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719A -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 Google Patents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719A
KR20100079719A KR1020080138271A KR20080138271A KR20100079719A KR 20100079719 A KR20100079719 A KR 20100079719A KR 1020080138271 A KR1020080138271 A KR 1020080138271A KR 20080138271 A KR20080138271 A KR 20080138271A KR 20100079719 A KR20100079719 A KR 2010007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e
rapeseed
coupled
harvester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001B1 (ko
Inventor
이충근
최용
전현종
조영목
김신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아세아텍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8013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0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2Header 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나 콩 등을 수확하는 콤바인에 필요 시마다 결합하여 보리나 콩은 물론, 유채도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한,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는, 보리 등을 수확하기 위한 수평한 주예취날이 결합된 콤바인의 전방부를 삽입 결합할 수 있는 후방 개방형의 하우징에, 서로 엉킨 유채의 꽃대를 절단분리하기 위한 수직예취날과, 꽃대의 하단부를 절단하기 위한 수평예취날이 구비되고, 주예취날이 결합된 콤바인의 전방부를 하우징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유압작동용 유압배관 및 기계적 작동용 구동링크로서 콤바인과 유채수확기를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인 콤바인의 활용성과 경제성을 최대화한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콤바인, 유채, 예취날, 수확기

Description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The separable rape seed harvester for a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보리나 콩 등을 수확하는 콤바인에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결합하여 유채를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콤바인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농작물의 수확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콤바인은, 인력만으로는 수확하기가 어려운 정도의 광활한 지역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확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처음 개발된 것으로, 최초의 콤바인은 밀의 수확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으나, 곧 여러 다른 농작물의 수확에도 사용되었다.
상기 콤바인은, 국내의 산업화와 함께 농촌 젊은이의 대부분이 도시로 이주함으로써 농촌 인력이 노후화하면서 노동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짐에 따라, 국내에도 널리 보급되고 있는 농기구로서, 특정 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전용 콤바인과, 보리, 콩, 벼 등의 여러 종류의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범용 콤바인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국내에 보급된 콤바인은 주로 범용이다.
따라서 미국과 같이 한 종류의 농작물이 재배되는 경작지가 넓지 않은 국내에서는 전용 콤바인보다 범용 콤바인이 적합하나, 범용 콤바인으로는 유채를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촌의 소득증대를 위하여 2모작의 일환으로 경작되고 있는 유채는, 꽃대의 길이가 대략 1m 이상으로 길고 낟알이 이삭에서 쉽게 떨어질 뿐 아니라, 꽃대간의 엉킴 현상이 심하기 때문에 대부분 인력으로 유채씨를 수확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채 수확작업은 매우 힘들기 때문에 콤바인을 이용한 자동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콩, 보리 등의 수확에 적합한 종래의 일반적인 범용 콤바인을 사용하여 유채를 수확하면, 상기와 같은 유채의 특징 때문에, 인력으로 수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채씨의 손실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등 노동부하를 줄일 수 있을 뿐 유채를 효과적으로 수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인력 수확에 따른 과다한 노동부하 또는 콩, 보리 수확용 콤바인을 이용한 수확 시 유채씨의 과도한 손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채 수확 전용의 콤바인이 개발되었는 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820934호에 "유채 수확용 콤바인"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유채 수확용 콤바인은, 콩, 보리 등을 수확할 수 있는 범용 콤바인을 유채 수확 전용으로 개조한 콤바인으로서, 보리 등을 수확하기 위한 주예취날이 제거된 콤바인의 전방단부에 광폭 저판이 결합되고, 광폭 저판의 선단에 수평방향의 하부 예취날이 구비되며, 정면도 상에서 상기 하부 예취날과 "ㄴ"자 형상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의 측면 예취날이 광폭 저판의 일측 측판 선단에 장착된 구조이다.
그리고 콤바인의 구동풀리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펌프와 유압탱크가 상기 광폭 저판의 타측 측판 외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탱크에 의해 측면 예취날이 작동하게 되고, 하부 예취날은 상기 구동풀리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구조로서, 콤바인이 진행 시 측면 예취날이 서로 엉킨 유채의 꽃대를 절단하고, 하부예취날이 꽃대의 하부를 자르면, 하부 예취날 위에 위치한 회전릴이 잘려진 꽃대를 콤바인 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유채씨를 수확하게 된다.
상기 유채 수확용 콤바인은 유채만을 수확하기 위한 전용 콤바인으로서, 유채를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범용 콤바인으로 유채를 수확하는 경우와 같이, 반대로 콩, 보리 등의 수확에는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바, 고가의 콤바인을 한 때의 유채 수확에만 사용하여야만 한다는 비효율성 측면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유채를 효율적으로 수확하기 위하여 유채 수확 전용의 콤바인을 사용하여야만 하는 종래 유채 수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콩, 보리 등을 수확할 수 있는 콤바인을 이용하여 유채도 효과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유채 수확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한 대의 콤바인으로서 콩, 보리는 물론 유채도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인 콤바인의 활용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채 수확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보리 등을 수확하기 위한 주예취날이 구비된 콤바인의 전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개방형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된 수직 및 수평 예취날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콤바인에 고정 결합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탱크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구동링크 등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는, 콩, 보리 등의 수확에 사용되는 콤바인과 손쉽게 분리가능토록 결합되는 바, 콤바인을 이용하여 콩, 보리는 물론 유채도 효과적으로 수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유채 수확기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콤바인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콤바인의 경제성과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콩, 보리 등의 수확에 사용되는 범용 콤바인에 분리가능토록 결합된 상태에서 유채를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한,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는, 콩, 보리 등을 수확하기 위한 주예취날이 구비된 콤바인의 전방부에 분리가능토록 결합되는 구조로서, 콤바인에 고정 결합되는 유압발생부와, 콤바인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예취부로 구성되고, 상기 예취부는 유압배관에 의해 유압발생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콤바인의 구동부와 구동링크에 의해 분리가능토록 연결된다.
콤바인에 고정 결합되는 상기 유압발생부는, 콤바인의 구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펌프와; 유압탱크; 등으로 구성되는데, 유압펌프는, 유압탱크의 유압유를 예취부로 공급하고, 예취부로 공급된 유압유를 유압탱크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콤바인에 분리가능토록 결합되는 예취부는, 후방단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방단부에 결합되고 콤바인 구동부에 구동링크로 연결되는 수평예취날과; 하우징 전방단부의 일측단에 결합된 수직브라켓트와; 수직브라켓트에 상·하 왕복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예취날과; 수직브라켓트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발생부의 유압펌프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수직예취날을 움직이기 위한 유압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과 "후방"은 콤바인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탈착식 유채 수확기를 콤바인에 결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닥에 놓여진 유채 수확기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콤바인을 움직임으로써, 수평한 주예취날이 구비된 콤바인의 전방부가 유채 수확기 하우징의 개방된 후방단부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콤바인의 전방부를 유채 수확기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한 후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콤바인의 전방부에 하우징을 분리가능토록 고정한 상태에서 콤바인의 구동부와 유채 수확기의 수평예취날을 구동링크로 연결하고, 콤바인에 고정된 유압펌프와 수직브라켓트 상단의 유압모터를 유압배관으로 분리가능토록 연결하면 콤바인과 유채 수확기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유채 수확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콤바인의 구동부를 가동하면, 수직예취날은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하 왕복 작동되고, 수평예취날은 콤바인의 구동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하는 구동링크에 의해 좌·우 왕복 작동하게 됨으로써, 유채를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 유채 수확기의 전방 사시도를, 도 2에 본 발명 유채 수확기의 후방 사시도를, 도 3에 본 발명 유채 수확기의 좌측면도를, 도 4에 본 발명 유채 수확기의 우측면도를, 도 5에 본 발명 유채 수확기와 콤바인의 분리 사시도를, 도 6에 본 발명 유채 수확기와 콤바인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채 수확기는,
콤바인(10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콤바인(100)의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는 유압펌프(10)와;
상기 콤바인(10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펌프(10)와 배관연결된 유압탱크(20)와;
수평한 주예취날(110)이 구비된 상기 콤바인(100)의 전방부가 분리 및 삽입가능토록 후방단부가 개방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전방단부 일측단에 직립하며, 상기 유압펌프(10)에 분리 가능토록 배관연결되는 유압모터(41)가 상단에 구비된 수직브라켓트(40)와;
상기 하우징(30)의 전방단부에 좌·우 왕복가능토록 결합된 수평예취날(50)과;
상기 수직브라켓트(40)에 상·하 왕복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유압모터(41)에 의해 작동되는 수직예취날(60)과;
상기 하우징(30)의 타측면에 길이방향 중간부가 회동 가능토록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단부가 상기 수평예취날(50)의 일측단과 주예취날(110) 구동부에 각각 분리 및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구동링크(70); 등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20"은 "릴"로서, 주예취날(110) 또는 수평예취날(50)에 의해 잘려진 꽃대를 콤바인 내측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 높이 및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콤바인(100)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채씨 수확기에서 상기 하우징(30)의 전방 단부 좌·우 양 측단에 전방을 향하여 선단부가 뾰족한 쐐기형 가이드(3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콤바인(100)이 진행 시 상기 가이드(31)가 유채의 꽃대 하부를 수평예취날(50) 측으로 원활하게 분리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일측면 전방단부와 콤바인(100)의 측면에도 로드형 디바이더(32, devider)의 전·후방단부를 각각 분리가능토록 결합하되, 디바이더(32)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콤바인의 측면과 점차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수직예취날(60)에 의해 잘려진 후 콤바인 진행방향의 외측에 위치한 유채가 콤바인 측면이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디바이더(32)가 구비되지 않으면, 콤바인 진행방향 외측의 유채가 콤바인 측면이나 내측으로 유입되어 콤바인의 각종 부품에 유채의 꽃대가 엉킴으로써 콤바인의 고장을 초래하거나, 외측 유채와 콤바인의 접촉에 의해 유채씨가 떨어지면서 수확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수평예취날(50)은, 콤바인(100)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유채의 꽃대 하단부를 자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우징(30) 선단에 고정결합되는 수평고정날(51)과, 좌·우 왕복이동 가능토록 결합되는 수평유동날(52)로 구성되고, 수평유동날(52)은 콤바인(100)의 주예취날(110) 구동부에 결합된다.
상기 콤바인(100)의 주예취날(110) 구동부는 콩, 보리 등을 수확하기 위하여 콤바인(100)의 전방 선단에 수평하게 결합된 주예취날(110)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풀리(130)와; 전방단부가 좌·우 왕복 유동가능토록 상기 구동풀리(130)에 후방단부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유동브라켓트(140); 등으로 구성된다.
즉 주예취날(110)과 유동브라켓트(140)을 분리한 후 하우징(30)의 타측면에 중간부가 회동가능토록 고정결합된 구동링크(70)의 전·후방단부를 수평유동날(52)의 일측단부와 유동브라켓트(140)의 전방단부에 각각 회동 및 분리가능토록 결합함으로써, 콤바인(100)의 구동부로서 수평유동날(52)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예취날(50)과 정면도 상에서 대략 "ㄴ"자의 형상을 이루어 콤바인의 진행 시 서로 얽힌 유채의 꽃대를 잘라주기 위한 수직예취날(6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하는 한쌍의 수직유동날(61)(61')로 구성되는데, 각 수직유동날(61)(61')의 상부는 단면칫수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바형(또는 로드형) 회동링크(62)(62')의 하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토록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브라켓트(40)의 상단에 구비된 유압모터(41)의 회전축(41A)에는 회전축(41A) 중심과 편심을 이루는 제1핀축(41B)이 구비되고, 제1핀축(41B)에는 일측 회동링크(62)의 상단부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동시에 회전링크(41C)의 일측단부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회전링크(41C)의 타측단부에는 제2핀축(41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핀축(41B')에 타측 회동링크(62')의 상단부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바, 유압모터(41)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41A)과 편심을 이루며 회전하는 제1·2핀축(41B)(41B')에 각각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두 회동링크(62)(62')의 상단부가 제1·2핀축(41B)(41B')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회동링크(62)(62') 전체가 상·하 왕복이동함으로써, 두 수직유동날(61)(6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모터(41)에는 한쌍의 분리유압배관(P)이 연결되고, 각 분리유압배관(P)의 끝단에는 커플링(C)이 구비된다.
그리고 콤바인(100)에 고정된 유압펌프(10)에도 한쌍의 고정유압배관(P')이 연결되는데, 커플링(C')이 각각 구비된 고정유압배관(P')의 끝단은 컴바인(100)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바, 콤바인(100)의 전방부를 유채 수확기의 하우징(30)에 삽입결합한 후 상기 고정유압배관(P')의 커플링(C')에 분리유압배관(P)의 커플링(C)을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유압모터(41)를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 유채 수확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 유채 수확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 유채 수확기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 유채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 유채 수확기와 콤바인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 유채 수확기와 콤바인의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콤바인 110. 주예취날 120. 릴
130. 구동풀리 140. 유동브라켓트 10. 유압펌프
20. 유압탱크 30. 하우징 31. 가이드
32. 디바이더 40. 수직브라켓트 41. 유압모터
41A. 회전축 41B. 제1핀축 41B'. 제2핀축
41C. 회전링크 50. 수평예취날 51. 수평고정날
52. 수평유동날 60. 수직예취날 61,61'. 수직유동날
62,62'. 회동링크 70. 구동링크 C,C'. 커플링
P. 분리유압배관 P'. 고정유압배관

Claims (7)

  1. 콤바인(100)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콤바인(100)의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10) 및 유압펌프(10)에 배관연결된 유압탱크(20)와;
    수평한 주예취날(110)이 결합된 상기 콤바인(100)의 전방부가 분리 및 삽입가능한 후방 개방형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전방단부 일측단에 세워지며, 상기 유압펌프(10)에 분리 가능토록 배관연결되는 유압모터(41)가 상단에 구비된 수직브라켓트(40)와;
    상기 하우징(30)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수평예취날(50)과;
    상기 수직브라켓트(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모터(41)에 의해 작동되는 수직예취날(60)과;
    상기 하우징(30) 타측면에 중간부가 회동 가능토록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단부가 상기 수평예취날(50) 및 주예취날(110)이 구동부에 각각 분리 및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는 구동링크(7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예취날(50)은,
    상기 하우징(30) 선단에 고정결합된 수평고정날(51)과;
    상기 하우징(30) 선단에 좌·우 왕복이동 가능토록 결합된 수평유동날(52);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유동날(52)의 일측단부는 상기 구동링크(70)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예취날(6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하는 한쌍의 수직유동날(61)(61')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유동날(61)(61')의 각 상부는 회동링크(62)(62')의 하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유압모터(41)의 회전축(41A)에는 편심을 이루는 제1핀축(41B)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핀축(41B)에는 일측 회동링크(62)의 상단부와 회전링크(41C)의 일측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토록 및 고정결합되고,
    상기 회전링크(41C)의 타측단부에는 제2핀축(41B')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핀축(41B')에는 타측 회동링크(62')의 상단부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4. 제 1항 내지 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41)와 결합된 분리유압배관(P)의 끝단에는, 커플링(C)이 구비되고,
    상기 유압펌프(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컴바인(100)의 전방측에 고정된 고정유압배관(P')의 끝단에는, 상기 분리유압배관(P)의 커플링(C)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플링(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전방단부 좌·우 양 측단에는, 유채 꽃대의 하부를 수평예취날(50)측으로 분리 유도하기 위한 쐐기형 가이드(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6.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일측면 전방단부와 콤바인(100)의 측면에는, 수직예취날(60)에 의해 절단 분리된 콤바인(100) 측면 외측의 유채 꽃대가 콤바인(100)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주는 디바이더(32)의 전·후방단부가 각각 분리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3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콤바인(100)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KR1020080138271A 2008-12-31 2008-12-31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KR10102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71A KR101025001B1 (ko) 2008-12-31 2008-12-31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71A KR101025001B1 (ko) 2008-12-31 2008-12-31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719A true KR20100079719A (ko) 2010-07-08
KR101025001B1 KR101025001B1 (ko) 2011-03-29

Family

ID=4264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271A KR101025001B1 (ko) 2008-12-31 2008-12-31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0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22A1 (ko) * 2014-06-18 2015-12-23 엄성만 콤바인용 예취날 구조체
CN109362341A (zh) * 2018-12-03 2019-02-22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油菜联合收割机竖割刀飞溅籽粒气力回收系统试验台
US20200404843A1 (en) * 2018-12-27 2020-12-31 Jiangsu University Multi-layer segmentation/stalk cutter device for first season of double-crop rice and control method, and combine harvester for first season of double-crop r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04Y1 (ko) * 2004-07-05 2004-09-18 정요성 보리총체 작업기
KR100662863B1 (ko) * 2006-08-16 2006-12-28 이동주 콤바인용 검불 절단장치
KR100822429B1 (ko) * 2006-08-31 2008-04-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자탈형 콤바인의 벼 총량 계측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22A1 (ko) * 2014-06-18 2015-12-23 엄성만 콤바인용 예취날 구조체
CN109362341A (zh) * 2018-12-03 2019-02-22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油菜联合收割机竖割刀飞溅籽粒气力回收系统试验台
CN109362341B (zh) * 2018-12-03 2024-01-19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油菜联合收割机竖割刀飞溅籽粒气力回收系统试验台
US20200404843A1 (en) * 2018-12-27 2020-12-31 Jiangsu University Multi-layer segmentation/stalk cutter device for first season of double-crop rice and control method, and combine harvester for first season of double-crop rice
US11805734B2 (en) * 2018-12-27 2023-11-07 Jiangsu University Multi-layer segmentation/stalk cutter device for first season of double-crop rice and control method, and combine harvester for first season of double-crop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001B1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8452C2 (ru) Адаптер 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со стеблеизмельчителем для уборки урожая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в частности подсолнечника
WO2014056055A1 (pt) Implemento ceifador enleirador para culturas diversas
CN104396443A (zh) 一种空气负压差速刀头树叶收割机
KR101025001B1 (ko) 콤바인용 탈착식 유채 수확기
CN109348841A (zh) 一种柔动分禾扶倒装置及安装该装置的收获机
KR101330093B1 (ko) 시금치 수확기
WO2021051971A1 (zh) 一种割台
CN210470337U (zh) 一种油葵收割机割台装置
CN201869560U (zh) 小型联合收割机下割刀装置
CN205161157U (zh) 一种蓖麻收割机割台及蓖麻收割机
KR100868277B1 (ko) 구근작물 수확기
CN101411268B (zh) 自适应行距茎穗兼收型玉米收割机割台
JP5680333B2 (ja) 刈取り作業機
CN2497531Y (zh) 一种玉米收割机割台
CN203327542U (zh) 高寒区野菊花收割机
CN202587858U (zh) 高秆作物收割机
CN202197563U (zh) 一种玉米收获机
CN216451935U (zh) 自走旋转式宽幅割草调制机
CN204598680U (zh) 大蒜收获机
CN204539967U (zh) 一种多功能甘蔗剥叶刀
CN203761870U (zh) 一种麦菁两熟配套收获割台
CN203353137U (zh) 薯类作物收获机
CN217509422U (zh) 一种与分体式水稻收割机配套的割台
CN215122144U (zh) 一种砂仁育苗用除草装置
CN203261747U (zh) 田间秸秆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8

Year of fee payment: 18