에는 리브(1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물끼임방지부재(200)는 결합부(102)가 이물끼임방지부재(200)에 삽입되므으로서 결합부(102)와 결합된다. 그래서, 이물끼임방지부재(200)는 리브(102a)가 형성된 작은 원통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터브프론트(100)는 캐비닛 프론트(미도시)와 고정 연결된다. 이와 같은 고정연결을 위해 터브프론트(100)의 프론트면에는 체결보스(107a, 107b, 107c, 107d)가 대략 림부(101)를 둘러싸며 형성되어 있다. 터브프론트(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캐비닛 프론트(미도시)를 위치시킨 후 전방에서 후방으로 나사를 조여 체결하게 된다.
스팀구(105)는 스팀호스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구(105)로 유입된 스팀을 드럼 안쪽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스팀가이드(10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순환수유입구(106)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가 드럼 안쪽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순환수가이드(106a)가 형성되어 있다. 스팀구(105), 순환수유입구(106), 스팀가이드(105a), 순환수가이드(106a) 등은 터브프론트(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터브프론트(10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만들어지는데 그때 터브프론트(100)의 일부로서 스팀구(105) 등등이 함께 사출 성형되어 만들어지게 된다.
터브프론트(100)는 터브레어(120)와 결합하여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 한다.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는 나사체결된다. 이와 같은 나사체결을 위해 터브프론트(100)의 후방부에는 나사 체결홀(110)이 원주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터브프론트(100), 터브레어(120), 터브백(130), 후방가스켓(25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터브레어(120)는 드럼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전방은 그대로 오픈되고, 후방부는 도넛 형상의 후면(128)을 갖는다. 전방부는 터브프론트(100)와 실링 결합된다. 터브레어(120) 후면(128)의 직경은 터브백(130)의 외경보다 충분히 크다. 터브백(130)이 진동하더라도 터브레어(120) 후면(128)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간격, 즉, 터브레어(120) 후면(128)과 터브백(130) 사이에는 후방가스켓(250)이 연결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레어(120) 후면(128)과 터브백(130) 사이를 실링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의 진동에 간섭을 주지않도록 충분히 유연한 주름부(252)를 갖는다.
터브레어(120)의 일측에는 건조겸용 세탁기를 위해 열풍아웃렛(121)이 형성되어 있다. 건조겸용 세탁기가 아니라 세탁기능만을 위한 것이라면 열풍아웃렛(121)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의 하부에는 베이스에 대하여 터브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도 5는 서스펜션유닛이 베이스(600) 상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터브(100, 120), 베어링하우징(400), 서스펜션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여기서 서스펜션 유닛은 베어링하우징(400), 제1웨이트(431) 및 제2웨이트(430), 제1서스펜션브라켓(450) 및 제2서스펜션브라켓(440)을 포함한다.
베어링하우징(400)은 중앙부에 회전축(351)이 통과하는 회전축공(401)이 형성된다. 회전축공(40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한쌍의 베어링(404)이 삽입된다. 회전축(351)은 각 베어링(40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회전축공(401)의 외곽측에는 터브백(130)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다수의 터브백 체결홀(405)이 형성된다. 베어링하우징(400)의 후방으로는 모터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베어링하우징(400)은 관통홀(405)을 통과하는 별도의 결합체에 의해 터브백(130)과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되는 베어링하우징(400)과 터브백(130)의 사이에는 베어링하우징(400)과 터브백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워터씰(미도시)이 개재된다.
베어링하우징(400)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406a) 및 제2연장부(406b)가 형성된다. 제1연장부(406a) 및 제2연장부(406b)에는 제1웨이트(431)와 제2웨이트(430)가 연결된다. 제1웨이트(431)와 제2웨이트(430)에는 제1서스펜션브라켓(450) 및 제2서스펜션브라켓(440)이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제1연장부(406a), 제1웨이트(406b), 제1서스펜션브라켓(450)과 제2연장부(440), 제2웨이트(406a), 제2서스펜션브라켓(440)은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2웨이트(431, 430)는 드럼에 세탁물이 수용될 경우 무게 중심을 잡아 주는 역할하며, 또한 드럼이 진동하는 그 진동계에 있어서 매스(Mass)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서스펜션유닛은 수직방향의 완충을 위한 수직방향 서스펜션과 전후방향의 완충을 위한 전후방향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방향 서스펜션은 후방에 1개, 베이스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에 좌우로 2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경사져 2개의 서스펜션이 설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유닛은 제1실린더스프링(520), 제2실린더스프링(510), 제3실린더스프링(500), 제1실린더댐퍼(540), 제2실린더댐퍼(5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스프링은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된 형태이다. 실린더와 피스톤의 형태이기 때문에 완충 시 안정적으로 길이가변 된다. 실린더는 서스펜션브라켓에 연결되고 피스톤은 베이스측에 연결된다. 실린더댐퍼은 피스톤이 실린더 내를 움직이면서 마찰저항에 의해 댐핑효과를 얻는 구조이다.
제1실린더스프링(520)은 제1서스펜션브라켓(450)과 베이스(600)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실린더스프링(510)은 제2서스펜션브라켓(440)과 베이스(600) 사이에 연결된다. 제3실린더스프링(500)은 베어링하우징(400)과 베이스(600) 사이에 직접 연결된다. 실린더스프링들에 의해 후방에 1개소, 전방 좌우에 2개소에서 완충지지되는 형태이다.
제1실린더댐퍼(540)는 제1서스펜션브라켓(450)과 베이스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져 설치되고 있으며, 제2실린더댐퍼(530)은 제2서스펜션브라켓(440)과 베이스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져 설치되고 있다.
제3실린더스프링(500)은 후방의 중앙에, 제1실린더스프링(520)과 제2실린더 스프링(510)은 전방 좌우에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제3실린더스프링(500)의 그 후방 지점과 제1실린더스프링(520) 및 제2실린더스프링(510)의 전방 지점 사이에 제1실린더댐퍼(540) 및 제2실린더댐퍼(530)가 위치된다. 그리고, 이들은 좌우 대칭이다. 실린더스프링들은 베이스(600)에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연결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경우 드럼의 고속회전시 드럼 내부와 드럼과 터브사이의 공간에서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드럼 내부와 드럼과 터브사이의 공간에서 압력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드럼이 터브 내부에서 터브의 전방측으로 압력차에 의해 전진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드럼 전진 현상이 심해질 경우 드럼의 중심축이 원래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나면서 드럼의 회전축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요동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진된 드럼이 터브의 내측에서 터브의 내측 전방에 부딪히거나, 상하좌우로 요동치면서 터브의 내주면에 부딪혀 그에 따른 충격 및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세탁장치의 드럼 전진 현상을 첨부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터브 내의 압력변화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터브의 경우 캐비닛에 고정된 상태로 마련되고, 드럼의 경우 터브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여 서스펜션, 터브백(130), 후방가스켓(250)에 의해 터브내에서 유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해 드럼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 또는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드럼이 고속회전(예를 들어 탈수행정 진행시)하게 되는 경우 드럼의 고속회전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부에 체류하는 공기가 드럼에 형성된 탈수공 또는 드럼과 터브사이의 갭을 통하여 드럼의 외주면과 터브의 내주면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 내부의 공간은 아진공(亞眞空)상태가 되고, 드럼의 외주면과 터브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매우 높은 압력이 형성된다.
한편, 서스펜션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은 아진공 상태를 보상하기 위하여 드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려고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드럼의 회전에 따라 드럼의 원주방향으로는 원심력에 의해 계속 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드럼의 원주방향에서는 공기의 유입이 어려우며, 드럼의 전방 개구부측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형상이 발생된다.
하지만 드럼의 전방 개구부와 터버의 전방 개구부 사이의 갭이 매우 좁게형성되고, 터브 자체가 이미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드럼의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외주면으로 배출 및 회전되는 공기가 드럼의 전방과 터브의 전방사이의 갭으로 유입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드럼의 전방과 터브의 전방사이의 갭은 세탁물 또는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우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드럼의 전방과 터브의 전방사이의 갭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드럼의 전방과 터브 전방의 갭 부분은 다른 부분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회전되는 드럼과 터브사의 압력 상태가 드럼 내부는 아진공,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공간은 드럼 내부에 대하여 고압, 드럼 전방과 터브 전방의 갭은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대하여 저압인 상태가 된다. 즉, 압력상태가 드럼 내부<드럼 전방과 터브 전방의 갭<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공간 순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드럼 전방과 터브 전방의 갭 사이에 저압에 의해 발생되는 힘이 드럼을 지지하는 서스펜션의 지지력을 초과하게 되면서 드럼이 터브의 전방측으로 전진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경우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되어 있고 드럼은 진동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터브 내부에서 드럼 내외의 압력차가 생기면 그와 같이 드럼이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세탁장치에서는 터브와 드럼이 함께 진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령 그러한 압력차가 있다고 해도 드럼이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은 적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드럼이 전진함에 따라 회전되는 드럼의 전방과 터브 내부 전방이 충돌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드럼이 전지하려는 현상에 의해 서스펜션의 지지상태가 변수가 생겨 드럼이 올바르게 지지되지 않고 드럼의 회전중심에 변화가 생겨 드럼이 회전되면서 요동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드럼의 전진현상, 드럼의 요동형상을 방지하기위하여 터브 외부의 공기를 드럼의 내측으로 유입시켜 드럼 내부의 압력과, 드럼과 터브 사이의 압력, 드럼 전방과 터브 전방 갭의 압력을 안정화 시키는 압력조절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터브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부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압력조절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부는 터브프론트(100)의 림부(101)에 관통홀 형태의 압력조절홀(10)로 마련된다. 이러한 압력조절홀(10)은 터브 외부와 터브 내부를 연통시켜 드럼 회전시 터브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드럼 내부의 아진공 상태를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압력조절홀(10)은 림부(101)와, 림부(101)에 체결되는 이물끼임방지부재(2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압력조절을 위한 공기의 유로인 압력조절홀(10)은 터브프론트(100)의 림부(101)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이물끼임방지부재(200)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압력조절홀(10)이 드럼의 전방에 위치하는 터브프론트(100) 림부(101)에 형성됨으로써, 터브 외측의 공기가 압력조절홀(10)을 통해 터브 내로 유입된 후 드럼의 전방개구부를 통과하여 드럼 중심부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브 외측의 공기는 압력조절홀(10)을 통해 수월하게 드럼 내부로 인입되어 드럼 내부의 아진공 상태를 해소하여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압력과 평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홀(10)은 터브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터브 저수부 하부에서 일정높이(예를 들어 터브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높이 이상)이상 위치로 터브프론트(100)의 림부(10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홀(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압력조절홀(10)에 결합 연통되어 상측으로 연장 또는 절곡되는 일정길이의 연결파이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파이프에 의해 터브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터브에 저장되는 세탁수 또는 세탁수에서 발생되는 거품 등이 터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압력조절홀(10)에 의해 터브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킴으로써 드럼 회전시 드럼 내부,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사이의 공간, 드럼 전방과 터브 전방사이의 갭의 압력차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드럼이 고속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드럼의 전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의 전진에 따른 드럼과 터브의 충돌과 드럼의 회전 중심 변화에 따른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압력조절부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는 터브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호수(90)에서 분기되는 압력조절관(20) 형태로 마 련된다.
이에 먼저, 터브프론트(100)에 형성되는 급수호수(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호스(90)는 세제박스와 연결된다. 그리고, 급수호스(90)는 U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분(90a)을 갖는다. U자형 부분(90a)에 물이 차 있으면 터브 내의 냄새가 세제박스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급수호스(90)는 터브프론트(100)의 급수구(104)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급수호스(90)에는 급수호스에서 분기되는 분지관 형태의 압력조절관(20)이 형성된다. 압력조절관(20)은 바람직하게는 급수호소와 같이 세제박스로 연결된다. 압력조절관(20)은 터브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급수호스(90)는 물이 차 있는 U자형 부분(90a)을 갖고 있어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할 수 없지만, U자형 부분(90a)이 없다면 드럼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압력조절관(20)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관(20)에 의해 터브 외측의 공기가 압력조절관(20)을 통해 터브 내로 유입된 후 드럼의 전방개구부를 통과하여 드럼 중심부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브 외측의 공기는 압력조절관(20)을 통해 수월하게 드럼 내부로 인입되어 드럼 내부의 아진공 상태를 해소하여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압력과 평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압력조절관(20)에 의해 터브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킴으로써 드럼 회전시 드럼 내부,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사이의 공간, 드럼 전방 과 터브 전방사이의 갭의 압력차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드럼이 고속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드럼의 전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의 전진에 따른 드럼과 터브의 충돌과 드럼의 회전 중심 변화에 따른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압력조절부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는 터브프론트의 림부에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호수(90)가 연결되는 림부(101)에서 돌출되는 압력조절돌기(30)로 마련된다. 압력조절돌기(30)는 세제박스와 연결되는 별도의 연결파이프(미도시)가 더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터브프론트(100)의 림부(101)에는 급수구(104)가 형성되고 급수구(104)의 일측에는 터브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종공이 형성된 압력조절돌기(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압력조절돌기(30)는 다른 별도의 부재와 연결없이 단지 터브 외부와 터브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압력조절돌기(30)는 별도의 연결파이프를 구비하여 세제박스에 연결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돌기(30)는 상술한 제 1, 2실시예에서의 압력조절홀(10), 압력조절관(20)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제 2실시예에서의 압력조절관과(20)는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제 2실시예의 압력조절관(20)과 같이 압력조절관(20)이 급수구(104)에서 분지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급수호스(90)를 통해 급수가 진행될 경우 압력조절관이 폐쇄되어 압력조절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급수호스(90)로 급수가 진행될 경우 터브내의 공기가 배기되지 못하여 급수가 원할히 진행되지 못할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제 3실시예의 경우 압력조절돌기(30)가 급수호스(90)와 별도로 마련됨으로 급수호스(90)의 급수 동작과는 상관없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돌기(30)에 의해 터브 외측의 공기가 압력조절돌기(30)을 통해 터브 내로 유입된 후 드럼의 전방개구부를 통과하여 드럼 중심부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브 외측의 공기는 압력조절돌기(30)을 통해 수월하게 드럼 내부로 인입되어 드럼 내부의 아진공 상태를 해소하여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압력과 평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압력조절돌기(30)에 의해 터브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킴으로써 드럼 회전시 드럼 내부,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사이의 공간, 드럼 전방과 터브 전방사이의 갭의 압력차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드럼이 고속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드럼의 전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의 전진에 따른 드럼과 터브의 충돌과 드럼의 회전 중심 변화에 따른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들의 압력조절홀(10), 압력조절관, 압력조절돌기(30)들은 터브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킴으로써 도어(미도시) 열림을 원활하게 할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터브가 밀폐된 상태에서는 터브 내부의 압력과 터브를 폐쇄하는 도어의 외부 압력이 차이가 발생하여 도어를 열기위해 상당한 힘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터브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조절홀(10), 압력조절관, 압력조절돌기(30)들은 터브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킴으로써 터브 내부와 터부 외부의 압력차이를 줄일수 있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제착장치의 압력조절부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터브 내의 압력변화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의 회전시 드럼 내부, 드럼과 터브 사이에 압력 변화가 발생될 경우 압력조절부(예를 들어 압력조절홀(10), 압력조절관(20), 압력조절돌기(30))를 통하여 터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드럼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공기는 드럼과 터브 사이의 압력과, 드럼 내부의 압력 차이를 줄이게 된다. 따라서 터브 외부의 공기가 터브로 유입되면서 터브 내의 압력분포가 균일하게 변환된다.
이에 따라 드럼 내부와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사이의 압력차이가 적어지므로 드럼이 전진하는 현상이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의하면, 터브가 캐비닛에 직접 고정되어 유동하지 않으므로 터브의 직경을 보다 크게 확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터브 및 드럼의 용적을 크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드럼을 일측에서만 지지하므로, 드럼을 양단에서 지지하는 방식에 비하여 드럼 내부의 용적이 더욱 확대되며 그만큼 부품수가 적어지므로 생 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되므로, 캐비닛과 일체로 조립된 터브에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될 경우 터브 자체만 진동 또는 충격에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캐비닛의 자중이 더해지기 때문에 터브의 강성이 증가되며 드럼 세탁기의 전체적인 진동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프론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레어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서스펜션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와 서스펜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터브 내의 압력변화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압력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압력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압력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터브 내의 압력변화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Claims (24)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상기 터브에 대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압력차에 의한 전진현상을 방지하는 압력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의 외부공기를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얍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의 전방과 상기 드럼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에 형성되는 압력조절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터브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터브의 전방과 상기 드럼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터브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는 이물끼임방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림부와 상기 이물끼임방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터브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저수면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측으로 개구되는 파이프를 더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착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소정 길이를 같는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급수에서 분기되는 압력조절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인렛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열풍인렛에서 분기되는 압력조절관인것을 특 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는 상기 터브의 개구에 결합되는 가스켓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전방 개구부를 형성하는 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림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는 이물끼임방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림부와 상기 이물끼임방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터브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박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관은 상기 급수호스에서 분기되어 상기 세제박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전방 개구부를 형성하는 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림부에서 돌출되어 중공이 형성되는 압력조절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박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조절돌기는 상기 압력조절돌기와 상기 세제박스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터브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면에서 돌출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시 상기 드럼의 내부로 상기 터부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터브의 후방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유동가능하게 하는 후방가스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을 지지하는 서스펜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90134464A 2008-12-30 2009-12-30 세탁장치 KR10170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0923842-5A BRPI0923842A2 (pt) 2008-12-30 2009-12-30 Máquina de lavanderia
EP20090836426 EP2387631B1 (en) 2008-12-30 2009-12-30 Laundry machine
AU2009334000A AU2009334000B2 (en) 2008-12-30 2009-12-30 Laundry machine
PCT/KR2009/008002 WO2010077105A2 (en) 2008-12-30 2009-12-30 Laundry machine
US13/143,004 US20120000253A1 (en) 2008-12-30 2009-12-30 Laundry machine
RU2011132058/12A RU2516496C2 (ru) 2008-12-30 2009-12-30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MX2011007089A MX2011007089A (es) 2008-12-30 2009-12-30 Lavadora.
CA2748826A CA2748826C (en) 2008-12-30 2009-12-30 Laundry machine for suspendedly supporting vibration of a drum
CN200980155606.XA CN102301054B (zh) 2008-12-30 2009-12-30 洗衣机
ZA2011/05063A ZA201105063B (en) 2008-12-30 2011-07-08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372 2008-12-30
KR20080136372 2008-12-30
KR20090047192 2009-05-28
KR1020090047192 2009-05-28
KR1020090079909 2009-08-27
KR20090079909 200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474A true KR20100080474A (ko) 2010-07-08
KR101700190B1 KR101700190B1 (ko) 2017-01-26

Family

ID=4264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464A KR101700190B1 (ko) 2008-12-30 2009-12-30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20000253A1 (ko)
EP (1) EP2387631B1 (ko)
KR (1) KR101700190B1 (ko)
CN (1) CN102301054B (ko)
AU (1) AU2009334000B2 (ko)
BR (1) BRPI0923842A2 (ko)
CA (1) CA2748826C (ko)
MX (1) MX2011007089A (ko)
RU (1) RU2516496C2 (ko)
WO (1) WO2010077105A2 (ko)
ZA (1) ZA20110506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785A3 (ko) * 2011-05-31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70142436A (ko) * 2016-06-17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7137B2 (en) * 2015-03-16 2019-06-18 Mavenir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alicious attack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2531717B1 (ko) * 2018-06-01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N111058237B (zh) * 2019-12-05 2023-07-0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2736A1 (de) * 1992-07-10 1994-01-13 Miele & Cie Trommelwaschmaschine
KR20050117004A (ko) * 2004-06-09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드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0482A (ja) * 1991-01-24 1992-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DE4443156A1 (de) * 1994-12-05 1996-06-13 Aeg Hausgeraete Ag Waschmaschine mit Entlüftungseinrichtung für den Laugenbehälter
DE29724890U1 (de) * 1997-12-22 2005-05-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chmaschine
JP2003245489A (ja) * 2002-02-26 2003-09-02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3920128B2 (ja) * 2002-04-01 2007-05-30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EP2314749A3 (en) * 2002-12-27 2013-01-09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464054B1 (ko) * 2002-12-27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20070019946A (ko) * 2003-09-26 2007-02-16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접착 보조제 조성물
TR200604992T1 (tr) * 2004-03-17 2007-01-22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yıkayıcı/kurutucu
KR101075224B1 (ko) * 2004-12-02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245589B1 (ko) * 2006-10-02 201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냄새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KR20080032332A (ko) * 2006-10-09 2008-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2736A1 (de) * 1992-07-10 1994-01-13 Miele & Cie Trommelwaschmaschine
KR20050117004A (ko) * 2004-06-09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드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785A3 (ko) * 2011-05-31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103649401A (zh) * 2011-05-31 2014-03-19 Lg电子株式会社 洗涤装置
EP2716806A2 (en) * 2011-05-31 2014-04-09 LG Electronics Inc. Washing device
EP2716806A4 (en) * 2011-05-31 2015-01-21 Lg Electronics Inc WASHING DEVICE
KR20170142436A (ko) * 2016-06-17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7631B1 (en) 2015-04-22
EP2387631A4 (en) 2012-08-29
RU2516496C2 (ru) 2014-05-20
EP2387631A2 (en) 2011-11-23
CA2748826A1 (en) 2010-07-08
AU2009334000A1 (en) 2011-07-28
KR101700190B1 (ko) 2017-01-26
CN102301054A (zh) 2011-12-28
CA2748826C (en) 2016-12-20
WO2010077105A3 (en) 2010-12-09
RU2011132058A (ru) 2013-02-10
WO2010077105A2 (en) 2010-07-08
CN102301054B (zh) 2015-02-11
US20120000253A1 (en) 2012-01-05
BRPI0923842A2 (pt) 2015-07-21
MX2011007089A (es) 2011-09-15
ZA201105063B (en) 2012-03-28
AU2009334000B2 (en)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885B1 (ko) 세탁장치
CN102325936B (zh) 洗衣机
KR20100080471A (ko) 세탁장치
KR20100080467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7A (ko) 세탁장치
KR20100080474A (ko) 세탁장치
KR20100080460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9A (ko) 세탁장치의 제조방법
KR20100080461A (ko) 세탁장치
KR20100080463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6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8A (ko) 세탁장치
KR102229974B1 (ko) 세탁장치
KR20120101796A (ko) 세탁장치
KR101692728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20102298A (ko) 세탁장치
KR20120134654A (ko) 세탁장치
KR20120101795A (ko) 세탁장치
KR20120135618A (ko) 세탁장치
KR20120137694A (ko) 세탁장치
KR20120134655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